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334A -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334A
KR20140106334A KR1020130020759A KR20130020759A KR20140106334A KR 20140106334 A KR20140106334 A KR 20140106334A KR 1020130020759 A KR1020130020759 A KR 1020130020759A KR 20130020759 A KR20130020759 A KR 20130020759A KR 20140106334 A KR20140106334 A KR 2014010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play
image data
photographing
photograp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추병화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3002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334A/ko
Priority to PCT/KR2014/001596 priority patent/WO2014133326A1/ko
Publication of KR2014010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1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cerv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vagina, i.e. vagi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와 일 대 일로 무선 통신하도록 하는 애드혹(Ad Hoc)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에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에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 및 입력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촬영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일 대 일로만 연결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끊고 사용자 단말기와 다시 일 대 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공유기가 필요 없어 종래 공유기를 통한 통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저장 모듈, 및 입력 모듈 또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내에서도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UTERUS PHOTOGRAPHING SYSTEM USING ONE TO ON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사는 내시경, CT, MRI 등의 의료 영상 장비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의료 영상 장비는 진단 부위를 촬영하는 촬영 디바이스와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의료 영상을 단순히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환자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관련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PC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한다. PC에서는 의료 영상 장비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보일 수도 있고,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다양하게 분류 및 처리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촬영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PC 간에 수행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종래에는 케이블로 각 디바이스들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있었다(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2004-0031868호 참조). 그러나 유선으로 각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는 구성에 따르면, 장비의 이동에 한계가 있는 등 사용 및 관리가 불편하므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장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wireless)형 의료 영상 촬영 장비가 개발되었다. 현재 이용되는 무선형 의료 영상 촬영 장비는 공유기와 같은 AP(Access Point)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공유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공유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제품의 통신이 끊어지게 되고, 주변의 통신 기기의 접근이 가능하여 데이터 전송에 혼란이 야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노출의 문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촬영 디바이스에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 및 입력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촬영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일 대 일로만 연결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끊고 사용자 단말기와 다시 일 대 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공유기가 필요 없어 종래 공유기를 통한 통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저장 모듈 및 입력 모듈 또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내에서도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될 수 있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은,
촬영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와 일 대 일로 무선 통신하도록 하는 애드혹(Ad Hoc)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에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디지털 써비코그라피를 이용하여 자궁 경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하는 입력 내용, 또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화면 정지, 녹화 및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환자 기본정보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에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 및 입력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촬영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일 대 일로만 연결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끊고 사용자 단말기와 다시 일 대 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공유기가 필요 없어 종래 공유기를 통한 통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저장 모듈, 및 입력 모듈 또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내에서도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는 각 장비의 이동에 한계가 있는 등 사용에 불편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기(400)와 같은 AP(Access Point)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공유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르면, 공유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제품의 통신이 끊어지게 되고, 주변의 통신 기기의 접근이 가능하여 데이터 전송에 혼란이 야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노출의 문제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은,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110) 및 입력 모듈(120)을 포함하는 촬영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촬영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또는 ‘촬영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애드혹 방식에 따라 일 대 일로만 연결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촬영 디바이스(100)는, 애드혹(Ad Hoc) 와이파이 모듈(110) 및 입력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지털 써비코그라피(자궁경부 확대 촬영술)를 이용하여 자궁 경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일 수 있다.
애드혹(Ad Hoc) 와이파이 모듈(110)은, 촬영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와 일 대 일로 무선 통신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와이파이는,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무선랜 기술을 의미한다. 무선랜 기술에는 공유기(중계기)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라는 접속점을 중심으로 통신하는 방식과, 와이파이 기기들의 일 대 일 연결을 지원하는 애드혹 방식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110)을 포함하여 일 대 일 무선 통신 방식을 따름으로써, 공유기가 구비될 필요 없기 때문에, 공유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전체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 주변의 다른 통신 기기의 접근 문제, 및 데이터 노출 문제 등이 해소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 중 촬영 디바이스(10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 입력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도, 환자의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나, 촬영 디바이스(100)의 작동 제어 버튼 등을 입력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입력 모듈(120)을 통해 입력하는 내용, 또는 촬영 디바이스(10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촬영 디바이스(100) 자체에도 액정화면 등과 같은 표시 모듈(130)을 구비함으로써, 촬영 디바이스(100)의 작동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본 표시 모듈(130)을 통해 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통신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영상 확인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촬영 디바이스(100)의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표시 모듈(130)의 크기나 해상도 등에 한계가 있으므로 간단한 확인만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 디바이스(100)는,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촬영 디바이스(100)에는 대용량의 메모리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휘발성 메모리(예: RAM)과 같은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촬영 영상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전송을 수행하지 않은 일정 부분의 영상 데이터도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의 촬영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은, 입력 모듈(120) 또는 표시 모듈(130)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입력 모듈(120) 및 표시 모듈(13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촬영 디바이스(100)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110)과 통신하여 촬영 디바이스(10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촬영 디바이스(100)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110)을 통해 수신받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부에도 애드혹 방식의 와이파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앞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환자나 의사가 용이하게 모니터하도록 하고, 디바이스의 이동도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도 촬영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면 정지, 녹화 및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 없이도 영상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촬영 디바이스(100)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110)과 통신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환자 기본정보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촬영 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고, 환자 기본정보와 결합하여 진단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의 다양한 처리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대 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은, 검사 도중에는 기본적으로 촬영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일 대 일로 통신하다가, 사용자가 전송 스위치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끊고,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병원 등에 구비된 중앙 서버(500)로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500)는 환자별 식별 정보, 진료 기록, 진단 결과, 및 촬영 영상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환자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저장, 나아가 원격 진단 서비스에의 활용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촬영 디바이스 110: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
120: 입력 모듈 130: 표시 모듈
140: 저장 모듈 200: 디스플레이 모듈
300: 사용자 단말기 400: 공유기
500: 중앙 서버

Claims (7)

  1. 촬영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와 일 대 일로 무선 통신하도록 하는 애드혹(Ad Hoc)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에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의 애드혹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디지털 써비코그라피를 이용하여 자궁 경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하는 입력 내용, 또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은,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화면 정지, 녹화 및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환자 기본정보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을 하는,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KR1020130020759A 2013-02-26 2013-02-26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KR20140106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59A KR20140106334A (ko) 2013-02-26 2013-02-26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PCT/KR2014/001596 WO2014133326A1 (ko) 2013-02-26 2014-02-26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59A KR20140106334A (ko) 2013-02-26 2013-02-26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34A true KR20140106334A (ko) 2014-09-03

Family

ID=5142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759A KR20140106334A (ko) 2013-02-26 2013-02-26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06334A (ko)
WO (1) WO20141333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88B1 (ko) * 2007-02-16 2008-07-01 주식회사내쇼날 테스팅 랩 아시아 Dcs를 이용한 원격 의료판독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8905A (ko) *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엔티엘 자궁경부 촬영 장치
KR101280837B1 (ko) * 2010-12-21 2013-07-02 한국광기술원 치아 모니터링 장치
KR101258203B1 (ko) * 2011-02-24 2013-04-25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검출 크래들 및 휴대용 생체 신호 분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326A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410B2 (en) Automated system for medical video recording and storage
US80786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auxiliary server and examination device
WO2013125801A1 (en)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image diagnosis apparatus for the same
US9392164B2 (en) User terminal for a telemedicine imag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189064A5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5186930A1 (ko) 의료 영상 및 정보 실시간 상호전송 및 원격 지원 장치
CN109875505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一体化手术室远程会诊方法
WO2017006618A1 (ja) サーバ、内視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116732A (ja) 遠隔医療システム
KR20140106334A (ko) 일 대 일 통신방식을 이용한 자궁경부용 촬영 시스템
JP2012105713A (ja) 医療用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201800201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on of audiovisual components to central station monitoring
KR20120076652A (ko) 원격 화상 진료 시스템 및 방법
JP2015088916A (ja) ポータブル撮像装置およびポータブル撮像装置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
JP2012035062A (ja) 医用画像装置及び医用画像保管装置
KR100449224B1 (ko) 자궁경부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TWI647665B (zh)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CN114207734A (zh) 用于胶囊内窥镜检查规程的系统、设备、应用程序和方法
CN205107633U (zh) 基于计算棒的成像系统
JP5824176B1 (ja) 医用画像情報転送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情報転送方法
JP2005144086A (ja) 眼科診療システム
KR101257784B1 (ko)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210673281U (zh) 一种集成摄影录像网络的医疗内窥镜系统
JP6239216B1 (ja) 医療通信システム及び医療装置
KR101652640B1 (ko) 의료용 모니터와 이종 프로토콜의 외부 장치 사이의 통합 영상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