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183B1 -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183B1
KR102492183B1 KR1020160006672A KR20160006672A KR102492183B1 KR 102492183 B1 KR102492183 B1 KR 102492183B1 KR 1020160006672 A KR1020160006672 A KR 1020160006672A KR 20160006672 A KR20160006672 A KR 20160006672A KR 102492183 B1 KR102492183 B1 KR 10249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ser
image
are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974A (ko
Inventor
김도영
박희진
안준현
정선태
조재걸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83B1/ko
Priority to US16/071,174 priority patent/US20210161365A1/en
Priority to PCT/KR2016/015442 priority patent/WO2017126817A1/ko
Publication of KR2017008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extracting biological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6Optical arrangements with imag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fluoresc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electron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치아의 상태 및 진단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가지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범위의 광을 사용자의 신체에 출력하고 반사되는 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사용자신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으로 개인용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원격 치아 진단 서버를 이용하여 전문가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전문가는 수신된 촬상된 이미지를 보고 치아에 대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의료정보를 개인용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원격 치아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 치아 진단 서버(1)는, 촬영된 치아의 영상(영상 A)을 개인용 단말기(2)로부터 수신하여 치아 전문가용 단말기(3)에 전송하고, 치아 전문가용 단말기(3)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용 단말기(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개인용 단말기(2) 사용자는 치아의 이미지를 촬상 후, 촬상된 이미지를 치아 전문가용 단말기(3)로 전달되도록 원격 치아 진단 서버(1)로 전송하고 원격 치아 진단 서버(1)는 전문가용 단말기(3)로 촬상된 이미지를 전송한다. 전문가용 단말기(3)의 사용자이며 치아 전문가인 치과의사는 촬상된 이미지를 육안 판독하여 개인용 단말기(2)의 사용자 치아의 상태 및 진단정보를 작성하여 개인용 단말기(2)로 전달되도록 원격 치아 진단 서버(1)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개인용 단말기(2)의 사용자는 자신의 치아에 대한 상태 및 진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치아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치아 전문가인 치과의사의 판독을 받기 위해 자신의 치아 이미지를 촬상하여 전송하고 소정 시간이 지나야 자신의 치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다음 조치에 대한 결정을 하기에 부족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0533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61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47910호 및 국제공개공보 WO2015/016377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기 화면에서 특정범위의 광을 사용자의 신체에 출력하고 반사되는 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하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신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가지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를 감지 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광에 의한 반사광 중 상기 제2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광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제1광이 출력되면 상기 광필터의 상기 동작이 개시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상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상기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치태, 우식,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가 생성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광을 출력하기 위한 RGB 필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는 청색 계열의 상기 제1광이 사용자의 구강 미생물 분비물에 출력된 후 반사되어 수신되는 녹색 및 적색계열의 형광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에 의해 달성된다.여기서, 상기 제1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광 중 상기 제2 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광필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광이 출력되면 상기 광필터의 상기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상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상기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태, 우식,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는 청색 계열의 상기 제1광이 사용자의 구강 미생물 분비물에 출력된 후 반사되어 수신되는 녹색 및 적색계열의 형광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강관리장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구강에 대하여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광출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와;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관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와 상기 제1광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강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와;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와 상기 제1광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치아의 상태, 진단정보, 교육정보, 코칭정보, 목표가이드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원격 치아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간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치아를 촬상하고 치아에 관한 분석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치태와 우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청색광을 출력할 수 있는 화면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촬상된 이미지에서 그리드 영역설정을 통해 색상 및 면적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촬상된 이미지에서 상태정보 및 진단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형광 소실량을 측정하여 치태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어흐름으로 인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제2광의 면적을 측정하여 우식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제어흐름으로 인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제2영역에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와 사용자단말기 에서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에 대한 측정을 이용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에서 사용자의 구강 체온 레벨을 측정하여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표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에서 사용자의 구취 레벨을 측정하여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표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단말기와 구강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에 대한 측정하고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의 광출력부, 촬상부 및 감지부가 장착위치 및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구강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에 대한 측정하고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9는 측정결과에 대해 양치 전(a)과 양치 후(b)를 비교하는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구강 교육 및 코칭을 해주는 예시도이고,
도 30은 구강 측정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서버에 측정 결과를 전송하고 도 29와 같은 서비스를 서버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확장 예시도이며,
도 31 a와 31b는 도 29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서버를 이용하여 치아의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치아를 촬상하고 치아에 관한 분석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분할하여 도시할 수 있다. 제1영역의 화면은 사용자의 구강으로 400~450nm 정도의 청색광인 제1광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의 화면은 제1영역에서 출력된 제1광이 사용자의 구강부분에 반사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부(120)에 의해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분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영역에는 구강의 이미지 즉, 사용자의 구강에 프라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구강으로 청색광을 비출 수 있도록 제1영역에서 청색화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구강을 촬상하면 촬상된 이미지에는 청색광이 사용자의 구강에 반사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가 포함되게 되므로 촬상된 이미지에서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구강의 상태가 어떤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촬상된 이미지에서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구강에 치아세균이 많은 경우 치아세균의 분비물이 많게 되어 제1광인 청색광이 비춰지면 치아세균의 분비물은 반사될 때 적색의 형광색을 띠므로 이의 정도를 분석하여 치아세균이 얼마나 많은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치아를 촬상하고 치아에 관한 분석을 하여 제2영역을 통하여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단말기(10)의 제1영역에서 제1광을 촬상하고, 촬상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외부장치에서 분석을 하여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면 사용자단말기(10)의 제2영역에서 수신된 분석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10), 촬상부(12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 영상처리부(도4 참조, 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처리부(도4 참조, 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 및 색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가지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촬상부(120)는 카메라로 구현되어 외부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에서 출력된 청색광인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인 제2광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제1광이 출력되면 촬상부(120)는 전면의 사용자의 신체를 촬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촬상부(120)를 제어하며, 촬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화면의 제2영역에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촬상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의 구성으로 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저장부(150), UI생성부(160), 전원공급부(170), 광필터(180), 감지부(19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광을 출력하기 위한 RGB 필터(112)를 갖는다. 제어부(100)로부터 제1광을 출력하도록 명령이 전달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RGB 필터(112)로 전원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에서 특정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 즉, 청색광인 제1광만 출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서 광원이 출력되면 디스플레이부(110) 외부로는 청색광만이 출력되게 된다.
통신부(13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40) 또는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사용자단말기(1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단말기(10)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13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소스영상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여 소스 영상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미도시) 및 디코딩된 소스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사용자단말기(1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0)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단말기(10)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생산자에 의해 펌웨어로써 사용자단말기(10)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최초 생산 시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의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으로써 웹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접속하여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기(10)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UI생성부(160)는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UI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UI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특정 서브UI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UI에 대응하여 응용프로그램이 동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브UI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또는 이벤트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UI생성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UI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적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100)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UI생성부(160)가 별도의 칩셋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내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7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일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차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구성이 구동을 하고 구동을 멈추게 된다.
광필터(180)는 사용자단말기(10) 내부에 외부로부터 촬상부(120)로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광필터(180)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반사광 중 제2광은 통과시키고 제2 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광필터(18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외부에 촬상부(120)를 커버하도록 부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광필터(180)는 필름형태로 마련되어 촬상부(120)로의 광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강상태를 파악하려는 경우마다 촬상부(120)에 부착되어 제2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감지부(190)은 사용자의 체온을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92)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구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취의 가스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가스감지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92)는 사용자의 구강에 광을 출력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으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광학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도감지부(192)는 양치질을 하거나 양치질을 한 후 등의 경우에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구강 내 세균들의 휘발성 황화합물 활성은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구강상태가 좋은 사용자가 양치질을 할 때 온도가 높을수록 구취감소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치아 온도를 광학 측정하여 구강 세균 활동에 영향을 주는 온도가 될 때 양치질에 대한 코칭 즉,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보다 효과가 있다. 가스감지부(194)는 구강의 세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날숨에서 가스(구취)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구강에서 구취가 소정 정도 이상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후 발생되는 구취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치아의 우식 및 치태 등의 원인으로 구취가 발생하는 것인지는 광측정에 의한 분석정보를 조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부(190)로부터 감지된 상기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제1광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2 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에서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구강에 치아세균이 많은 경우 치아세균의 분비물이 많게 되어 제1광인 청색광이 비춰지면 치아세균의 분비물은 반사될 때 적색계열의 형광색이므로 이의 정도 즉,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치아세균이 얼마나 많은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조도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조도 즉, 제2광이 촬상부(120)로 입사되는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제1영역이 증가 또는 감소되고 제2영역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어부(100)는 색상에 대하여 연분홍색 영역일 경우 치태(dental plaque)의 형성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분홍색 영역은 치아세균이 하나도 없을 경우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 색인 흰녹색보다 적색광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50%정도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이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형광소실량의 경우 0% ~ 5%, 5% ~ 20%, 20%이상의 범위를 설정하여 분석된 형광소실량의 값이 0% ~ 5%, 5% ~ 20%, 20%이상인 경우 치태(dental plaque)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진단 및 치아관리정보를 범위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 중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광필터(180)가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촬상된 이미지 중 520nm정도의 제2광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촬상된 이미지의 어느 영역에 어느 정도 분포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1광에 의한 반사광은 사용자의 구강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제2광이 수신되는데 제2광은 520nm로 그 세기에 따라 짙고 옅은 적색계열의 형광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적색계열의 형광색을 촬상된 이미지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구강의 이미지에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광이 출력되면 전원공급에 의해서 동작하는 광필터(18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가 기설정된 이미지 크기 또는 이전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와 비교하고 그 크기의 정도와 휘도를 파악하여 제1광을 출력하는 제1영역의 크기와 휘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제2광이 촬상부(120)로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제1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단말기(10)를 사용자가 평소보다 많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여 보다 높이 들어서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아래측에 형성되는 제1영역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고 그 위치가 아래에 있게 되며 사용자단말기(10)를 사용자가 평소보다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여 보다 낮게 들어서 사용할 경우 제1영역은 그 크기가 증가되어 제2영역의 크기는 제어부(100)에 의해 감소될 수도 있다.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더 이상 줄어들지 않고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크기의 임계값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제1영역에서 출력되는 제1광의 휘도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충분한 크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예들은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사용자의 치태(dental plaque), 우식(dental caries),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가 생성되도록 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분석정보는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를 촬상된 이미지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으며 표의 UI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구강상태정보는 치태(dental plaque)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구강관리정보는 양치질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치료에 대한 관리정보일 수도 있다. 안내정보는 구강상태정보와 구강관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원에 대한 정보 또는 치아관련 약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구강 교육 및 코칭 정보는 구강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양치 방법 또는 치아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구강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치아 중 치태 및 구취 제거가 필요한 양치질 구간이나 치실 사용 등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정보이다. 이러한 교육 및 코칭은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목표 설정 도전 및 달성 가이드 정보는 치태정도나 구취정도에 따라 목표가 설정가이드가 제공되고 이를 이용하여 양치질이나 치실 사용들을 통해 치태나 구취가 제거 후 다시 촬상과정을 통해 치태나 구취가 제거되는 정도에 따라 달성 여부에 대한 가이드가 점수화 되어 제공된다. 치태나 구취가 제거 되기 전 측정 결과와 양치나 치실 사용 후 측정 결과가 비교되어 제거가 많이 될수록 가이드 점수가 높이 책정된다.
상기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는 상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관련정보이면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는 알람이나 진동효과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을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출력한다(S11).
촬상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S12).
촬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화면의 제2영역에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표시한다(S13).
상기 S11단계에서의 제1광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선택하여 실행한다(S21).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치태(dental plaque), 우식(dental caries),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생성하도록 UI생성부(160)를 제어한다(S22).
사용자는 생성된 치태측정모드 UI 및 우식측정모드 UI 중 하나를 선택한다(S23).
제어부(1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S24).
촬상부(120)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S25).
전원공급부(170)은 제1광이 출력되면 반사광 중 제2광은 통과시키고 제2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광필터(180)로 전원을 공급한다(S26).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한다(S27).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의사의 의견을 참조하여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한다(S28).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S29). 제어부(100)는 결정된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화면의 제2영역에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S30). 이를 테면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에 구취, 우식(dental caries) 또는 치태(dental plaque)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색상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여 알릴 수도 있으며, 우식, 치태, 구취의 정도에 따라 진동이나 알람을 이용하여 알릴 수도 있고, 이미지에 색상을 표시하면서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광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제어흐름에 추가하여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 되면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가스 레벨 즉, 구취 정도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온도 레벨 및 구취레벨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선택하여 실행한다(S31).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치태(dental plaque), 우식(dental caries),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생성하도록 UI생성부(160)를 제어한다(S32).
사용자는 생성된 치태측정모드 UI 및 우식측정모드 UI 중 하나를 선택한다(S33).
제어부(1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S34).
촬상부(120)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S35).
제어부(100)는 수신된 반사광 중 제2광을 추출한다(S36). 제2광의 파장범위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반사광 중 제2광이 이미지 중 어느 영역에 어느 정도 분포하는 지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한다(S37).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의사의 의견을 참조하여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한다(S38).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S39). 제어부(100)는 결정된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화면의 제2영역에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S40). 이를 테면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에 구취, 우식(dental caries) 또는 치태(dental plaque)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색상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여 알릴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색상을 표시하면서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광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제어흐름에 추가하여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 되면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가스 레벨 즉, 구취 정도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온도 레벨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치태(dental plaque)와 우식(dental caries)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UI를 선택하면 치태측정모드와 우식측정모드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치태측정모드와 우식측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외의 측정모드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바로 우식측정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10)의 상측에는 촬상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촬상부(120)의 우측에는 촬상부의 렌즈를 커버할 수 있도록 광필터(18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광필터(180)는 촬상부(120)를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광필터(180)는 부착형으로 마련되어 촬상부(120)의 렌즈부분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청색광을 출력할 수 있는 화면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러 종류의 사용자단말기(10)에서 400~450nm정도 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청색광을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영역의 파장 광에 대해서도 출력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단말기(10)에서 제1광을 출력한 후 수신된 제2광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정보를 함께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것을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구강을 촬상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제1광을 구강에 출력하여 반사된 광 중 치아세균의 분비물에 의해 적색계열의 형광인 제2광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적색계열의 형광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치태(dental plaque)임을 알려주고 있다. 적색계열의 형광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그 정도 즉,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에 대한 정도에 따라 우식(dental caries)의 정도, 치태(dental plaque)의 정도, 프라그의 적층 정도, 구취 정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촬상된 이미지에서 그리드 영역설정을 통해 색상 및 면적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서는 도 10에서의 적색계열의 형광으로 표시되는 부분(a)에 대하여 그리드 영역설정(b)을 통해 색상 및 면적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흰색/붉은색을 검출하고, 흰색/붉은색의 그리드(A) 개수 비율을 계산하여 충치/치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드(A)가 조밀할수록 사용자의 치아(C) 중 충치/치태(dental plaque)(B) 측정에 대하여 정확도 높아지게 된다. 그리드 하나를 충치/치태를 판단하는 셀이라 기준하고 그리드 색깔이 붉은색인지 흰녹색인지 흰색인지를 구분하여 붉은색이면 충치/치태를 판정하고 흰녹색 또는 흰색이면 정상판정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촬상된 이미지에서 치아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정보 및 진단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단말기(10)의 제1영역에서 청색광을 사용자의 구강으로 출력하면 사용자가 우식(dental caries)이나 치태(dental plaque)와 같은 것이 없는 정상치아일 경우는 촬상부(120)에서 촬상된 이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치아 형광색(흰녹색)으로 적색형광은 0%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치아에 우식(dental caries)이나 치태(dental plaque)와 같은 것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적색형광이 50%정도 연분홍색인 경우에는 치아에 우식(dental caries)이나 치태(dental plaque)가 치석이 되기까지 50%정도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상형광에서 적색형광의 변화가 100% 진행되면 치태(dental plaque)가 상당히 많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퍼센트(%)를 나타내는 기준은 도 11과 같이 전체 그리드 개수와 충치 및 치태를 나타내는 그리드 개수를 비교하여 퍼센트(%)를 나타내는데 전체 그리드가 100개 이고 충치 및 치태가 있는 붉은색이 10개일 때 10%가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그리드 내에서 반은 적색이고 반은 흰색이라면 하나의 그리드를 충치 및 치태가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체 그리드 수를 더욱 조밀하게 하여 퍼센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충치 및 치태가 있는 붉은색이 10개중에서 5개 정도가 적색과 흰색이 섞여 있을 때 이를 판정하는 방법은 10개가 충치 및 치태가 있다고 판단하거나 아니면 상기 100개 그리드를 더욱 조밀하게 그리드 개수를 높여 1000개를 만든 후 충치 및 치태를 나타내는 퍼센트(%)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색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에 대하여 하측에는 표시되는 색상에 대한 인덱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하측에는 형광소실 수준에 대하여 그 분포량과 가이드를 표시하는 표(기준)가 표시되어 있다. 형광소실 수준이 5% 이하라면 건강한 치아라고 상태정보 및 진단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고 6~20%의 분포량이라면 양치 후 재측정하라는 상태정보 및 진단가이드 정보를 제공 하며 21~100%의 분포량이라면 과도한 치태(dental plaque)를 알리도록 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포량 퍼센트(%) 수치는 진단 및 치아관리정보를 의료진 판단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범위는 일례일 뿐이면 다른 실시예 및 다양한 의도에 따라 다른 범위의 분포량을 설정하여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형광 소실량을 측정하여 치태(dental plaque)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다만, 상기 범위는 일례일 뿐이면 다른 실시예 및 다양한 의도에 따라 다른 범위의 분포량을 설정하여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치아상태를 광학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41).
측정광원을 설정한다(S42). 측정광원을 400~500nm으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영역에서 사용자의 구강으로 제1광을 출력하며 촬상부인 카메라 모듈이 동작한다(S43).
광필터(180)를 촬상부(120)의 렌즈를 커버하도록 슬라이딩하여 위치시킨다(S44). 광필터(180)가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는 것일 수 있다. 탈부착형으로 마련되어 촬상부(120)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제2광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을 측정한다(S45).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5% 이내라면(S46) 측정값을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47).
제2영역에는 도 12에 있는 분포량 및 가이드를 기준하여 형광소실량이 5% 이내이며 건강치아라고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한다(S48).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록들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치아를 관리할 수 있다.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5% 내지 20%이내인지를 판단한다(S49).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5~20%라면 제2영역에 형광소실량이 5~20%라고 알리면서 양치 후 재측정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S50). 재측정을 할 때 양치질 및 치실 사용에 대한 구강 교육 및 코칭 정보를 제공 할 수도 있다. 구강 교육은 도 12의 분포량과 가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양치 방법 또는 치아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치아 중 치태 및 구취 제거가 필요한 양치질 구간이나 치실 사용 등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정보이다. 이러한 교육 및 코칭은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 예 또는 다양한 의도에 따라 다른 범위의 형광 소실 량을 설정하여 안내 문구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20%보다 초과라면 제2영역에 형광소실량이 20%보다 초과하는 것을 알리면서 치태(dental plaque)가 현재 과도한 상태를 알릴 수 있다(S51). 또한, 충치가 위험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현 위치, 집, 사무실 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치과병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된 과도한 치태(dental plaque)를 제거할 수 있는 양치질에 대한 정보를 더 안내할 수도 있다.
제1광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제어흐름에 추가하여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 되면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가스 레벨 즉, 구취 정도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온도 레벨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3의 제어흐름으로 인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서는 도 13의 제어흐름에 대한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이다. 형광소실량을 기준하여 치태(dental plaque)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제2광의 면적을 측정하여 우식(dental caries)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치아상태를 광학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61).
측정광원을 설정한다(S62). 측정광원을 400~500nm으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영역에서 사용자의 구강으로 제1광을 출력하며 촬상부인 카메라 모듈을 동작한다(S63).
광필터(180)를 촬상부(120)의 렌즈를 커버하도록 슬라이딩하여 위치시킨다(S64). 광필터(180)가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는 것일 수 있다. 탈부착형으로 마련되어 촬상부(120)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제2광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의 제2광의 면적을 측정한다(S65).
측정된 제2광의 면적이 20% 이내라면(S66) 측정값을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67).
제2영역에는 제2광의 면적이 20% 이내이며 건강치아라고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한다(S68).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록들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치아를 관리할 수 있다.
측정된 제2광의 면적이 20 ~ 70%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69).
측정된 제2광의 면적이 20 ~ 70%라면 제2영역에 제2광의 면적이 20 ~ 70%라고 알리면서 초기 우식상태의 판단정보에 대한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S70). 다만, 상기 범위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 예 또는 다양한 의도에 따라 다른 범위의 형광 소실 량을 설정하여 안내 문구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정된 제2광의 면적이 70%보다 초과라면 제2영역에 제2광의 면적이 20%보다 초과하는 것을 알리면서 우식(dental caries)으로 판단된 정보를 알릴 수 있다(S71). 또한, 충치가 위험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현 위치, 집, 사무실 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치과병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된 과도한 치태(dental plaque)를 제거할 수 있는 양치질에 대한 정보를 더 안내할 수도 있다. 양치질에 대한 정보는 양치질 및 치실 사용에 대한 구강 교육 및 코칭 정보일 수도 있다.
구강 교육은 도 12의 분포량과 가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양치 방법 또는 치아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치아 중 치태 및 구취 제거가 필요한 양치질 구간이나 치실 사용 등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정보이다. 이러한 교육 및 코칭은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더불어 우식(dental caries) 이후에 치태(dental plaque)가 있을 수 있으므로 치태측정을 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광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제어흐름에 추가하여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 되면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가스 레벨 즉, 구취 정도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온도 레벨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제어흐름으로 인한 분석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16에서는 도 15의 제어흐름에 대한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이다. 제2광의 면적을 기준하여 우식(dental caries)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2광의 면적수준이 0~20% 정도라면 지속 셀프 제거 관리를 안내문구를 제2영역에 표시하고 제2광의 면적수준이 21~70%정도라면 초기 우식(dental caries) 예상이라는 안내문구를 제2영역에 표시하고 제2광의 면적수준이 70~100%정도라면 우식(dental caries)이 예상된다는 안내문구를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 제2영역에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에서 제2광의 면적수준이 21~70%에 해당된다면 제2영역에 "20~70%(제2광의 면적수준), 초기 우식(dental caries) 예상"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치위험", "병원방문요망", "현위치 주변 치과병원-OO병원, **병원", "양치질정보-첨부" 및 "치태 측정 모드 실행" 등의 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구를 표시 할 때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에서는 제1광을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출력하도록 하면서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2영역에서 표시한다.
도 18의 (a)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영역 전체에서 제1광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영역 전체가 된다. 이후 도 18의 (b)에서는 제1영역에서 제1광의 출력을 중단하고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영역 전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1영역과 제2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영역 전체로 동일하지만 시차를 두어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영역 전체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 또는 제1광을 출력하는 것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 각각은 그 영역이 겹쳐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영역에서 제1광이 출력되는 중에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고 있다가 보다 정밀한 분석정보를 얻기 위해서 제1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전체 영역으로 확장되고 제2영역이 없어질 수도 있으며 분석정보를 크게 표시하기 위하여 제2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전체 영역으로 확장되고 제1영역이 없어질 수도 있다.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확장되고 없어지는 경우 각각의 영역이 점차 확장되거나 없어질 수 있으며 일시에 확장되거나 없어질 수 있다.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중첩될 수도 있으며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단말기(10)는 자동회전기능이 있다. 제1영역과 제2영역 각각에서 제1광을 출력하고 있고 분석정보를 표시하고 있을 때 사용자단말기(10)가 회전하는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도 회전에 대응하여 그 영역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회전되기 이전의 제1영역이 화면 좌우폭 전체에 대하여 최하측으로부터 40%의 사각영역이었다면 사용자단말기가 회전된 후에도 회전 후의 화면 좌우폭 전체에 대하여 최하측으로부터 40%의 사각영역이 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 각각에서 제1광을 출력하고 있고 분석정보를 표시하고 있을 때 90도 정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면 제1영역과 제2영역도 회전에 대응하여 그 영역이 변경될 수도 있지만 회전에 대응하여 그 영역이 변경되면 각 영역이 좌우로 길고 상하로 길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1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각각의 영역이 변경되지 않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분석정보를 보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영역의 분석정보는 회전이 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는 통신부(210), 광출력부(220), 촬상부(23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구강관리장치(2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단말기를 비롯한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구강관리장치(20)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21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RGB필터가 마련되어 청색광인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광은 파장이 400~450nm의 파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촬상부(230)는 카메라로 구현되어 외부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230)는 광출력부(220)에서 출력된 청색광인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인 제2광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제1광이 출력되면 촬상부(230)는 전면의 사용자의 신체 특히 구강을 촬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20)를 제어하고,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촬상부(230)를 제어하며, 촬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는 상기 도 19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감지부(240)와 진동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40)은 사용자의 체온을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42)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구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취의 가스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가스감지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242)는 사용자의 구강에 광을 출력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으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광학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도감지부(242)는 양치질을 하거나 양치질을 한 후 등의 경우에서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구강 내 세균들의 휘발성 황화합물 활성은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구강상태가 좋은 사용자가 양치질을 할 때 온도가 높을수록 구취감소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치아 온도를 광학 측정하여 구강 세균 활동에 영향을 주는 온도가 될 때 양치질에 대한 코칭 즉, 안내정보를 체온을 나타내는 온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보다 효과가 있다. 가스감지부(244)는 구강의 세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날숨에서 가스(구취)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구강에서 구취가 소정 정도 이상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후 발생되는 구취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치아의 우식 및 치태 등의 원인으로 구취가 발생하는 것인지는 광측정에 의한 분석정보를 조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진동부(25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구강관리장치(20)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구강관리장치(20)를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온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는 진동부(250)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체온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250)는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제어신호 등의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부(240)로부터 감지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구취를 측정하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200)는 진동부(25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 이를 알리고, 사용자가 구강관리장치(20)의 감지부(240)로 날숨을 쉬면 가스감지부(244)는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가스감지부(244)에서 감지된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이상이면 온도감지부(242)로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감지된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미만이면 건강한 치아로 판단하여 감지된 가스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감지부(242)에서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온도 레벨이하이면 제1광이 사용자의 구강으로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20)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온도 레벨 초과이면 감지된 온도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와 제1광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을 출력한다(S101).
이미지를 촬상한다(S102).
촬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한다(S103).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구강의 구취 가스를 감지하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111).
구취 가스 레벨을 감지한다(S112).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구취 가스 레벨(3)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3).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구취 가스 레벨(3)이상이면 사용자 구강의 온도 레벨을 감지한다(S114).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2)이하이면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을 출력한다(S115).
이미지를 촬상한다(S116).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구취 가스 레벨(3)미만이거나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2)초과이면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과 감지된 온도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고 촬상된 이미지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S117).
상기 구취 가스 레벨과 온도 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200)에서 기설정된 레벨과 비교하여 동작을 진행하고 있으나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과 온도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관리장치(20)와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에 대한 측정을 이용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숨을 구강관리장치(20)의 가스감지부(244)를 향하여 뱉어서 구취 가스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구취 가스를 감지한다(S121).
가스감지부(244)는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을 제어부(200)로 전송한다(S122).
제어부(200)는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구취 가스 레벨(3)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3).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구취 가스 레벨(3)이상이면 사용자 구강의 온도 레벨을 감지한다(S124).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2)이상이면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을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출력한다.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을 판단한다(S125).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이 5% 이내라면 측정값을 저장한다(S126).
형광소실량이 5% 이내이면 건강치아라고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한다(S127). 저장된 기록들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치아를 관리할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이 5% 내지 20%(S125)이내인지를 판단한다(S128).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5~20%라면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이 5~20%라고 알리면서 양치 후 재측정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S129). 다만, 상기 범위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 예 또는 다양한 의도에 따라 다른 범위의 형광 소실 량을 설정하여 안내 문구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정된 형광소실량이 20%보다 초과라면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이 20%보다 초과하는 것을 알리면서 치태(dental plaque)가 현재 과도한 상태를 알릴 수 있다(S130). 또한, 충치가 위험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하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현 위치, 집, 사무실 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치과병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된 과도한 치태(dental plaque)를 제거할 수 있는 양치질에 대한 정보를 더 안내할 수도 있다.
감지된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3)미만이거나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2)미만이면 감지된 구취 가스 레벨과 감지된 온도 레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취식물에 의한 구취 가스 레벨의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132). 또한 구취 레벨의 안내정보를 제공할 때 체온 레벨에 대한 체온 정보와 가이드 수준도 제공할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의 형광소실량이 5% 이내라면 건강치아라고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면서 취식물과 함께 세균성에 의한 구취 레벨의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131).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20)에서 사용자의 구강 체온 레벨을 측정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표이다.
사용자의 체온 레벨에 대한 안내정보의 기준을 나타내는 예시표이다. 체온 레벨 1은 체온보다 낮은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면 구취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정보입니다. 체온 레벨 2는 체온보다 높거나 체온 레벨 1보다 높은 온도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판단하여 양치를 권고하는 레벨의 정보입니다. 상기 예시표를 제공하면서 현재 측정된 레벨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온도 레벨을 알고 안내정보에 따라 구강관리를 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20)에서 사용자의 구취 레벨을 측정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표이다.
사용자의 가스 레벨에 대한 안내정보의 기준을 나타내는 예시표이다. 구취 레벨 1은 냄새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정보이다. 구취 레벨 2는 사용자의 입냄새가 약간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레벨의 정보이다. 이에 양치를 권고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취 레벨 3은 입냄새가 많은 것으로 제1광에 의한 형광소실량을 측정하도록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표를 제공하면서 현재 측정된 레벨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온도 레벨을 알고 안내정보에 따라 구강관리를 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단말기(10)와 구강관리장치(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 측정을 하고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6의 사용자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영역에서 제1광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구강관리장치(20)의 광출력부(220)로부터 제1광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도 26에서는 구강관리장치(20)의 광출력부(220)로부터 제1광이 출력되는 실시 예이다. 구강관리장치(20)의 광출력부(220)로부터 사용자 구강의 구석구석으로 제1광이 출력될 수 있고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만으로 구강에 대한 분석을 하여 분석정보를 보는 것보다 편리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와 구강관리장치(20)는 각각의 통신모듈(블루투스, wi-fi)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강관리장치(20)는 칫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 부분에는 광출력부(220), 촬상부(230), 감지부(240)가 마련되어 제1광을 출력할 수 있고,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취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 구강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강관리장치(20)에서 감지된 정보들은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10)에서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 있고, 구취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체온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6에서는 구강관리장치(20)에서 제1광을 사용자의 구강으로 출력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10)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구강관리장치(20)의 광출력부(220), 촬상부(230) 및 감지부(240)가 장착위치 및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7 (a)의 구강관리장치(20)는 칫솔형상으로 칫솔부분에 앞과 뒤에 광출력부(220), 촬상부(230) 및 감지부(24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 (b)의 구강관리장치(20)는 광출력부(220), 촬상부(230) 및 감지부(24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평상 시에는 탈착되어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칫솔로써 활용되고 부착되어 구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활용될 될 수 있다.
도 27 (c)의 구강관리장치(20)는 사용자단말기(10)에 탈착 및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의 펜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와 구강관리장치(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취, 구강온도 및 광에 대한 측정하고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단말기(10)는 단독으로 도 23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도28에서는 사용자단말기(10)와 구강관리장치(20)를 모두 이용하여 도 23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선택하여 실행한다. 사용자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구강관리장치(20)로 사용자의 구취를 감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④). 사용자는 구강관리장치(20)의 감지부(240)를 향하여 숨을 뱉는다(①). 이에 구강관리장치(20)의 가스감지부(244)는 구취에 대한 가스를 감지한다(②). 구강관리장치(20)의 제어부(200)는 감지된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감지된 가스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③). 감지된 가스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면 사용자단말기(10)는 수신된 가스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면 구강관리장치(20)로 구강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④). 이에 사용자는 구강관리장치(20)의 감지부(240)를 구강에 넣고 구강의 체온을 감지한다. 구강관리장치(20)의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감지된 온도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③). 감지된 온도 레벨을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면 사용자단말기(10)는 수신된 온도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면 구강관리장치(20)로 구강으로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④). 이에 사용자는 구강관리장치(20)의 촬상부(220)를 구강을 향하여 놓고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한다. 촬상된 이미지는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③). 사용자단말기(10)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9에서는 측정결과에 대해 양치 전(a)과 양치 후(b)를 비교하는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 설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구강 교육 및 코칭을 해주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자에게 목표 설정 후 도전 및 달성 가이드를 제공하여 구강 교육 및 코칭을 할 수도 있다.
도 30에서는 구강 측정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서버(30)에 측정 결과를 전송하고 도 29와 같은 서비스를 서버(30)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확장 예를 나타내었다.
사용자단말기(10)의 제1영역에서 제1광을 촬상하고, 촬상된 데이터를 서버(30)로 전송하여 서버(30)에서 분석을 하여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하면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수신된 분석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구취 및 구강온도에 대하여도 사용자단말기(10)에서 측정을 하고 측정데이터를 서버(30)로 전송하여 서버(30)에서 분석된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는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1a와 31b은 도 29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서 선택하여 실행한다(S141).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치태(dental plaque), 우식(dental caries), 구취 및 구강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를 생성하도록 UI생성부(160)를 제어한다(S142).
사용자는 생성된 치태측정모드 UI 및 우식측정모드 UI 중 하나를 선택한다(S143).
제어부(1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의 제1영역에서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S144).
촬상부(120)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S145).
전원공급부(170)는 제1광이 출력되면 반사광 중 제2광은 통과시키고 제2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광필터(180)로 전원을 공급한다(S146).
광필터(180)를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는 분석 서버에 전송(S147)되어 분석이 진행된다.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한다(S148).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의사의 의견을 참조하여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한다(S149).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S150).
제어부(100)는 결정된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제1광의 휘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화면의 제2영역에 사용자의 구강상태정보, 구강관리정보 및 안내정보, 구강 교육 및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 및 달성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S151). 이를 테면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에 우식(dental caries) 또는 치태(dental plaque), 구취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색상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여 알릴 수도 있으며 우식, 치태, 구취의 정도에 따라 진동이나 알람을 이용하여 알릴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색상을 표시하면서 분석된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광은 사용자단말기(10)에서 출력하지 않고 외부장치에서 제1광이 출력되고 제1파장범위의 제1광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흐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흐름은 일 실시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제어흐름에 추가하여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 되면 온도 레벨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을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가스 레벨 즉, 구취 정도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제1광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촬상하지 않고 측정된 온도 레벨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와 서버(30)를 이용하여 치아의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① 사용자단말기(10) 또는 구강관리장치(20)에서 제1광을 사용자의 치아로 출력한다.
② 제1광에 대한 반사광(제2광)을 단말에서 측정한다.
③ 사용자단말기(10)는 이미지, 측정데이터 등을 수집한다. 구강관리장치(20)에서 제1광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측정데이터 등을 구강관리장치(20)는 사용자단말기(10) 또는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④ 사용자단말기(10)는 수집된 이미지, 측정데이터 등을 서버(30)로 전송한다.
⑤ 서버(30)는 구강관리장치(20) 또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이미지, 측정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⑥ 서버(30)는 사용자단말기(10)와 같이 이미지, 측정데이터 등에 대하여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면적, 가스, 온도 등을 분석한다.
⑦ 서버(30)는 구강상태정보, 관리정보, 구강 교육, 코칭 정보, 목표 설정 도전정보, 목표 달성 가이드 정보 및 안내정보 등의 측정 결과를 도출한다.
⑧ 서버(30)는 도출된 측정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
⑨ 사용자단말기(10)는 수신된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상기의 사용자단말기(10)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10) 화면에서 특정범위의 광을 사용자의 신체에 출력하고 반사되는 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하며 사용자 신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치아의 상태 및 진단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기 20 : 구강관리장치
100 : 사용자단말기 제어부 110 : 디스플레이부
112 : RGB필터 120 : 촬상부
130 : 통신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저장부 160 : UI생성부
170 : 전원공급부 180 : 광필터
190 : 감지부 192 : 온도감지부
194 : 가스감지부 200 : 구강관리장치 제어부
210 : 통신부 220 : 광출력부
230 : 통신부 240 : 감지부
242 : 온도 감지부 244 : 가스감지부

Claims (22)

  1.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가지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 및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제1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제1광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반사되는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화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화면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사용자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파장범위의 상기 제1광을 출력하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사용자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사용자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사용자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사용자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광에 의한 반사광 중 상기 제2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광 이외의 광은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광필터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이 출력되면 상기 광필터의 상기 동작이 개시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 상기 촬상된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조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의 크기, 위치 및 상기 제1광의 휘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치태, 우식, 구취 및 구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UI가 생성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11.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제1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광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반사되는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촬상부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분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화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화면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1파장범위의 상기 제1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제2파장범위의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의 색상, 분포, 조도, 형광소실량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석된 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 중 상기 제2광에 의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06672A 2016-01-19 2016-01-19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9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72A KR102492183B1 (ko) 2016-01-19 2016-01-19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6/071,174 US20210161365A1 (en) 2016-01-19 2016-12-29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CT/KR2016/015442 WO2017126817A1 (ko) 2016-01-19 2016-12-29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72A KR102492183B1 (ko) 2016-01-19 2016-01-19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974A KR20170086974A (ko) 2017-07-27
KR102492183B1 true KR102492183B1 (ko) 2023-01-26

Family

ID=5936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672A KR102492183B1 (ko) 2016-01-19 2016-01-19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61365A1 (ko)
KR (1) KR102492183B1 (ko)
WO (1) WO2017126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752B1 (ko) * 2018-10-16 2021-02-23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JP2020113027A (ja) * 2019-01-11 2020-07-27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臭気分析装置
BR112022017149A2 (pt) * 2020-02-26 2022-10-11 Get Grin Inc Sistemas e métodos para monitoramento dental remoto
KR102499352B1 (ko) *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조사광의 파장대의 선택적 형성을 통한 구강 컨디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99368B1 (ko) *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5330A (ja) * 2008-02-27 2009-09-10 Nec Corp 携帯電話装置、デンタルケアシステム、デンタルケア方法、デンタルケア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2147910A (ja) * 2011-01-18 2012-08-09 Olympus Corp 口腔内観察装置
WO2015016377A1 (ja) * 2013-08-02 2015-02-05 Kanbara Masaki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502A (en) * 1988-09-02 1994-12-13 Kaltenbach & Voight Gmbh & Co. Optical probe and method for the three-dimensional surveying of teeth
JP2003515417A (ja) * 1999-12-08 2003-05-07 エックス−ライ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計測デバイスおよびそれに関連した方法
EP1432976A4 (en) * 2001-09-05 2007-11-28 Genicon Sciences Corp DEVICE FOR READING SIGNALS EMITTED BY RESONANCE LIGHT DISPERSION PARTICLES USED AS MARKERS
KR100596315B1 (ko) * 2003-12-26 2006-06-30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7830507B2 (en) * 2006-02-13 2010-11-09 Optopo Inc. Spatially patterned substrate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ensing
US7972266B2 (en) * 2007-05-22 2011-07-0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data normalization for a monitoring system
KR101280837B1 (ko) * 2010-12-21 2013-07-02 한국광기술원 치아 모니터링 장치
US20150168302A1 (en) * 2011-08-22 2015-06-18 Northeastern University Density analysis of living organisms by magnetic levitation
US8998609B2 (en) * 2012-02-11 2015-04-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Techniques for standardized imaging of oral cavity
WO2015137788A1 (en) *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133643B (zh) * 2014-04-07 2020-10-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用户距离调节显示器亮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5330A (ja) * 2008-02-27 2009-09-10 Nec Corp 携帯電話装置、デンタルケアシステム、デンタルケア方法、デンタルケア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2147910A (ja) * 2011-01-18 2012-08-09 Olympus Corp 口腔内観察装置
WO2015016377A1 (ja) * 2013-08-02 2015-02-05 Kanbara Masaki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817A1 (ko) 2017-07-27
US20210161365A1 (en) 2021-06-03
KR20170086974A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183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93026A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Oral Hygiene
US11179024B2 (en) Endoscope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image, process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ndoscope system
KR102135874B1 (ko)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2007502185A (ja) 蛍光発光画像の分析及び表示
JP2013042854A (ja) 内視鏡装置
US11074690B2 (en) Method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of blood vessels in color images and visualization systems implementing the method
JP6629639B2 (ja) 内視鏡システム、プロセッサ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CN106821529B (zh) 便携式牙齿检查装置及其控制方法
JPWO2018109995A1 (ja) 内視鏡用光源装置
JP2017185258A (ja) 内視鏡装置
CN102740761B (zh) 电子内窥镜系统
KR20090080574A (ko) 양방향 구강보건 학습 장치 및 방법
JP6866481B2 (ja) プロセッサ装置とその作動方法、内視鏡システ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とその作動方法、作動プログラム
WO2018001170A1 (zh) 口腔健康检查装置、手持部件及内窥镜
JP2016179236A (ja) 内視鏡装置
US11547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motion robustness during measurement of localized oral inflammation
CN111096540A (zh) 引导用户刷牙的方法、引导用户刷牙的系统及存储设备
JP6240700B2 (ja) 内視鏡装置
WO2024007889A1 (en) Oral scanner system
WO2024007117A1 (en) Oral scanner system
JP2006020788A (ja) 自家蛍光観察可能な電子内視鏡装置およびシステム
WO2024007100A1 (en) Oral scanner system
EP43289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dical images for identifying regions of interest
WO2022249817A1 (ja) 医療画像処理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