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039B1 -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039B1
KR101788039B1 KR1020160044902A KR20160044902A KR101788039B1 KR 101788039 B1 KR101788039 B1 KR 101788039B1 KR 1020160044902 A KR1020160044902 A KR 1020160044902A KR 20160044902 A KR20160044902 A KR 20160044902A KR 101788039 B1 KR101788039 B1 KR 10178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mera
control command
photographing apparatu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율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39B1/ko
Priority to EP17165794.3A priority patent/EP3232657B1/en
Priority to JP2017078322A priority patent/JP6675348B2/ja
Priority to US15/484,582 priority patent/US10530999B2/en
Priority to CN201710231927.XA priority patent/CN10729522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8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electrical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5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for aler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2LE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속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의 형성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을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속되며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 및 상기 카메라의 상태 또는 상기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장치의 양면에 위치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에 위치하는 치아들의 상태를 용이하게 촬영 할 수 있으며, 버튼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 장치의 촬영 상태, 전원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object using top and bottom button}
본 발명은 대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를 위해서 과거에는 거울을 선단부에 설치한 기구를 이용하여 구강내 삽입하고, 이를 통해 반사되는 치아의 상태를 의사가 확인하여 치료 여부를 결정하거나, 치료 방법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거울을 통한 진료의 경우 환자가 직접 자신의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의사는 반사를 통해서 치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므로 상대적으로 정밀한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카메라를 소형화하고 카메라를 통해 직접 촬영된 영상을 의사와 환자가 확인하고 진료를 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다만, 카메라를 통한 진단 기구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치과용 체어에 설치되는 본체와 통신을 통해 영상을 전달해야 하는데, 유선 연결 방식의 경우 사용하는 본체 마다 진단 기구가 구비되어야 하며, 통신을 위한 통신선과 전원선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추가적인 구성에 따른 불편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고안된 무선 연결 방식의 경우에는 복수의 체어와 통신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채널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진단 기구를 통해 본체와의 연결 상태를 식별해서 환자를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를 통한 진단 기구는 촬영을 위한 버튼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상악과 하악에 위치하는 치아들의 상태를 번갈아 보기 위해서는 의사가 자신의 팔을 돌려서 촬영해야함에 따라 자세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악과 하악에 위치하는 치아들의 상태를 번갈아 보기 위해서 보다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진단 기구의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진단 기구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조작 상태 및 진단 기구의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본체와의 통신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끊김 없는 통신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속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의 형성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을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속되며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 및 상기 카메라의 상태 또는 상기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른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동시 동작에 따른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순차 동작에 따른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본체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통신부와 상기 본체 간의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연결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버튼보다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수단은 복수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수단의 조합으로 상기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수단은 충방전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충방전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수단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 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의 형성위치에서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1 버튼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원 인가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으로 획득된 영상을 본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른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동시 동작에 따른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순차 동작에 따른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식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본체 중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의 송신을 위한 상기 본체의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장치의 양면에 위치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에 위치하는 치아들의 상태를 용이하게 촬영 할 수 있으며, 버튼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 장치의 촬영 상태, 전원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복수의 본체와 선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구분하고, 구분된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가 현재 연결된 본체가 무엇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장치 사용 중 통신 상태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의 본체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이하, 대상 촬영 장치라 함)(1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는 헤드부(100), 연결부(2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한다.
헤드부(100)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환자의 치아, 치열, 잇몸의 상태를 C-M0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 (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의 촬영 소자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상대적으로 빛이 적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보다 촬영을 용이하게 위하여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는 LED 램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대상은 환자의 치아, 치열, 잇몸을 예시하고 있으나 피검자의 신체 어느 부위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소자와 조명부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200)는 헤드부(100)와 결속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100)의 형성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210)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220)을 구비한다.
연결부(200)의 선단은 헤드부(100)와 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부(200)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헤드부(100)가 결속하는 방향에서 헤드부(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선 상의 말단에 제1 버튼(21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몸체부(300)를 손 바닥으로 감싸면서, 엄지 손가락이 제1 버튼(210)에 위치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 촬영 장치(10)를 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드부를 환자의 구강에 넣고, 제1 버튼(210)을 누르는 것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로서 상술한 제1 버튼(210)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제2 버튼(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은 제1 버튼(210)에 위치시키고, 검지 손가락은 제2 버튼(220)에 위치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 촬영 장치(10)를 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헤드부(100)를 환자의 구강에 넣고 제2 버튼(220)을 누르는 것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제1 버튼(210)과 제2 버튼(220)은 연결부(200)의 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보며 형성된다.
제2 버튼(220)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환자의 상악을 촬영하다가, 하악을 촬영하는 경우 팔을 비틀 필요가 없이 장치를 돌려서 엄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버튼(210) 및 상기 제2 버튼(220)은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210) 및 상기 제2 버튼(2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른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때의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은 사진의 촬영을 지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버튼(210)과 제2 버튼(220)은 사용자의 손가락 엄지와 검지 각각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버튼(210) 및 상기 제2 버튼(220)의 동시 동작에 따른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은 카메라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동시 동작에 누르는 시간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명령을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꺼진 상태에서 3초 동안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 카메라를 켜는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켜진 상태에서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는 카메라가 꺼지는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버튼의 동시 동작 외에 상기 제1 버튼(210) 및 상기 제2 버튼(220)의 순차 동작에 따른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10)을 누르고 일정 시간 내에 제2 버튼(220)을 누르는 경우 카메라가 줌인(zoon in)하도록 설정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가 줌인하는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버튼(220)을 누르고 일정 시간 내에 제1 버튼(210)을 누르는 경우에는 반대로 카메라가 줌아웃(zoom out)하도록 설정하고, 카메라가 줌아웃하는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부(200)의 양면에 위치하는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팔을 비트는 행위없이 다양한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버튼의 동작에 시간 변수를 추가하여 다양한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본 실시 예에서 몸체부(300)는 연결부(200)와 결속되며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미도시) 및 상기 카메라의 상태 또는 상기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3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몸체부(300)는 연결부(200)와 결속하여 대상 촬영 장치(10)의 후단을 구성한다.
몸체부(300)는 사용자가 파지를 위하여 연결부(200)보다는 폭이 두껍게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전원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수단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및 기타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촬영 장치(1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원 수단으로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몸체부(3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전원 연결 단자(320)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시 수단(310)은 RGB LED로 구성되어 다양한 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표시 수단(310)이 표시하는 정보는 전원의 온오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대상 촬영 장치(10)가 무선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정 수준 이하로 배터리 잔량이 남은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헤드부(100)에 형성된 조명부와 함께 동작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전원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표시 수단(310)과 조명부가 함께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대상 촬영 장치(10)가 켜짐을 알려주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는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대상 촬영 장치(10)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본체(20)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또는 환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자신의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방법이나 처방의 필요성을 인식하므로,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 본체(20)에 영상을 전송해 주어야 한다.
통신부는 이러한 영상의 본체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본체(2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등을 대상 촬영 장치(1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의 본체(20) 연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유선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a, 10b, 10c, 10d)는 각각의 본체(20a, 20b, 20c, 20d)와 직접 연결되며, 연결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본체(20)와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수신된 정보는 서버(30)에서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의사는 환자들의 개인별 치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 한다.
이 때, 대상 촬영 장치(10)는 본체(20)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으므로 별도의 배터리가 불필요하다.
또한 도 4에서는 본체 별로 대상 촬영 장치(10)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대상 촬영 장치(10)를 연결선과 도 1에 따른 연결 단자(320)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는 하나의 대상 촬영 장치(10)를 사용하는 복수의 본체와 연결된 연결선에 결합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 마다 개별 설정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대상 촬영 장치(10)는 연결선과 연결됨과 동시에 개별 설정 값을 읽고, 설정 값에 따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설정 값은 카메라의 초점 정보, 밝기 정보, 조도 정보 등의 카메라 관련 설정 값일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대상 촬영 장치(10)가 본체(20)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복수의 본체(20a, 20b, 20c, 20d)에 대하여, 수신기(25a, 25b, 25c, 25d)를 본체에 설치 또는 연결하고 대상 촬영 장치(10a, 10b)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대상 촬영 장치(10)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가 무선을 통해 본체(20)에 전송되므로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정보는 서버(30)에서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의사는 환자들의 개인별 치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 한다.
이때 무선 통신 방법은 UWB(UltraWide Band), Wifi, Widi(Wifi Direct)를 이용할 수 있다.
UWB 방식 중, 하나의 대상 촬영 장치(10)만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한 개의 수신기를 복수의 본체 중 사용하는 본체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다수의 대상 촬영 장치(10a, 10b)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다수의 수신기(25a, 25b, 25c, 25d)를 그룹내 본체(20a, 20b, 20c, 20d))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그룹 간에는 채널을 다르게 설정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복수의 본체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대상 촬영 장치(10)를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의사가 동시에 진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대상 촬영 장치(10)와 본체(20) 간의 연결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체를 그룹화하여 그룹별로 채널을 설정(15a, 15b)하여 다른 대상 촬영 장치(10)로 영상을 송신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표시 수단(310)은 상기 통신부와 상기 본체 간의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룹에 속하는 본체(20a, 20b)와 연결되는 대상 촬영 장치(10)는 표시 수단(310) 중 붉은색 LED가 발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그룹에 속하는 본체(20c, 20d)와 연결되는 대상 촬영 장치(10)는 표시 수단(310) 중 푸른색 LED가 발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Wifi를 이용하여 무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수와 상관 없이 해당 Wifi의 무선 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이때에는 본체 별로 설정된 각각의 식별 주소를 이용하여 대상 촬영 장치(10)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Wifi환경에서 각각의 본체 별로 무선 어댑터(Dongle)을 연결시켜 Widi를 통해 통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는 그 형성 위치가 중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는 헤드부(100)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버튼(210, 220)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버튼(210)과 제2 버튼(220)이 형성된 위치보다 통신부의 형성 위치가 헤드부(100)에 더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몸체부(300)를 손바닥으로 감싸고, 연결부(200)의 버튼 형성 위치에는 손가락을 위치시키므로, 통신부가 버튼 형성 위치보다 헤드부(100)에서 멀게 형성되거나, 몸체부(300) 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신부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따라 통신부의 안테나를 감싸게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통신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를 버튼 형성 위치보다 헤드부(100)에 가깝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에 가려지지 않도록 한다.
다만, 헤드부(100)에 근접하여 통신부가 형성되는 경우 구강 검진의 특성상 헤드부(100)와 함께 통신부가 사람의 구강 내로 들어가게 되므로, 버튼의 형성 위치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200)를 기준으로 최 후단에 형성된 버튼(210, 220)의 바로 상부에 통신부가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무선 방식에서 대상 촬영 장치(10)는 충전을 위한 거치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400)는 대상 촬영 장치(10)가 거치 되는 거치부(410,410')와 표시부(420)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420)는 대상 촬영 장치(1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20)는 미 충전 시는 소등하고, 충전 중에는 붉은색 LED를 점등, 충전 완료 시에는 초록색 LED를 점등,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붉은색 LED를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의 형성위치에서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210) 또는 상기 제1 버튼(210)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22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원 인가 명령을 입력 받는다(S100).
본 실시 예에서 전원 인가 명령은 제1 버튼(210)과 제2 버튼(220)의 동시 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전원이 켜지게 되면 상기 제1 버튼(210) 또는 상기 제2 버튼(220)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의 입력은, 제1 또는 제2 버튼(210, 220)의 동작 여부를 독립적으로 확인하고(S200), 확인된 동작 여부에 따라 상술한 제1 내지 제3 카메라 제어 명령 중 하나를 식별한다(S300).
식별된 카메라 제어 명령은 카메라로 전달되고(S400), 카메라는 영상을 제어 명령에 따라 획득한다.
획득된 영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에 따라 본체로 송신한다(S500).
추가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단계에 따른 대상 촬영 장치(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표시 방법은 아래의 표 1로 정의 될 수 있다.
연결 방식 구분 색상 상태 비고
본체
<->
무선
채널 표시 빨, 노, 파, 녹 - 사용자 선택 사항
Low 배터리 각 색상 계속 점멸
Power On 각 색상+
카메라 LED
점등 3초 동안 버튼 2개 동시 누름
5초 후 카메라 LED 소등
Power Off 각 색상 점멸 후
소등
버튼 2개 누름과 동시에 점멸하고 3초 후 소등
1분 동안 동작 안할 시 자동 Power Off
충전 중 각 색상 소등 5번 천천히 점멸 후 소등
본체
<->
유선
- 빨, 노, 파, 녹 - 사용자 선택 사항
Power On 각 색상+
카메라 LED
점등 케이블 연결 시 자동 Power On
3초 동안 버튼 2개 동시 누름
5초 후 카메라 LED 소등
Power Off 각 색상 3번 점멸 후 소등 버튼 2개 누름과 동시에 점멸하고 3초 후 소등
1분 동안 동작 안할 시 자동 Power Off
공통 Shot 각 색상 1번 점멸
카메라 LED - 소등 10초 동안 동작 안할 시 소등
버튼 누를 시 점등
고장 빨, 노, 파, 녹 계속 점멸 각 색상 바뀌면서 점등
거치대 충전 중 점등
충전 완료 점등
이상의 발명에 따르면, 버튼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 장치의 촬영 상태, 전원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복수의 본체와 선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구분하고, 구분된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가 현재 연결된 본체가 무엇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카메라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속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부의 형성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을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속되며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 및 상기 카메라의 상태 또는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대상의 촬영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이 동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변수를 만족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설정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른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동시 동작에 따른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순차 동작에 따른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본체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통신부와 상기 본체간의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연결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버튼보다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복수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수단의 조합으로 상기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수단은 충방전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충방전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수단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 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10. 카메라의 형성위치에서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1 버튼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원 인가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동작으로 상기 카메라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으로 획득된 영상을 본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대상의 촬영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이 동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변수를 만족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설정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른 제1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동시 동작에 따른 제2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순차 동작에 따른 제3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 및 상기 카메라의 상태 또는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본체 중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의 송신을 위한 상기 본체의 채널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버튼을 이용한 대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44902A 2016-04-12 2016-04-12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KR10178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902A KR101788039B1 (ko) 2016-04-12 2016-04-12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EP17165794.3A EP3232657B1 (en) 2016-04-12 2017-04-10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object using top and bottom buttons
JP2017078322A JP6675348B2 (ja) 2016-04-12 2017-04-11 上下ボタンを備えた対象撮影装置及び対象撮影装置の作動方法
US15/484,582 US10530999B2 (en) 2016-04-12 2017-04-11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object using top and bottom buttons
CN201710231927.XA CN107295224B (zh) 2016-04-12 2017-04-11 具备上下按钮的对象拍摄装置以及利用此装置的拍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902A KR101788039B1 (ko) 2016-04-12 2016-04-12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039B1 true KR101788039B1 (ko) 2017-10-19

Family

ID=585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902A KR101788039B1 (ko) 2016-04-12 2016-04-12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0999B2 (ko)
EP (1) EP3232657B1 (ko)
JP (1) JP6675348B2 (ko)
KR (1) KR101788039B1 (ko)
CN (1) CN1072952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75A1 (ko) * 2019-05-23 2020-11-26 Lee Yeona 인조속눈썹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1126B2 (ja) * 2019-03-18 2021-09-2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421533B2 (ja) 2021-12-10 2024-01-2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撮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9923A1 (en) * 2011-02-24 2012-08-30 Cms Dental Aps Dent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6747B2 (ja) * 1999-09-08 2009-06-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7139016B2 (en) * 2001-02-28 2006-11-21 Eastman Kodak Company Intra-oral camera system with chair-mounted display
JP4475923B2 (ja) 2003-01-14 2010-06-0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診断用撮影器
JP4521180B2 (ja) 2003-12-05 2010-08-1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診断用撮影器
US8360771B2 (en) * 2006-12-28 2013-01-29 Therametric Technologies, Inc. Handpiece for detection of dental demineralization
US8180295B2 (en) * 2007-07-19 2012-05-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Bluetooth enabled compu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A3014223A1 (en) * 2008-09-24 2010-04-01 Dentsply International Inc. Imaging device for d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intra-oral viewing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KR101280837B1 (ko) 2010-12-21 2013-07-02 한국광기술원 치아 모니터링 장치
CA2824665C (en) * 2011-01-11 2016-11-01 Nobuchika Urakabe Intraoral video camera and display system
US20130164567A1 (en) * 2011-06-24 2013-06-27 Seektech, Inc. Modular battery pack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951187B2 (en) * 2011-07-12 2015-02-10 Top Solutions, LLC Intraoral imaging system
US20130096457A1 (en) * 2011-10-18 2013-04-18 Qscope, LLC Oral scope system with image sensor and method for visual examination of oral cavity and upper airway
US20130183633A1 (en) * 2012-01-13 2013-07-18 Ormc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ntra-oral imaging
US8712228B2 (en) * 2012-02-07 2014-04-29 Carestream Health, Inc.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CN203913858U (zh) * 2014-03-22 2014-11-05 何绍武 一种智能牙刷
JP2015215423A (ja) * 2014-05-08 2015-12-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N204445807U (zh) * 2015-02-03 2015-07-08 朱立敏 一种口腔检查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9923A1 (en) * 2011-02-24 2012-08-30 Cms Dental Aps Dental instru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75A1 (ko) * 2019-05-23 2020-11-26 Lee Yeona 인조속눈썹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5320A1 (en) 2017-10-12
US10530999B2 (en) 2020-01-07
CN107295224B (zh) 2020-02-28
CN107295224A (zh) 2017-10-24
JP2017192720A (ja) 2017-10-26
EP3232657B1 (en) 2019-08-21
EP3232657A1 (en) 2017-10-18
JP6675348B2 (ja)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932B2 (en) Dental instrument camera apparatus
JP6744358B2 (ja) 内視鏡撮像システム
US7137948B2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US7419467B2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JP4240892B2 (ja) ディスプレイ一体型口腔カメラ
KR101788039B1 (ko)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US20130034825A1 (en) Intraoral Imaging System
JP3706326B2 (ja) 内視鏡装置
JP6878574B2 (ja) 無線内視鏡
EP1378201A1 (en) Dental radiographic image acquisition and display unit
JP2006122335A (ja) カメラ装置
JP2006081842A (ja) 撮影用補助装置
JPH119548A (ja) 携帯電子内視鏡装置
KR101651604B1 (ko) 치과용 구강 검사 시스템
KR20110085514A (ko) 마우스 프롭 장착용 구강촬영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우스 프롭 키트
KR200433619Y1 (ko)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치과용 핸드피스
WO2020195186A1 (ja) ケーブル、報知方法
JP7172567B2 (ja) 撮像装置、及び、口腔撮像付属体
JP6275357B1 (ja) 内視鏡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TWI686165B (zh) 一種口腔內窺器
KR20220125818A (ko) 전자내시경 및 발광 모듈을 장착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의료용 앨리게이터 포셉 및 그 이용 방법
WO2021095107A1 (ja) 内視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処理装置、及び内視鏡
KR101735929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