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789B1 -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789B1
KR101940789B1 KR1020170153784A KR20170153784A KR101940789B1 KR 101940789 B1 KR101940789 B1 KR 101940789B1 KR 1020170153784 A KR1020170153784 A KR 1020170153784A KR 20170153784 A KR20170153784 A KR 20170153784A KR 101940789 B1 KR101940789 B1 KR 10194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tor
user
data
health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Priority to KR102017015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3/00Real-time site-specific personalized weather information, e.g. now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하는 생활안전지수 도출부,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기초로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하는 건강 모니터링부 및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연관된 생활안전지수(이하, 건강위해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와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무관한 생활안전지수(이하, 생활위험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를 체크하여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SELF LEADING SAFETY DIAGNOSIS APPARATUS FOR LIV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생활환경 안전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기반으로 유해물질과 대기환경에 관한 위험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 안전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모니터링 기술은 모니터링 대상 지역의 오염 물질 배출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이에 관해 관제 센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으로 환경에 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종래의 환경 모니터링 기술은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상 상황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나, 사용자 개별적인 건강상황이나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경을 진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6662호(2013.10.10)는 착용하는 사람의 주변으로부터 측정한 공기질을 바탕으로 착용 당사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대기 중 각종 가스의 농도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센서 유닛에서 센싱된 주변 가스 농도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경보하는 경보출력유닛; 및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GPS부를 통해 측정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유닛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 유닛 및 경보 출력 유닛을 제어하는 컴퓨팅 모듈부를 구비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3252호(2007.01.16)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에 관련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정보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 사용자별 건강정보를 입력하고 질병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유무선 통신망과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회원등록을 유도하며 등록회원에 대한 사용자별 건강정보 및 개인별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통신서버; 및 통신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별 건강정보 및 개인별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건강 예측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질병에 대한 증세정보 및 해당 증세에 대한 발병 예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예측 서버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6662호(2013.10.10) 한국등록특허 제10-0673252호(2007.01.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기반으로 유해물질과 대기환경에 관한 위험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 안전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이나 질병에 관해 분석하여 이와 연관된 유해물질이나 대기환경의 위험 정도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트레스와 체력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면 이와 연관된 유해물질이나 대기환경의 위험 정도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하는 생활안전지수 도출부,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기초로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하는 건강 모니터링부 및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연관된 생활안전지수(이하, 건강위해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와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무관한 생활안전지수(이하, 생활위험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를 체크하여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식품부패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1
(여기에서, 상기 S는 식품부패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t와 h는 각각 상기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t0와 h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식품부패 시작점으로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온도 및 기준 습도를 의미하고,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2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마이크로시스틴, 오크라톡신 및 비스페놀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생화학적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3
(여기에서, 상기 B는 생화학적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m은 상기 마이크로시스틴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o는 상기 오크라톡신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비스페놀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m0, o0 및 b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마이크로시스틴 측정값, 기준 오크라톡신 측정값 및 기준 비스페놀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4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일산화질소, 자외선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대기환경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5
(여기에서, 상기 A는 대기환경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n은 상기 일산화질소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z는 상기 자외선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d는 상기 미세먼지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n0, z0 및 d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일산화질소 측정값, 기준 자외선 측정값 및 기준 미세먼지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v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가중치를 나타내고(v는 1 이상 3 이하의 자연수), 상기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6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상기 건강 모니터링부는 상기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 바이오 데이터와 활동 바이오 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수면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및 맥박을 기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활동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활동량을 기초로 체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건강 모니터링부는 상기 생활습관의 분석 과정에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를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는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와 상기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른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의 이탈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생활위험요인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7
(여기에서, Y는 상기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결정 주기에 해당하고, ns와 nh는 각각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근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집된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횟수를 나타내며, ts는 기본 주기를 나타냄)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기반으로 유해물질과 대기환경에 관한 위험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 안전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이나 질병에 관해 분석하여 이와 연관된 유해물질이나 대기환경의 위험 정도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는 사용자의 스트레스와 체력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면 이와 연관된 유해물질이나 대기환경의 위험 정도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프로시저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 실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디스크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시스템(100)은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는 각각이 특정 센싱 영역 내에서 온도 및 습도에 관해 센싱하여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120a), 유해물질에 관해 센싱하여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120b) 및 대기환경에 관해 센싱하여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각각은 제1 센서(120a), 제2 센서(120b) 및 제3 센서(120c) 쌍으로 구성되어 특정 영역 단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120a)는 해당 센싱 영역 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센서(120a)는 해당 센싱 영역 내에 있는 유해 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유해 물질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3 센서(120c)는 대기 중의 환경오염 기체 또는 미세 입자의 양을 센싱하는 대기 환경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해 물질은 유독 물질 또는 취급 금지 물질이거나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사람의 건강 또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어 국내 환경부에서 선정 고시한 관찰 물질에 해당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130)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타입, 직물/의류 일체 타입, 신체부착 타입이나 생체이식 타입과 같은 사용자 착용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제어 하에 바이오 데이터를 측정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기기(13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거나 특정 신체에 침투되어 수면시간, 맥박, 활동량, 고혈압 및 당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각각에 관해 센싱하는 센서 모듈들이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은 상호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4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공유폴더 파일 관리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10)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 건강 모니터링부(330),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와 센서 식별자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해당 수신에 따라 기 저장된 센서-영역 관리 데이터로부터 센서 식별자 별로 매칭되는 영역 정보를 가져와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연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제1 센서(120a)로부터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수신하고 제1 센서(120a)로부터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 오크라톡신(Ochratoxin) 및 비스페놀(Bisphenol) 측정값을 수신하여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는 마이크로시스틴, 오크라톡신 및 비스페놀 측정값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해물질, 취급주의물질 또는 관찰물질로 분류될 수 있는 그 밖의 다양한 물질들에 관한 측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제3 센서(120c)로부터 일산화질소, 자외선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수신하여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측정값은 오존 농도 측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존에 의한 자외선 흡수도 측정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는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납 및 벤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는 일산화질소, 자외선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환경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측정대상으로서 분류될 수 있는 그 밖의 다양한 기체나 입자들에 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식품에 관해 예측되는 부패 정도를 나타내는 식품부패 예측인자, 해당 영역에 관해 예측되는 생화학적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해당 영역과 연관된 대기환경에 관해 예측되는 환경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대기환경인자 각각을 산출할 수 있다.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기초로 식품부패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식품부패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현재 온도와 습도 측정값 t와 h가 각각 30(℃)와 70(%)이고, 기준 온도 t0와 기준 습도 h0가 각각 10(℃)와 40(%)인 상황을 가정하면, 하기의 수학식 1을 기초로 식품부패 유해등급 S를 9(등급)로 산출하여 이를 식품부패 유해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식품부패 유해인자는 큰 값을 가질수록 식품부패와 연관하여 큰 유해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8
(여기에서, S는 식품부패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t와 h는 각각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나타내며, t0와 h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식품부패 시작점으로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온도 및 기준 습도를 의미하고,
Figure 112017114453224-pat00009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마이크로시스틴, 오크라톡신 및 비스페놀 측정값을 기초로 생화학적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생화학적 유해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제2 센서(120b)를 통해 가장 최근 수신된 마이크로시스틴, 오크라톡신 및 비스페놀에 관한 기준값 대비 측정값 (m/m0), (o/o0) 및 (b/b0)이 각각 5.3*10-2, 1.7*100 및 4.1*100 인 상황을 가정하면, 생화학적 유해등급 B를 7(등급)로 산출하여 생화학적 유해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생화학적 유해인자는 큰 값을 가질수록 생화학적 의미와 연관된 큰 유해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0
(여기에서, B는 생화학적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m은 마이크로시스틴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o는 오크라톡신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b는 비스페놀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m0, o0 및 b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마이크로시스틴 측정값, 기준 오크라톡신 측정값 및 기준 비스페놀 측정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1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일산화질소, 자외선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기초로 대기환경인자를 결정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대기환경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제3 센서(120c)를 통해 가장 최근 수신된 일산화질소, 자외선(오존) 및 미세먼지에 관한 기준값 대비 측정값 (n/n0), (z/z0) 및 (d/d0)이 각각 1.3*10-3, 7.5*10-2 및 5.4*100 이고 v가 1로 설정된 상황을 가정하면, 대기환경 유해등급 A를 5(등급)로 산출하여 대기환경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대기환경인자는 큰 값을 가질수록 대기환경과 연관하여 큰 유해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2
(여기에서, A는 대기환경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n은 일산화질소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z는 자외선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d는 미세먼지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n0, z0 및 d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일산화질소 측정값, 기준 자외선 측정값 및 기준 미세먼지 측정값을 나타내며, v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가중치를 나타내고(v는 1 이상 3 이하의 자연수),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3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기초로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웨어러블 기기(130)로부터 수면시간, 맥박, 활동량, 혈압, 당뇨, 체온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데이터와 웨어러블 기기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수신에 따라 기 저장된 기기-사용자 관리 데이터로부터 웨어러블 기기 식별자 별로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가져와 해당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에 연관시킬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생활습관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성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수면시간이 기준 수면시간 미만이고 활동량이 기준 활동량 이상이며 체온이 기준 체온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오 데이터 측정 범위 별로 매칭되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에 관해 정의하는 바이오데이터-사용자의존형건강안전인자 매칭 데이블을 기초로 [혈압]을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 정보에 있는 성별과 연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을 특정 범위 하에서 조정할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 바이오 데이터와 활동 바이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및 맥박을 수면 바이오 데이터로 구분하고, 활동량을 활동 바이오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고, 혈압, 당뇨, 체온 및 호흡을 건강 바이오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수면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및 맥박을 기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수면시간을 기준 수면시간(예를 들어, 7시간)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개월 간)의 사용자 평균 수면시간과 비교 분석하고 맥박에 있는 심작 박동율을 기준 심장 박동율(예를 들어, 70bpm)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개월 간)의 사용자 평균 심장 박동율과 비교 분석하여 비교 값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 스트레스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스트레스 데이터를 스트레스 등급에 해당하고 특정 범위의 자연수로 산출되는 등급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활동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활동량을 기초로 체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활동량에 있는 걸음수를 기준 걸음수(예를 들어, 5000)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개월 간)의 사용자 평균 걸음수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값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 체력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체력 데이터를 체력 등급에 해당하고 특정 범위의 자연수로 산출되는 등급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건강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혈압 및 당뇨를 기초로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혈압을 기준 혈압(예를 들어, 120/80mmhg)과 비교 분석하고 당뇨를 기준 당뇨(예를 들어, 100mg/dL)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값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 건강의 상대적 좋고 나쁜 정도를 나타내는 건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건강 데이터를 건강 등급에 해당하고 특정 범위의 자연수로 산출되는 등급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생활습관의 분석 과정에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를 검출하여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기 저장된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건강기록을 독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특정 질병 데이터(예를 들어, [경증의 당뇨])가 검출되면 해당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예를 들어, 당뇨)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병 데이터와의 건강안전인자 간의 연관성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 별로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구간 동안 해당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개인건강기록을 생성 및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웨어러블 기기(130) 또는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질병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반영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해당 사용자의 승인 하에 의료기관서버(미도시됨)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갱신할 수도 있다.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생성된 스트레스 데이터, 체력 데이터 및 건강 데이터를 중에서 각 데이터 별로 설정된 특정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가장 최근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데이터, 체력 데이터 및 건강 데이터를 중에서 스트레스 데이터만 기준 스트레스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해당 스트레스 데이터와 연관된 수면시간 및 맥박을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건강안전인자에 우선 순위가 할당된 경우에는 해당 건강안전인자를 항상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성을 가지는 건강안전인자를 고정적으로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결정할 수 있고, 바이오 데이터의 측정 시점에 적정 범위(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서 해당 시점에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중요성을 가지는 건강안전인자를 유동적으로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연관된 생활안전지수(이하, 건강위해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와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무관한 생활안전지수(이하, 생활위험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를 체크하여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생활안전지수 간의 연관성 정보를 기초로 건강위해요인과 생활위험요인을 결정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이 기 설정된 기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생활환경이 안전한지 진단하는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가 수면시간과 맥박이면 생활안전지수 중 수면시간과 가장 높게 연관된 식품부패 예측인자와 맥박과 가장 높게 연관된 대기환경인자에 관해 건강위해요인으로서 정상범위 이탈여부를 체크하고, 생활안전지수 중 수면시간 및 맥박과 무관한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에 관해 생활위험요인으로서 정상범위 이탈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스트레스 데이터가 기준 스트레스 값을 초과하거나 체력 데이터가 기준 체력범위에서 벗어나면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해당 건강위해요인이 정상범위로부터 얼마나 이탈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정도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가 모두 정상범위로부터 기준 차이 이상 이탈되면 매우 심각한 정도를 나타내는 제1 경고 컨텐츠를, 둘 중 하나만 이탈되면 약간 심각한 제2 경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른 특정 시점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의 이탈여부를 검출하여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생활위험요인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최근 30일 동안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횟수가 7회(ns=7)와 3회(nh=3)인 경우에는 특정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주기 Y를 약 1.6(시간)으로 산출하고, 1회(ns=7)와 1회(nh=3)인 경우에는 약 5.3(시간)으로 산출하며, 결정 주기가 산출되면 해당 주기마다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생활위험요인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ts는 자연수로서,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고, 기본 값이 24(시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4
(여기에서, Y는 상기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결정 주기에 해당하고, ns와 nh는 각각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근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집된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횟수를 나타내며, ts는 기본 주기를 나타냄)
제어부(350)는 프로세서(2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 건강 모니터링부(330) 및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센싱 데이터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410). 생활안전지수 도출부(320)는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한다(단계 S420). 건강 모니터링부(33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기초로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한다(단계 S430). 생활환경 안전진단부(340)는 건강위해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와 생활위험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를 체크하여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한다(단계 S440).
도 5는 도 1에 있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프로시저의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 실시 도면이다.
도 5에서,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및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3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 관한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생활환경 안전진단 에이전트를 통해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과 연동할 수 있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환경 안전진단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40)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40)과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사용자 별로 최적화된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기 서술한 것처럼,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할 수 있다(단계 S51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웨어러블 기기(13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및 맥박을 기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획득하며, 활동량을 기초로 체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52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예를 들어, [중증의 고혈압])를 검출하고,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맥박, 활동량, 혈압 및 당뇨 중에서 해당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예를 들어, 혈압)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3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건강위해요인(예를 들어, [혈압]과 연관된 생활안전지수로, 식품부패 예측인자와 대기환경인자)가 기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와 생활위험요인(예를 들어, [혈압]과 무관한 생활안전지수로,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가 기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각각 미리 설정된 특정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체크하여 생활환경 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4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생활환경 안전진단의 수행 결과로서 건강위해요인의 정도와 생활위험요인의 정도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40)이 생활환경 안전진단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결과를 시각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단계 S55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단계 S540과는 별개로,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에 관한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특정 주기로 검출할 수 있다(단계 S56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110)는 해당 초과가 검출되면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30)에 즉시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웨어러블 기기(130)가 수신된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수치화하거나 심볼화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성을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5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시스템
110: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120: 적어도 하나의 센서
130: 웨어러블 기기 14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310: 센싱 데이터 수신부 320: 생활안전지수 도출부
330: 건강 모니터링부 340: 생활환경 안전진단부
350: 제어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와 대기환경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지수를 도출하는 생활안전지수 도출부;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신된 바이오 데이터를 기초로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를 생성하는 건강 모니터링부; 및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상기 생활안전지수 간의 연관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연관된 생활안전지수(이하, 건강위해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와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와 무관한 생활안전지수(이하, 생활위험요인)의 정상범위의 이탈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환경이 안전한지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마이크로시스틴, 오크라톡신 및 비스페놀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수학식]
    Figure 112018128656214-pat00027

    (여기에서, 상기 B는 생화학적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m은 상기 마이크로시스틴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o는 상기 오크라톡신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비스페놀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m0, o0 및 b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마이크로시스틴 측정값, 기준 오크라톡신 측정값 및 기준 비스페놀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8128656214-pat00028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식품부패 예측인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수학식]
    Figure 112018064666203-pat00015

    (여기에서, 상기 S는 식품부패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t와 h는 각각 상기 온도 및 습도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t0와 h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식품부패 시작점으로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온도 및 기준 습도를 의미하고,
    Figure 112018064666203-pat00016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안전지수 도출부는
    상기 유해물질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일산화질소, 자외선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대기환경인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19

    (여기에서, 상기 A는 대기환경 유해등급으로, 등급상수 1 ~ 12 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이고, 상기 n은 상기 일산화질소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z는 상기 자외선의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d는 상기 미세먼지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상기 n0, z0 및 d0은 각각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일산화질소 측정값, 기준 자외선 측정값 및 기준 미세먼지 측정값을 나타내며, 상기 v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가중치를 나타내고(v는 1 이상 3 이하의 자연수), 상기
    Figure 112017114453224-pat00020
    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최소 1 이상 최대 12 이하의 자연수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모니터링부는
    상기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 바이오 데이터와 활동 바이오 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수면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수면시간 및 맥박을 기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활동 바이오 데이터에 있는 활동량을 기초로 체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모니터링부는
    상기 생활습관의 분석 과정에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를 상기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는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와 상기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건강위해요인의 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환경 안전진단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른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식품부패 예측인자, 생화학적 유해물질인자 및 대기환경인자의 이탈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생활위험요인의 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수학식]
    Figure 112017114453224-pat00021

    (여기에서, Y는 상기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결정 주기에 해당하고, ns와 nh는 각각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근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집된 스트레스 데이터와 체력 데이터의 정상범위 이탈횟수를 나타내며, ts는 기본 주기를 나타냄)
KR1020170153784A 2017-11-17 2017-11-17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KR10194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84A KR101940789B1 (ko) 2017-11-17 2017-11-17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84A KR101940789B1 (ko) 2017-11-17 2017-11-17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789B1 true KR101940789B1 (ko) 2019-01-22

Family

ID=6528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84A KR101940789B1 (ko) 2017-11-17 2017-11-17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946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엣지 디바이스 및 각종 센서 일체형 생활안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52B1 (ko) 2004-10-28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예측 시스템 및건강정보 예측 컨텐츠 제공방법
KR101316662B1 (ko) 2009-10-29 2013-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20160076635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레이월드 생활보건지수 통합 측정 및 표출시스템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52B1 (ko) 2004-10-28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예측 시스템 및건강정보 예측 컨텐츠 제공방법
KR101316662B1 (ko) 2009-10-29 2013-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20160076635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레이월드 생활보건지수 통합 측정 및 표출시스템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946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엣지 디바이스 및 각종 센서 일체형 생활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955B1 (en) Detecting COVID-19 using surrogates
US20180296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etermining a medical condition of a user
KR102052558B1 (ko) 질환 예측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9416943B (zh) 监测装置、用于动态调整监测装置的警报极限设置的方法
Ho et al. Calibration model for apnea-hypopnea indices: impact of alternative criteria for hypopneas
JP5233342B2 (ja) 睡眠時無呼吸検出プログラム、睡眠時無呼吸検出装置および睡眠時無呼吸検出方法
Zaffaroni et al. Assessment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using a non‐contact bio‐motion sensor
KR102202781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 장치
Clark et al. Using Bluetooth proximity sensing to determine where office workers spend time at work
JP2010530784A (ja) 個人用仮想アシスタント
JP2016529606A (ja) 習慣を用いた診断装置及び診断管理装置及び方法
US20170100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heart failure decompensation
US20160193918A1 (en) Safe driving management system, sleep shortage determination device, sleep data measurement devic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701496A (zh) 用于确定呼吸发作的风险水平的系统和方法
EP337017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wearable device, method for predicting an acute exacerbation and system for predicting an acute exacerbation
US10925545B2 (en)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7507382A (ja) 患者アクセス可能なデバイスによる患者モニタリング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デバイス
JP2005305134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
Crinion et al. Ambulatory detection of sleep apnea using a non‐contact biomotion sensor
KR101940789B1 (ko)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US20190159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mental disease treatment contents using complex biometric information
JP2020181307A (ja) 認知機能出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18878B2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7257381B2 (ja) 判定システムおよび判定方法
CN111163686B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方法以及数据处理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