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49A -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49A
KR20130040349A KR1020110105044A KR20110105044A KR20130040349A KR 20130040349 A KR20130040349 A KR 20130040349A KR 1020110105044 A KR1020110105044 A KR 1020110105044A KR 20110105044 A KR20110105044 A KR 20110105044A KR 20130040349 A KR20130040349 A KR 2013004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red
wireless
scop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금인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메드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메드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메드스타
Priority to KR102011010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349A/ko
Publication of KR2013004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61B1/0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8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electrical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61B1/0003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recharge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는 스코프(Scope)(10)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 송신기(100)와, 상기 영상 송신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영상을 수신하고 그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수신기(200)를 구비하는 의료용 영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일 측에 무선 송신을 위한 무선송신부(101)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타 측에 유선 송신을 위한 유선 케이블(20)의 제1 유선 커넥터(102)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일 측에 무선 수신 안테나(202)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타 측에 상기 유선 케이블(20)이 연결되는 제2 유선 커넥터(103)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영상 진단시 영상 송신기에 여러 사이즈의 스코프(Scope)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이 쉽고 간단하며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스코프(Scope)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함에 있어서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에 전파장애가 없고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를 받지 않을 경우에 무선으로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송수신하고, 4개의 다중 채널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 전파장애가 있거나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가 있는 경우에 유선으로 영상을 송수신하여 노이즈(NOISE) 없는 정확한 영상을 송수신하여 환자의 환부를 오진 없이 정밀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DETACHABLE TYPE WIRELESS AND WIRE MEDICAL IMAGE DIANOSTIC APPARATUS}
본 발명은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영상 송신기에 여러 사이즈의 스코프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이 쉽고 간단하며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유무선 겸용으로 송신할 수 있어 영상의 변형이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기 위한 의료용 영상 진단 장치가 개발되어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획득된 영상 정보들은 보관되어 언제든지 필요할 때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공개번호 제10-2006-0110648호(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장치)는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두 개의 경로로 분리하여 하나의 경로를 통해 분리된 영상은 무선 데이터로 전송하며, 또 다른 경로를 통해 분리된 영상은 육안 렌즈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분리장치; 및 상기 영상 분리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외부의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영상 분리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영상 수신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장치는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좀더 명확하게 확인하거나 촬영할 수 있도록 스코프의 사이즈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스코프와 영상 분리장치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영상 분리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 진단이 어렵고 스코프 사이즈별로 여러 개의 영상 분리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또한, 종래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장치는 무선 통신으로만 촬영 영상을 송수신하므로, 주변에 전파장애가 있거나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를 받을 경우 영상 이미지의 변형이나 노이즈가 발생하여 정밀 진단이 어렵고 오진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진단시 영상 송신기에 여러 사이즈의 스코프(Scope)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이 쉽고 간단하며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스코프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함에 있어서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에 전파장애가 없고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를 받지 않을 경우 무선으로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송수신하고, 다른 전자장치와의 전파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영상을 송수신하여 환자의 환부를 오진 없이 정밀진단이 가능한 착탈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착탈식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는 스코프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기와, 상기 영상 송신기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의 영상을 수신하고 그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수신기를 구비하는 의료용 영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코프(Scope)는 여러 사이즈의 착탈 가능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의 일 측에는 무선 송신을 위한 무선송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의 타 측에는 유선 송신을 위한 유선 케이블의 제1 유선 커넥터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 수신기의 일 측에는 무선 수신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의 타 측에는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유선 커넥터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의 전면에는 스코프 거치 부와 스코프 지지 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지지 부 하부에는 전원 인가시 상기 스코프 내부로 빛을 조사(照射)하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 램프 하부에는 무선채널 수신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의 상부에는 무선채널 송신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의 내부에는 메인 피씨비, 충전용 배터리, 충전단자, 그리고 포커스 렌즈 부가 설치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를 상기 영상 수신기 위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 수신기의 상면 일 측에는 배터리 충전단자가 설치된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의 상면 타 측에는 지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 홈 안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의 하부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 홈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의 전방 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수신기 상면에는 불러오기 버튼, 캡처 버튼, 모드 버튼,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 배면에는 전원 스위치, 전원 입력단자, 비디오 출력단자, 그리고 4개의 다중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 채널선택 버튼이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진단시 영상 송신기에 여러 사이즈의 스코프(Scope)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이 쉽고 간단하며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스코프(Scope)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함에 있어서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에 전파장애가 없고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를 받지 않을 경우에 무선으로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송수신하고, 4개의 다중 채널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 전파장애가 있거나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가 있는 경우에 유선으로 영상을 송수신하여 영상 이미지의 변형이나 노이즈 없는 정확한 영상을 송수신하여 환자의 환부를 오진 없이 정밀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송신기 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수신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수신기를 보인 배면도
도 5는 다양한 사이즈의 스코프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송신기 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수신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수신기를 보인 배면 도, 및 도 5는 다양한 사이즈의 스코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는 환자의 환부에 투시되는 여러 사이즈의 착탈 가능 구조의 스코프들(Scope)(10)과, 스코프(Scope)(10)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 송신기(100)와, 상기 영상 송신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영상을 수신하고 그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수신기(200)를 구비한다.
상기 스코프(10)는 전면에 투시 관(11)이 설치되며, 후면에 거치 돌기(12)가 형성되고, 하면에 레그(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에서는, 상기 투시 관(11)의 사이즈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상기 스코프(10)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擇一)하여 상기 영상 송신기(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바, 상기 각 스코프(10)에 있어서 투시 관(11)을 제외한 거치 돌기(12)와 상기 레그(13)는 스코프 사이즈와는 상관없이 동일 사이즈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일 측에는 무선 송신을 위한 무선송신부(101)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타 측에 유선 송신을 위한 유선 케이블(20)의 제1 유선 커넥터(102)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선 커넥터(102)는 커넥터 커버(102a)에 의해서 커버링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선 커넥터(102)는 유선 케이블(2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영상 송신기(100)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부품으로, 사용자가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기 위하여 영상 송신기(100)를 사용할 때, 유선 케이블(20)이 장애가 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영상 송신기(100) 하부 뒤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일 측에 무선 수신 안테나(202)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타 측에 상기 유선 케이블(20)이 연결되는 제2 유선 커넥터(103)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선 커넥터(102)와 상기 제2 유선 커넥터(103)에 의해서 상기 유선 케이블(20)은 상기 영상 송신기(100)와 영상 수신기(200)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전면에는 스코프 거치 부(110)와 스코프 지지 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지지 부(120) 하부에는 전원 인가시 상기 스코프(10) 내부로 빛을 조사(照射)하는 엘이디 램프(124)가 설치된다. 상기 엘이디 램프(124)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조작 부(전원 스위치)(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이러한 전기적인 연결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엘이디 램프(124) 하부에는 무선채널 수신센서(123)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부에는 무선채널 송신센서(223)가 설치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내부에는 메인 피씨비(P), 충전용 배터리(104), 충전단자(105), 그리고 포커스 렌즈 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영상 송신기(100)를 상기 영상 수신기(200) 위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면 일 측에는 배터리 충전단자(201a)가 설치된 안착 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면 타 측에는 지지 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 홈(201) 안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하부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 홈(203)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전방 부(스코프 지지 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영상 수신기(200)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착 홈(201)을 가지며, 상기 영상 수신기(200)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무선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무선으로 수신받은 후 그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일 예로 모니터(미 도시)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상 수신기(200) 상면에는 불러오기 버튼(204), 캡처 버튼(205), 모드 버튼(206),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부(207)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 배면에는 전원 스위치(208), 전원 입력단자(209), 비디오 출력단자(210), 그리고 4개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 채널선택 버튼(21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즈가 상이한 여러 개의 스코프(10) 중에서 적절한 사이즈의 스코프(10) 하나를 선택한다. 스코프(10) 선택은 환자의 환부 상태 또는 진단 상황에 따라 의사가 적당한 것으로 선택한다.
선택한 스코프(10)의 거치 돌기(12)를 영상 수신기(100)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스코프 거치 부(110) 안에 삽입하여 상기 스코프(10)를 영상 수신기(100)에 거치한다.
상기 스코프(10)의 레그(leg)(13)를 영상 송신기(100)의 중간에 형성된 스코프 지지 부(120) 안에 삽입하여 상기 레그(13)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조작 스위치(107)를 작동하여 상기 엘이디 램프(124)를 온 시켜서 상기 엘이디 램프(124)가 상기 스코프(10) 내부로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한다. 그 다음, 스코프(10)의 투시 관(11)을 환자의 환부에 투시하면서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포커스 렌즈(130)를 포커싱하여 영상 진단을 수행한다.
스코프(Scope)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전자장치와의 전파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으로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송수신하고, 4개의 채널을 다중으로 선택하거나 택일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전자장치와의 전파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영상을 송수신하여 노이즈(noise) 없는 정확한 영상을 송수신하여 환자의 환부를 오진 없이 정밀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진단시 영상 송신기에 여러 사이즈의 스코프(Scope)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이 쉽고 간단하며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스코프(Scope)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함에 있어서 유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변에 전파장애가 없고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를 받지 않을 경우에 무선으로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송수신하고, 4개의 다중 채널을 택일(擇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 전파장애가 있거나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전파방해가 있는 경우에 유선으로 영상을 송수신하여 영상 이미지의 변형이나 노이즈(noise) 없는 정확한 영상을 송수신하여 환자의 환부를 오진 없이 정밀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스코프
11: 레그
20: 유선 케이블
100: 영상 송신기
101: 무선송신부
102: 제1 유선 커넥터
103: 제2 유선 커넥터
P: 메인 피씨비
104: 충전용 배터리
110: 스코프 거치 부
120: 스코프 지지 부
123: 무선채널 수신센서
124: 엘이디 램프
130: 포커스 렌즈 부
200: 영상 수신기
201: 안착 홈
201a: 배터리 충전단자
202: 무선 수신 안테나
203: 지지 홈
204: 불러오기 버튼
205: 캡처 버튼
206: 모드 버튼
207: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부
208: 전원 스위치
209: 전원 입력단자
210: 비디오 출력단자
211: 무선 채널선택 버튼
223: 무선채널 송신센서

Claims (5)

  1. 스코프(Scope)(10)를 통해서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 송신기(100)와, 상기 영상 송신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영상을 수신하고 그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수신기(200)를 구비하는 의료용 영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코프(Scope)(10)는 여러 사이즈의 착탈 가능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일 측에 무선 송신을 위한 무선송신부(101)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타 측에 유선 송신을 위한 유선 케이블(20)의 제1 유선 커넥터(102)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일 측에 무선 수신 안테나(202)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타 측에 상기 유선 케이블(20)이 연결되는 제2 유선 커넥터(103)가 설치되어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전면에는 스코프 거치 부(110)와 스코프 지지 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프 지지 부(120) 하부에는 전원 인가시 상기 스코프(10) 내부로 빛을 조사(照射)하는 엘이디 램프(124)가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 램프(124) 하부에는 무선채널 수신센서(123)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부에는 무선채널 송신센서(22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내부에는 메인 피씨비(103), 충전용 배터리(104), 충전단자(105), 그리고 포커스 렌즈 부(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기(100)를 상기 영상 수신기(200) 위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면 일 측에는 배터리 충전단자(201a)가 설치된 안착 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의 상면 타 측에는 지지 홈(203)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 홈(201) 안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하부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 홈(203)에는 상기 영상 송신기(100)의 전방 부를 지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기(200) 상면에는 불러오기 버튼(204), 캡처 버튼(205), 모드 버튼(206),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부(207)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수신기(200) 배면에는 전원 스위치(208), 전원 입력단자(209), 비디오 출력단자(210), 그리고 4개의 다중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 채널선택 버튼(2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KR1020110105044A 2011-10-14 2011-10-14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KR20130040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44A KR20130040349A (ko) 2011-10-14 2011-10-14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44A KR20130040349A (ko) 2011-10-14 2011-10-14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49A true KR20130040349A (ko) 2013-04-24

Family

ID=4844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044A KR20130040349A (ko) 2011-10-14 2011-10-14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3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40B1 (ko) * 2018-11-15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48B1 (ko) * 2018-11-1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스마트기기 기반의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45B1 (ko) * 2018-11-1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36B1 (ko) * 2018-11-0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KR102036043B1 (ko) * 2018-11-15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스마트기기 기반의 피부질환 진단이 가능한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36B1 (ko) * 2018-11-0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KR102036040B1 (ko) * 2018-11-15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43B1 (ko) * 2018-11-15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스마트기기 기반의 피부질환 진단이 가능한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48B1 (ko) * 2018-11-1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스마트기기 기반의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36045B1 (ko) * 2018-11-19 2019-10-24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349A (ko)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US20140309491A1 (en) Endoscope system with processing apparatus
WO2006083081A1 (en) High-magnification imag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280837B1 (ko) 치아 모니터링 장치
US20150164459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system
EP2719318B1 (en) Auto zoom for video camera
US202200863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e-area imaging and communications capability to a handheld device
JPWO2014147911A1 (ja) カメラ・ボディ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
US20140353501A1 (en) Night vision attachment for smart camera
US20060274890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JP2009060992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3031631A (ja) フレンツェル眼鏡用眼振撮影装置
WO2012053797A2 (ko)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영상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진단방법
JP2016214660A (ja) 医療用カメラヘッド及び医療用カメラ装置
US20220190524A1 (en) Cable and notification method
CN115886687A (zh) 一种医用内窥镜摄像头和医用内窥镜摄像系统
KR100301777B1 (ko) 분리형영상진단기기
KR20180105453A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US8786773B2 (en) Imaging apparatus
KR20200109449A (ko)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용 무선 엑스레이 디텍터
KR100679282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CN201855254U (zh) 无线视频影像耳道检查镜
KR101295223B1 (ko)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장치
CN201822837U (zh) 无线视频影像鼻腔检查镜
EP2921113A1 (en) System and apparatus of digital medical image for x-r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