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36B1 -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36B1
KR102036036B1 KR1020180137519A KR20180137519A KR102036036B1 KR 102036036 B1 KR102036036 B1 KR 102036036B1 KR 1020180137519 A KR1020180137519 A KR 1020180137519A KR 20180137519 A KR20180137519 A KR 20180137519A KR 102036036 B1 KR102036036 B1 KR 10203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ing layer
unit
ligh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8013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디스코프 타입으로서, 포토 메트릭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형상의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Handy Scope Device for Shape Acquisition Using Multimedia Inform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디스코프 타입으로서, 포토 메트릭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형상의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형상 추출 기술은 실세계에 존재하는 물체에 대한 3차원 형상을 추출하는 디지털 기술로서, 종래의 컴퓨터 그래픽스에 기반하여 수작업에 의해 대상물체의 3차원 형상을 시현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숙련된 디자이너가 수작업으로 3차원 모델을 제작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디자이너의 숙련도에 따라서 품질의 차이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실세계에 존재하는 물체를 모델링할 때는 일일이 측정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이 3차원 형상 추출 기술로써, 이미 많은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물체의 3차원 형상 추출 기술은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접촉식 3차원 형상 추출의 경우에는 복원 대상 물체의 측정부위를 측정 센서가 맞닿은 상태에서 3차원 좌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밀의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는 있으나 압력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하는 물체나 고온 물체의 경우에는 측정이 불가능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접촉식 3차원 형상 추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비접촉식 3차원 형상 추출 기술은 물체에서 반사하거나 투과되는 광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을 추출하는 방식으로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는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해 제품 자체 또는 표면의 3차원 형상을 비접촉식이면서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토메트릭 스테레오(Phometric Stereo) 기법은 대상 물체에 여러 개의 조명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최소 3개 이상의 영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을 추출하는 기법이며 조명의 개수가 많을수록 보다 신뢰성 있게 물체의 3차원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최근에는 RGB 카메라와 R(빨강색), G(초록색), B(파란색)의 서로 다른 3개의 파장대역의 조명을 동시에 물체에 조사하여 얻은 3장의 영상에 포토메트릭 스테레오 기법을 적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이 개발된 상황이다.
한편,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피부관리실이나 마사지샵, 피부과의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화장품이나 약품 등을 이용하여 피부관리를 하게 되었다.
사람들의 피부 상태는 계절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지며, 개인마다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적절한 처방을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피부 상태의 진단을 위하여 피부과의원이나 클리닉 등지에는 전문적인 의료장비들이 구비되어 모공의 확대사진을 촬영하는 등의 진단 행위를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의 피부에 대한 지식수준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피부의 상태에 대해서 또는 피부의 상태변화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기를 원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미용제품 등의 사용에 따른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클리닉 등에 방문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휴대하면서 간단히 자신의 피부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피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 센서 등은 단순히 운영자가 수동으로 피부에 접촉하여 촬영하고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얼굴 피부에 대한 대략의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2D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여 왔고, 얼굴 피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 카메라 외에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접촉식 국부 촬영 센서로 재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이런 경우, 고해상도 카메라 앞에서 얼굴 피부 촬영 후 기구로부터 얼굴을 분리한 뒤 접촉식 국부 촬영 카메라를 수동으로 밀착하여 촬영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 화장품 가게나 피부과, 또한 피부관리소 등에서는 자신의 피부 상태를 측정, 진단하여 자신의 피부 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자신의 피부 상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형태의 피부진단 장치를 볼 수가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피부에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광선에 조사된 피부가 나타내는 특유의 형광 색을 분석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용 램프를 이용하는 피부진단 장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진단용 램프로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자외선 램프이다.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종래의 피부진단 장치는, 자외선이 원하는 피부 부위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우 그 주위를 암실화(暗室化)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특히 화장품 가게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얼굴의 피부 상태 진단 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 내에 진단용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상자의 개방된 전면부의 외주면을 따라 빛이 잘 투과되지 않는 원통형의 검정색 천을 부착하여, 피부 상태의 진단을 받고자 하는 피검자가 상기 천을 머리에 둘러쓰고 얼굴을 상기 진단용 램프가 장착된 상자에 가까이 가져감으로써, 주위를 어둡게 하여 피부 상태의 측정 및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부진단 장치는 암실화가 확실히 보장되지 않아 측정 및 진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염려가 있고, 또한 피검자가 상기와 같이 머리에 천을 둘러써야 하므로 머리 모양이 망가질 염려가 있어 진단 자체를 꺼리거나 그러한 과정을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천이 찢어지거나 더러워지는 경우 이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최근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이를 촬영한 후 그 광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의 상태를 검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어떠한 광을 어떻게 조사하고 어떠한 광을 어떻게 검출해야 하는지, 그리고 검출한 광 정보를 어떻게 분석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정립된 방법이 없어,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피부 진단 방법과 그 장치에 대한 시급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 일반적인 3차원 대상체 표면 촬영장치의 경우, 외형 사이즈가 크며, 가격이 고가이므로 일반 피부샵이나, 개인 사용자들이 소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어 수시로 자신의 피부 상태를 체크할 수는 없었으며, 고가의 장치도 다양한 조명 파장대를 제공할 수 없어 대상체 표면에 대한 다양한 트러블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게 대상체의 표면 상태를 영상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등록특허문헌)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1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핸디스코프 타입으로서, 포토 메트릭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그룹을 포함하는 복수 레이어와 복수 조명그룹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분한 복수 섹션의 조명 제어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가지고, 대상체 표면이 파장대별로 다른 반응을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류할 수 있으며, 광경로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대상체의 3차원 형상 내에 미세한 표면 형상과 질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광학식으로 대상체 표면 진단용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본체케이스의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부를 일측에 형성시키며, 피시비보드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충전도크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집광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측면 조명을 제공하고자 하며,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분산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포토 메트릭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촬영버튼부(110)와 포커스(120) 및 줌버튼부(13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피시비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2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부(3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구성되어 줌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줌 동작하고, 포커스를 조절할 경우에 포커싱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0)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렌즈부(500)와;
상기 렌즈부 외곽 주변으로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어 카메라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그룹(600)과;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로부터 촬영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설정된 조명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조명그룹에 조명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조명들을 점등시키며, 카메라부에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충전도크부로 제공하기 위한 피시비보드(7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어 촬영 대상체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캡(800)과;
상기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부(910)를 일측에 형성시키며, 피시비보드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충전도크부(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는,
핸디스코프 타입으로서, 포토 메트릭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누구나 쉽게 대상체의 표면을 촬영하여 3차원 형상으로 표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그룹을 포함하는 복수 레이어와 복수 조명그룹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분한 복수 섹션의 조명 제어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가지고, 대상체 표면이 파장대별로 다른 반응을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류할 수 있으며, 광경로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대상체의 3차원 형상 내에 미세한 표면 형상과 질감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상기한 대상체가 사람의 얼굴이라면 카메라가 위치한 부위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피부 상태를 진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부 진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식으로 대상체 표면 진단용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파장대를 통해 피부 진단시 피부 트러블이나 컨디션을 확인할 수 있고, 표면의 미세한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잔주름과 쳐짐 등의 상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집광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측면 조명을 제공하여 다크 필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피부 트러블 부위를 도드라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분산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포토 메트릭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여 점 광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피부 트러블 부위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투과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투과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를 통해 대상체 피부를 촬영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전방에 결합되는 캡의 다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를 통해 촬영된 3차원 영상이미지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을 섹션별로 설정한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피시비보드 블록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촬영버튼부(110)와 포커스(120) 및 줌버튼부(13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피시비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2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부(3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구성되어 줌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줌 동작하고, 포커스를 조절할 경우에 포커싱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0)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렌즈부(500)와;
상기 렌즈부 외곽 주변으로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어 카메라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그룹(600)과;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로부터 촬영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설정된 조명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조명그룹에 조명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조명들을 점등시키며, 카메라부에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충전도크부로 제공하기 위한 피시비보드(7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어 촬영 대상체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캡(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부(910)를 일측에 형성시키며, 피시비보드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충전도크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캡(800)은,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집광 형상일 경우에 측면 조명을 제공하며,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분산 형상일 경우에 포토 메트릭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그룹(600)은,
백색 광원, 적외선 광원, UV 광원 순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하여 그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그룹(600)은,
카메라를 중심으로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명그룹(600)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으로 구성될 경우,
피시비보드(700)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여 섹션별로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그룹별 조명제어 정보를 이용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룹별조명제어모듈(7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기 위한 섹션설정모듈(720)과,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혹은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섹션 혹은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매트릭조명제어모듈(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광 경로를 달리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카메라로부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에 있어서,
동일 그룹 내의 조명들은 동일한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형성하며, 그룹 간에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설정된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모듈(7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메모리모듈(740)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도크부(90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도크부(900)는,
어느 일측에 충전포트부(300)와 접촉되어 배터리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포트부(910);
피시비보드(700)의 무선통신모듈(750)로부터 전송되는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도크무선통신부(920);
타측에 형성되어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시켜 도크메모리부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포트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는, 본체케이스(100), 배터리부(200), 충전포트부(300), 카메라부(400), 렌즈부(500), 조명그룹(600), 피시비보드(7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촬영버튼부(110)와 포커스(120) 및 줌버튼부(130)를 구성하고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체케이스의 하측, 측면, 상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촬영버튼부를 구성하게 되며, 포커스(120) 및 줌버튼부(130)의 경우에도 본체케이스의 하측, 측면, 상측 중 어느 한 부위에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에 버튼을 누르기 편리한 부위에 설치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200)를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하여 피시비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케이스의 타측에 충전포트부(300)를 형성하여 배터리부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충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부(400)를 본체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줌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줌 동작하고, 포커스를 조절할 경우에 포커싱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로 정의하였으며, 멀티미디어 정보는 영상 이미지 혹은 3차원 영상 이미지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부의 줌 동작, 포커스 동작 및 촬영 동작을 위하여 줌버튼부, 포커스, 촬영버튼부를 도면과 같이, 기구적으로 결합시키게 되며, 이러한 기구적 구조 및 동작 원리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당업자들이라면 줌 동작, 포커스 동작, 촬영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카메라(100)는 헤드에 형성된 조명들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어 대상체 표면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정 중앙 부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일반 카메라를 한 개 설치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설치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TOF카메라를 설치 구성하게 된다.
한편, 카메라로 TOF카메라를 설치 구성하게 되면,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TOF(TIME OF FLIGHT)는 RGB의 색정보와 T값인 거리값을 가지게 되므로 종래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대체할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렌즈부(5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렌즈부 외곽 주변으로 조명그룹(60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어 카메라부에 조명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핸디스코프 장치의 경우, 조명 제어를 통해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일반 2차원 영상 정보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핸디스코프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게 된다.
이때, 피시비보드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로부터 촬영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설정된 조명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조명그룹에 조명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조명들을 점등시키며, 카메라부에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충전도크부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체케이스의 전방에 캡(800)을 결합시켜 촬영 대상체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의 전방에 캡을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조명그룹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을 대상체 주변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캡(80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집광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측면 조명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다크 필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피부 트러블 부위를 도드라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피부 트러블 부위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캡(800)은 카메라부와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분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포토 메트릭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도 10과 같이, 점 광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피부 트러블 부위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투과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가 충전도크부에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는 충전도크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도크부(900)는 상기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부(910)를 일측에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도크충전부(910)를 통해 본체케이스에 형성된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시비보드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크메모리부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명그룹(600)은,
백색 광원, 적외선 광원, UV 광원 순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하여 그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백색 광원을 일정간격 배열하고 있으며, 백색 광원의 일측에 적외선 광원을 일정 간격 배열하고 있으며, 적외선 광원의 일측에 UV 광원을 배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조명 그룹을 다른 파장대의 조명들로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데, 백색 광원을 통해 모공 일반 영상을, 적외선 광원을 통해 피부 홍조 영상을, UV 광원을 통해 피부 유분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조명그룹(600)은,
카메라를 중심으로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장치에 형성된 피시비보드(70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느 하나가 구성될 경우에 카메라를 중심으로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이 형성되게 된다.
반면에 둘의 조명 그룹이 형성된다면 카메라를 중심으로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을 형성하게 된다.
즉, 카메라를 중심으로 링 형태의 제1링레이어 영역의 조명 그룹을 배치하고, 제1링레이어 영역의 조명 그룹의 외측으로 동일한 링 형태이지만 원의 지름이 제1링레이어 영역의 조명 그룹보다 더 크도록 링 형태의 제2링레이어 영역의 조명 그룹을 배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이 배치되는 제1링레이어의 지름보다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이 배치되는 제2링레이어의 지름이 더 크도록 형성하게 된다.
한편,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3링레이어조명그룹(6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이 배치되는 제2링레이어의 지름보다 제3링레이어조명그룹(630)이 배치되는 제3링레이어의 지름이 더 크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다른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 제3링레이어조명그룹(63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4링레이어조명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링레이어의 갯수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 구성하되, 카메라에 근접한 어느 한 링레이어의 지름보다 해당 링레이어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링레이어의 지름이 더 크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다수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은,
그룹 내의 조명들은 동일한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형성하며, 그룹 간에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 내에 형성되는 조명들은 UV 파장대를 사용하는 조명들로 일정 간격 원을 형성하도록 형성하게 되며,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 내에 형성되는 조명들은 가시광선 파장대를 사용하는 조명들로 일정 간격 원을 형성하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3링레이어조명그룹(630)을 형성하게 되면, 제3링레이어조명그룹(630)은 IR 파장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IR, 가시광선, UV 중 원하는 파장대를 각각의 조명그룹에 달리하여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조명그룹은 IR로 구성하고, 다른 조명그룹은 화이트 엘이디로 구성하고, 또 다른 조명그룹은 UV램프로 구성할 경우에 IR 조명 제공에 따라 얼굴의 홍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이트 엘이디 조명 제공에 따라 얼굴의 모공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으며, UV램프 조명 제공에 따라 얼굴의 유분(피지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최초 제1링레이어조명그룹 온, 0.5초 후에 제2링레이어조명그룹 온과 같이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여 섹션별로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을 섹션별로 설정한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을 설정하고 그룹을 설정하여 해당 섹션과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최초 A 섹션 온, 0.5초 후 A,B 섹션 온 등과 같은 섹션 내에 존재하는 조명 그룹들의 조명들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섹션별로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광 경로가 달라지므로 광경로에 따른 각기 다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게 되면,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의 피시비보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그룹별 조명제어 정보를 이용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룹별조명제어모듈(7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기 위한 섹션설정모듈(720)과,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혹은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섹션 혹은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매트릭조명제어모듈(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광 경로를 달리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카메라로부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룹별조명제어모듈(710)은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최초 제1링레이어조명그룹 온, 0.5초 후 제2링레이어조명그룹 온이라면, 최초 제1링레이어조명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조명들 모두 점등상태가 되며, 0.5초 후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조명들 모두 점등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를 그룹별 조명 제어라 정의한 것이다.
상기 섹션설정모듈(720)은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 ~ D 섹션으로 설정하게 되며, A 섹션의 경우에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의 A11 ~ A13 조명,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A21 ~ A24 조명, 제3링레이어조명그룹의 A31 ~ A35 조명을 포함하게 된다.
이를 섹션별 조명 제어라 정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릭조명제어모듈(730)은 상기 설정된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혹은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섹션 혹은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 그룹의 특정 섹션으로 나눠서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링레이어조명그룹의 A 섹션이라면, A11 ~ A13 조명만 점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광 경로를 달리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카메라로부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섹션설정모듈(720)은 섹션을 설정하며, 해당 섹션 내 존재하는 링레이어조명그룹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최초 A 섹션의 제1링레이어조명그룹만 온, 0.5초 후 A 섹션의 제2링레이어조명그룹만 온, 0.5초 후 A 섹션의 제3링레이어조명그룹만 온 등과 같이, 섹션 설정과 그룹 설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들에 동시 점등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그룹별로 나눠서 혹은 섹션별로 나눠서 혹은 특정 그룹의 특정 섹션으로 나눠서 점등 신호를 보낼 수도 있으며, 순차적으로 점등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파장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광경로를 획득할 수 있어 대상체 표면이 파장대별로 다른 반응을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류할 수 있으며, 광경로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대상체의 3차원 형상 내에 미세한 표면 형상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설정된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혹은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모듈(7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를 통해 3차원 형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피부라면 특정 트러블에 형광 반응하는 특정 파장대를 주사함으로써, 피부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광경로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게 되면,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3차원형상생성모듈, 표면형상생성모듈, 3차원형상표면정합모듈을 더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3차원형상생성모듈은 카메라가 TOF 카메라일 경우에 3D 값을 획득하여 3차원 형상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표면형상생성모듈은 포토 메트릭 영상 정보를 토대로 표면 형상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3차원형상표면정합모듈에 의해 상기 3차원형상생성모듈과 표면형상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3차원 형상 정보에 표면 형상 정보를 정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한 표면 형상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예를 들어, 현재 주름의 길이(70)와 홍조 범위(75)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정합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대상체 표면의 미세한 형상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링레이어조명 그룹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파장대를 이용한 피부의 특성 정보(여드름, 건성, 지성, 색소 침착 등)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섹션별 조명 제어에 따른 광의 방향 즉, 광경로를 달리하여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피부 트러블 혹은 컨디션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모공이 움푹파였거나, 모공이 촘촘하거나 와 같은 모공의 형상과 피부결의 방향, 주름 형상, 여드름 형상 정보와 같은 피부 외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메모리모듈(740)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도크부(90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은 메모리모듈(740)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도크부(9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충전도크부의 경우,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획득된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충전도크부에 형성된 포트부에 접속된 외부단말기로 해당 형상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충전도크부(900)는 도크충전포트부(910), 도크무선통신부(920), 인터페이스포트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크충전포트부(910)를 어느 일측에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상측에 형성시켜 본체케이스의 포트부(300)와 접촉되어 배터리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도크부의 어느 일면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댁터 잭(95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크무선통신부(920)를 내부에 형성하여, 피시비보드(700)의 무선통신모듈(750)로부터 전송되는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도 10과 같은 3차원 영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포트부(930)를 도 3과 같이, 충전도크부(900)의 측면에 형성시켜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시켜 도크메모리부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포트부(930)로서, HDMI포트부(931) 및 5핀포트부(932)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HDMI포트부(931) 혹은 5핀포트부(932)와 외부단말기(1000)를 직접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대상체의 표면 상태를 3차원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단말기(1000)의 화면을 통해 현재 촬영되고 있은 대상체 표면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합된 3차원 입체 영상을 원격지에 구성된 클라우드서버(2000)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클라우드서버에서 표면 진단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서버에는 표면상의 트러블의 3차원 좌표값과 표면 트러블의 종류를 분석하여 표면 진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표면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들이 해당 표면 진단 정보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외부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표면 진단 정보를 획득하여 표면 트러블의 위치를 표면 트러블의 항목별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표면앱을 스마트기기에 탑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면앱을 통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면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다 정밀한 피부 상태를 진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부 진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디스코프 타입으로서, 포토 메트릭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누구나 쉽게 대상체의 표면을 촬영하여 3차원 형상으로 표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그룹을 포함하는 복수 레이어와 복수 조명그룹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분한 복수 섹션의 조명 제어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가지고, 대상체 표면이 파장대별로 다른 반응을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류할 수 있으며, 광경로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대상체의 3차원 형상 내에 미세한 표면 형상과 질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본체케이스
200 : 배터리부
300 : 충전포트부
400 : 카메라부
500 : 렌즈부
600 : 조명그룹
700 : 피시비보드
800 : 캡
900 : 충전도크부
1000 : 외부단말기
2000 : 클라우드서버

Claims (6)

  1.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 촬영버튼부(110)와 포커스(120) 및 줌버튼부(13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피시비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2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부(3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구성되어 줌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줌 동작하고, 포커스를 조절할 경우에 포커싱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0)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렌즈부(500)와;
    상기 렌즈부 외곽 주변으로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어 카메라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그룹(600)과;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동작하며, 촬영버튼부로부터 촬영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설정된 조명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조명그룹에 조명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조명들을 점등시키며, 카메라부에 촬영 신호를 제공하여 촬영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충전도크부로 제공하기 위한 피시비보드(700)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되어 촬영 대상체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캡(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그룹(600)은,
    카메라를 중심으로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의 외측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다수 배열되는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여 섹션별로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그룹별 조명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그룹별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룹별조명제어모듈(710)과,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에 형성된 다수 조명들의 섹션을 설정하기 위한 섹션설정모듈(720)과,
    섹션별 조명 제어 정보 혹은 그룹별 조명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섹션 혹은 그룹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매트릭조명제어모듈(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링레이어조명그룹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의 광 경로를 달리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카메라로부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크충전부(910)를 일측에 형성시키며, 피시비보드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도크메모리부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외부단말기(100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충전도크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그룹(600)은,
    백색 광원, 적외선 광원, UV 광원 순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하여 그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레이어조명그룹(610)과 제2링레이어조명그룹(620)에 있어서,
    동일 그룹 내의 조명들은 동일한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구성되며, 그룹 간에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조사하는 조명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보드(700)는,
    메모리모듈(740)에 저장된 대상체의 형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도크부(90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KR1020180137519A 2018-11-09 2018-11-09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KR10203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19A KR102036036B1 (ko) 2018-11-09 2018-11-09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19A KR102036036B1 (ko) 2018-11-09 2018-11-09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036B1 true KR102036036B1 (ko) 2019-10-24

Family

ID=6842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19A KR102036036B1 (ko) 2018-11-09 2018-11-09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197A (ko) 2003-11-07 2005-08-26 아람휴비스(주) 피부 진단 시스템
KR20080109501A (ko) * 2007-06-13 2008-12-17 (주)웨버인스트루먼트 아토피진단의료용 카메라
KR20110054413A (ko) *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피부 진단 및 치료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 진단 및 치료 방법
KR20130040349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메드스타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KR20140028415A (ko) * 2012-08-29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부분석을 위한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3659B1 (ko) * 2014-12-05 2016-01-11 주식회사 미르기술 3차원 형상 측정 장치
KR101738035B1 (ko) * 2016-10-20 2017-05-19 장현재 피부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197A (ko) 2003-11-07 2005-08-26 아람휴비스(주) 피부 진단 시스템
KR20080109501A (ko) * 2007-06-13 2008-12-17 (주)웨버인스트루먼트 아토피진단의료용 카메라
KR20110054413A (ko) *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피부 진단 및 치료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 진단 및 치료 방법
KR20130040349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메드스타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유무선 영상 진단장치
KR20140028415A (ko) * 2012-08-29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부분석을 위한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3659B1 (ko) * 2014-12-05 2016-01-11 주식회사 미르기술 3차원 형상 측정 장치
KR101738035B1 (ko) * 2016-10-20 2017-05-19 장현재 피부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531B1 (ko) 복수 레이어와 복수 섹션의 조명 제어를 이용한 3차원 표면 촬영장치
US20220214218A1 (en) Hyperspectral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camera module and device for diagnosing skin and skin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146561B1 (ko) 모바일 초분광 카메라 시스템 및 모바일 초분광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인간 피부 모니터링
KR102036040B1 (ko)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TWI639137B (zh) 皮膚檢測裝置及其檢測方法
CN110212451A (zh) 一种电力ar智能巡检装置
US201400645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face model for skin analysis
FI120958B (fi) Elimen valaiseminen
KR101738035B1 (ko) 피부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촬영장치
CN106774868B (zh) 一种无线演示装置
JP200830446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102036043B1 (ko) 스마트기기 기반의 피부질환 진단이 가능한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1792541B1 (ko) 피부 진단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피부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1528807A (zh) 基于多光谱和3d模型重建的人脸图像分析系统及其方法
CN104000551A (zh) 携带式内视装置及其影像撷取方法
CN102944928B (zh) 一种三维内窥镜及其三维重建方法
KR102036045B1 (ko)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KR102041905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대상체 표면 촬영이 가능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장치
KR20190046442A (ko) 미용 측정을 위한 휴대형 소형 iot 장치
KR102036036B1 (ko)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피부형상 정보 획득용 핸디스코프 장치
CN212346505U (zh) 一种具有3d模型重建功能的五光谱皮肤检测仪
CN103077541A (zh) 人脸皮肤色彩的度量与表述的方法及系统
US9674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mage capture for a device having a camera
KR102537267B1 (ko) 피부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부 촬영 모듈
KR102023330B1 (ko) 대상체 표면 촬영이 가능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