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29B1 -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29B1
KR101735929B1 KR1020150088185A KR20150088185A KR101735929B1 KR 101735929 B1 KR101735929 B1 KR 101735929B1 KR 1020150088185 A KR1020150088185 A KR 1020150088185A KR 20150088185 A KR20150088185 A KR 20150088185A KR 101735929 B1 KR101735929 B1 KR 10173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endoscope
image
optic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353A (ko
Inventor
윤상훈
이상호
강원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8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9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having rod-lens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내시경 렌즈 모듈;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을 통한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 및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에 연동되어 상기 영상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은 광 저장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광 저장 유닛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빛을 저장하거나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POTABLE ENDOSCOPE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저장하였다가 추후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빛을 활용할 수 있는 광 저장 유닛이 구비되어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은 인체 등의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공간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내시경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 수단과 이 조명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촬영된 영상 신호를 모니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출력 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조명 수단은 전기를 사용하여 램프 등에서 발생하는 발광 현상으로 발생하는 빛을 광섬유를 통하여 빛을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 수단은 외부에 별도의 광원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은 기존의 유선으로 연결된 광원과 장비의 구동을 위한 전원 연결선 및 수집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선을 제거한 내시경 장비이다.
이러한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은 유선 연결부를 없앰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 및 활용성은 증가할 수 있으나, 내시경 어댑터 내부에 삽입된 전원부 및 광원으로 인해 광량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조명에 대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02년 12월 5일에 출원된 KR2002-0036398에는 '램프를 갖는 내시경 카메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저장하였다가 추후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빛을 활용할 수 있는 광 저장 유닛을 구비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어부에 의해 유지 모드, 저장 모드 및 출력 모드로 광 저장 유닛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량이 부족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색의 왜곡 및 어두움 또는 낮은 대조도 등과 같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원의 구동에 전력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광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 내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동시적으로 광원을 활용하여 광 저장 유닛 내에 빛을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내시경 렌즈 모듈;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을 통한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 및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에 연동되어 상기 영상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은 광 저장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광 저장 유닛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빛을 저장하거나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 저장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이 입력되는 광 입력부; 상기 광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빛이 저장되는 광 저장부; 상기 광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 저장부에 저장된 빛이 출력되는 광 출력부; 및 상기 광 입력부, 상기 광 저장부 또는 상기 광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모드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모드는, 상기 광 저장부 또는 상기 광 출력부의 구동이 유지되는 유지 모드; 상기 광 저장부에 빛이 저장되는 저장 모드; 및 상기 광 출력부에서 빛이 출력되는 출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 입력부에는 제1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서 임계치 이상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유지 모드에서 상기 저장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 의해 임계치 미만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저장 모드에서 상기 유지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 출력부에는 제2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광량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출력 모드에서 상기 광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은,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서 획득된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유닛;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의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영상화하고, 영상을 캡쳐 또는 녹화하는 이미지 제어부; 및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의 저장을 제어하는 스토리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저장하였다가 추후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빛을 활용할 수 있는 광 저장 유닛을 구비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부에 의해 유지 모드, 저장 모드 및 출력 모드로 광 저장 유닛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광량이 부족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색의 왜곡 및 어두움 또는 낮은 대조도 등과 같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광원의 구동에 전력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내시경 어댑터 모듈 내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동시적으로 광원을 활용하여 광 저장 유닛 내에 빛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광 저장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광 저장 유닛에서 제어부의 모드 전환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3은 광 저장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4는 광 저장 유닛에서 제어부의 모드 전환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10)은 내시경 렌즈 모듈(100),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 및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100)은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100)은 기존의 내시경 렌즈 모듈이 이용되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적절한 내시경 렌즈 모듈(100)로 교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100)은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삽입렌즈(110) 및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과 내시경 렌즈 모듈(100) 사이에 위치된 접안렌즈(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렌즈 모듈(100)에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의 광 저장 유닛(210)과 연결되는 광원 연결 부분(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연결 부분(130)은 예를 들어, 삽입렌즈(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100)에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은 내시경 렌즈 모듈(100)을 통한 촬영을 제어하고 내시경 렌즈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은 광 저장 유닛(210), 카메라 유닛(220), 디스플레이 유닛(230), 스토리지 유닛(240), 무선 통신 유닛(250), 프로세서 유닛(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저장 유닛(210)은 내시경 렌즈 모듈(100)의 영상 획득을 위하여 체내에 빛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광 저장 유닛(210)에서 전달된 빛은 내시경 렌즈 모듈(100)을 통하여 인체 내의 장기 및 환부를 비출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광 저장 유닛(210)은 광 입력부(212), 광 저장부(214), 광 출력부(216) 및 제어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A)은 예를 들어 광 저장 유닛(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A)은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고휘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발광 소자로 마련될 수 있으나, 광원(A)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빛을 발생시켜 광 입력부(110)에 빛을 입력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광원(A)에는 광 입력부(21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부(212)는 광원(A)으로부터의 빛을 입력 또는 차단하거나 광 입력부(212)에 입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입력부(212)에 광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빛만이 선택적으로 광 입력부(212)에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 입력부(212)에는 광 저장부(21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 저장부(214)는 광 입력부(212)에 입력된 빛을 저장할 수 있다.
광 저장부(214)의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빛을 저장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결국 광원(A)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광 입력부(212)를 통하여 광 저장부(21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광 저장부(214)는 추후 빛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제어부(218)로부터 빛을 출력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광 저장부(214)에 저장되어 있는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저장부(214)는 광을 저장 및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된 광 저장부(214)에는 광 출력부(21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216)는 광 저장부(214)에 저장된 빛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 출력부(216)는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필터 등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빛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전술된 광 입력부(212), 광 저장부(214) 및 광 출력부(216)의 구동은 제어부(218)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8)는 광 저장 유닛(210) 내에서 빛을 저장하고 저장된 빛을 활용하는 일련의 기능들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저장 유닛(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광원(A)으로부터의 빛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광 저장부(214)에 저장된 빛을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 출력부(216)에서의 빛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빛의 필터링 또는 안전화 등 광 저장 유닛(210)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8)는 복수 개의 모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모드는 유지 모드(A), 저장 모드(B) 및 출력 모드(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모드(A)는 광 저장 유닛(210)의 기본 모드에 해당되며, 유지 모드(A)에서는 광 입력부(212), 광 저장부(214) 또는 광 출력부(216)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드(B)는 광 저장부(214)에 빛이 저장되는 모드로서, 유지 모드(A)에서 저장 모드(B)로 전환되거나, 저장 모드(B)에서 유지 모드(A)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입력부(212)에는 제1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서 임계치 이상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유지 모드(A)에서 저장 모드(B)로 전환되고, 제1 광량 측정 센서에서 임계치 미만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저장 모드(B)에서 유지 모드(A)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모드(C)는 광 출력부(216)에서 빛이 출력되는 모드로서, 유지 모드(A)에서 출력 모드(C)로 전환되거나, 출력 모드(C)에서 유지 모드(A)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광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유지 모드(A)에서 출력 모드(C)로 전환되고, 광 출력부(130)를 통하여 빛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외부에서 광 출력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출력 모드(C)에서 유지 모드(A)로 전환되거나 유지 모드(A)에서 출력 모드(C)로 전환되지 않고, 광 출력부(130)를 통하여 빛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력 모드(C)에서 광 출력부(216)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광 출력부(216)에는 제2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출력 모드(C)에서 광 출력부(216)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입력부(212) 및 광 출력부(216)에 구비된 광량 측정 센서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입력부(212)에 구비된 제1 광량 측정 센서는 제어부(218)의 모드 전환에 영향을 미치고 광 출력부(216)에 구비된 제2 광량 측정 센서는 광 출력부(216)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저장하였다가 추후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빛을 활용할 수 있는 광 저장 유닛을 구비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량이 부족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색의 왜곡 및 어두움 또는 낮은 대조도 등과 같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광원의 구동에 전력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220)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 내에 포함되어, 내시경 렌즈 모듈(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220)은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100)의 접안렌즈(미도시)에 맺히는 상을 디지털화하여 프로세서 유닛(2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유닛(220)은 CCD 센서(charge coupled device sensor) 또는 CMOS 센서(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senso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CCD 센서는 전송전극에 의하여 반도체 표면에 만들어진 전위의 우물을 사용하여 신호전하를 차례로 전송하는 소자를 말하고, 상기 CMOS 센서는 상보성 금속산화막 반도체를 이용한 고체 촬상 소자를 말한다.
또한, 카메라 유닛(220)으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내시경 렌즈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유닛(240)은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스토리지 유닛(240)은 추후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연결되면 영상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유닛(250)은 카메라 유닛(220)에서 영상화된 정보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310)과 연동하여 의료 영상의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유닛(250)은 카메라 유닛(220)에서 영상화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320)와 연동하여 사용자, 관찰자 및 환자와 함께 관찰 및 공유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250)은 Wi-Fi, Wi-Fi Direct, Ultra Wide Band, L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유닛(250)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고화질의 영상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 유닛(260)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유닛(260)은 카메라 제어부, 디스플레이 제어부, 네트워크 제어부, 이미지 제어부 및 스토리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260)은 모든 기능을 총괄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카메라 유닛(220)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의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카메라 유닛(220)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영상화하고, 영상을 캡쳐 또는 녹화하고, 상기 스토리지 제어부는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이용하여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의 전원, 화면 캡쳐(화면 멈춤), 녹화 시작/멈춤, 무선 통신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버튼(B)으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B)을 누름으로써 수월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버튼은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켜고 끄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연결 버튼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310)과 외부 디스플레이(320)와 같은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연결시키는 기능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이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와 연결 중에는 디스플레이 유닛(230)과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23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의 외부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캡쳐 버튼과 녹화 시작/멈춤 버튼은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과의 연결 유무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70)에 의하여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10)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 내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작동시키기 위해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거치대(S)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S)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내에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을 장착하게 되면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 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 내 배터리가 충전되면서, 동시적으로 광원을 활용하여 광 저장 유닛(210)의 광 저장부(214)에 빛이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에는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은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가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과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 사이에는 유선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의사가 진료를 수행할 때 의사들의 동선 확보에 용이하다.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30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310)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310)은 의료 영상정보의 저장, 판독 및 검색 기능 등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310)은 X선, CT, MRI, PET, SPECT 등에 의해 촬영된 모든 방사선 검사 결과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 촬영과 동시에 대용량 기억장치에 저장시켜 영상의학과 전문가가 모니터를 통해 판독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320)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30)과 동시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시경 어댑터 모듈(200)과 외부 디스플레이(320)가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된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320)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를 통해 원격으로 진단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100: 내시경 렌즈 모듈
200: 내시경 어댑터 모듈
210: 광 저장 유닛
212: 광 입력부
214: 광 저장부
216: 광 출력부
218: 제어부
220: 카메라 유닛
230: 디스플레이 유닛
240: 스토리지 유닛
250: 무선통신 유닛
260: 프로세서 유닛
270: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300: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
310: PACS 시스템
320: 외부 디스플레이

Claims (8)

  1.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내시경 렌즈 모듈;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을 통한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내시경 어댑터 모듈; 및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에 연동되어 상기 영상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은 광 저장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광 저장 유닛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빛을 저장하거나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 출력할 수 있고,
    상기 광 저장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이 입력되는 광 입력부;
    상기 광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빛이 저장되는 광 저장부; 및
    상기 광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 저장부에 저장된 빛이 출력되는 광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 입력부에는 제1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서 임계치 이상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광 저장부에서 빛이 저장되고,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 의해 임계치 미만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광 저장부의 구동이 유지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저장 유닛은,
    상기 광 입력부, 상기 광 저장부 또는 상기 광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모드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모드는,
    상기 광 저장부 또는 상기 광 출력부의 구동이 유지되는 유지 모드;
    상기 광 저장부에 빛이 저장되는 저장 모드; 및
    상기 광 출력부에서 빛이 출력되는 출력 모드;
    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서 임계치 이상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유지 모드에서 상기 저장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광량 측정 센서에 의해 임계치 미만의 광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저장 모드에서 상기 유지 모드로 전환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부에는 제2 광량 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광량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광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은,
    상기 내시경 렌즈 모듈에서 획득된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유닛;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내시경 어댑터 모듈의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영상화하고, 영상을 캡쳐 또는 녹화하는 이미지 제어부; 및
    캡쳐된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의 저장을 제어하는 스토리지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모듈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KR1020150088185A 2015-06-22 2015-06-22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KR10173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185A KR101735929B1 (ko) 2015-06-22 2015-06-22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185A KR101735929B1 (ko) 2015-06-22 2015-06-22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353A KR20160150353A (ko) 2016-12-30
KR101735929B1 true KR101735929B1 (ko) 2017-05-15

Family

ID=5773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185A KR101735929B1 (ko) 2015-06-22 2015-06-22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2689A (ja) 2009-07-10 2012-12-20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一体化された遠位端視覚化部を有する手持ち式の最小寸法にされた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2689A (ja) 2009-07-10 2012-12-20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一体化された遠位端視覚化部を有する手持ち式の最小寸法にされた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353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893B2 (en) Imaging apparatus
US816465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US9439554B2 (en) Endoscope having connector part with output selector
US201900829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2022388A1 (en) Endoscope apparatus
WO2018079329A1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
JP5933868B1 (ja) 制御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2009039431A (ja)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US10574934B2 (en) Ultrasound observation device, operation method of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6104386A1 (ja) 調光装置、撮像システム、調光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調光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KR101651604B1 (ko) 치과용 구강 검사 시스템
KR101596417B1 (ko) 모바일 내시경 장치
US10729309B2 (en) Endoscope system
US104624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70280037A1 (en) Imaging system
KR101735929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US10188266B2 (en) Endoscopic imaging device for reducing data amount of image signal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US9832411B2 (en) Transmission system and processing device
JP2017123997A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処理装置
WO2020217541A1 (ja) 光源ユニット
JP3795207B2 (ja) 拡大観察ユニット
WO2018079387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107806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