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111B1 -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111B1
KR101521111B1 KR1020130112504A KR20130112504A KR101521111B1 KR 101521111 B1 KR101521111 B1 KR 101521111B1 KR 1020130112504 A KR1020130112504 A KR 1020130112504A KR 20130112504 A KR20130112504 A KR 20130112504A KR 101521111 B1 KR101521111 B1 KR 10152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wireless
tracking
location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043A (ko
Inventor
이상호
지영관
최한영
Original Assignee
(주)한국스마트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스마트시티 filed Critical (주)한국스마트시티
Priority to KR102013011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1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을 파악해서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을 통과하는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상기 다수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적하는 위치추적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LOCATIION CHASE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DIO FREQUENCY RECOGNITION AND IMAGE OF CAMERA}
본 발명은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위치추적공간 중 위치추적대상이 착용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단말기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 검지기가 설치된 지역에서 상기 무선 검지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교통정보 서비스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도착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지역상점, 음식점, 숙박업소 등의 정보서비스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응급상황에서 긴급 구조를 위한 개인위치추적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노인 응급상황 보호 요청인 U-119 안심콜과 112 범죄신고에서 휴대폰 위치추적 등이 있다. 또한 아동이나 지체 장애자의 실종 방지를 위해서 상시 GPS 휴대폰 위치추적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추적에는 GPS 신호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망의 중계기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추적기술 중 GPS 신호를 이용하는 기술은 GPS 단말기가 위치추적대상, 예를 들어 사물 또는 강아지 등에 부착된 상태에서 정상 동작할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이러한 GPS 단말기의 경우 대부분 목에 거는 형태이므로 위치추적대상, 예를 들어 정신지체장애인이 무의식적으로 GPS 단말기를 벗으려고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있다. 또한 한번 충전으로 최대 3일 정도 작동하므로 주기적으로 충전해줘야 하기 때문에 상시착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GPS 단말기는 1대당 가격이 10만원 이상의 고가이고 1개월 이용료가 1만원정도인 관계로 대량 보급에도 한계가 있다. GPS 단말기는 GPS 신호를 이용하므로 가시적인 장소에 위치하여야 정상적으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추적에 이용될 수 있는데 실내나 건물 사이, 나무 밑 등에 위치한 경우에 GPS 신호의 세기가 약화 되기 때문에 위치추적대상의 위치 측정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이동통신망의 중계기에 의한 위치추적은 중계기의 설치 밀도에 따라 오차가 수 10m에서 수 Km까지 발생할 수 있어서 정확한 위치추적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위치추적은 공간의 제약이나 위치 오차, 착용의 제약 및 비용의 제약 등이 있기 때문에 완전한 위치추적 방법으로 한계를 가진다.
GPS 단말기의 실내 측위 불가능과 통신료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 단말기와 무선 검지기에 의한 위치추적방법이 있다. 위치추적대상의 정보를 발생시키는 무선통신단말기와 상기 정보를 인식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위치추적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검지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방식이다. 이때 무선 단말기는 RFID 태그를 구비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위치추적대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검지기는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위치추적대상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위치추적 대상 공간 전역, 예를 들어 도시 전역에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위치추적대상의 위치추적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928호(등록일 : 2011년 01월 14일)가 있다.
위치추적공간 중 위치추적대상이 착용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단말기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 검지기가 설치된 지역에서 상기 무선 검지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추적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을 파악해서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을 통과하는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상기 다수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적하는 위치추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추적 장치는,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위치정보 저장부;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하는 이동수단 추정부;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상기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이동경로 추정부;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차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위치 추정부에서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을 보호 및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와,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와,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위치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구비한 위치추적장치를 포함한 무선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시스템에서 위치추적장치가 수행하는 위치추적방법으로,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상기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추적방법은, 상기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위치추적공간 중 위치추적대상이 착용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단말기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 검지기가 설치된 지역에서 상기 무선 검지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상기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CCTV 카메라를 추가적인 위치추적수단으로 활용하므로 위치추적공간을 확대할 수 있어서 위치추적서비스를 이용한 실종자 긴급구조를 통해 도시안전망을 강화할 수 있게 되며 대규모 단지에서 관리하는 이동자산의 효율적인 유실방지체계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추적가능 공간 확대를 위해 도시 전역에 설치된 기존의 CCTV 카메라를 위치추적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검지기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정보통신망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추적수단으로 저가의 무선 단말기와 공공 정보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GPS 단말기와 같은 고가의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통신료와 같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므로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정신지체장애인이나 치매노인 등 많은 수의 복지대상자에게 보급 가능하게 된다.
또한 GPS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만으로 위치 추적할 경우에 GPS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위치추적이 잘못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CTV 카메라를 함께 적용하여 직접 위치추적대상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추적대상의 위치추적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전역에 가장 많이 설치된 공공 정보단말기의 CCTV 카메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공공 인프라의 활용도를 높여 자원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추적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ㄴ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공간, 예를 들어 도시, 공원, 병원, 유치원, 학교 등 중 위치추적대상, 예를 들어 어린이, 장애인, 치매노인, 강아지 등이 착용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단말기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 검지기가 설치된 지역의 경우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시스템은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는 무선 단말기(3),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4, 5, 6,...), 위치추적장치(10), 보호자 단말기(20) 및 관리기관의 서버(30)를 포함하며, 각각은 모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무선 단말기(3)는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한다. 이때 무선단말기의 정보는 위치추적대상의 이름, 전화번호,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전화번호 또는 위치추적대상을 보호 및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전화번호 또는 관리기관의 서버주소, 무선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 단말기(3)는 RFID 태그를 구비하여 RFID 태그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RFID 태그가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기능을 통해서, 상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는 각각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는 무선 단말기(3)가 RFID 태그를 구비한 경우 RFID 태그에서 무선신호로 발생하는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CCTV 카메라(4, 5, 6,...)는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위치추적장치(10)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을 파악해서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을 통과하는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다수의 CCTV 카메라(4, 5, 6,...)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적한다.
이때 상기 위치추적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저장부(11), 이동수단 추정부(12), 이동경로 추정부(13), 이미지 저장부(14), 위치 추정부(15) 및 전송부(16)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저장부(11)는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의 위치정보 및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저장부(11)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에서 차도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4, 5,...)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인도에 설치된 CCTV 카메라(6,...)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는 이동경로가 차도 및 인도에 대한 경우만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동수단 추정부(12)는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3)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3)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한다.
이때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V)는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무선 검지기들 사이의 거리(S)를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무선 검지기들이 무선 단말기가 발생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차이 값(T)으로 승산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가 추정되면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하는데 이용한 이동수단을 추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가 3Km/h 내지 6Km/h인 경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은 도보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가 6Km/h 내지 50Km/h인 경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은 자전거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가 1Km/h~150Km/h인 경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은 차량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예로 든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의 수치 및 이동수단(도보, 자전거, 차량)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의 설계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에 대한 정보는 이동수단 추정부(12)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경로 추정부(13)는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이동수단 추정부(12)에서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수단 추정부(12)에서 추정된 이동수단이 "차량"인 경우 위치추적대상은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에 설치된 이동경로들 중 "차도"를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하는데 이용한 이동경로로 추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미지 저장부(14)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이미지 정보는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위치 추정부(15)는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한다.
실시예로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가 도 1에서 차도인 경우 위치 추정부(15)는 차도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4, 5,...)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도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4, 5,..) 중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 예를 들어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가 CCTV 카메라(4)라면 위치 추정부(15)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1, 2,...)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B)에서 위치추적대상이 차도에서 설치된 CCTV 카메라(4)를 지나쳐 이동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송부(16)는 위치 추정부(15)에서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위치추적대상을 보호 및 관리하는 관리기관, 예를 들어 경찰서, 종합병원, 소방서, 종합병원 등의 서버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의 블럭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인식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인식방법은,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와,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와,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위치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구비한 위치추적장치를 포함한 무선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시스템에서 위치추적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한다(S1).
이때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무선 검지기들 사이의 거리(S)를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무선 검지기들이 무선 단말기가 발생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차이 값(T)으로 승산함으로써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V)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차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상기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한다(S2).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한다(S3).
이때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가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인 경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위치추적장치 11 : 위치정보 저장부
12 : 이동수단 추정부 13 : 이동경로 추정부
14 : 이미지 저장부 15 : 위치 추정부
15 : 전송부

Claims (9)

  1.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수단을 파악해서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을 통과하는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상기 다수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적하는 위치추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 장치는,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위치정보 저장부;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하는 이동수단 추정부;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상기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이동경로 추정부;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차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상기 위치 추정부에서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을 보호 및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6. 위치추적대상에 착용되며 무선신호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발생하는 무선단말기와,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되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 검지기와, 상기 위치추적공간 중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추적대상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다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위치추적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다수의 이동경로마다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위치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구비한 위치추적장치를 포함한 무선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시스템에서 위치추적장치가 수행하는 위치추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무선단말기의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한 시간 및 해당 무선 검지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이동수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이동경로 중 상기 추정된 이동수단의 종류로 위치추적대상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들 중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의 위치를 상기 위치추적대상이 이동한 위치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차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방법은,
    상기 추정된 위치추적대상의 위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위치추적대상의 얼굴 특징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방법.
KR1020130112504A 2013-09-23 2013-09-23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52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04A KR101521111B1 (ko) 2013-09-23 2013-09-23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04A KR101521111B1 (ko) 2013-09-23 2013-09-23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43A KR20150033043A (ko) 2015-04-01
KR101521111B1 true KR101521111B1 (ko) 2015-05-19

Family

ID=5303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04A KR101521111B1 (ko) 2013-09-23 2013-09-23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84B1 (ko) * 2019-11-07 2020-04-03 주식회사 휴머놀러지 영상의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0847B1 (ko) 2020-02-24 2023-07-28 김현수 영상기반 얼굴 인식, 건강 체크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625507B1 (ko) * 2021-02-24 2024-01-19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위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509981B1 (ko) 2021-08-02 2023-03-14 주식회사 휴머놀러지 가상 세계를 이용한 비디오 핑거프린팅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14A (ko) * 2004-01-31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위치추적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060342A (ko) * 2009-11-30 2011-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8386B1 (ko) * 2010-04-08 2012-10-05 김문식 씨씨티브이 연동 무선 에이피 시스템망을 이용한 지피에스 위치추적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14A (ko) * 2004-01-31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위치추적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060342A (ko) * 2009-11-30 2011-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8386B1 (ko) * 2010-04-08 2012-10-05 김문식 씨씨티브이 연동 무선 에이피 시스템망을 이용한 지피에스 위치추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43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9193A1 (en) Advanced parking and intersection management system
US10824863B2 (en) Systems for searching for persons using autonomous vehicles
US20120249798A1 (en) Rtls tag device and real time location system
AU2014239914B2 (en) Advanced parking and intersection management system
CN107792261A (zh) 一种带有探测识别设备的车辆及智能识别停放环境的管理系统
KR101015616B1 (ko)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84679B1 (ko)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3595341B1 (en)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89040B1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서버 및 위치 추적 시스템
US20140218527A1 (en) Advanced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9690655A (zh) 与便携式设备的位置的确定相关的方法和装置
CN114466305A (zh) 救援系统、救援方法及其所使用的服务器
KR101521111B1 (ko) 무선 인식 및 카메라 영상 기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580416B1 (ko) 도난차량 추적 시스템
KR20170015720A (ko) 무인 스마트카를 이용한 공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23147B1 (ko) 비콘 기반 안심 동행 서비스 시스템
JP6804501B6 (ja) 移動している物体に関連付けられた通信デバイスへメッセージを送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ラットフォーム
JP6632071B2 (ja) 移動軌跡に応じて地図上の経路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1001579B1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en et al. VIPS: A video-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with centimeter-grade accuracy for the IoT
KR101982165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시스템
KR101700933B1 (ko)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영상표기 시스템
JP201920761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00009123A (ko) 복수의 차량 및 차량 승차자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823072A (zh) 人物追踪支援装置及人物追踪支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