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837B1 - 치아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837B1
KR101280837B1 KR1020100131092A KR20100131092A KR101280837B1 KR 101280837 B1 KR101280837 B1 KR 101280837B1 KR 1020100131092 A KR1020100131092 A KR 1020100131092A KR 20100131092 A KR20100131092 A KR 20100131092A KR 101280837 B1 KR101280837 B1 KR 10128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oth
camera
dent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794A (ko
Inventor
홍진표
박정욱
김재필
김기훈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3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8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에 의한 치아 검사 또는 자가 치아 검사를 통해 치아 상태를 외부 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LED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치아 모니터링 장치로서,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최적의 밝기에 따라 광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카메라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출력하는 치아 검사부; 및 상기 치아 검사부로부터 출력되는 치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가 치아 검사시 치아의 상태를 검사자가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아 모니터링 장치 {TOOTH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치아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 치아 검사를 통해 치아 상태를 외부 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LED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입 안을 들여다보며 환자의 구강상태 및 충치 등을 확인하며 환자의 치아 치료를 수행하고, 이때 치아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환자가 입을 편안하게 벌린 상태에서 입 안 구석구석까지 세밀히 검사하기 위하여 치과용 치경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치과용 치경(1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치경(10)은 손잡이를 겸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선단에 약 45도로 경사져 위치하는 반사경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의 선단에는 상기 반사경부(12)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는 브라켓(13)이 상기 본체부(11)에 대해 약 45도 정도로 경사져 본체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3)의 안쪽에 반사경이 끼워져 위치한다.
여기에서 본체부(11)와 브라켓(13)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과용 치경(10)을 사용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치과의사는 상기 치과용 치경(10)의 본체부(11)를 잡은 상태에서 반사경부(12)를 환자의 입에 넣고, 상기 반사경부(15)를 통해 입 안을 살피며, 파지하고 있던 본체부(11)의 각도를 틀어가며 입 안 구석구석까지 검사한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치경(10)은 치과의사 또는 제 3 자에 의한 사용을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환자 등이 스스로 자가 진단을 할 경우 치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사람들이 욕실 등에 설치된 벽면 거울을 이용하여 치아 상태를 자가 진단할 경우 벽면 거울의 특성상 치아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가 치아 검사를 통해 치아 상태를 외부 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LED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 모니터링 장치로서,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최적의 밝기에 따라 광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카메라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출력하는 치아 검사부; 및 상기 치아 검사부로부터 출력되는 치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아 검사부는 일측에 반사경이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용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스위치 입력부;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의 치아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 조명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및 LED 조명부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모니터링부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 및 상기 카메라, LED 조명부, 제어부, 데이터 송수신부 및 동작 표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은 상기 카메라 및 다수의 LED 조명부가 설치된 영역에 투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메라는 일측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시리얼(serial), PS2, USB,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및 NFC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치아 검사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미리 설정된 치아 이미지 정보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치아 검사부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치아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치아 이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따라 상기 치아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3차원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2차원 이미지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링부는 PC 및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상기 치아 검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치아 검사부에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도록 충전 회로를 구비한 크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가 치아 검사시 치아의 상태를 검사자가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상관없이 자가 치아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의사에게 전송하여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치과용 치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치아 검사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치아 검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와 크래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치아 검사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치아 검사부 구성은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2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와 크래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는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최적의 밝기에 따라 광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카메라(150)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와 상기 카메라(15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출력하는 치아 검사부(100)와,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치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치아 검사부(100)는 본체부(110)와 반사경부(120)와 스위치 입력부(130)와 커넥터부(140)와 카메라(150)와 치아 검사 제어부(160)와 LED 조명부(170)와 데이터 송수신부(180)와 동작 표시부(190)와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 형상 부재로서, 일측에는 반사경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에는 스위치 입력부(130)가 설치되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커넥터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경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약 45도 정도로 경사져서 설치되고, 거울면(121)과 투명창(122)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경부(120)의 거울면(121) 하부에는 카메라(150)와 다수의 LED를 구비한 LED 조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울면(121)은 종래의 치과용 치경과 동일하게 거울면(121)의 반사에 의한 치과의사 또는 타인의 치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명창(122)은 상기 거울면(121)에 일부 영역에 반사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150)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LED 조명부(170)의 광원이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치아 검사부(100)의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로 제공하며, 키패드 또는 마이크로 돔 스위치 등의 버튼형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140)는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모니터링부(300) 또는 외부 전원 공급장치 등과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치아 검사부(100)에 데이터 송수신 또는 전원 공급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150)는 상기 반사경부(120)의 거울면(121)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창(122)을 통해 구강 내부의 치아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한 치아의 2차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50)는 CMOS 타입 이미지 센서, CCD 타입 이미지 센서 또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모든 타입의 이미지 센서 중 어떤 타입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150)의 일측에는 자이로 센서(gyrosensor, 151)와 같은 관성 센서가 설치되어 공중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는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로부터 치아 검사부(100)의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150) 및 LED 조명부(17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치아의 2차원 이미지 정보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15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부(3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로부터 상기 LED 조명부(170)의 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조명부(170)의 LED가 미리 설정된 밝기로 출력되도록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를 통해 밝기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밝기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7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치아 이미지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LED 조명부(170)는 상기 반사경부(120)의 거울면(121) 하부에 다수의 LED가 설치되고, 상기 투명창(122)을 통해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 밝기의 광원이 구강 내부에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80)는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와 모니터링부(300)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3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80)는 시리얼(serial) 방식, PS2 방식, USB와 같은 유선 데이터 통신과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반경 10∼100m안에서 각종 전자·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고, 2.45㎓ 주파수를 이용해 일정 범위 안에서 각종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상기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으로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NFC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 표시부(19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치아 검사 제어부(16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LED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00)는 치아 검사부(100)에 설치되어, 카메라(150), 치아 검사 제어부(160), LED 조명부(170), 데이터 송수신부(180), 동작 표시부(19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차 전지로 이루어지고, 치아 검사부(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부(140)를 통해 접속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송수신부(310)와 모니터링 제어부(320)와 화면 표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치아 검사부(100)가 제공하는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320)로 출력하며, 시리얼(serial) 방식, PS2 방식, USB와 같은 유선 데이터 통신과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치아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해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32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공지의 3차원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와 상기 자이로 센서(151)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이미지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320)는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메모리(미도시)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화면 표시부(330)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320)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따라 상기 치아 이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00) PC 이지만 이동통신 단말기(300')로서, 스마트폰 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에 치아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이 설치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연결한 후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치아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의 화면 표시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치아 검사부(100)로부터 제공된 치아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치과의사 등의 PC 또는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치아 검사부(100)의 전원 공급부(200)로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크래들(400, Cradl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400)은 크래들 본체부(410)와, 케이블(420)과, 충전/동작 표시등(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 본체부(410)는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치아 검사부(100)의 전원 공급부(200)에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되도록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된 충전용 전원은 상기 치아 검사부(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부(140)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200)에 공급된다.
상기 케이블(420)은 상기 크래들 본체부(410)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이 상기 크래들(4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동작 표시등(430)은 상기 크래들 본체부(410)의 외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본체부(410)에 치아 검사부(100)가 삽입되어 충전 동작의 수행 여부 표시와 충전의 완료 여부가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위치 입력부(130)를 통해 치아 검사부(100)의 전원을 공급한 후 모니터링부(300)에 설치된 치아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실행시킨다.
상기 모니터링부(30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치아 검사부(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치아 검사부(100)와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 검사부(100)와 모니터링부(300) 사이에 통신 접속이 유지된 후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를 통해 카메라(150)의 촬영 신호와 LED 조명부(170)의 밝기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치아 검사부(100)는 설정된 밝기 정보에 따라 상기 LED 조명부(170)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카메라(150)의 촬영이 시작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 검사부(100)는 상기 LED 조명부(170)의 밝기 설정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라 밝기 정보가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 검사부(100)는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80)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300)로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제공된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 표시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3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가 화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미리 설치된 공지의 3차원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와 상기 자이로 센서(151)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3차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자가 진단을 통한 치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00 : 치아 검사부 110 : 본체부
120 : 반사경부 121 : 거울면
122 : 투명창 130 : 스위치 입력부
140 : 커넥터부 150 : 카메라
151 : 자이로 센서 160 : 치아 검사 제어부
170 : LED 조명부 180 : 데이터 송수신
190 : 동작 표시부 200 : 전원 공급부
300, 300' : 모니터링부 310 : 데이터 송수신부
320 : 모니터링 제어부 330 : 화면 표시부
400 : 크래들 410 : 크래들 본체부
420 :케이블 430 : 충전/동작 표시등

Claims (9)

  1. 치아 모니터링 장치로서,
    일측에 반사경이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용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스위치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의 치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 조명부와, 상기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및 LED 조명부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치아의 이미지 정보를 모니터링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모니터링부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 LED 조명부, 제어부, 데이터 송수신부 및 동작 표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가 검출한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2차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치아 검사부; 및
    상기 치아 검사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치아 이미지 정보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치아 검사부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치아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치아 이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제어부와,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따라 상기 치아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를 구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치아 검사부가 출력하는 카메라의 2차원 이미지 정보와 자이로 센서가 검출한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3차원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3차원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반사경은 상기 카메라 및 다수의 LED 조명부가 설치된 영역에 투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시리얼(serial), PS2, USB,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및 NFC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PC 및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
  9. 제 1 항, 제 3 항, 제 5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치아 검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치아 검사부에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도록 충전 회로를 구비한 크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
KR1020100131092A 2010-12-21 2010-12-21 치아 모니터링 장치 KR10128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92A KR101280837B1 (ko) 2010-12-21 2010-12-21 치아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92A KR101280837B1 (ko) 2010-12-21 2010-12-21 치아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794A KR20120069794A (ko) 2012-06-29
KR101280837B1 true KR101280837B1 (ko) 2013-07-02

Family

ID=4668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092A KR101280837B1 (ko) 2010-12-21 2010-12-21 치아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319A1 (en) * 2019-12-04 2021-06-10 University Of Washington Nasopharyngeal Mirr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334A (ko) *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이도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KR101499649B1 (ko) * 2013-08-20 2015-03-06 조현재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KR101641768B1 (ko) * 2014-06-03 2016-07-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자가진단 안내장치
KR102492183B1 (ko) * 2016-01-19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039B1 (ko) 2016-04-12 2017-10-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KR102001852B1 (ko) 2017-06-23 2019-10-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모니터링 치경
KR102147974B1 (ko) * 2018-06-14 2020-08-2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과 의료용 무압축 영상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CN113940779A (zh) * 2020-07-16 2022-01-18 沈阳维客科技发展有限公司 家庭用牙科检测仪
KR102591975B1 (ko) * 2020-12-04 2023-10-23 주식회사 메디트 치과 치료를 위한 스캐너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13180580A (zh) * 2021-04-25 2021-07-30 西安医学院 一种用于口腔及喉镜内科检测的装置及照明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237A (ja)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歯観察装置
JP2004237081A (ja) 2003-01-14 2004-08-26 Morita Mfg Co Ltd 診断用撮影器
US20050026104A1 (en) 2003-07-28 2005-02-03 Atsushi Takahashi Dental mirror, and an intraoral camera system using the same
KR20100087629A (ko) * 2009-01-28 2010-08-05 파나소닉 주식회사 구강 내 측정 장치 및 구강 내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237A (ja)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歯観察装置
JP2004237081A (ja) 2003-01-14 2004-08-26 Morita Mfg Co Ltd 診断用撮影器
US20050026104A1 (en) 2003-07-28 2005-02-03 Atsushi Takahashi Dental mirror, and an intraoral camera system using the same
KR20100087629A (ko) * 2009-01-28 2010-08-05 파나소닉 주식회사 구강 내 측정 장치 및 구강 내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319A1 (en) * 2019-12-04 2021-06-10 University Of Washington Nasopharyngeal Mirr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794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837B1 (ko) 치아 모니터링 장치
US10206568B2 (en) Head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eye movement
US20050174434A1 (en) Camera lens interface device
US8724855B2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KR102531976B1 (ko)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509269A5 (ko)
CN103491853B (zh) 摄像系统
CN106462183B (zh) 电子设备及由电子设备执行的方法
KR20160070224A (ko)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CN109788885A (zh) 光学相干层析成像系统
KR20150113647A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WO2003074982A1 (en) Infrared camera with slave monitor
US6404984B1 (en) Lighted camera for dental examina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845536A1 (en) Infant monitoring apparatus
KR101909486B1 (ko)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US1002084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 FHSS signals
TWI514307B (zh) 放大鏡裝置、資訊傳輸中繼裝置與遠端照護系統
KR20150059480A (ko) 분리형 온도측정장치 및 비정상 온도 알람 방법
KR101967780B1 (ko) 구강 스캐너용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20130040349A (ko)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CN202948200U (zh) 具无线传输功能的内视镜装置
KR101788818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CN104812310A (zh) 图像检测器与便携控制装置之间的近场通信
KR102272055B1 (ko)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09449A (ko)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용 무선 엑스레이 디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