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486B1 -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486B1
KR101909486B1 KR1020160000867A KR20160000867A KR101909486B1 KR 101909486 B1 KR101909486 B1 KR 101909486B1 KR 1020160000867 A KR1020160000867 A KR 1020160000867A KR 20160000867 A KR20160000867 A KR 20160000867A KR 101909486 B1 KR101909486 B1 KR 10190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harging
ray
battery
imag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882A (ko
Inventor
김영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텍
Priority to KR102016000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486B1/ko
Priority to PCT/KR2017/000115 priority patent/WO2017119724A1/ko
Priority to US16/068,129 priority patent/US10674988B2/en
Priority to CN201790000613.2U priority patent/CN209863854U/zh
Publication of KR2017008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의 충전 중은 물론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도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잔량을 이용하여 촬영 가능한 횟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충전 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크래들;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Charging Cradle Providing Real Time Information And Portable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과에서의 구강내(Intra-Oral) 엑스선 촬영 등에 적합하도록 소형화된,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와, 그에 딸린 충전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은 엑스선의 직진성과 감쇄성을 이용한 방사선 촬영법으로서, 촬영대상을 투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선 감쇄량을 기초로 촬영대상의 내부구조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엑스선 촬영 장치는 촬영대상을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촬영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와 대향 배치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센서, 상기 엑스선 센서의 검출결과인 엑스선 투영 데이터로 촬영영역의 내부구조에 대한 그레이 레벨(gray level)의 엑스선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들어 엑스선 촬영은 반도체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센서를 이용한 DR(Digital Radiograhpy)로 빠르게 대체되는 가운데 엑스선 촬영 기술 또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 및 발전되고 있다. 일례로, 치과 분야에서 주로 시행되는 구강내 엑스선 촬영을 들 수 있다. 구강내 엑스선 촬영은 피검자의 구강내 한정된 영역의 엑스선 영상을 얻기 위한 엑스선 촬영기술로서, 피검자의 구강 내부에 엑스선 센서를 배치하고 구강 외부의 엑스선 발생 장치로부터 엑스선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치아 및 치아주변조직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한다. 이 같은 구강내 엑스선 촬영 영상은 왜곡이 적고 해상도와 선예도가 우수하며 방사선 노출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고해상도가 요구되는 임플란트 시술이나 근관치료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배터리 전원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 기술의 발달로 고용량 배터리의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기가 필요한데, 많은 경우에 있어서 휴대 장치의 거치대 기능을 겸한 충전 크래들이 휴대 장치와 함께 제공된다. 충전 크래들은 주로 장치 사용자의 책상 주변과 같이 가깝고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은 앞서 언급된 거치대 기능 외에 충전상태를 LED 전구의 색깔이나 점멸 상태 등으로 알려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장치가 완전히 방전되어 작동 불능의 상태가 되거나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는 배터리 잔량과 그에 따른 사용 가능 시간이나 횟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어, 사용 중에 중단되는 등의 불편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의 충전 중은 물론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도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잔량을 이용하여 촬영 가능한 횟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충전 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이나, 배터리 충전 비율, 충전 시간, 촬영 횟수 또는 배터리 온도 상한 등의 설정 입력에 따라 다양한 충전 모드로 포터블 장치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크래들;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소정의 시간 주기로 감지된 실시간 배터리 잔량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촬영 회당 전력소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제 2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는,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엑스선 촬영 모드 설정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엑스선 촬영 모드별 촬영 회당 전력소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에 의해 설정된 엑스선 촬영 모드에 해당하는 실시간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상기 촬영 회당 전력 소모량을 충전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주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 배터리 용량 대비 충전 비율, 충전 시간, 또는 배터리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충전 모드 설정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입력에 의해 설정된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갱신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 중 어느 하나는 비콘(beacon)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형성된 비콘 통신 영역 내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에 상기 충전 상태 정보 또는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는 상기 비콘 통신 영역 내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그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의 충전 중은 물론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도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잔량을 이용하여 촬영 가능한 횟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충전 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이나, 배터리 충전 비율, 충전 시간, 촬영 횟수 또는 배터리 온도 상한 등의 설정 입력에 따라 다양한 충전 모드로 포터블 장치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충전 크래들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충전 크래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 표시 기능의 흐름을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한편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구성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어느 도면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충전 크래들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충전 크래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10)와 충전 크래들(20)로 구성된다.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10)(이하, 본체라 칭함)는 전원 공급을 담당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2)와, 전력을 이용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소스부(11),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14)가 내재된 몸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6)가 구비되고, 역시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에 사용자의 설정 입력을 위한 제 1 입력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표시부(16)와 상기 제 1 입력부(17)는 일 예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와 같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14)는 상기 배터리(12)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엑스선 소스부(11)가 적정량의 엑스선을 방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촬영 모드는 예를 들면, 피검자가 성인인지 소아인지, 구치, 견치, 전치 등 촬영 대상 치아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 촬영 모드 별로 엑스선 소스부(11)에서 방출되는 엑스선의 세기와 시간 등이 서로 다르게 정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제 1 통신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통신부(15)는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배터리(12)로부터 감지한 배터리 잔량 또는 배터리(12)에 공급된 전력량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통신부(15)는 전술한 충전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에는 엑스선 센서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센서는 상기 엑스선 소스부(11)에서 방출되어 피사체를 투과하며 감쇄된 엑스선을 수광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엑스선 센서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본체(1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5)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하거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가공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크래들(20)에는 상기 본체(10)의 일부, 특히 상기 배터리(12) 부분이 수용되어 거치되는 본체 거치부(22)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 거치부(22)에는 여기에 거치된 상기 배터리(12)의 입력 단자와 접속되는 충전 전압 출력 단자(27)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무선 충전 방식을 채용할 경우에는 상기 충전 전압 출력 단자(27)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크래들(20)의 외부에는 정보 표시창인 제 2 표시부(23)와 충전 설정이나 표시 설정 등의 입력 수단인 제 2 입력부(26)가 구비된다. 이들이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로 일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충전 크래들(20) 내부에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21)와, 전술한 상기 제 2 표시부(23), 상기 제 2 입력부(26) 및 상기 충전 전압 출력 단자(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제어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크래들(20)에는 상기 제 2 제어부(24)와 연결된 제 2 통신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통신부(25)는 일 예로, 전술한 제 1 통신부(15)와 접속되어 충전 모드 설정 정보나 충전 상태 정보 등을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는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 배터리 용량 대비 충전 비율, 충전 시간, 또는 배터리 온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표시부(23)에 표시되는 충전 상태 정보는 전술한 제 1 입력부(17) 또는 제 2 입력부(26)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충전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충전 모드의 일 예로서 원하는 촬영 횟수만큼 촬영 가능하도록 충전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표시부(23)에는 실시간으로 상기 배터리(12)에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촬영 가능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별도의 충전 모드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촬영 가능 횟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모드의 다른 한 예로서 소정의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까지 충전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표시부(23)에는 실시간으로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 또는 배터리 충전 용량 대비 충전 비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충전 시간 또는 배터리 온도 상한선을 설정하는 충전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충전 경과 시간 또는 배터리 온도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표시부(23)에는 전술한 여러 가지 배터리 상태 정보 중 둘 이상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배터리 상태 정보의 표시를 위해, 상기 제 2 제어부(24)는 상기 제 2 통신부(25) 및 상기 제 1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제 1 제어부(14)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제어부(24)는 상기 제 2 입력부(26)를 통해 입력된 충전 모드 또는 촬영 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나, 전원 입력부(21)로부터 상기 충전 전압 출력 단자(27)로 공급된 전력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제어부(14)로부터 산출된 실시간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정보가 상기 제 2 표시부(23)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충전 상태 정보란 소정의 시간 주기로 갱신되어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충전 진행 상황의 변화가 생길 때 이를 전달할 수 있는 수준의 실시간 충전 상태 정보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표시부(23)에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촬영 1회당 소모되는 전력량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은 시간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통신부(15)와 상기 제 2 통신부(25) 중 어느 한쪽에는 비콘(beacon)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은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가 소정의 근거리 통신 영역, 예컨대 엑스선 촬영 장치가 배치된 병원 내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영역 내에 있는 동안 해당 모바일 기기로 전술한 충전 상태 정보나 설정된 충전 모드 또는 촬영 모드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전송은 상기 비콘 통신 모듈과 등록된 모바일 기기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가 접속된 무선 통신망을 거쳐 간접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여기서 등록된 모바일 기기는, 예컨대 엑스선 촬영 스텝(staff)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촬영 스텝이 장치 본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10)는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촬영 대상자에 대한 연령이나 체격 등의 인적 정보나, 촬영 대상 부위나 기타 촬영 조건 등의 촬영정보를 제공받고, 수신된 촬영 정보를촬영 모드 선택에 자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간 충전 상태 정보의 일 예로서 실시간으로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를 충전 크래들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경우의 구성 및 그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다.
상기 본체(10)의 제 1 제어부(14)에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 즉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142)와, 촬영 회당 전력소모량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43), 그리고 예컨대 실시간 배터리 잔량을 상기 촬영 회당 전력소모량으로 나누어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를 산출하는 연산 처리부(14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산 처리부(144)가 산출한 정보는 제 1 통신부(1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크래들의 제 2 통신부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14)에는 본체의 제 1 입력부(17)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촬영 모드 또는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모드/충전모드 선택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3)에는 촬영 모드 별로 전력 소모량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장치 제조 시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장치 사용 중에 실제로 측정된 전력 소모량이 각 촬영 모드별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촬영 모드 또는 충전 모드의 입력은 충전 크래들에 구비된 제 2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된 정보는 전술한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거쳐 제 1 제어부(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 표시 기능의 흐름을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모드를 선택(S1)하면 전술한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회당 전력 소모량 값을 호출(S22)한다. 사용자의 촬영 모드 선택(S1)이 없는 경우는 여러 가지 촬영 모드의 회당 전력 소모량 값을 평균한 값이나 기본으로 설정된 촬영 모드에 해당하는 회당 전력 소모량 값을 메모리로부터 호출(S21)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배터리 잔량을 감지(S3)하여,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를 연산(S4)하고 나면, 그 정보를 전술한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송(S5)하고, 해당 정보를 제 2 통신부에서 수신(S6)하여, 충전 크래들의 제 2 표시부에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를 표시(S7)한다.
여기서, 실시간으로 배터리 잔량을 감지(S3)하는 작업은 촬영 모드를 선택(S1)하고 그에 따른 회당 전력 소모량 값을 호출(S21, S22)하는 과정과 시간의 선후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메모리에 영역을 할당하여 소정의 시간 주기로 검출된 배터리 잔량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실시간 촬영 가능 횟수를 연산(S4)할 때마다 이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일련의 과정은 소정의 시간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 선택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그 값에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배터리 잔량 감지(S3) 이하의 과정만을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충전 상태 정보를 전술한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체의 제어부인 제 1 제어부(14A)에는 상기 충전 크래들로부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 입력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원입력 감지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제어부(14A)에 구비된 메모리(143A)에는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충전 모드 설정 정보도 상기 메모리(143A)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14A)는 연산 처리부(144)를 이용하여 미리 선택된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실시간 충전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까지 충전하는 모드를 선택한 경우, 연산 처리부(144)는 전원입력 감지부(145)를 이용하여 충전 시작부터 현재까지 배터리에 공급된 전력량을 산출하여 표시하거나, 배터리 잔량 감지부(142)를 이용하여 충전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배터리 잔량 변화 값을 구해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 정보를 제 1 통신부(15)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배터리 용량 대비 충전 비율을 정하여 충전하는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술한 배터리 잔량 변화 값 및 메모리(143A)에 저장된 배터리 용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충전 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제어부, 입력부 및 표시부가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와 충전 크래들에 각각 구비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충전 상태 정보의 연산이 본체의 제어부에서 이루어 졌으나 이점 역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와 상기 충전 크래들은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로 충전 모드 및 촬영 모드의 설정에 관한 정보나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이들 각각의 제 1 및 제 2 제어부가 수행하는 기능도 다양하게 배분될 수 있다.
10: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11: 엑스선 소스부 12: 배터리
13: 몸체부 14: 제 1 제어부
15: 제 1 통신부 16: 제 1 표시부
17: 제 1 입력부 20: 충전 크래들
21: 전원 입력부 22: 본체 거치부
23: 제 2 표시부 24: 제 2 제어부
25: 제 2 통신부 26: 제 2 입력부

Claims (9)

  1.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크래들;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충전 크래들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와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엑스선 촬영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와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엑스선 촬영 모드에 따라 촬영시 방출되는 엑스선의 세기 또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하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모드 별 촬영 회당 전력소모량 데이터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엑스선 촬영 모드에 따른 엑스선 촬영 가능 횟수를 산출해서, 상기 제 1 통신부 및 제 2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실시간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상기 촬영 회당 전력 소모량을 충전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주기인,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전력량 기준의 충전량, 배터리 용량 대비 충전 비율, 충전 시간, 또는 배터리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충전 모드 설정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 및 상기 충전 크래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입력에 의해 설정된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갱신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 중 어느 하나는 비콘(beacon)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형성된 비콘 통신 영역 내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에 상기 충전 상태 정보 또는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본체는 상기 비콘 통신 영역 내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그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KR1020160000867A 2016-01-05 2016-01-05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90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67A KR101909486B1 (ko) 2016-01-05 2016-01-05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PCT/KR2017/000115 WO2017119724A1 (ko) 2016-01-05 2017-01-04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US16/068,129 US10674988B2 (en) 2016-01-05 2017-01-04 Charging cradle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and portable radiography device including same
CN201790000613.2U CN209863854U (zh) 2016-01-05 2017-01-04 便携式射线照相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67A KR101909486B1 (ko) 2016-01-05 2016-01-05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882A KR20170081882A (ko) 2017-07-13
KR101909486B1 true KR101909486B1 (ko) 2018-10-18

Family

ID=5927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867A KR101909486B1 (ko) 2016-01-05 2016-01-05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74988B2 (ko)
KR (1) KR101909486B1 (ko)
CN (1) CN209863854U (ko)
WO (1) WO2017119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4315B (zh) * 2018-03-22 2022-02-11 宁波蓝野医疗器械有限公司 髙频便携式口腔x射线机
US11166695B2 (en) * 2018-04-09 2021-11-09 Carestream Health, Inc.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adiography power management
CN111679203A (zh) * 2020-07-31 2020-09-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电池的剩余电量判断方法、装置、烹饪设备和存储介质
WO2022088045A1 (zh) * 2020-10-30 2022-05-05 江苏康众数字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便携式射线系统及防碰撞便携式x光机机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081A1 (en) 2008-01-28 2009-07-30 Fujifilm Corporation Cradle for use with radiation conversion device
JP5390746B2 (ja) * 2005-12-19 2014-01-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携帯型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12B2 (ja) * 1977-05-04 1984-05-07 株式会社東芝 X線装置
US6038287A (en) * 1995-10-10 2000-03-14 Miles; Dale A. Portable X-ray device
US6603469B1 (en) * 2000-08-28 2003-08-05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selectable display mode for intelligently enhancing battery life
JP2005304696A (ja) 2004-04-20 2005-11-04 Shimadzu Corp 移動式x線撮影装置
CN101052889A (zh) 2004-11-08 2007-10-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便携式医学设备的无线电池状态管理
KR20070118369A (ko) * 2006-06-12 2007-12-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JP2011136022A (ja) 2009-12-28 2011-07-14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KR101780478B1 (ko) * 2013-10-25 201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0746B2 (ja) * 2005-12-19 2014-01-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携帯型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20090189081A1 (en) 2008-01-28 2009-07-30 Fujifilm Corporation Cradle for use with radiation conver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4988B2 (en) 2020-06-09
WO2017119724A1 (ko) 2017-07-13
KR20170081882A (ko) 2017-07-13
US20190015066A1 (en) 2019-01-17
CN209863854U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86B1 (ko)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US9907530B2 (en) Automated control of image exposure parameters in an intra-oral x-ray system
EP3066984A2 (en) Intraoral sensor position determination
CN101416130B (zh) 移动放射设备的定位调整
JP5639456B2 (ja) 充電クレードルを介して無線機器をシステムと対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021403B2 (ja) 放射線撮像装置
US8712228B2 (en)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KR101280837B1 (ko) 치아 모니터링 장치
JP5893818B1 (ja) 医療機器システム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JP2010071659A (ja) 放射線固体検出器
JP2010240184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101708115B1 (ko) 휴대용 엑스선 영상획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획득 방법
KR101115408B1 (ko)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US20060274890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JP2010264000A (ja) 放射線画像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0022419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KR20180105453A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KR20200109449A (ko)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용 무선 엑스레이 디텍터
KR20190004207A (ko)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6097115A (ja)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39431B2 (ja) 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方法、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JP449319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017296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KR102097698B1 (ko) 장시간 자동 체온 측정이 가능한 전자 체온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