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315B1 -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315B1
KR100596315B1 KR1020030097448A KR20030097448A KR100596315B1 KR 100596315 B1 KR100596315 B1 KR 100596315B1 KR 1020030097448 A KR1020030097448 A KR 1020030097448A KR 20030097448 A KR20030097448 A KR 20030097448A KR 100596315 B1 KR100596315 B1 KR 10059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optical filter
digital camer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197A (ko
Inventor
김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9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3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화상 대화,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에 있어서 기존의 촬영화면보다 더욱 더 안정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를 내장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0);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방측의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빛을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전방측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필터(120); 상기 광학필터(120)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필터(1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받아 피사체를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130);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에 들어온 빛을 영상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처리모듈(140); 및 상기 광학필터(120)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광학필터(120)와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는 투광성 창(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디지털, 카메라, 단말기, 휴대폰, 촬영, 멀티미디어, 동영상, 화상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igital camera}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이동 통신 단말기 하부 본체 52 : 상부 본체
54 : 케이스 56,150 : 투광성 창
110 : 디스플레이 120 : 광학필터
130 : 디지털 카메라 140 : 신호처리모듈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화상 대화,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에 있어서 기존의 촬영화면보다 더욱 더 안정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를 내장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갖추어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하를 저장했다가 디스플레이에 전송한다.
첨부도면 도 1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는, 단말기(10)의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일측에 디지털 카메라(1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12)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12)와 디스플레이(14)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4)를 바라보면서 촬영한 사진은 카메라(12)의 정면을 바라보는 화상이 아니므로 피사체가 일그러져 보일 수 밖에 없다.
예를들어, 본인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4)와 다른 위치 즉, 단말기의 아래(또는 위)에 있는 카메라(12)가 피사체인 본인을 촬영하게 되고, 본인의 시선은 자신의 모습이 나오는 디스플레이(14)를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촬영되는 본인의 모습은 상기 디스플레이(14)에서 나오는 모습, 즉,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바른 모습이 아닌 일그러진 모습이 된다.
또한,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인은 디스플레이(14)에서 나오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를 하기 때문에 카메라(12)는 본인의 정면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고, 정면이 아니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화상이 그대로 상대방에게 전송됨으로써 상대방과 통화를 하면서 서로 시선이 어긋나는 어색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화상 대화,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 등에 있어서 기존의 촬영화면보다 더욱 더 안정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방측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빛을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전방측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필터; 상기 광학필터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필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받아 피사체를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들어온 빛을 영상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광학필터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광학필터와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투광성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장치는, 디스플레이(110), 광학필터(120), 디지털 카메라(130), 신호처리모듈(1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공지의 액정 디스플레이(LD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필터(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10)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광학필터(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10)로부터 출력되는 빛(영상)은 전방으로 투과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전방측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빛은(빛의 대부분은) 일방향 즉, 도면상 아랫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광학필터(120)는, 그의 투과율을 적절한 것으로 선택(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방측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빛의 대부분이 디지털 카메라(130) 쪽으로 반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가 구동하여 영상이 출력되면 어두웠던 내부가 밝아지므로 광학필터(120)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학필터(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기판(예, 글라스 판)을 사용하여 소정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가지도록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 반사, 설치 상황, 사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투과율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광학필터(120)의 내측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코팅 또는 필름 부착)를 행한 것을 사용하면, 디스플레이(1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반사됨이 없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또한, 광학필터(120)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반사유리 또는 이것과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건물 내부에서는 밖을 볼 수 있으나 외부에서는 내부가 보이지 않고 거의 대부분을 거울과 같이 반사하게 되며, 내부가 밝아지면 외부에서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원리이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는 상기 광학필터(1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받아 피사체를 촬영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140)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에 들어온 빛을 영상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모듈(140)은 공지의 촬상소자(CC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필터(120)의 전방에는 광학필터(120)와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 창(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는, 상기 광학필터(120)를 통해 반사된 피사체(X)의 영상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로 들어간 빛은 상기 신호처리모듈(140)을 거쳐 영상신호로 바뀌어져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전방의 광학필터(12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나오므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는 피사체(X)의 정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즉, 피사체(X)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되는 본인의 영상을 바라볼 때, 사용자 본인의 정면이 바로 디지털 카메라(130)에 의해 계속적으로 촬영된다. 따라서, 사용자 본인과 디스플레이(110)에서 나오는 본인의 화상의 시선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상이 정확하게 촬영됨과 아울러 매우 안정된 이미지가 얻어지므로, 멀티미디어 화상 대화, 동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에 있어서, 더욱 정 확한 이미지가 제공되고, 상대방과 시선을 마주볼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친근하고 안정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3에는 상기한 카메라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이얼링 등을 위한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본체(5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 본체(52)가 회동접철가능하게 연결된 형태의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엘씨디(LCD)에 해당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부 본체(52)를 형성하는 케이스(54) 내부에 설치되고, 그 전방에 광학필터(120)가 설치되며, 케이스(54)의 앞면에는 투광성 창(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성 창(56), 케이스(54) 내부에 광학필터(120)와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30)는 상기 광학필터(120)의 아래쪽 케이스(54)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신호처리모듈(140)도 상기 케이스(54)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화상 통화시 사용자 본인은 상기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상대방의 얼굴을 바라보면서 통화하게 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는 본인의 정면이 광학필터(120)를 거쳐 그대로 디지털 카메라(130)에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본인과 상대방은 서로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시선이 일치하게 되고 화상의 일그러짐도 없으므로, 상대방의 표정 하나 하나 까지 그대로 확인할 수 있어 실제로 마주보면서 이야기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의 영상이 광학필터(120)에 의해 반사되어 디지털 카메라(130)에 받아들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학필터(120)만 설치하면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어떠한 변경이나 구성의 추가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130)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본인의 정면이 그대로 촬영되므로 이미지가 일그러짐 없이 정확하고 안정된다.
종래에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면서 촬영한 사진은 이미지가 일그러져 보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본인의 정면이 그대로 촬영되므로, 종래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안정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화상 대화,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 등을 수행하면, 상대방과 눈을 마주보면서 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의 영상이 광학필터에 의해 반사되어 디지털 카메라에 받아들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학필터만 설치하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어떠한 변경이나 구성의 추가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 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0);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방측의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빛을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전방측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필터(120);
    상기 광학필터(120)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필터(1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받아 피사체를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130);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에 들어온 빛을 영상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처리모듈(140); 및
    상기 광학필터(120)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광학필터(120)와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는 투광성 창(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부 본체에 회동접철가능하게 연결된 상부본체를 형성하는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삭제
KR1020030097448A 2003-12-26 2003-12-26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9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448A KR100596315B1 (ko) 2003-12-26 2003-12-26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448A KR100596315B1 (ko) 2003-12-26 2003-12-26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197A KR20050066197A (ko) 2005-06-30
KR100596315B1 true KR100596315B1 (ko) 2006-06-30

Family

ID=3725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448A KR100596315B1 (ko) 2003-12-26 2003-12-26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15B1 (ko) * 2005-07-1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4406B1 (ko) * 2006-01-31 2007-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동화상 통신용 단말기
WO2011053315A1 (en) * 2009-10-30 2011-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display systems
KR102492183B1 (ko) * 2016-01-19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197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608B1 (ko) 촬상 장치 부착 휴대 전화기
US20100194880A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WO2003039110A1 (fr) Terminal portable
JP2008118589A (ja) テレビ電話装置
WO2021208789A1 (zh) 一种拍照方法和电子设备
JP200711636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JP3744872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100596315B1 (ko) 디지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5151162A (ja) 撮像装置
JP2004135275A (ja) 視線の一致を可能にする表示撮像装置及び方法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H04150683A (ja) 表示/撮像装置
KR101696683B1 (ko) 사진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JP2645076B2 (ja) 視線一致テレビ電話装置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6861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12324205U (zh) 电子设备
KR101390099B1 (ko) 셀프촬영시 줌아웃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9990048830A (ko) 화상대화를 위한 피사체 촬영장치
KR102201187B1 (ko)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트윈 카메라 모듈
KR20020080566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50100759A (ko) 본인의 촬영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8054131A (ja) 撮影システム
JPH029282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