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18B1 -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18B1
KR101788818B1 KR1020170027974A KR20170027974A KR101788818B1 KR 101788818 B1 KR101788818 B1 KR 101788818B1 KR 1020170027974 A KR1020170027974 A KR 1020170027974A KR 20170027974 A KR20170027974 A KR 20170027974A KR 101788818 B1 KR101788818 B1 KR 10178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terminal
sensing
endoscop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천
Original Assignee
안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천 filed Critical 안명천
Priority to KR102017002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를 관찰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으로서, 충전 크래들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몸체부,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 카메라,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WIRELESS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영상을 전송함으로서 의료진이 편리하게 진단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포터블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무선 촬상 및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촬상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무선 촬상 및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를 촬상하기 위한 의료용 촬상 및 출력장치가 개발되어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용이하게 촬상하여 모니터로 출력시킴으로써 환부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그 화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의료용 촬상 및 출력장치는 촬상장치와 출력장치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환부의 위치가 입속이나 요도계통 등 촬영이 매우 난이한 지점인 경우에는 휴대가 불편한 유선 광케이블로 인해 촬영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문제점 등 동선의 제약과 기기의 배치공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부 기술의 경우에는 촬영된 이미지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무선으로 전송되는 진단용 영상의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선명한 진단용 영상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영상 디스플레이의 지연, 내시경 초점을 무거운 광학커플러로 수동으로 한다는 점, 데이터를 수동으로 전송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몸체부;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 카메라;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료 진단을 위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료 진단을 위하여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켜 높은 품질의 진단용 영상을 디스플레이의 지연없이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충전 크래들(13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충전 크래들(1300)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탈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110, 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내시경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캡쳐 명령에 대응하여 분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충전 크래들(13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영상 촬영 장치(1200), 충전 크래들(1300) 및 영상 관리 장치(140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의 구성들 중에서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구분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 장치(1200)를 제외한 충전 크래들(1300) 및 영상 관리 장치(1400)에 구비되는 세부 구성에 대한 식별번호에 대해서는, 식별번호 뒤에 '를 병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영상 관리 장치(1400)에 모두 무선통신부(110)을 구비하고 있으나, 영상 촬영 장치(12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부는 110으로, 영상 관리 장치(14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부는 110'으로 구분하여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먼저 영상 촬영 장치(1200)의 구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는 무선통신부(110), 센싱부(14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영상 촬영 장치(1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영상 촬영 장치(1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통신부(11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영상 관리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영상 촬영 장치(1200) 내 정보, 영상 촬영 장치(1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 촬영 장치(12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 촬영 장치(1200)는 내시경 카메라(121)와 인접하도록 센싱부(140)를 구비하고, 내시경 카메라(121)가 촬영하고 있는 환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40)는 환부 촬영에 적합하도록 적외선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환자 환부의 온도를 상기 영상 관리 장치(1400)를 통하여 출력하여, 진료 시 환자 환부에 대한 영상과 함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싱부(140)는 레이저 센서를 통하여 환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180)는 이러한 측정 결과를 더 참조하여 기존의 실험에 의해서 측정된 DB와 회귀식을 기반으로 30cm 이내에서 온도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7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70)에 저장되고, 영상 촬영 장치(1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영상 촬영 장치(1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영상 촬영 장치(1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영상 촬영 장치(12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영상 촬영 장치(12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hdi, WirelessHD 등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영상 촬영 장치(1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영상 관리 장치(1400)(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영상 촬영 장치(1200) 내 정보, 영상 촬영 장치(1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장치(12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영상 촬영 장치(1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한편, 내시경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 촬영 장치(1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영상 촬영 장치(1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충전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시경 카메라(121)는 환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의 깊숙한 곳을 촬영하기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카메라(121)에 인접하도록 광입력부(2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광입력부(204)를 통하여 빛이 입력되면, 내시경 카메라(121)가 촬영되는 환부를 비추도록 입력된 빛의 경로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카메라(121)는 카메라 탈착부(203)의 조작에 의해서 몸체부(201)로부터 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201)는 전체적인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1)는 권총 형태로 형성되어, 진료하는 사람이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0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1)의 밑단에는 받침부(205)를 형성하여, 진료하는 사람이 바닥에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를 내려놓더라도, 안정적으로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크래들(1300)은 상기 몸체부(201, 또는 몸체부의 밑단에 형성된 받침부(20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301) 내부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와 통신하거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극단자(302)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302)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크래들(1300)은 센싱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센싱부(140) 또는 충전 크래들(1300)의 센싱부(140')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몸체부(201)가 충전 크래들(1300)의 수용부(301)에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충전 크래들(1300)이 결합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은,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충전 크래들(1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개념도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 장치(1200)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은 영상 관리 장치(1400)에 전송되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영상 관리 장치(1400)는 무선통신부(110'), 메모리부(17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상술한 영상 촬영 장치(1200)의 무선통신부(110)과 연결되어,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촬영한 영상을 전달 받기 위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머지 메모리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의 동작과 기능은 상술한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의 그 것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 및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충전 크래들(1300)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자동 기능 수행에 대하여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1200)가 충전 크래들(1300)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501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센싱부(110, 110')를 통하여 몸체부(201)가 충전 크래들(1300)에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02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판단된 탈착 여부에 따라서 S503 단계, 또는 S504 단계로 선택적으로 진입한다.
결합되어 있다가 탈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S503 단계로 진행하여 비활성화 되어 있던 내시경 카메라(121)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고, S504 단계에서 내시경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부(170)에 저장하거나 영상 관리 장치(1400)로 전송한다. 그 후, 다시 S501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탈거되어 있다가 결합되는 것으로 판된되면 제어부(180)는 S505 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을 영상 관리 장치(1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영상 관리 장치(1400)의 전원공급부(19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서 활성화 되어 있던 내시경 카메라(121), 광원을 비활성화(off)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탈착여부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도 6에서는 탈착여부의 감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탈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110, 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되기 전 (a) 및 결합된 후 (b)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받침부(205)에 제 1 전극(601)을 형성하고, 충전 크래들(1300)에는 제 2 전극(602, 상술한 전극단자(302))을 형성하여 상기 탈착을 감지하도록 제안한다. 제 1 및 제 2 전극(601, 602)는 포고핀(pogo pin, spring pin)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어느 하나의 전극이 암 포고핀으로 형성되면, 다른 하나의 전극이 수 포고핀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전극(601)은 제 1 내지 제 3 단자(601-1 내지 60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극(602)은 제 4 내지 제 6 단자(602-1 내지 60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단자(601-1 내지 601-3)는 순서대로, 제 1 접지 단자, 제 1 센싱 단자 및 제 1 전압 단자로 구분될 수 있다. 제 4 내지 제 6 단자(602-1 내지 602-3)는 순서대로, 제 2 접지 단자, 제 2 센싱 단자 및 제 2 전압 단자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 크래들(1300)에 구비되는 제 2 전압 단자(602-3)와 제 2 접지 단자(602-1) 사이에는 소정 전압이 유지됨으로서 영상 촬영 장치(1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200)의 제 1 전압 단자(601-3) 및 제 1 접지 단자(601-1)는 상기 제 2 전압 단자(602-3)와 제 2 접지 단자(602-1)와 각각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 촬영 장치(1200)에 구비되는 제 1 단자(601)에서 제 1 센싱 단자(601-1)와 제 1 전압 단자(601-2)를 연결(단락)시키고, 제 2 센싱 단자(602-2)와 제 2 전압 단자(602-3)와의 전압 차이를 감지하여 탈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안한다.
제 1 센싱 단자(601-1)와 제 1 전압 단자(601-2)가 단락된 상태에서 제 1 전극(601), 제 2 전극(602)이 접촉될 경우, 상기 제 2 전압 단자(602-3), 제 1 센싱 단자(601-1)와 제 1 전압 단자(601-2) 모두 동일 전압을 갖게 된다. 또한, 제 1 센싱 단자(601-2)와 제 2 센싱 단자(602-2) 역시 접촉하기 때문에 결국 제 2 센싱 단자(602-2)와 제 2 전압 단자(602-3)의 전압이 동일해지게 된다. 결국, 상기 구조 상에서 제 2 센싱 단자(602-2)와 제 2 전압 단자(602-3)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였을 때, 전압 차이가 소정 값 이상 유지될 경우에는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충전 크래들(1300)간의 결합 해제된 상태이며, 제 2 센싱 단자(602-2)와 제 2 전압 단자(602-3) 사이의 전압 차이가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질 때에는 영상 촬영 장치(1200)와 충전 크래들(1300)간의 결합되어 있는 상태라고 결론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크래들(1300)의 제 2 센싱 단자(602-2)와 제 2 전압 단자(602-3) 사이에 비교기(미도시)를 설치하고,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탈착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내시경 카메라(12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에서 이미지가 없는 부분을 인식하고, 인식된 부분을 제외시킴으로서 실제 촬영된 영상만을 화면 전체에 꽉 채워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내시경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a)는 내시경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701)을 도시한다. 2.7 ~ 5.0 Φ 직경의 내시경은 화각의 차이와 기본 구경의 차이로 인해 모니터화면 에서 보여질때, 사이즈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된 영상(701)의 외각은 검은색으로 출력되는 외각 영역(703)이 출력된다.
하지만, 실제 의료 전문가가 상기 내시경 영상을 확인할 때, 중앙 영역(702) 부분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 관리 장치(1400) 상에서 출력되는 영상(704) 상에서 상기 외각 영역(703)을 제외한 중앙 영역(702)만을 편집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따라서, 이부분을 영상처리를 통해 모니터에 최대한 적합한 사이즈로 화면을 리사이징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진료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본 5가지 사이즈를 기설정해 놓고, 사용자의 버튼 입력 조작에 대응하여 적합한 사이즈를 상기 영상 관리 장치(140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촬영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냅샷(캡쳐 화면)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캡쳐 화면이 누적됨에 따라서 적절한 분할화면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캡쳐 명령에 대응하여 분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캡쳐 버튼(도 2의 206)을 더 구비하고 해당 캡쳐 버튼(206)이 눌림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영상의 캡쳐 화면을 저장하되, 저장된 캡쳐 화면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8 (a)를 참조하면, 캡쳐 버튼(206)이 1회 입력되었을 때 캡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 (b)를 참조하면, 캡쳐 버튼(206)이 2회 입력되었을 때 캡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 (c)를 참조하면, 캡쳐 버튼(206)이 3회 입력되었을 때 캡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 (d)를 참조하면, 캡쳐 버튼(206)이 r회 입력되었을 때 캡쳐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캡쳐 버튼(206)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따로 분할할 필요 없이 캡쳐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면 될것이다.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 캡쳐 버튼(206)이 입력되는 경우, 첫 번째 캡쳐 화면과 비교하기 위하여, 첫 번째와 두 번째 캡쳐화면을 함께 출력하는 2분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회 캡쳐 버튼(206)이 입력되는 경우, 두 번째 캡쳐 화면과 세 번째 캡쳐 화면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번째와 세 번째 캡쳐화면을 함께 출력하는 2분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회 캡쳐 버튼(206)이 입력되는 경우,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캡쳐 화면을 모두 비교하기 위하여,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캡쳐 화면을 모두 출력하는 4분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몸체부;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 카메라;
    상기 내시경 카메라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환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내시경 카메라 및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탈착 가능한 충전 크래들;
    상기 충전 크래들에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크래들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력을 충전하고 동시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영상 관리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영상 관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송 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면서, 실시간 출력되는 영상과 함께 상기 측정한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관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의 외각에 검은색으로 출력되는 외각 영역을 제거되도록 편집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 크래들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어 있다가 탈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활성화 되어 있던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영상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 크래들에 상기 몸체부가 탈거되어 있다가 결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을 상기 영상 관리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전력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활성화에서 비활성화로 전환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제 1 접지 단자, 제 1 센싱 단자 및 제 1 전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크래들에는 제 2 접지 단자, 제 2 센싱 단자 및 제 2 전압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압 단자(602-3)와 제 2 접지 단자(602-1) 사이에는 소정 전압이 유지되고, 상기 제 1 전압 단자(601-3) 및 상기 제 1 접지 단자(601-1)는 상기 제 2 전압 단자(602-3)와 상기 제 2 접지 단자(602-1)와 각각 접촉되어, 상기 충전 크래들로부터 상기 전원공급부에게 전력을 공급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센싱 단자와 상기 제 1 전압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 단자와 상기 제 2 전압 단자 사이에 전압 비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비교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제 2 센싱 단자와 상기 제 2 전압 단자 사이에 전압 차이가 소정 값 이내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상기 충전 크래들에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압 차이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몸체부의 일단이 상기 충전 크래들에 탈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는 부위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시스템.
KR1020170027974A 2017-03-03 2017-03-03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KR10178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74A KR101788818B1 (ko) 2017-03-03 2017-03-03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74A KR101788818B1 (ko) 2017-03-03 2017-03-03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818B1 true KR101788818B1 (ko) 2017-10-20

Family

ID=6029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74A KR101788818B1 (ko) 2017-03-03 2017-03-03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308A (ko) * 2017-11-01 2019-05-09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재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8188A (ja) * 2005-01-25 2008-07-31 アラク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体腔に治療を提供する光学的治療装置、システム、キット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8188A (ja) * 2005-01-25 2008-07-31 アラク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体腔に治療を提供する光学的治療装置、システム、キットおよ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308A (ko) * 2017-11-01 2019-05-09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재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041114B1 (ko) 2017-11-01 2019-11-07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재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KR102299930B1 (ko) * 2019-03-22 2021-09-09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976B1 (ko)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31213A1 (en) Portable inspection system
KR101725712B1 (ko)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CN101081162A (zh) 胶囊式内窥镜系统和图像处理设备
KR100941125B1 (ko) 휴대용 구강 촬영 장치
KR101788818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JP5639312B2 (ja) 検査情報管理装置及び検査情報管理システム
WO2018074223A1 (ja) 内視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87937A (ja) 放射線画像検出確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確認プログラム
KR101158100B1 (ko) 엑스레이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레이 측정시스템
US8001373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WO2012165299A1 (ja) 受信装置及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
JP2006239053A (ja) ラジオカプセル及びラジオカプセルシステム
JP6378608B2 (ja) 受信ユニット、およびアンテナユニット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JP6293032B2 (ja) バッテリ管理装置
US20220377227A1 (en) Uterine cerv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WO2023210337A1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23286256A1 (ja) 検査レポート作成プログラム、検査レポート作成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2572733B1 (ko) 의료 진단 장치
JP4418327B2 (ja) 受信装置および医療装置
KR20220070746A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능과 멸균 기능이 내장된 포터블 내시경 장치
JP2023161556A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TWM628112U (zh) 具測溫功能之檢測裝置
EP4355191A1 (en) Medical visualisation device with programmable butt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