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182A -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182A
KR20040075182A KR1020030010654A KR20030010654A KR20040075182A KR 20040075182 A KR20040075182 A KR 20040075182A KR 1020030010654 A KR1020030010654 A KR 1020030010654A KR 20030010654 A KR20030010654 A KR 20030010654A KR 20040075182 A KR20040075182 A KR 2004007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ain body
eye
assembly
nystagm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철
Original Assignee
한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철 filed Critical 한규철
Priority to KR102003001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5182A/ko
Publication of KR2004007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의 정위치에 착용한 보안경 조립체를 벗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암시야와 명시야를 확보하여 편리하게 안구 운동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피검자의 머리(1)에 밀착되어 양쪽 안구 모두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 유연성, 가요성 재질의 본체(100)를 머리(1)에 고정하기 위해 양측 고정단(121)에 결합된 헤어밴드(120)와,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서 환자의 안구를 향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117)를 이용한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100)의 복수개의 장착 구멍(105)에 결합된 환기수단(150 ∼ 155)과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안하고,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슬라이딩 홈(116)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이 형성된 장착프레임(140)과, 상기 장착프레임(140)의 힌지결합부위(131)에 의해서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프레임커버(130)를 포함하여, 피검자의 양쪽 안구를 한 개의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로 관찰 및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GOGGLE ASSEMBLY FOR VIDEO NYSTAGMUS RECORDER}
본 발명은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생체공학 기술분야 중 전정기관 이상이나 어지럼증이 있는 환자의 안구운동, 안진(眼震)을 정확히 검사, 관찰, 기록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 전용 보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진은 '안구진탕(nystagmus)'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보통 양쪽 눈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특수한 조건 밑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것과 안구 ·신경 ·뇌 등의 선천성 또는 후천성의 병변으로 일어나는 병적인 것이 있다. 안구의 움직임과 방향 등에 의하여, 율동성 ·진자(흔들이) ·수평 ·수직 ·회전 ·집산(集散:양쪽 동공이 접근했다가는 멀어지는 것)·잠복(양쪽 눈을 뜨고 있을 때는 일어나지 않으나 한쪽 눈을 감으면 나타나는 것) 등이있으며, 후천성인 것은 그 원인을 제거하면 경감하거나 소실되지만, 선천성인 것은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다만, 환자의 안진에 대한 관찰 평가는 어떤 기관 장애의 임상 조사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 수단이므로, 수십 년 전부터 안진 기록, 관찰, 검사 등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여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들로는 일명, 전기 안진 기록법(ENG : Electro-Nystagmo-Graphy), 전기 안구도 기록법(EOG : Electro-Oculo-Graphy), 광전기 안진 기록법(PENG : Photo-Electro-Nystagmo-Graphy), 프렌젤 안경, 회전의자 등이 있다.
ENG와 EOG는 시정수의 사용유무로 구분가능하며, 동공의 망막과 각막사이의 고유 전위차(각막-망막 전위)를 이용하여 안구 운동을 기록하는 수단이다. 이런 ENG와 EOG는 전위측정시의 기준선 변화에 따라 안구 운동의 기록이 방해될 수 있는 전기 기술적 문제점을 갖고 있으면서, 매우 고가이고, 테스트가 복잡하며 검사의 반복성이 적고 낮은 예민도와 특이도, 그리고 검사시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전극을 붙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PENG는 적외선 카메라를 결합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안구의 운동을 추적하는 기술이다. PENG에서는 모니터를 통해서 안구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비디오 기록을 통해서 반영구적인 실제 안구 운동을 기록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 안진을 더욱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피부 준비나 전극 배치가 없어서 매우 편리하다. ENG가 각도 1°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것에 반해, PENG는 0.1°각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섬세한 안구 운동을 기록할 수 있으나, 안구를 개방된 상태로 테스트가 행해져야 하는 주요 단점을 갖는다.
프렌젤 안경은 광원이 내장된 +20디옵터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경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안구 운동을 기록(documentation)하거나 안구 운동을 직접 저장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회전의자는 병력의 문진과 진찰 및 청력검사 후 컴퓨터로 제어되는 회전의자에서 환자의 안구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들 종래 기술들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 구성과 함께 경제적인 운영이 불가능한 고가의 장치로서, 전기 기술적 문제점을 갖고 있거나 상대적으로 안구 운동을 기록 관찰 할 수 없는 경우(예 : 프렌젤 안경)가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구의 움직임과 방향 등을 용이하고 쉽게 감별할 수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단순 어지럼증 환자의 경우, 비교적 단순한 체위성 현훈이나 노인성의 어지럼증을 비롯한 전정신경염과 메니에르씨 질환이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를 이용할 경우 진단과 치료가 간단해지는 경우가 많다.
적외선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는 각종 해외 의료 논문에 198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1980년 10월, 의학잡지 'Br J Ophthalmol[64(12):923-5]'에서 안구진탕내의 회전 안구 운동 메커니즘(Mechanism of rotatory eye movements in opsoclonus)(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list_uids=7448146&dopt=Abstract)이 소개되어 있고, 그 초록에 개시된 내용 중에, '회전 안진은......, 비디오와 안구도 기록법을 결합한 수단에 의해서 분석된다(Rotatory nystagmus......, was analysed by means of combined video and electro-oculography)'라고 명기되어 있다.
또한, 1985년 4월 'Life Sci[36(17):1669-77]'에서 쥐의 동공 효과에 의한 오피오이드 구별(Differentiating opioids by their pupillary effects in the rat)(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list_uids=2985902&dopt=Abstract)의 초록 내용 중, '동공 크기는 마이크로 컴퓨터 데이터 처리장치와 기록 시스템에 온라인으로 연결된 적외선 비디오 동공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되었다(.....pupil size were measured by means of an infrared video pupillometer on line with a microcomputer data processing and storage system)'라고 표기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1988년에 대한민국에 출원하여 특허등록 받은 '특1992-00103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는 내부 표면을 관통하여 뚫려있는 제1구멍 및 제2구멍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구멍이 환자의 눈 주변에 꼭 맞게 되어 있는 중공의 제1 및 제2 접안 렌즈들(11, 12)과; 광차폐를 통해 모든 가시광이 환자의 안구에 부딪치지 못하게 하여 환자가 상기 제1 및 제2 접안 렌즈들(11, 12) 안 밖의 어떤 것도 보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접안 렌즈들의 제1구멍 주변에 결합된 차폐 부재들(13, 14)과; 상기 제1 및 제2 접안 렌즈들(11, 12)의 내부 표면에 배치되어 적외선 범위 스펙트럼의 에너지를 반사하고 분산시키는 반사 물질층(30)과; 비가시 스펙트럼 부위의 적외선 방사선을 환자의 안구에 방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접안 렌즈들(11, 12) 각각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접안 렌즈들의 내부 표면과 각각 소통하는 적외선 방사 부재들(17, 18)과; 안구의 수평, 수직, 경사 및 회전 운동의 반사된 적외선 상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구멍과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구멍(21)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접안 렌즈들(11, 12)에 결합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19)와; 케이블(29)과; 비디오 모니터(23)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4)로 구성되어 있어서 환자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며 동시에 전기 안진 검사법처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그래프로 안진을 표시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보안경 조립체(10)는 경첩식 연결기(16)와, 탄성 밴드(15)와, 가시부위 스펙트럼의 광을 환자의 안구에 방사하는 광원(31, 32)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언급한 각종 해외 논문과 종래 기술은 안구에 착용하는 보안경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양안을 모두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개의 접안렌즈들과 차폐부재와 비디오 카메라가 요구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무겁고 제작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에서 보안경 조립체는 외부 빛을 차단하기 위해 거의 원구에 가까운 접안 렌즈 구조와 차폐부재에 의한 거의 완전 밀폐형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안진을 관찰하는 도중에 환자의 눈 주변에서 땀이나 수분이 발생되어 환자를 매우 괴롭게 할 수 있으며, 안개 현상(fogging)이 접안렌즈 표면 내지 비디오 카메라 렌즈에 발생되기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경우, 환자는 눈을 찡그리게 됨으로 써, 거의 안구의 운동을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로 관찰하지 못할 수 있고, 안구 운동이 제대로 기록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에서는 환자가 힘들다고 말을 할 때마다 보안경 조립체를 벗어야 하고, 그때마다 안구의 축심을 촬영축에 일치시켜 보안경 조립체의 착용 위치를 재정비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는 보안경 조립체를 착용한 후에는 환자가 눈을 통해 주변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시야자극 검사를 할 수가 없을뿐더러 회전 안진의 경우 충분히 그래프 상에 높은 예민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결과를 얻기 어렵고 의사가 문진을 수행하거나, 환자가 움직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비디오 전자 안진 기록장치는 시각 고정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가시범위 광에너지원인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보안경 조립체의 접안 렌즈에 장착하고 있으나, 안구와 발광 다이오드가 매우 근접한 상태이므로, 환자가 발광 다이오드를 쳐다볼 때 의도하지 않은 생리적 안구 운동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정확한 안진 측정이나 시각 고정이 종래 기술에서처럼 실제적으로 실현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전정기관이상 검사 및 자극 기기가 2002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61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는 안구회전을 촬영하는 두 대의 적외선카메라와 이를 보조하는 두개의 촬영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 동적 촬영에 거추장스럽고 복잡해지며, 그만큼 안진반응화상촬영기의 구조와 하중이 증가됨으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식 프레임커버를 장착하여 머리의 정위치에 착용한 보안경 조립체를 벗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암시야와 명시야가 확보하여 편리하게 안구 운동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충분한 안구 운동 관찰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형상의 본체와 좌안과 우안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비디오 촬상소자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전체 하중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정적 및 동적 검사에서 안정적 안진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충분한 수의 환기수단을 본체에 장착하여 땀, 습기의 발생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 렌즈의 안개 현상(fogging)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외선/비디오 안진 기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부위를 절개한 우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에서 프레임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비디오 촬상소자
111 : 케이블 115 : 고정편
116 : 슬라이딩 홈 117 : CCD 센서
120 : 헤어밴드 121 : 양측 고정단
130 : 프레임커버 131 : 힌지결합부위
140 : 장착프레임 141 : 투명 렌즈
142 : 광차폐 패드 145 :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147, 147' : 삽착구멍 150 ∼ 155 : 환기수단
200 :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210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피검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양쪽 안구 모두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 유연성, 가요성 재질의 본체, 상기 본체를 머리고정하기 위해 양측 고정단에 결합된 헤어밴드, 상기 본체의 정면에서 환자의 안구를 향하는 CCD 센서를 구비한 비디오 촬상소자를 구비한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복수개의 장착 구멍에 결합된 환기수단과,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의 슬라이딩 홈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힌지결합부위에 의해서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프레임커버를 포함하여, 피검자의 양쪽 안구를 한 개의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로 관찰 및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부위를 절개한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에서 정면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조립체는 환자의 머리(1)에 착용되어서 환자의 안진을 비디오로 촬영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보안경 조립체는 실리콘고무, 에폭시 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등과 같은 유연성, 가요성 재질로서 사용자별 두개골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크기로 몰딩 성형된 본체(100)와, 본체(100)를 머리(1)에 고정하기 위한 고무줄과 같은 신장 가능한 헤어밴드(120)와, 본체(100)의 정면에서 환자의 안구를 향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117)를 구비한 비디오 촬상소자(11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우 이동 가능하게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결합한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보안경 조립체는 환자가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몸이나 머리(1)를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일 때 환자의 병력과 안구운동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체위성 검사 등과 같은 동적인 검사를 위해서, 헤어밴드(120)는 넓고 튼튼하여 동적인 검사에서 벗겨지거나 원래 위치에서 흐트러짐이 없어야 한다.
이와 함께 더욱 중요한 것은, 헤어밴드(120)의 잡아당기는 힘이 너무 강할 경우, 환자 머리(1)의 안면 근육을 과도하게 압박하게 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체(100)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환자 머리(1)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만일, 본체(100)의 정면 부위에 소정 무게를 갖는 어떠한 구성요소들이 배치결합될 경우, 정적 및 동적인 검사 시에 중력 모멘텀 내지 관성 모멘텀이 작용할 수 있고, 환자 머리(1)의 안면에 밀착되는 것이 불안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설계 시에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최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계 결합 및 배치구조가 요구된다.
이런 감안한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으로는 본체(100)의 정면에 결합된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에 프레임커버(130)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프레임커버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평판형 투명 렌즈(141) 및 광차폐 패드(142)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하며, 자중과 각종 모멘텀을 최소화시키도록 장착 프레임에서 한 개의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좌, 우 방향(r)으로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하고, 충분한 환기수단(150 ∼ 155)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최소한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정적 및 동적 하중(자중, 모멘텀 등)을 최소화여 착용감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두개의 안구를 한 개의 비디오 촬상소자(110)로 모두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프레임커버(130)를 개폐하기 때문에, 암시야 내지 명시야 상태에서 안구를 검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커버(130)를 열었을 때 완전 자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시각 정보를 고정시키는 시각 고정기(visual fixator), 체위성 현훈의 진단시 두부의 위치를 지시하는 인체 각도기 등에 대한 뛰어난 확장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개수로 장착된 환기수단(150 ∼ 155)을 통해서 외기를 받아드리는 숨쉬는 구조이므로, 식은땀(cold sweating)에 의해 안개 현상(fogging)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형상은 통상의 보안경과 같이 환자 머리(1)의 코 부위에 걸쳐 사용하는 유선형 테두리를 갖고 있으며, 헤어밴드(120)가 결합되는 양측 고정단(121)을 구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관자놀이를 비롯하여 안구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 정면에는 폴리 염화비닐, 폴리 아마이드, 폴리 카보네이드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비교적 단단하고 가벼운 특성을 갖는 장착프레임(140)이 배치되어 있다.
장착프레임(140)은 힌지결합부위(131)에 의해서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프레임커버(130)를 구비한다.
장착프레임(140)의 안쪽에는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비디오 촬상소자(110)가 배치되어 있다.
비디오 촬상소자(110)는 다수의 적외선 LED(118)를 채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시각정보 고정 없이 순수한 안구운동 검출에 적합하며, 전자 셔터 기능(카메라 기능)과 오디오 감청 기능과, 자동 백광 조절기능(AWB)을 갖고, 윤곽보정회로를 내장한 초경량(80g), 초소형(45 ×45 ×30㎜)으로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다. 이런 비디오 촬상소자(110)는 ⅓인치 흑백 CCD 카메라로서, 27만화소 Color & B/W CCD 센서(117)를 적용할 수 있는 대원 프로덕션(www.pacctv.com)의 모델명 PA-45B 흑백 소형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PA-45B의 경우, 직류 전원 12V(9V ∼15V 내)에서 작동하며, 1/60∼1/100000초로 셔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4개에서 6개의 적외선 LED(118)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35Db/mV의 소리를 검출할 수 있고, 420 TV 라인을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시킬 수 있으며, 작동 직류 전원을 입력하고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4핀 잭(119)용 소켓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외선 LED가 안구와 매우 근접해 있는 상태이므로, 4개의 적외선 LED(118)는 CCD 센서(117)를 기준으로 대각 위치의 네 곳에 배치되어 있다. 대각 위치가 아닌 곳에는 보조 적외선 LED(180)이 배치될 수 있다.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뒤쪽으로 프레임커버(130)에는 끼워진 광차폐 패드(142)와 일반 투명 렌즈(141)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와 함께 사용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사이에는 전원 공급과 음성, 영상정보 전단을 위한 가요성 케이블(111)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은 전화 코드와 같이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장과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럽다. 이런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은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를 모두 다 접속시킬 수 있도록, 그의 일단에 4핀 잭(119)이 접속되어 있고, 그의 타단에서 세 개로 분지된 전선에 각각 전원 잭(112)과 비디오 잭(113)과 오디오 잭(114)이 접속되어 있다.
비디오 잭(113)과 오디오 잭(114)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속단자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의 접속단자에 연결된다. 전원 잭(112)은 이와 상응한 전원 공급 수단측 접속 잭(125)과 전선(122)을 통해서 외부의 교류 전원을 소정 전압(DC 12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통상의 전원 공급 수단(120)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직류전원의 축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수단(120)은 일종의 다운 전압 트랜스로서 외부 전원(AC 220V)에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12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에 연결되어 있고, 비디오 잭(113)과 오디오 잭(114)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될 경우, 모니터링과 레코딩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반면, 비디오 잭(113)과 오디오 잭(114)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만 연결된 경우 모니터링만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의 상세한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표면에는 환기수단(150, 151, 155)의 결합을 위한 장착 구멍(105)들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수단(150, 151, 155)은 장착 구멍(105)에 대응한 결합턱과 단을 기저부에 형성하고 있다. 환기수단(150, 151, 155)은 외부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공급하면서도, 빛이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구조로서 측면방향과 두께방향이 'ㄴ'자 형상을 갖는 통기 구멍(157)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복수개의 내부 세로 축(156)들은 통기 구멍(157)을 부분적으로 가로막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량의 공기만을 통기 구멍(157)을 통해서 들어가게 하고, 상대적으로 외부의 빛을 최대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체(100)의 정면부위에는 'ㄴ'자 단면의 턱을 갖는 프레임 고정부위(10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본체(100)의 프레임 고정부위(101)는 장착프레임(140)의 결합부위(149)에 안착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부위(101)는 장착프레임(140)의 결합부위(149)에 억지 끼워 맞춤방식으로 삽착될 수 있으나, 장착프레임(140)의 결합부위(149)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딩방식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본체(100)의 재질이 가요성 재질이므로, 장착프레임(140)의 결합부위(149)에서 본체(100)의 프레임 고정부위(101)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00)의 프레임 고정부위(101)의 내측에는 단단한 플라스틱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틀로서 사각링 형상을 갖게 성형된 지지부재(148)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재(148)는 본체(100)의 프레임 고정부위(101)의 정지턱(101a)과,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의 사이에 안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은 장착프레임(14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케이스 외측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에 대응하는 크기의 슬라이딩 홈(1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과 슬라이딩 홈(116)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의 길이 방향, 즉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의 좌, 우측 방향으로 비디오 촬상소자(110)가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비디오 촬상소자(110)는 미끄럼 이동을 사용자(의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미끄럼 방지수단은 확대 도시한 'A' 원 내부를 참조하면,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상단에 힌지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편(115)과, 이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장착프레임(140)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고정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착구멍(147)을 말한다.
고정편(115)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서 굴절된 손잡이와 끼움턱을 갖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삽착구멍(147)의 고정턱에 삽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삽착구멍(147, 147')의 좌우 배치 간격과 형성 위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을 따라 비디오 촬상소자(110)가 좌, 우 방향(r)으로 미끄럼 작동시, 환자의 안구에 CCD 센서(117)의 광학축이 일치하는 것에 대응하게 정해진다(도 5를 참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삽착구멍(147, 147')은 랙기어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열 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따라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검자의 안면 면적이나 안구의 위치에 따라 서로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좌, 우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커버(130)는 힌지결합부위(131)를 축으로 하여 개폐동작(o)시,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에서 손쉽게 힌지식으로 개방 및 밀폐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각각 돌출 손잡이(132)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프레임커버(130)는 안쪽 테두리에 사각 돌출 테두리 형상의 삽입턱(133)을 형성하여, 장착프레임(140)의 안착구멍(143)에 힌지식으로 삽입되므로 틈새를 통해서 외부 가시광선 범위의 빛이 세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커버(130)에는 사각 링 스프링(146)의 결합을 위해서 힌지단부(134)와 삽착턱(14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장착프레임(140)의 소정위치에는 힌지안착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각 링 스프링(146)은 일반 투명 렌즈(141) 및 광차폐 패드(142)를 프레임커버(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볼 때 어느 한 방향(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약간 꺾여 있기 때문에, 렌즈와 패드의 고정시에 필요한 압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링 스프링(146)의 양 끝단은 프레임커버(130)의 힌지단부(134)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서 힌지 작동될 수 있으며, 스프링(146)의 상단부위는 삽착턱(146a)에 결착된다.
이때, 일반 투명 렌즈(141)의 면적은 프레임커버(130)의 개방된 사각 구멍(136)보다 약간 크고, 사각 링 스프링(146)의 크기는 일반 투명 렌즈(141)의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이다. 사각 링 스프링(146)은 상기 삽착턱(146a)에 결착될 경우, 일자형으로 펴지게 되는 바와 같이 그의 형상이 변경됨으로, 이런 변경에 따른 탄성력에 상응한 압착력을 일반 투명 렌즈(141)와 프레임커버(130)에 작용시킨다.
결국, 일반 투명 렌즈(141)는 사각 링 스프링(146)에 의해서 프레임커버(130)에 고정된다.
또한, 광차폐 패드(142)는 통상의 광차폐 물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부재로서, 일반 투명 렌즈(141)보다 약간 얇은 두께와 동일한 면적을 갖고 있다.
이런 광차폐 패드(142)는 일반 투명 렌즈(141)와 적층되어서 앞서 설명한 사각 링 스프링(146)에 의해 프레임커버(130)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사각 링 스프링(146)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광차폐 패드(142) 또는 일반 투명 렌즈(141)를 프레임커버(1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의 4핀 잭(119)은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소켓(109)에 접속된다.
장착프레임(140)에는 프레임커버(130) 테두리 측단에 케이블 통과용 홈(141a)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커버(130)가 장착프레임(140)의 개구된 공간을 덮어 밀폐시키더라도,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이 케이블 통과용 홈(141a)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본체(100)의 내부를 기밀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비디오 촬상소자(110)가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의사)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의 전원을 켠다.
이와 동시에,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의 비디오 잭(113)과 오디오 잭(114)을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속단자에 끼우고, 전원 잭(113)을 전원 공급 수단측 접속 잭(125)에 연결한다.
전원 공급 수단(120)이 플러그(123)를 통해서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CCD 센서(117)로부터 외부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4개의 적외선 LED(118)에 불이 들어오게 되어, 안진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검사자는 본체(100)를 들어올린 후, 본체(100)의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에서 프레임커버(130)를 연다.
검사자는 피검자(환자)의 우안 운동(우측 안구 운동)을 관찰 및 기록하기 위해서, 본체(100)의 배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우측방향(즉, 피검자의 우안쪽 방향)으로,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보안경 쓰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본체(100)는 피검자의 머리(1)에 세팅된다.
이후, 검사자는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촬영축을 안구의 축심에 일치시키도록,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편(115)으로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 근처의 삽착구멍(147, 147') 중의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킨 후, 프레임커버(130)를 닫는다.
본 발명의 본체(100)가 피검자의 머리(1)에 설치된 경우, 4개의 적외선 LED(118)가 발광하여 암시야 또는 명시야 상태의 안구와 그의 주위를 비추게 되며, CCD 센서(117)로부터 외부 화상 신호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되어 실시간 화면으로 보여진다. 검사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의 레코딩 버튼을 누를 경우,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보여졌던 피검자의 우안 운동이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다.
검사자는 동적인 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검사 종류에 따라 프레임커버(130)에 광차폐 패드(142)를 끼운 후, 프레임커버(130)를 촬상소자 장착프레임(140)에 닫을 경우, 본체(100)의 내부가 암실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검사자는 본체(100)를 착용하는 피검자가 장시간의 검사에 따라 갑갑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필요시마다 프레임커버(130)를 열어 피검자의 눈을 쳐다보면서 직접 문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는 광차폐 패드(142)를 프레임커버(130)에서 제거하고, 오직 일반 투명 렌즈(141)만을 장착한 상태에서, 별도의 시각 고정기(visual fixator)를 피검자의 머리(1) 위에 씌우고, 시각 고정기에서 나오는 레이저 광원을 피검자가 바라보도록 한 상태에서도 안진 운동을 촬영 및 기록한다.
이런 경우, 피검자가 움직이더라도 레이저 광원에 의해 피검자로부터 1m 정도 떨어진 벽면에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피검자와 동시에 동일하게 움직임으로써,결국 피검자의 안구운동이 고정되는 상태에서 정확한 안진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검사자는 피검자(환자)의 좌안 운동(좌측 안구 운동)을 관찰 및 기록하기 위해서, 고정편(115)을 삽착구멍(147)에서 릴리스 시킨 후, 좌측방향(즉, 피검자의 좌안쪽 방향)으로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이동시키고, 고정편(115)을 다른 삽착구멍(147')에 고정시킨 후,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다양한 검사 방식으로 좌안 운동을 관찰 및 녹화하면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장착프레임의 안쪽에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비디오 촬상소자가 결합되어 있어서, 양안을 한 개의 비디오 촬상소자만으로 모두 다 관찰 및 기록할 수 있어서, 시스템 구성요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장착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커버가 힌지식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자가 불편함을 전혀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정적, 동적, 암시야, 명시야, 피검자의 눈을 쳐다보면서 수행하는 문진 및 진찰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특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커버에는 사각 링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투명 렌즈와 광차폐 패드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외부의 광원을 최소로 차단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외기를 본체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환기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으로, 식은땀에 의해 안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런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머리에 착용하는 특성을 감안할 때, 피검자(환자)에게 보안경 조립체 착용에 따른 부담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중력 모멘텀 내지 관성 모멘텀을 상대적으로 작게 받음으로써, 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안정성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헤어밴드를 무리하게 조일 필요가 없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피검자의 안면 근육을 압박시키지 않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CCD 센서의 대각방향에 4개에서 6개의 적외선 LED가 장착되어 있어서, 풍부한 양의 적외선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피검자의 안면 면적이나 안구의 위치에 따라 서로 비디오 촬상소자의 좌, 우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전화 코드와 같이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장과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러워서 동적 검사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에 의해서 비디오 촬상소자가 작동됨으로써,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비롯하여, TV수신카드가 부착된 컴퓨터, 비디오 단자가 있는 어떤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접속 가능하므로 기기 호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프레임커버를 개폐시킴으로써 암시야와 명시야의 상태 변경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시각 고정기(visual fixator), 인체 각도기 등을 사용한 부가 검사 등이 가능한 확장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 내지 대동 소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종래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음으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그만큼 큰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피검자의 머리(1)에 밀착되어 양쪽 안구 모두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 유연성, 가요성 재질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머리(1)에 고정하기 위해 양측 고정단(121)에 결합된 헤어밴드(120),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서 환자의 안구를 향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117)를 구비한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구비한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복수개의 장착 구멍(105)에 결합된 환기수단(150 ∼ 155)과,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의 슬라이딩 홈(116)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이 형성된 장착프레임(140)과,
    상기 장착프레임(140)의 힌지결합부위(131)에 의해서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프레임커버(130)를 포함하여,
    피검자의 양쪽 안구를 한 개의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로 관찰 및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에 힌지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편(115)과, 상기 장착프레임(140)에 고정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착구멍(147, 147')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편(115)을 상기 삽착구멍(147, 147')에 삽착 및 탈착시켜서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에서 고정시키거나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15)은 탄성력있는 재질로서 굴절된 손잡이와 끼움턱을 갖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상기 삽착구멍(147, 147')의 고정턱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150 ∼ 155)은 상기 장착 구멍(105)에 대응한 결합턱과 단을 기저부에 형성하고 있고,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공급하면서도, 빛이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구조로서 측면방향과 두께방향이 'ㄴ'자 형상을 갖는 통기 구멍(157)과, 상기 통기 구멍(157)을 부분적으로 가로막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부 세로 축(156)들을 일체형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140)에는 상기 프레임커버(130) 테두리 측단에 케이블 통과용 홈(141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커버(130)가 상기 장착프레임(140)의 개구된 공간을 덮어 밀폐시키더라도,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200),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0)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원 공급 가요성 케이블(111)이 상기 케이블 통과용 홈(141a)에 놓이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기밀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비디오 촬상소자(110)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45)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커버(130)에는 사각 링 스프링(146)의 결합을 위해서 힌지단부(134)와 삽착턱(146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일반 투명 렌즈(141)와 광차폐 패드(142)를 상기 프레임커버(130)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KR1020030010654A 2003-02-20 2003-02-20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KR20040075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54A KR20040075182A (ko) 2003-02-20 2003-02-20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54A KR20040075182A (ko) 2003-02-20 2003-02-20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182A true KR20040075182A (ko) 2004-08-27

Family

ID=3736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654A KR20040075182A (ko) 2003-02-20 2003-02-20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51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1074A (zh) * 2016-11-22 2017-03-15 天津志听医疗科技有限公司 翻转式眼震图仪
KR101725712B1 (ko) 2016-01-04 2017-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KR20210038093A (ko) 2019-09-30 2021-04-07 서울대학교병원 휴대용 안구운동 영상 생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12B1 (ko) 2016-01-04 2017-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CN106491074A (zh) * 2016-11-22 2017-03-15 天津志听医疗科技有限公司 翻转式眼震图仪
KR20210038093A (ko) 2019-09-30 2021-04-07 서울대학교병원 휴대용 안구운동 영상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839A (en) Infrared/video electronystagmographic apparatus
CN105324063B9 (zh) 识别受试者的耳朵中的对象的方法
US6045227A (en) Multi-functional visual testing instrument
KR20220043113A (ko)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ophthalmologic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H01312902A (ja) 眼球運動検査装置
US20150351607A1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GB2511626A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of anterior part of iris and medical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CN106491074B (zh) 翻转式眼震图仪
JP3455638B2 (ja) 平衡機能検査装置
JP5147949B2 (ja) 生体光計測装置
JP3821259B2 (ja) 眼球運動観察用装着具、視標投影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平衡機能検査装置
WO2019052246A1 (zh) 一种便携式视觉电生理检测系统
CN109662692B (zh) 一种中医多模望诊仪
KR20040075182A (ko)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보안경 조립체
JP4464144B2 (ja) 平衡機能診断システム
CN111818839B (zh) 测定视觉系统的装置
KR102283939B1 (ko) 안구촬영장치
KR20040075183A (ko)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시각 고정기
US20240164671A1 (en) Interactive gaze analysis kit for the early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pathologies
US20170258325A1 (en) Portable head-mounted ocular-vestibular testing system
CN214906728U (zh) 一种斜视检测装置
KR102284799B1 (ko)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안진 검사 장치
Miyazaki et al. A clinically oriented video-based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eyelid movements
CN210582461U (zh) 舌面诊测信息采集系统
EP4005464A1 (en) Close-up photograph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