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83A -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83A
KR20180106583A KR1020170035141A KR20170035141A KR20180106583A KR 20180106583 A KR20180106583 A KR 20180106583A KR 1020170035141 A KR1020170035141 A KR 1020170035141A KR 20170035141 A KR20170035141 A KR 20170035141A KR 20180106583 A KR20180106583 A KR 2018010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nagement
data
elderl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293B1 (ko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젠텍
Priority to KR102017003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측정센서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프로세싱 유닛은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CARE DEVICE AND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RIM}
본 발명은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파악하며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습관의 개선,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수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호, 관리, 치료가 필요한 노인들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로 인해 혼자 생활하는 독거 노인의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노인들 중 독거 노인의 비중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들의 치매 유병률도 지속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혼자 사는 독거 노인과 치매 노인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이나 그 관리가 용이치 않은 게 현 실정이다. 사회복지사나 요양사 등이 독거 노인이나 치매 노인 등을 관리하고 있으나 관리 요원의 수가 부족하여 많은 독거 노인과 치매 노인들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노약자를 대상으로 노약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기기 등이 알려져 있다. 기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GPS 모듈,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하여 GPS 모듈을 통해 결정된 위치를 부모, 자식 등 관리자(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기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노인의 활동상 또는 건강상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위치뿐 아니라 노인에게 닥칠 수 있는 외부 비상상황이나 건강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 긴급상황을 알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독거 노인 또는 치매 노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시에 지정된 관리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 전송 후에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전화 호출시 노약자의 관리 디바이스가 자동 착신하여 노약자의 상황을 음성이나 영상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GPS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심박측정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착용센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GPS 데이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착용상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손목에 착용 가능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측정 가능한 움직임 센서;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부터 움직임 이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감지된 경우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광대역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알림 메시지의 관리 서버로의 전송에 후속하여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전화 접속이 허용된 전화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출(call)시 호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자동으로 착신하여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로 송출하고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로컬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하고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지정 시간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출력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회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 이상을 결정한 경우 움직임 이상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전화 호출을 통해 구비된 메모리에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독거 노인 또는 치매 노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에 따라 노약자의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파악된 이상유무에 따라 긴급상황의 발생시에 지정된 관리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 전송 후에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전화 호출시 노약자의 관리 디바이스가 자동 착신하여 노약자의 상황을 음성이나 영상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노약자 관리를 위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장치 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관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노약자 관리를 위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장치 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와 같이 노약자 관리 시스템은 노약자 관리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관리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을 포함하고 설계예에 따라 로컬 관리 단말(200)을 더 포함한다.
특정 예의 관리 디바이스(100)(도 1의 'A', 본 타입의 관리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해 '제1타입 디바이스'라고 지칭할 수도 있음)는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에 연결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관리 디바이스(100)(도 1의 'B', 본 타입의 관리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해 '제2타입 디바이스'라고 지칭할수도 있음)는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등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살펴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인 노약자를 관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노약자는 노인, 어린이, 유아, 장애인, 환자 등 보호자 등에 의해 지속적인 관리(care)가 필요한 자를 지칭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자의 몸에 휴대하거나 착용하거나 부착 가능한 기기로서 예를 들어 손목 밴드 타입이나 목걸이 타입의 기기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대상자의 몸에 밀착하여 각종 생체신호를 센싱할 수 있고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 측정 센서(103; 도 2 참조)로서 심박측정 센서와 GPS 센서(101)를 구비하는 손목 밴드 타입의 기기로 구성되어 관리 디바이스(100)에 접촉하고 있는 손목에서 심박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노약자 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제1타입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고 GPS 신호로부터 GPS 데이터를 구성하여, 구성된 생체 데이터와 GPS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연결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타입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하여 관리 디바이스(100)의 관리 대상자의 비상상황(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및/또는 알람 수신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타입 디바이스(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로컬 관리 단말(200)에 의해 각종 설정이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2타입 디바이스(100)는 로컬 관리 단말(200)의 중재없이 직접 각종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노약자 등의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제1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되어 제1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측정하거나 센싱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은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제1타입 디바이스(100)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약속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GPS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AP(Application Processor), 비휘발성 메모리, 광대역 통신망(500)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제1타입 디바이스(100)와의 통신과 데이터 수신에 기초하여 제1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고 있는 관리 대상자(예를 들어 어린이, 노인, 장애인,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로컬 관리 단말(200)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300)는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된다.
관리 서버(300)는 구비된 하드디스크 등에 노약자 관리 DB를 구성하고 노약자 관리 DB는 복수의 사용자 엔트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엔트리는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엔트리의 각종 식별자와 예정 위치 영역들은 노약자의 보호자 등에 의해서 설정되고 예를 들어 보호자가 휴대하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알람 수신 단말(400)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노약자 관리 DB의 사용자 엔트리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00), 로컬 관리 단말(200), 알람 수신 단말(400) 등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는 데 사용자 엔트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약자 식별자는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노약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름, 주민번호, 사회보장번호, 주소 등을 포함한다.
노약자 정보는 노약자의 나이, 병력, 특이사항 등을 포함한다.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은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가 착용, 휴대하고 있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제1타입 또는 제2타입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는 로컬 관리 단말(200)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의 맥(MAC)주소, IP 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이거나 로컬 관리 단말(200)을 통한 관리 서버(300)로의 로그인시 이용되는 로그인 ID 및/또는 패스워드 등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제2타입)에 따라 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는 엔트리에서 생략될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는 관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맥(MAC)주소, IP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00)의 유형에 따라(제1타입) 본 관리 디바이스(100) 식별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알람 수신자 식별자는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 등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상황의 발생 등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알람 수신자는 예를 들어 관공서, 가족, 보호자를 나타내고 알람 수신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름(명칭), 주민번호, 주소 등을 포함한다.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는 알람 수신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알람 수신 단말(400)들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고 알람 수신 단말(400)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맥(MAC)주소, IP주소, 전화번호(휴대) 등일 수 있다.
예정 위치 영역들 각각은 관리 대상자인 노약자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허용된 공간 영역을 나타낸다. 예정 위치 영역은 보호자의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알람 수신 단말(400)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정 위치 영역은 주소, 위도와 경도의 좌표 영역(직사각형) 등으로 표현될 수 있고 노약자가 위치하거나 허용되거나 방문이 예정된 특정 공간을 나타낸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결정되는 생체 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나타낸다. 관리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 데이터가 이 정상 생체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노약자가 정상적인 생체 상태를 현재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혈압에 대한 정상 범위이거나 심박수에 대한 정상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신되어 엔트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300)는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고 로컬 관리 단말(200) 및/또는 제2타입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알람 수신 단말(400)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나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노약자 관리 DB의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에서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알람 수신 단말(400)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알람 수신 단말(400)은 관리 디바이스(100)를 휴대, 착용하고 있는 노약자로부터의 이상상황(비상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는 자가 이용가능한 단말이다. 알람 수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소방서, 사회복지기관, 경찰서 등에 설치되거나 휴대하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전용 휴대 단말이거나 노약자의 보호자(가족)가 휴대하거나 이용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알람 수신 단말(400)은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를 통해 또는 관리 디바이스(100)(제2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여 보호자에게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광대역 통신망(500)은 로컬 관리 단말(200), 제2타입 디바이스(100), 알람 수신 단말(400), 관리 서버(300) 등에 연결되어 통신 패킷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광대역 통신망(500)은 인터넷망,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무선의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망(600)은 로컬 관리 단말(200), 제1타입 디바이스(100) 등에 연결되어 통신 패킷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망(600)은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기술로 구현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2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타입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착용 센서(105), 움직임 센서(107), 충격 센서(108), 통신 유닛(117), 안테나(119), 메모리(115) 및 프로세싱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1타입의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손목, 발목, 허벅지 등에 찰 수 있는 스마트 밴드로 구성되거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로 구성될 수 있다.
GPS 센서(101)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들을 센싱한다. GPS 센서(101)는 센싱된 GPS 신호, GPS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 또는 여러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21)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손목, 발목, 허벅지, 목 등의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심박(수)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는(나아가) 생체신호 측정 센서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일 수 있다.
착용 센서(105)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용 센서(105)는 예를 들어 피부측 방향으로 돌출된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여 푸쉬 스위치의 눌림을 인식하여 눌림 신호(예를 들어 3.3V 신호)를 출력하거나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피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측정하거나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근접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 센서(105)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 디바이스(100) 착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움직임 센서(107)는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07)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관리 대상자에 대해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가속도 신호를 통해 낙상, 추락 등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충격 센서(108)는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을 센싱한다. 충격 센서(108)는 낙상, 추락 등에 의해서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량, 충격량의 범위, 또는 설정된 충격량의 도달여부를 나타내는 충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유닛(117)은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무선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117)은 지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119)는 통신 유닛(117)에 연결되어 통신 유닛(117)으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를 캡쳐링하여 캡쳐링된 신호를 통신 유닛(117)으로 전달한다. 안테나(119)는 지정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15)는 적어도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관리 대상자인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예를 들어 CPU, MPU, 마이컴, 프로세서,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거나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 칩셋은 또한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프로세싱 유닛(121)을 내장하고 있는 칩셋은 메모리(115), 통신 유닛(117) 등이나 다른 센서를 더 내장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메모리(115)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관리 대상자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각종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의 GPS 신호로부터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각각으로부터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를 통해 인식되는 여러 GPS 위성과의 거리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결정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와 경도를 GPS 신호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특정된 위도와 경도 데이터 또는 특정된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GPS 데이터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각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출력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이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혈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혈압 생체신호에서 혈압수치를 결정하고 이 혈압수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구성된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무선 패킷 내에 같이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지정된 송출 주기(예를 들어,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주기값, 1분, 30분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600)으로 연결되는 로컬 관리 단말(200)로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착용 센서(105)로부터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 대상자가 본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판단에 따라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착용상태 데이터를 무선 패킷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신호에 기초하여 움직임 상태 데이터를 구성한다. 움직임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충격 센서(108)로부터 충격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격 신호에 기초하여 충격 상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GPS 데이터, 생체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충격 상태 데이터 및/또는 착용상태 데이터는 지정된 송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타입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 착용 센서(105), 움직임 센서(107), 충격 센서(108), 마이크(109), 스피커(111), 이미지 센싱 유닛(113), 통신 유닛(117), 안테나(119), 메모리(115) 및 프로세싱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2타입의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손목, 발목, 허벅지 등에 찰 수 있는 스마트 밴드로 구성되거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관리 디바이스(100)는 바람직하게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이다.
GPS 센서(101)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들을 센싱한다. GPS 센서(101)는 센싱된 GPS 신호, GPS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 또는 여러 GPS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GPS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21)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손목, 발목, 허벅지, 목 등의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심박(수)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는(나아가) 생체신호 측정 센서는 착용한 관리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일 수 있다.
착용 센서(105)는 관리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용 센서(105)는 예를 들어 피부측 방향으로 돌출된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여 푸쉬 스위치의 눌림을 인식하여 눌림 신호(예를 들어 3.3V 신호)를 출력하거나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피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측정하거나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근접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 센서(105)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 디바이스(100) 착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움직임 센서(107)는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07)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관리 대상자에 대해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가속도 신호를 통해 낙상, 추락 등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충격 센서(108)는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을 센싱한다. 충격 센서(108)는 낙상, 추락 등에 의해서 관리 대상자가 받는 충격량, 충격량의 범위, 또는 설정된 충격량의 도달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09)는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마이크(109)는 진동판 등을 구비하여 진동을 대응하는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피커(111)는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관리 디바이스(100) 외부의 노출된 이미지를 캡쳐링한다.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카메라 렌즈,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 렌즈를 통해 노출된 이미지를 카메라 센서를 통해 캡쳐링하고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113)은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117)은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7)은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와이파이, 이동통신 기술방식(CDMA, GSM 등)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119)는 통신 유닛(117)에 연결되어 통신 유닛(117)으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무선 신호를 캡쳐링하여 캡쳐링된 신호를 통신 유닛(117)으로 전달한다. 안테나(119)는 지정 광대역 무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15)는 적어도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관리 대상자인 사용자(노약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15)는 관리 대상자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각종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5)는 하나 이상의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를 그 설정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각각의 정상 생체 범위는 대응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로부터 결정되는 생체 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정 위치 영역들은 관리 대상자가 위치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고 주소, 위도와 경도의 좌표 공간을 표현될 수 있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화번호는 자동으로 착신 가능한 전화번호(휴대)를 나타낸다. 발신 연락처 리스트는 비상상황 등의 발생시에 알람 메시지 등을 발신할 연락처를 나타내고 각각의 발신 연락처는 전화번호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나 관리 서버(300)의 식별자(예를 들어, 맥주소, IP주소, 휴대 전화번호 등)를 나타낼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115)에 저장될 수 있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한 생체 데이터 측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각종 설정 데이터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예를 들어 CPU, MPU, 마이컴, 프로세서,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거나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 칩셋은 또한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프로세싱 유닛(121)을 내장하고 있는 칩셋은 메모리(115), 통신 유닛(117) 등이나 다른 센서를 더 내장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센서(101)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GPS 신호의 수신 이벤트에 따라 반복적으로 관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GPS 신호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된 현재 위치가 메모리(115)의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특정된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어느 한 예정 위치 영역의 좌표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정 위치 영역 내인 경우 관리 대상자가 지정된 위치 영역에 현재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특정된 위치(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에서 수신된 심박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인 심박수로 변환하고(거나) 혈압측정 센서에서 수신된 혈압 생체신호를 혈압수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생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대응하는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측정된 심박수가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상 심박수 범위인지를 결정하고(거나) 측정된 혈압수치가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상 혈압 범위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측정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측정된 생체 데이터(예를 들어 심박수, 혈압수치)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를 통해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신호에서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신호의 대응 가속도가 설정된 임계 가속도(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주기적으로 또는 움직임 센서(107)로부터의 이벤트에 따라 움직임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움직임 센서(107)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신호와 충격 센서(108)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상기한 움직임 센서(107)만을 이용하면, 관리 대상자의 정상적인 움직임이면서 임계 가속도를 넘어서는 경우, 오작동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올린 팔을 급격하게 내리는 경우 움직임 센서(107)만을 이용하면 낙상이 있는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움직임 센서와 충격 센서를 함께 이용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유닛(121)은 수신된 가속도 신호의 대응 가속도가 설정된 임계 가속도(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이면서, 수신된 충격량이 설정된 임계 충격량(프로그램 내에 또는 메모리(115)에 설정 데이터로 저장됨) 이상인 경우에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통신 유닛(117)을 경유하여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현재 측정된 움직임 정보(또는 움직임 정보와 충격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 나아가 지정된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로 직접(전화호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관리 서버(300) 등과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메시지의 광대역 통신망(500)(관리 서버(300)나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으로의 전송에 후속하여, 프로세싱 유닛(121)은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한 전화 호출(call)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호출한 전화번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화번호가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에 식별된 전화번호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121)은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 등) 이내의 전화 링 신호음에 대해, 관리 대상자(즉, 노약자)의 착신 요청(입력,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버튼)이 없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착신 요청이 관리 대상자에 의해 없는 경우에 프로세싱 유닛(121)은 자동으로 전화 착신하여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화 접속 후, 프로세싱 유닛(121)은 마이크(109)와 이미지 센싱 유닛(113)을 통해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전화 채널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후속 조치를 줄일 수 있고 실제 긴급 상황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출동 이전에 먼저 비상상황 여부를 먼저 확인하면 좋으나, 조작 미숙, 거동 곤란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노약자가 호출을 수신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없거나 호출에 수신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데, 자동 착신에 따라 확인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출동 오류와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1)은 정상 생체 범위를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설정하고 설정된 정상 생체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가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프로세싱 유닛(121)은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대응하는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심박측정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심박 생체신호를 대상으로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인 심박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심박수에서 기준 생체값인 기준 심박수를 결정한다. 기준 심박수는 복수의 심박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값으로서 평균값이거나 심박수의 값에 따라 필터링된 심박수에 대한 평균값 등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결정된 기준 심박수를 포함하고 관리 대상자의 나이, 신체 특성을 반영한 정상 생체 범위인 정상 심박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나아가 관리 서버(300)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혈압측정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혈압 생체신호를 대상으로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인 혈압수치로 변환한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변환된 혈압수치에서 기준 생체값인 기준 혈압수치를 결정한다. 기준 혈압수치는 복수의 혈압수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값으로서 평균값이거나 혈압수치의 값에 따라 필터링된 혈압수치에 대한 평균값 등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1)은 결정된 기준 혈압수치를 포함하고 관리 대상자의 나이, 신체 특성을 반영한 정상 생체 범위인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메모리(115)에 저장하고 나아가 관리 서버(300)로 통신 유닛(117)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은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1)은 기준 생체값 나아가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도 4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제1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 등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 로컬 관리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설정(①)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과 함께 사용자 엔트리를 구성한다. 관리 서버(300)는 DB에 사용자 엔트리를 신규 추가하고 사용자 엔트리의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알람 수신 단말(400)과 연동하여 설정한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노약자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나 실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설정 과정에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정상 생체 범위 설정 요청을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이 요청을 수신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수신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도 3의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상 심박수 범위,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도 3의 관리 디바이스(100)와 같이 로컬 관리 단말(200)이 기준 생체값이나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로컬 관리 단말(200)은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설정 과정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로컬 관리 단말(200)은 정상 심박수 범위 및/또는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거나 측정된 생체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예정 위치 영역들을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는 동작을 시작하고, 관리 디바이스(100)는 구비된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GPS 센서(101)를 통해 GPS 데이터를 구성한다. 또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센서(107) 및/또는 충격 센서(108)를 통해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구성(② 참조)한다.
하나 이상 유형의 생체 데이터, GPS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가 구성됨에 따라 생체 데이터, GPS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600)을 통해 무선 패킷으로 로컬 관리 단말(200)로 전송(③ 참조)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GPS 데이터 및/또는 생체 데이터를 무선 패킷으로 반복적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움직임 이상의 발생에 따라 또는 지정주기에 따라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로컬 관리 단말(200)은 GPS 데이터, 생체 데이터,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의 무선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만일 지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등) 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무선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의 미인식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관리 디바이스(100)의 미인식시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자나 주변인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GPS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 등이 수신되는 경우에, 로컬 관리 단말(200)은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하고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④ 참조)한다. 또한 로컬 관리 단말(200)은 낙상, 추락 등과 같이 움직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수신된 움직임 상태 데이터 및/또는 충격 상태 데이터를 통해 결정한다.
만일 관리 디바이스(100)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⑤ 참조)한다.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로컬 관리 단말(200)에 속한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⑥ 참조)하고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와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로 수신된 알람 메시지 또는 이에 기초한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⑦ 참조)한다.
알람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여, 로컬 관리 단말(2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은 전화 접속, 데이터 접속 등을 통해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⑧ 참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 상의 이상상황을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 확인 가능하다.
도 5는 노약자 관리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제2타입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 등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 및 관리 서버(30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설정(①)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관리 대상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과 함께 사용자 엔트리를 구성한다. 관리 서버(300)는 DB에 사용자 엔트리를 신규 추가하고 사용자 엔트리의 노약자 식별자, 노약자 정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유형, 유형에 따른 로컬 관리 단말 식별자, 관리 디바이스 식별자,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예정 위치 영역들, 정상 생체 범위 등을 알람 수신 단말(400)과 연동하여 설정한다.
정상 생체 범위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노약자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나 실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설정 과정에서 관리 디바이스(100)로 정상 생체 범위 설정 요청을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다. 이 요청을 수신한 관리 디바이스(100)는 복수 회에 걸쳐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상 심박수 범위,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기준 생체값이나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가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생체 범위의 결정에 이용될 실제 관리 대상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 관리 서버(300)가 실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자(노약자)를 위한 정상 생체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설정 과정을 통해, 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관리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정상 심박수 범위 및/또는 정상 혈압수치 범위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거나 측정된 생체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예정 위치 영역들을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자동착신 전화번호 리스트, 발신 연락처 리스트들을 설정하고 메모리(115)에 저장한다.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는 동작을 시작하고, 관리 디바이스(100)는 구비된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측정센서(103)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GPS 센서(101)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움직임 센서(107)를 통해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며, 충격 센서(108)를 통해 충격 신호를 수신(② 참조)한다. 신호의 수신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관리 디바이스(100)는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GPS 신호를 GPS 데이터로 변환하고 움직임 신호를 움직임의 정도(값)를 나타내는 움직임 데이터로 변환하며, 충격 신호를 충격의 정도/범위/여부를 나타내는 충격 데이터로 변환한다(③ 참조).
관리 디바이스(100)는 변환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관리 디바이스(100)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를 결정하고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고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충격 데이터를 통해 낙상, 추락 등과 같이 움직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결정(④ 참조)한다. 움직임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레벨 이상인 경우에, 또는 움직임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 레벨이상이면서 충격 데이터가 지정된 임계레벨 이상인 경우에,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관리 디바이스(100)가 결정할 수 있다.
만일 관리 디바이스(100)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 있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발신 연락처로 전송(⑤ 참조)한다. 발신 연락처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이거나 특정 알람 수신 단말(400)일 수 있다. 특정 예로 관리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15)에 설정된 발신 연락처 리스트의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을 통해 알람 수신 단말(400) 등으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 관리 디바이스(100)가 속한 사용자 엔트리를 검색(⑥ 참조)하고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의 알람 수신자 식별자와 알람 수신 단말(400)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알람 수신 단말(400))로 수신된 알람 메시지 또는 이에 기초한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여, 관리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300) 및 알람 수신 단말(400)은 전화 접속, 데이터 접속 등을 통해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⑦ 참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 디바이스(100) 상의 이상상황을 관리 서버(300)나 알람 수신 단말(400)이 확인 가능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관리 디바이스
101 : GPS 센서 103 : 생체신호 측정센서
105 : 착용 센서 107 : 움직임 센서
108 : 충격 센서 109 : 마이크
111 : 스피커 113 : 이미지 센싱 유닛
115 : 메모리 117 : 통신 유닛
119 : 안테나 121 : 프로세싱 유닛
200 : 로컬 관리 단말
300 : 관리 서버 400 : 알람 수신 단말
500 : 광대역 통신망 600 : 근거리 통신망

Claims (16)

  1.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센서의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GPS 데이터 및 상기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를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심박측정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심박측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심박 생체신호에서 심박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착용센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GPS 데이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착용상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통신 유닛을 통해 로컬 관리 단말로 전송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4. 손목에 착용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서,
    GPS 신호를 센싱하는 GPS 센서;
    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측정 가능한 움직임 센서;
    정상 생체 범위, 예정 위치 영역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GPS 신호로부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며 적어도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부터 움직임 이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특정된 위치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변환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거나 움직임 이상이 감지된 경우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광대역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자동착신이 수행되는 전화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출(call)시 호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자동으로 착신하여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노출된 외부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자동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화 접속한 기기로 송출하고 전화 접속한 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8. 노약자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GPS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 및 예정 위치 영역들을 설정하고 수신된 GPS 데이터로부터의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위치가 예정 위치 영역들 내인지 결정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가 정상 생체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예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정상 생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지정 시간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출력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관리 단말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로컬 관리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착용한 노약자의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로컬 관리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회 생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2. 제4항의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구비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 이상을 결정한 경우 움직임 이상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전화 호출을 통해 구비된 메모리에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생체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생체 데이터로부터 기준 생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생체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정상 생체 범위로 결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노약자 관리 시스템.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의 충격을 측정하여 충격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 센서(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움직임 센서의 움직인 신호와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KR1020170035141A 2017-03-21 2017-03-21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KR10200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ko) 2017-03-21 2017-03-21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ko) 2017-03-21 2017-03-21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83A true KR20180106583A (ko) 2018-10-01
KR102008293B1 KR102008293B1 (ko) 2019-08-07

Family

ID=6387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141A KR102008293B1 (ko) 2017-03-21 2017-03-21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225B1 (ko)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20200107163A (ko) * 2019-03-06 2020-09-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치매 노인을 위한 회상 요법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60463B1 (ko)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인공지능 기반의 노약자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
KR102167296B1 (ko) 2020-02-28 2020-10-19 김민경 노약자의 생활 밀착형 돌봄 시스템
KR102343360B1 (ko) * 2020-11-24 2021-12-24 (주)메디코넥스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독거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8490A (ko)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96B1 (ko) 2019-11-22 2020-05-2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사회약자 인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64A (ko) * 2002-10-21 2004-04-28 (주)메드 밴 간병용로봇장치 및 간병로봇 모니터링시스템
KR20120047392A (ko) * 2010-11-04 2012-05-14 위몽룡 긴급구조요청을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48076B1 (ko)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64A (ko) * 2002-10-21 2004-04-28 (주)메드 밴 간병용로봇장치 및 간병로봇 모니터링시스템
KR20120047392A (ko) * 2010-11-04 2012-05-14 위몽룡 긴급구조요청을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48076B1 (ko)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63A (ko) * 2019-03-06 2020-09-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치매 노인을 위한 회상 요법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97225B1 (ko)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102167296B1 (ko) 2020-02-28 2020-10-19 김민경 노약자의 생활 밀착형 돌봄 시스템
KR102160463B1 (ko)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인공지능 기반의 노약자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
KR102246621B1 (ko) 2020-05-12 2021-06-03 (주)피스오브퍼즐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보험 자동 가입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343360B1 (ko) * 2020-11-24 2021-12-24 (주)메디코넥스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독거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8490A (ko)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93B1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93B1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US20230360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KR20160110847A (ko)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건강 이상 징후 알람 시스템
CN106652341B (zh) 一种基于体域网的老人监测救助方法及装置
US103043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viding emergency support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KR20150116206A (ko)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165513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JP6680563B2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方法
KR20120094590A (ko)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461980B2 (en) Wellbeing transponder system
JP2012181728A (ja) 安否確認システム、安否情報確認方法、安否情報確認用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6181224A (ja) 見守りシステム
US20170303866A1 (en) Medical Alert System
KR20190058618A (ko) 경보 시스템
AU2017403442A1 (en) System for detection of falls
KR20150016687A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KR20200125871A (ko) 환자 상태 통보 시스템
KR20210006200A (ko) Ami 통신망을 이용하는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KR20150090941A (ko) 유비쿼터스 원격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226195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2568803B1 (ko) 노약자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호출시스템
KR101251472B1 (ko) 무선 페이저망을 이용하는 단말기
Bhat et al. IoT based Counteracting Services for CARDIA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