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12B1 -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12B1
KR101725712B1 KR1020160000506A KR20160000506A KR101725712B1 KR 101725712 B1 KR101725712 B1 KR 101725712B1 KR 1020160000506 A KR1020160000506 A KR 1020160000506A KR 20160000506 A KR20160000506 A KR 20160000506A KR 101725712 B1 KR101725712 B1 KR 10172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unit
image information
nystagmus
ey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712B1/ko
Priority to US15/776,969 priority patent/US11129567B2/en
Priority to PCT/KR2016/015352 priority patent/WO2017119659A1/ko
Priority to EP16884042.9A priority patent/EP3446622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3Measuring or inducing nystag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니터부(3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안구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모니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진 검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A PORTABLE INSPECTING DEVICE FOR NYSTAGMUS}
본 발명은 고글 형태의 본체에 피검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제한 없이 안진 검사가 가능한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진이란, '안구진탕(Nystagmus)'을 의미하며 무의식적이고 빠른 눈의 리듬감 있는 운동을 말한다. 이러한 안진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특정한 조건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생리적 안진이라고 한다. 하지만, 안구, 신경, 뇌 등의 선청성 또는 후천성의 병변으로 일어나는 병적인 안진도 있다. 이러한 안진을 검사하는 것은 환자의 기관 장애의 임상 조사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 수단이며, 오래전부터 안진 기록, 관찰, 검사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의료업계에서 사용되는 안진 검사 장치는 피검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고글과, 상기 고글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여 피검자의 안진을 검사하며, 이러한 안진 검사 장치에 관한 그 대표적인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피검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양쪽 안구 모두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 유연성, 가소성 재질의 본체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해 양측 고정단에 결합된 헤어밴드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서 환자의 안구를 향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센서를 이용한 비디오 촬상소자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의 복수개의 장착 구멍에 결합된 환기수단과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안하고,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의 슬라이딩 홈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힌지결합부위에 의해서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프레임커버를 포함하여, 피검자의 양쪽 안구를 한 개의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로 관찰 및 촬영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개시된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상기 장착프레임의 안쪽에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비디오 촬상소자가 결합되어 있어서, 양쪽 안구를 한 개의 비디오 촬상소자만으로 모두 관찰 및 기록할 수 있어 시스템 구성요소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상기 본체와 별도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설비가 구비된 장소에서만 안진 검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피검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안구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동시에 구비한 안진 검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75182호 (2004. 08. 2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본체에 피검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진 검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에 피검자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안구 화상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안진 검사 시에 피검자의 고개 돌림이나 상체를 숙이는 등의 피검자의 자세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피검자의 안구 화상 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1)는,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니터부(30); 및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안구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모니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동작정보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는 센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와 동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와 동작정보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80)가 구비되되, 상기 무선통신부(80)에 대응하는 단말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컨트롤러(1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의 소정구간을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영상을 피검자의 동작정보와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시작한 시점이며, 상기 소정구간의 끝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완료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에 의하면, 피검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진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검자의 자세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센서부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 화상정보 및 자세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여 안진 검사 후 사용자가 피검자의 안진 상태를 재차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다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제어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안진 검사의 각 동작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01-1, 701-2, 702-1 및 702-2)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눈의 위치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번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톱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의 제어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니터부(30); 및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안구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모니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 되어 피검자의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되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된 씰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씰링은 실리콘고무, 에폭시 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등과 같은 유연선, 가요성 재질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면에 완전히 밀착하여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를 피검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무줄과 같은 신장 가능한 헤어밴드(11)를 구비하여 안진 검사 중 체위성 검사 등과 같은 동적인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체위성 검사는 피검자의 안진을 검사하기 위한 방식 중 하나이며 고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거나 피검자를 눕히고 세우는 동작을 했을 때 안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방식이다. 이는 의료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안진 검사의 방식 중 하나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착용 시에 피검자의 안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카메라부(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20)는 피검자의 안구에 맞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어두운 환경에서 피검자의 안구운동을 촬영할 수 있는 소형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진촬영과 녹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검자의 안구운동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착용 시에 피검자의 안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모니터부(30)가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부(30)는 상기 본체(10)의 프레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되,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에서 피검자의 눈이 정위치 또는 정방향으로 보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모니터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20)에서 획득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30)의 확대, 축소 기능은 좌측과 우측 모니터부(30)가 따로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모니터부(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부(30)를 직접 터치하여 일련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원공급부(5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부(20)와 모니터부(30) 등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상기 본체(10)에 내장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10)에 커넥터를 구비하고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거나,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동작정보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는 센서부(60)와,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와 동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6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1) 내 정보 또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1)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피검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60)는 중력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10)는, 이러한 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체위성 검사를 할 때에 피검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한다.
더불어, 상기 센서부(60)는 상기 본체(10)에 내장되도록 구비되되 한 쌍의 카메라부(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피검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숙이는 동작을 더욱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메모리부(70)가 내장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70)는 상기 제어부(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부(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상기 센서부(6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의 소정구간을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영상을 상기 센서부(60)가 감지한 피검자의 동작정보와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하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시작한 시점이며, 상기 소정구간의 끝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완료한 시점으로 한다. 여기서, 체위성 검사는 피검자가 누운 상태에서 고개를 좌로 돌리는 제1동작과, 우로 돌리는 제2동작, 앉은 상태에서 뒤로 눕는 제3동작 및 누운 상태에서 고개를 뒤로 젖히는 제4동작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체위성 검사는 전술한 동작 외에도 더 있으나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 가지 동작만 개시하나, 이러한 동작은 다양하게 변경,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안진 검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고개를 돌릴 시, 각도는 좌로 90°, 우로 90° 정도의 각도 회전이 요구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안진 검사의 각 동작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01-1, 701-2, 702-1 및 702-2)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진 검사시에는 피검자가 바닥이나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왼쪽/오른쪽으로 90°정도 고개를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이 소정 각도 이상 확보되지 못할 경우, 안진 검사가 부정확해 질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회전이 소정 각도 이상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모니터부(30)에 더 표시하도록 제안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는 모니터부(30)에 우로 돌리는 각도를 나타내는 제 1 회전인디케이터(701-1) 및 좌로 돌리는 각도를 나타내는 제 2 회전인디케이터(701-2)를 표시한다.
제 1 및 제 2 회전인디케이터(701-1 및 701-2)는, 0° ~ 90°의 범위를 가지고 소정 각도 간격(예를 들면, 15° 간격으로)으로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 피검자의 고개가 우로 회전 시(도 8 (a)상태에서 (b)상태), 상기 출력되는 제 1 회전인디케이터(701-1) 상에 회전된 각도를 지시하는 제 1 회전기록바(702-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피검자의 고개에 대한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회전하는 각도가 실시간으로 제 1 회전기록바(702-1)를 통하여 출력 가능할 것이다. 한편, 고개가 오른쪽으로 회전한 후 다시 정면으로 복귀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 1 회전기록바(702-1)는, 그대로 유지하여, 가장 많이 회전한 각도 상태를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피검자의 고개가 좌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출력되는 제 2 회전인디케이터(701-2) 상에 회전된 각도를 지시하는 제 2 회전기록바(702-2)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인디케이터(701-1 및 701-2)는, 안진 검사 시 피검자가 고개를 최대 회전시킨 각도를 지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인디케이터(701-1, 701-2)를 확인하여, 피검자는 오른쪽으로 45° 밖에 회전시키지 않았으며, 왼쪽으로는 75°밖에 회전시키지 않았음을 확인(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검자의 부족한 회전 각도를 인지하여, 90° 까지 완전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피검자에게 안내하여 올바른 안진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피검자의 안면에 고정한 후 상기 제1동작을 실시하면 상기 센서부(60)는 피검자의 고개를 좌로 돌리는 동작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60)에서 수신한 피검자의 제1동작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제1동작 감지를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정구간의 끝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 대응하는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잘라내어 별도의 영상으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한다.
또한, 피검자가 상기 제2동작을 실시하면 상기 센서부(60)는 피검자의 상체와 고개를 우로 돌리는 동작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60)에서 수신한 피검자의 제2동작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제2동작 감지를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정구간의 끝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 대응하는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잘라내어 별도의 영상으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한다.
더불어, 피검자가 안진 검사에 필요한 다른 제3동작 또는 제4동작을 실시할 때도 상기 제1동작과 제2동작과 동일한 과정으로 별도의 영상으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다. 상기 제3동작으로는, 피검자가 침대 등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눕는 동작(따라서, 피검자의 고개는 뒤통수 방향으로 90도 가량 회전됨)일 수 있다. 그리고 제4동작은, 상기 제3동작에 이어서, 누운 상태에서 고개를 뒤로 젖히는 동작(약 60도 가량)일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동작 내지 제4동작에 대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가 별도의 영상으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되면 상기 모니터부(30)에 각 동작에 따른 제1동작 아이콘(A1), 제2동작 아이콘(A2), 제3동작 아이콘(A3), 제4동작 아이콘(A4)이 생성된다. 상기 아이콘(A1, A2, A3, A4)은 상기 제1동작 내지 제4동작에 대응하여 소정구간으로 잘라내어 별도로 저장된 영상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표시되며, 상기 아이콘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60)가 감지한 피검자의 동작정보를 의미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피검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이 별도로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분류 피검자의 동작 제어부의 처리과정
제1동작 고개를 좌로 돌림 제1동작의 시작과 끝에 대응하는 영상을 잘라내어 메모리부(70)에 저장하고, 모니터부(30)에 제1아이콘(A1) 표시
제2동작
고개를 우로 돌림
제2동작의 시작과 끝에 대응하는 영상을 잘라내어 메모리부(70)에 저장하고, 모니터부(30)에 제2아이콘(A2) 표시
제3동작 앉은 상태에서 누움 제3동작의 시작과 끝에 대응하는 영상을 잘라내어 메모리부(70)에 저장하고, 모니터부(30)에 제3아이콘(A3) 표시
제4동작 누운 상태에서 고개를 뒤로 젖힘 제4동작의 시작과 끝에 대응하는 영상을 잘라내어 메모리부(70)에 저장하고, 모니터부(30)에 제4아이콘(A4) 표시
또한, 상기 모니터부(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시에 상기 모니터부(30)에 표시된 아이콘(A1, A2, A3, A4)을 누르면 상기 아이콘의 형상에 해당하는 피검자의 동작정보와 대응하는 안구화상정보가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콘의 크기나 위치는 사용자가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관찰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 및 자세정보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80)가 구비되되, 상기 무선통신부(80)에 대응하는 단말기(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80)는 상기 본체(10)와 사용자의 단말기(9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80)는, 상기 본체(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8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9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톱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되어,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안한다. 이때,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예를 들어 의료 전문가)가 피검자(환자)를 침대나 바닥 등에 누인 후, 피검자의 고개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안진 검사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촬영되는 피검자의 눈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를 조작하는 컨트롤러(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100)를 무선형태로 상기 본체(10)와 연결할 시에는 상기 컨트롤러(100)와 상기 제어부(4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20)의 사진촬영 기능과 녹화 기능과, 상기 모니터부(30)의 확대 또는 축소 및 명암조절 기능과,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8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90)로 전송하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인터페이스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베이스부(110)는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1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본체(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로 USB 포트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단말기(90)와 연결하게 되면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 피검자의 동작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된 안구화상정보 영상이 사용자의 단말기(9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90)로 전송된 영상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상기 모니터부(30) 상에서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피검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서, 고글 형상의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부(20)가 눈의 위치와 잘 맞지 않을 수도 있으며, 눈이 작은 사람의 경우 모니터부(30)을 통하여 출력되는 눈(700a, 700b)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피검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눈의 위치나 크기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출력해 주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더 제안하고자 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눈의 위치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모니터부(30)를 통하여 위치 조정 아이콘(902) 및 확대/축소 아이콘(901-1, 901-2)를 더 출력할 수 있다.
확대/축소 아이콘(901-1, 901-2)이란, 카메라부(20)를 통하여 촬영되는 눈의 크기를 확대/축소하기 위한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축소 아이콘(901-2)이 터치되는 입력(12a)이 수신되면, 제어부(40)는 출력되고 있는 눈(700b)의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제어(도 10 (a), (b) 및 (c) 순으로)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확대 아이콘(901-1)이 터치되는 입력(12b)이 수신되면, 제어부(40)는 출력되고 있는 눈(700b)의 크기를 확대시키도록 제어(도 11 (a), (b) 및 (c) 순으로)할 수 있다.
위치 조정 아이콘(902)이란, 고글 안쪽의 카메라부(20)의 상하좌우 위치(1201 내지 1204)를 조정(도 12 참조)하여, 피검자의 눈의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아이콘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진 검사 장치는 카메라부(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위치 조정 아이콘(902)의 상하좌우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터치되는 입력(12c)이 수신되면, 제어부(40)는 카메라부(20)의 위치를 터치되는 버튼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도록 모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오른쪽 버튼이 터치(12c)되면, 출력되는 눈(700b)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도록 카메라(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카메라부(2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된 모니터부(30)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모니터 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도 장소에 제한 없이 피검자의 안진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부(60)와 메모리부(70) 및 무선통신부(80)의 구성을 통해 체위성 검사에 따른 피검자의 안진상태와 자세 및 동작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90)로 송신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할 때에 피검자의 안진 검사를 재차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10: 본체
20: 카메라부 30: 모니터부
40: 제어부 50: 전원공급부
60: 센서부 70: 메모리부
80: 무선통신부 90: 단말기
100: 컨트롤러 110: 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고글(Goggle)형으로 구비되어 피검자의 시야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니터부(3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안구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모니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동작정보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는 센서부(60); 및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와 동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0)를 포함하되,
    상기 피검자의 동작정보는, 상기 피검자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40)가 수집한 피검자의 안구화상정보와 동작정보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80)가 구비되되, 상기 무선통신부(80)에 대응하는 단말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컨트롤러(1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6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의 소정구간을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영상을 피검자의 동작정보와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구간의 시작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시작한 시점이며, 상기 소정구간의 끝 지점은 상기 센서부(60)가 피검자의 동작 감지를 완료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진 검사 장치.
KR1020160000506A 2016-01-04 2016-01-04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KR10172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06A KR101725712B1 (ko) 2016-01-04 2016-01-04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US15/776,969 US11129567B2 (en) 2016-01-04 2016-12-27 Portable nystagmus examination device
PCT/KR2016/015352 WO2017119659A1 (ko) 2016-01-04 2016-12-27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EP16884042.9A EP3446622A4 (en) 2016-01-04 2016-12-27 PORTABLE NYSTAGMUS EXAMIN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06A KR101725712B1 (ko) 2016-01-04 2016-01-04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712B1 true KR101725712B1 (ko) 2017-04-10

Family

ID=5858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06A KR101725712B1 (ko) 2016-01-04 2016-01-04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29567B2 (ko)
EP (1) EP3446622A4 (ko)
KR (1) KR101725712B1 (ko)
WO (1) WO20171196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2284799B1 (ko) * 2020-03-05 2021-08-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안진 검사 장치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9720B (zh) * 2018-04-19 2023-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控装置及用视控装置控制终端的方法
CN108937844A (zh) * 2018-06-06 2018-12-07 苏州桑德欧声听觉技术有限公司 用于制造眼震测试移动终端的方法、移动终端
US10470657B1 (en) 2019-02-28 2019-11-12 Thomas E. Lister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a gaze nystagmus test
GB2586446A (en) * 2019-08-07 2021-02-24 Vui Diagnostic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ocular imaging
JP7449898B2 (ja) * 2021-05-10 2024-03-1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撮像装置、眼球運動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82A (ko) 2003-02-20 2004-08-27 한규철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KR20070027541A (ko) * 2004-04-01 2007-03-09 윌리엄 씨. 토치 눈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바이오센서, 커뮤니케이터, 및컨트롤러 및 그들의 사용 방법
US20080192202A1 (en) * 2004-11-01 2008-08-14 Christopher Paul Lewkowski Device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Ey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1259B2 (ja) * 1998-02-12 2006-09-13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眼球運動観察用装着具、視標投影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平衡機能検査装置
US20100268125A9 (en) * 2002-07-03 2010-10-21 Epley Research, L.L.C. Head-stabilized 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JP4124157B2 (ja) * 2004-04-23 2008-07-23 松下電工株式会社 めまい治療に用いることができる眼振計
US20080058681A1 (en) * 2006-08-30 2008-03-06 Casali Henry Eloy S Portable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patient's head during videonystagmography tests (VNG) or electronystagmography (ENG)
TWI387315B (zh) * 2010-06-29 2013-02-21 Acer Inc 用來觀看立體影像之快門眼鏡
US8879801B2 (en) * 2011-10-0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Image-based head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9301675B2 (en) * 2013-03-15 2016-04-05 Neuro Ki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testing procedures in objective ophthalmic eye testing for eye evaluation applications requiring subject compliance with eye fixation to a visual target
US20150005587A1 (en) * 2013-06-27 2015-01-01 Yinhong Qu Goggles for emergency diagnosis of balance disorders
CN104146684B (zh) * 2014-06-25 2016-03-30 兰州大学 一种眼罩式眩晕检测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82A (ko) 2003-02-20 2004-08-27 한규철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KR20070027541A (ko) * 2004-04-01 2007-03-09 윌리엄 씨. 토치 눈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바이오센서, 커뮤니케이터, 및컨트롤러 및 그들의 사용 방법
US20080192202A1 (en) * 2004-11-01 2008-08-14 Christopher Paul Lewkowski Device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Ey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102030266B1 (ko) 2018-02-27 2019-10-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20200067398A (ko) * 2018-12-04 2020-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2174241B1 (ko) * 2018-12-04 2020-1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US12076088B2 (en) 2018-12-04 2024-09-03 M.I.One Co., Ltd. Virtual reality-based portable nystagmography device and diagnostic test method using same
KR102284799B1 (ko) * 2020-03-05 2021-08-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안진 검사 장치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44493B1 (ko) * 2020-05-13 2021-12-29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659A1 (ko) 2017-07-13
US20180368763A1 (en) 2018-12-27
US11129567B2 (en) 2021-09-28
EP3446622A1 (en) 2019-02-27
EP3446622A4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12B1 (ko)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KR102296396B1 (ko) 비접촉 체온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471648B2 (ja) 眼球運動を測定する頭部装着可能デバイス
US20150045012A1 (en) Ophthalmic adapter for personal electronics
US8911090B2 (en) System for at-home eye movement monitoring
US20110176106A1 (en)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2039281B1 (ko) 구강 내시경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
KR102174241B1 (ko)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TW201400868A (zh) 頭戴式顯示器
US200801922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Eye
KR101580559B1 (ko) 의료 영상 및 정보 실시간 상호전송 및 원격 지원 장치
US20150005587A1 (en) Goggles for emergency diagnosis of balance disorders
US9888847B2 (en)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CN109758108A (zh) 一种ar眼镜式视觉功能检查装置
CN114615920A (zh) 子宫颈影像获取装置
CN104918574A (zh) 医疗用便携终端装置
KR101788818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JP4464144B2 (ja) 平衡機能診断システム
CN103888664A (zh) 摄像装置、摄像处理系统及摄像处理方法
CN213715886U (zh) 超声诊断系统
KR2017002499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KR102198356B1 (ko)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07215806A (ja) X線撮影装置
JP6444506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284799B1 (ko)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안진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