KR102027738B1 - 안전지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지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738B1
KR102027738B1 KR1020190081114A KR20190081114A KR102027738B1 KR 102027738 B1 KR102027738 B1 KR 102027738B1 KR 1020190081114 A KR1020190081114 A KR 1020190081114A KR 20190081114 A KR20190081114 A KR 20190081114A KR 102027738 B1 KR102027738 B1 KR 10202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guard
user
guard terminal
termina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정필호
김종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19008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안전지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은, 상호간에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하는 안전지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 및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지킴 시스템{SYSTEM OF PROTECTING TOURISTS FROM HAZARDOUS SITUATIONS}
본 발명은 안전지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길잃음, 체포, 피랍, 테러, 분실, 도난, 강도, 교통사고, 질병 또는 자연재해 등의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해외여행을 위해서 출국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맞춰서 해외여행 사건사고 등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외교부의 출국자 및 해외여행 사건사고 수 추이 자료에 의하면, 2009년에 출국자 수가 949만 4000명이었는데 해마다 증가하여 2013년에는 1484만 6000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출국자 수의 증가에 맞춰서 해외여행 사건사고 가해ㆍ피해자 수도 증가하였다. 즉 2009년에 해외여행 사건사고 가해ㆍ피해자 수가 7336명이었는데 해마다 증가하여 2013년에는 9100명에 이르게 되었다.
2013년 피해현황을 살펴보면, 9100명의 사건사고 가해ㆍ피해자 수 중 피해자 수는 4967명이었다. 그 피해종류에는 절도ㆍ사기(3414명), 납치감금ㆍ폭행상해(334명), 살인ㆍ강도(241명), 교통사고(152명), 안전사고 사망(61명), 강간ㆍ강제추행(41명)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여행객의 피해상황은 발생하기 전에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많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행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고려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7170호(공개일 : 2017년04월04일)가 있다.
길잃음, 체포, 피랍, 테러, 분실, 도난, 강도, 교통사고, 질병 또는 자연재해 등의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안전지킴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은, 상호간에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하는 안전지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 및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및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동일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비상버튼,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자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및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감지부는, 비상버튼의 눌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는 상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폰으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생성하여 안전지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저장하며, 안전지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하였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이탈하였으면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안전지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안전지킴 단말기는, 저전력 광대역(Low Power Wide Area) 통신을 수행하는 광대역 통신부;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비상버튼,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자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및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비상버튼의 눌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는 상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광대역 통신부를 통해서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Bluetooth)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가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되어 생성된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가 수신되면,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파악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감지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서 상기 파악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가 안전지킴 단말기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파악되어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발생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를 수신하면, 이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에 따르면, 길잃음, 체포, 피랍, 테러, 분실, 도난, 강도, 교통사고, 질병 또는 자연재해 등의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외교부에서 제공된 출국자 및 해외여행 사건사고 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확장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은, 사용자마다 구비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와 스마트폰(20)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 예를 들어 여행객은 안전지킴 단말기(10)와 스마트폰(20)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즉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와 스마트폰(20)의 사용자는 동일 사용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지킴 단말기(10)와 스마트폰(20)를 모두 구비하는 이유는, 첫째로 스마트폰(20)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폰(20)의 한정된 배터리 용량 및 데이터 송수신량으로 인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장시간 동안 끊김없이 지속적으로 트랙킹(tracking)하기 어려운 반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경우 저전력 광대역(Low Power Wide Area) 통신기술을 사용하므로 저전력 및 긴 배터리 수명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위치를 장시간 동안 끊김없이 지속적으로 트래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경우 저전력 및 긴 배터리 수명 특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지만, 저전력 및 긴 배터리 수명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어 녹음부, 카메라 등)을 안전지킴 단말기(10)에 구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달리 스마트폰(20)의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어 녹음부, 카메라 등)을 이미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위험의 경우 단발성인 경우가 많아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발생하더라도 전력소모도 작고 이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더라도 데이터 통신 사용요금에도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0)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가 스마트폰(20)과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닌, 스마트폰(20)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안전지킴 단말기(10)를 통해서 저전력 광대역 통신 기술로 관제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에, 스마트폰(20)의 데이터 통신 사용요금을 아예 발생하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은, 저전력 광대역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안전지킴 단말기(10)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경우 그 경우에만 스마트폰(20)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를 스마트폰(20)과 연결된 이동통신망이 아닌 블루투스로 연결된 안전지킴 단말기(10)를 통해서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전송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관제서버(50)에서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이동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위험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관제서버(50)는 사용자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와 별개로,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스마트폰(20)이 연결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서버(60)로 전송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서버(60)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정보들이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여행객의 이동경로(여행경로)에 관한 것이라면, 이를 여행사 등에게 유료로 제공하여 여행사 등으로 하여금 새로운 여행 경로를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서버(60)는 사용자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상태 파악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제서버(50)와 달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안전지킴 단말기(10)와 스마트폰(20)은 상호간에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지킴 단말기(10)는 저전력 광대역 통신 기술로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하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 서버(5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안전지킴 단말기(10)는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글로벌 유심(Global USIM)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안전지킴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기 용이하도록, 목걸이 형태 또는 손목밴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전지킴 단말기(10)에서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가 전송되는 이유는, 관제서버(50)에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이동경로 및 위험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서, 이에 대해서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안전지킴 단말기(10)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한다.
이에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발생하며, 이를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서버(60)로 전송한다.
안전지킴 단말기(10)는 비상버튼,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자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및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움직임 감지센서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태 측정 센서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위험감지부는 비상버튼의 눌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는 상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좀 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스마트폰(20)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생성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10) 내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안전지킴 단말기(10)에서 자체적으로 구비된 장치, 비상버튼, 움직임 감지센서 및 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이를 처리하는 프로세스(process)에 관한 것이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위험상황이 감지되는 것이 아닌, 스마트폰(20)에 의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2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황 감지 및 처리 프로세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guide)가 소지하는 가이드 스마트폰(3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20)과 가이드 스마트폰(30)은 블루투스로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경로는, 가이드 스마트폰(30)으로부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하였는가를 확인한다.
이탈하였으면,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를 발생하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후,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10)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시스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확장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20,...,20n)이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의 위험상태를 파악하는 도중에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10n)가 스마트폰(20,...,20n)으로 사용자의 위험상태 파악을 요청한 상황에서, 스마트폰(20,...,20n)의 장애로 인하여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10n)과 스마트폰(20,...,20n) 간 통신거리를 벗어나서, 스마트폰(20,...,20n)과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도 스마트폰(20,...,20n)을 통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 상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제서버(50)로 전송되지 않아서,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를 위험상태에서 구조하기 위한 대응이 초기에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는 더욱 위험한 상황에 처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20,...,20n)의 장애로 인하여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10n)과 스마트폰(20,...,20n) 간 통신거리를 벗어나서, 스마트폰(20,...,20n)을 통해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10n)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 상태 파악이 어려운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10n)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곤란 정보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위치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한다.
관제서버(50)는 위치마다 설정된 촬영수단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 촬영수단 리스트는 위치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수단에는 관제서버(50)와 통신이 가능하고 위치 파악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감시카메라(70) 및 카메라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촬영수단에 포함되는 감시카메라(70) 및 휴대용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서 관제서버(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수단에 포함되는 감시카메라(70) 및 휴대용 단말기는 저전력 광대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서 촬영수단에 포함되는 감시카메라(70) 및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수단 리스트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계속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촬영수단들 중 감시카메라(70) 등과 위치가 고정된 경우는 위치 변경이 없어서 촬영수단 리스트에서 변경이 없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관제서버(50)는 안전지킴 단말기로부터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곤란 정보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위치를 수신하면, 위치마다 설정된 촬영수단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을 확인한다.
관제서버(5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로 서로 통신을 통해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에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의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촬영수단으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즉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중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세기가 가장 강한 촬영수단에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둘 이상의 촬영수단에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동시에 요청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촬영수단에 의해서 파악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데이터 보다, 둘 이상의 촬영수단에 의해서 파악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들에 의하는 경우,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상태를 다각도로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으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단말기(10)는 광대역 통신부(11), 위치 파악부(13) 및 위험 감지부(14)를 포함한다.
광대역 통신부(11)는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하여 저전력 광대역(Low Power Wide Area) 통신을 수행한다.
위치 파악부(13)는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파악기술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 등과 같은 실외측위기술, 안전지킴 단말기(10)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실내측위기술 또는 실외측위기술 및 실내측위기술을 혼합한 방식 등이 있다.
이렇게 파악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치는 GPX(GPS Exchange Format)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위치 파악부(13)에서 파악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는 광대역 통신부(11)를 통해서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위험 감지부(14)는 비상버튼(15),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자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16) 및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1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감지부(14)는 비상버튼(15)의 눌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는 상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위험 감지부(14)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광대역 통신부(11)를 통해서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킴 단말기(10)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Bluetooth)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감지부(14)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가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되어 생성된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면, 위험 감지부(14)는 수신한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와 함께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와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광대역 통신부(11)를 통해서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서 이루어진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험상황 파악 및 대처는, 안전지킴 단말기(10)가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상황을 파악하고,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 상태 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안전지킴 단말기(10)가 위험 상태 파악 데이터, 위험상황 정보 등을 관제서버(5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험상황 파악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의해서 이루어진 후, 이렇게 파악된 결과를 안전지킴 단말기(10)가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전송하여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위치 파악부(13)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파악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하였는가를 파악한다. 이때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는 안전지킴(10)의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스마트폰에 저장되거나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단체 여행 그룹에 속한 경우 단체 여행의 가이드가 소지하는 가이드 스마트폰(도 2의 도면부호 30에 해당)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파악되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를 발생한다. 그리고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스마트폰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에 안전지킴 단말기(10) 내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황 파악 등은 안전지킴 단말기(10)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20)이 긴밀하게 협업하여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스마트폰(20)의 장애로 인하여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10)과 스마트폰(20) 간 통신거리를 벗어나서, 스마트폰(20)을 통해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 상태 파악이 어려운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험 감지부(14)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곤란 정보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치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한다.
이에 관제서버(50)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곤란 정보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치를 수신하면, 위치마다 설정된 촬영수단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치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을 확인한다.
관제서버(5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및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서로 통신을 통해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에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의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촬영수단으로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중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세기가 가장 강한 촬영수단에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확인된 둘 이상의 촬영수단에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을 동시에 요청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촬영수단에 의해서 파악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 상태 파악 데이터 보다, 둘 이상의 촬영수단에 의해서 파악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들에 의하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상태를 다각도로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험 감지부(14)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으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20)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소지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20)은 이동통신부(21)와 블루투스 통신부(22)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부(21)는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부(21)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서버(6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22)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통신부(22)는 스마트폰(20)의 사용자가 소지하는(사용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와 블루투스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부(22)는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를 이동통신부(21)를 통해서 데이터서버(6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20)는 저장부(23)와 상태파악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상태파악부(24)는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태 파악 요청 또는 자체적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자체적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태를 파악하는 경우는, 안전지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가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일 수 있다.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태 파악을 위해서, 상태파악부(24)는 녹음부(25)와 촬영부(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녹음부(25)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한다.
촬영부(26)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를 이미지(image) 또는 동영상(moving picture)로 촬영할 수 있다.
상태파악부(24)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태를 녹음부(25) 및 촬영부(26)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한 후, 발생한 녹음 데이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를 발생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체적으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상태파악부(24)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이동경로를 벗어나서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태파악부(24)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태를 녹음부(25) 및 촬영부(26)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한 후, 발생한 녹음 데이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위험상태 파악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상태파악부(24)는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10)의 사용자 위치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안전지킴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안전지킴 단말기
20 : 스마트폰
30 : 가이드 스마트폰
50 : 관제 서버
60 : 데이터 서버
70 : 감시 카메라

Claims (1)

  1. 상호간에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하는 안전지킴 단말기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해당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 및 광대역 통신망에 연결된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는,
    비상버튼,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자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및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험감지부는, 비상버튼의 눌림이 감지된 경우 또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는 상태에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및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폰으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파악 요청에 따라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녹음,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파악하여, 이를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에 포함하여 안전지킴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위험 감지부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정보, 위험상황에 처한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 상태파악 데이터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설정된 이동경로를 저장하며,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이탈하였는가를 확인하여 안전지킴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안전지킴 시스템.
KR1020190081114A 2019-07-05 2019-07-05 안전지킴 시스템 KR10202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14A KR102027738B1 (ko) 2019-07-05 2019-07-05 안전지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14A KR102027738B1 (ko) 2019-07-05 2019-07-05 안전지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675A Division KR101999922B1 (ko) 2018-08-03 2018-08-03 안전지킴 시스템 및 안전지킴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738B1 true KR102027738B1 (ko) 2019-10-01

Family

ID=6820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14A KR102027738B1 (ko) 2019-07-05 2019-07-05 안전지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471A (zh) * 2019-12-16 2020-04-17 山东恒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神经网络技术防范游客接近高风险区域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68124Y1 (ko) * 2013-05-03 2013-07-24 박정국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50061195A (ko) * 2013-11-27 2015-06-04 전성희 모바일 응급 관리 시스템
KR20160070224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아비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70037170A (ko) 2015-09-25 2017-04-04 박정관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쇼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68124Y1 (ko) * 2013-05-03 2013-07-24 박정국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50061195A (ko) * 2013-11-27 2015-06-04 전성희 모바일 응급 관리 시스템
KR20160070224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아비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70037170A (ko) 2015-09-25 2017-04-04 박정관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여행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쇼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471A (zh) * 2019-12-16 2020-04-17 山东恒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神经网络技术防范游客接近高风险区域的方法
CN111028471B (zh) * 2019-12-16 2021-04-06 山东恒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神经网络技术防范游客接近高风险区域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341B1 (en)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689566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2027737B1 (ko) 안전지킴 단말기
KR101318042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9040B1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서버 및 위치 추적 시스템
JP2008142876A (ja) ロボットによる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対象者判別方法と該方法を用いたロボットによる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785315B1 (ko)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동한 신변보호 방법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9978243B2 (en) Wandering notification server and wandering notification system
CN106067045A (zh) 用于在设施中收集信息的方法、设备、无线计算设备
CN112135242A (zh) 基于5g与人脸识别的楼宇访客导航方法
KR102027738B1 (ko) 안전지킴 시스템
EP3065116B1 (en) Digital re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2183904B1 (ko) 실내위치인식기반 보안관리장치 및 방법
KR102027736B1 (ko) 안전지킴 시스템
KR101521111B1 (ko)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6114A (ko) 비콘을 이용한 아동 위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7118A (ko) 스마트폰 기반 방범 및 비상통보 시스템
KR101999922B1 (ko) 안전지킴 시스템 및 안전지킴 단말기
KR20090116538A (ko)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추적을 이용한 비상호출 방법
JP6081502B2 (ja) 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102019863B1 (ko)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307428B1 (ko) 노드/네트워크 집성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KR102587098B1 (ko) 승선원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