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295B1 -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295B1
KR102325295B1 KR1020200047006A KR20200047006A KR102325295B1 KR 102325295 B1 KR102325295 B1 KR 102325295B1 KR 1020200047006 A KR1020200047006 A KR 1020200047006A KR 20200047006 A KR20200047006 A KR 20200047006A KR 102325295 B1 KR102325295 B1 KR 10232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re service
service terminal
communication failur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831A (ko
Inventor
강동주
김동겸
문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20004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2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율을 분석하고,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통신장애를 해소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방송정보는 케어 대상자에게 송출해주는 케어 서비스 단말 및 케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에 전송하며, 연계된 케어 서비스 단말들의 통신장애율을 확인하고, 확인한 통신장애율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전환을 통해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방송정보를 케어 서비스 단말에 전송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를 포함하여,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을 구축한다.

Description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Communication service handling system of care service terminal}
본 발명은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율을 분석하고,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통신장애를 해소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층의 인구증가로 고령인, 독거노인들의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하고, 인식한 일상생활 행위에 따라 고령인, 독거노인들의 케어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하고 이를 원격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일정 지역별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망을 형성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인식한 행위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지역별로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서 관장할 수 있는 개수의 케어 서비스 단말의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으로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관제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관장할 수 있는 서비스 단말의 개수가 제한된다.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은 케어 대상자의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케어 대상자의 다양한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IoT 센서를 통해 수집한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한다. 아울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알맞게 동작을 한다.
여기서 케어 대상자는 고령자, 장애인, 독거노인들과 같이 사회적인 약자이므로, 이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케어 서비스 단말의 장애 상황은 확인할 수 없으며, 오직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케어 서비스 단말에 한하여 수집한 상황정보만을 관제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의 연유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실시간으로 상황을 확인해야 하는 사회적인 약자인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응급상황에서 이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케어 대상자의 행동패턴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위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수집정보를 생성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착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를 관찰하여 낙상 사고나 응급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기관 또는 해당 담당자에게 응급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사람의 손목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구속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본인이 능동적으로 응급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응급 호출 정보가 즉시 전송되어 위급한 응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케어 서비스 단말기 역할을 하는 행동패턴 수집장치와 중계기와의 통신 장애를 확인할 수 없어, 행동패턴 수집장치와 중계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애 발생시 착용자의 응급 상황을 관제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1063(2013.07.16. 공개)(행동 패턴 수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율을 분석하고,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통신장애를 해소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은,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며, RF 통신으로 수신한 방송정보는 케어 대상자에게 송출해주는 케어 서비스 단말;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에 전송하며, 연계된 케어 서비스 단말들의 통신장애율을 확인하고, 확인한 통신장애율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전환을 통해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방송정보를 케어 서비스 단말에 전송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케어 서비스 단말은 획득한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로부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방송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로 방송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를 전처리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황정보에 포함된 케어 서비스 단말의 고유번호를 통해 통신 장애를 확인하는 통신 장애 확인부; 상기 통신 장애 확인부에서 확인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애율을 분석하는 통신 장애율 분석부; 상기 통신 장애율 분석부에서 분석한 통신 장애율에 따라 통신 전환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상기 통신 제어부에서 발생한 통신 전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통신 전환을 실행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통신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신 장애율 분석부는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전체 케어 서비스 단말의 개수와 연산하여 통신 장애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통신 장애율과 등록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장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율을 분석하고,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통신장애를 해소함과 동시에 위급상황에 대해 방송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복수의 케어 서비스 단말(101 - 100+N),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 네트워크(300) 및 관제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케어 서비스 단말(101 - 100+N)을 이루는 각각의 케어 서비스 단말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하나의 케어 서비스 단말(10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방송정보는 케어 대상자에게 송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케어 대상자(예를 들어, 고령자,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상황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Io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IoT 센서를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만들어 케어 대상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관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여 케어 대상자가 쉽게 방송정보를 인지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탁상형 단말기 형태로 만들어 고정된 장소에 위치시키거나, 로봇형 단말기로 만들어 자율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IoT 센서란 독자적으로 특정 위치에서 감시 대상을 감지하고 이를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모듈 집합체를 의미한다. 아울러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비상방송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하여 케어 대상자가 비상상황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행동패턴 분석정보로 수집하는 행동패턴 분석정보 수집부, 상기 행동패턴 분석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한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에 전송하고,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방송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및 제어부, 통신 및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케어 정보는 수신하여 음성으로 변환한 후 송출해주는 정보 제공부, 획득한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로부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정보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조도 감지 정보,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정보, 음성 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음성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는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101)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 서버(400)에 전송하며, 연계된 케어 서비스 단말(101 - 100+N)들의 통신장애율을 확인하고, 확인한 통신장애율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전환을 통해 관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방송정보를 케어 서비스 단말(101 - 100+N)에 전송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101)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방송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101)로 방송정보를 전송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207),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를 전처리하는 데이터 수신부(201), 상기 데이터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상황정보에 포함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의 고유번호를 통해 통신 장애를 확인하는 통신 장애 확인부(202), 상기 통신 장애 확인부(202)에서 확인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의 통신 장애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애율을 분석하는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 상기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에서 분석한 통신 장애율에 따라 통신 전환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통신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는 상기 통신 제어부(204)에서 발생한 통신 전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207)의 통신 전환을 실행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통신 전환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LAN과 같은 유선 통신 또는 LTE나 5G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제 서버(400)는 케어 서비스 단말(101 - 100+N)들의 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급상황 시 관계 기관과 연계하여 신속한 대처를 통해 케어 대상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서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어 대상자인 고령자, 독거노인 및 장애인의 상황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IoT 센서(조도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인식 센서 등)를 포함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후,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조도 정보, 움직임 감지정보, 생체 정보, 음성 인식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로 전송하는 상황정보에는 케어 서비스 단말(101)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ID)가 포함된다. 고유번호를 이용함으로써 케어 서비스 단말(101)을 구분하고, 아울러 위치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은 케어 서비스 단말(101)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된 상황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를 전처리하여 통신 장애 확인부(202)에 전달한다.
통신 장애 확인부(202)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상황정보에 포함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의 고유번호(ID)를 통해 통신 장애를 확인한다. 즉, 일정 주기마다 상황정보에 포함된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유무를 확인한다. 예컨대, 등록된 케어 서비스 단말이 100개라고 가정을 하면 각각의 케어 서비스 단말마다 서로 다르게 고유번호가 부여되므로, 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케어 서비스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개수만을 추출하여 통신 장애 확인정보로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에 전달한다.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는 상기 통신 장애 확인부(202)에서 확인한 케어 서비스 단말(101)의 통신 장애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애율을 분석한다.
예컨대,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는 통신 장애 확인정보를 통해 일정기간 동안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전체 케어 서비스 단말의 개수와 연산하여(제산) 통신 장애율을 산출한다.
통상, 특별한 장애가 없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대부분의 케어 서비스 단말에서 송신된 상황정보가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에 수신된다. 만약, 특별한 장애가 발생하면 케어 서비스 단말에서 전송된 상황정보가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에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400)에서 인지할 수 없어, 위급상황임에도 이를 확인하지 못하여 귀중한 생명을 잃어버리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통신의 연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통신 제어부(204)는 상기 통신 장애율 분석부(203)에서 분석한 통신 장애율에 따라 통신 전환 제어명령을 발생한다.
예컨대, 산출한 통신 장애율과 등록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장애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치는 95%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것은 실시 예에 불과하며, 기준치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장애로 판단이 되면, 상기와 같이 통신 전환 제어명령을 발생하여 통신 전환부(205)에 전달한다. 여기서 통신 전환 제어명령은 통신 방식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거나, 원거리 무선 통신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초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장애 발생일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라는 통신 전환 제어명령이 발생된다.
통신 전환부(205)는 상기 통신 제어부(204)에서 발생한 통신 전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207)의 통신 전환을 실행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한다. 즉, 상기 통신 전환 제어명령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환하라는 통신 전환 제어명령이므로,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207)로 전환을 한다.
통신 방식을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207)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관제 서버(400)에서 전송된 관제 정보나 방송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케어 서비스 단말(101)에 전송한다.
케어 서비스 단말(101)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을 한다.
이로써 케어 대상자의 케어를 위한 상황정보나 방송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장애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장애율이 기준치 미만이 되면, 자동으로 통신 제어부(204)는 통신 전환부(205)를 통해 다시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제어를 한다.
여기서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비하여 별도의 통신 비용이 발생하거나 더 큰 소모 전력이 발생하므로, 가능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어 서비스 단말과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대신에 자가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자가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가망에 장애가 발생하면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환을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자가망 통신 장애시에도 통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1 - 100+N: 케어 서비스 단말
200: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
201: 데이터 수신부
202: 통신 장애 확인부
203: 통신 장애율 분석부
204: 통신 제어부
205: 통신 전환부
206: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207: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
300: 네트워크
400: 관제 서버

Claims (5)

  1. 케어 대상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방송정보는 케어 대상자에게 송출해주는 케어 서비스 단말; 및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상황정보를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에 전송하며, 연계된 케어 서비스 단말들의 통신장애율을 확인하고, 확인한 통신장애율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전환을 통해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방송정보를 케어 서비스 단말에 전송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상기 상황정보에 포함된 케어 서비스 단말의 고유번호를 통해 통신 장애를 확인하는 통신 장애 확인부; 상기 통신 장애 확인부에서 확인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애율을 분석하는 통신 장애율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애율 분석부는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 장애 개수를 전체 케어 서비스 단말의 개수와 연산하여 통신 장애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통신 장애율과 등록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통신 장애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통신 장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은 획득한 상황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로부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방송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케어 서비스 단말로 방송정보를 전송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를 전처리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통신 장애율 분석부에서 분석한 통신 장애율에 따라 통신 전환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무선 방송 안정화장치는 상기 통신 제어부에서 발생한 통신 전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통신 전환을 실행하여 방송의 지속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통신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5. 삭제
KR1020200047006A 2020-04-17 2020-04-17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KR10232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06A KR102325295B1 (ko) 2020-04-17 2020-04-17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06A KR102325295B1 (ko) 2020-04-17 2020-04-17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31A KR20210128831A (ko) 2021-10-27
KR102325295B1 true KR102325295B1 (ko) 2021-11-12

Family

ID=7828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06A KR102325295B1 (ko) 2020-04-17 2020-04-17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2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4936B2 (en) * 2006-03-14 2009-03-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prioritize network faults based on real-time service degradation
KR20090040620A (ko) * 2007-10-22 2009-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응급 상황 전송 시스템 및방법
KR101866974B1 (ko) 2012-01-06 2018-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60022444A (ko) * 2014-08-19 2016-03-02 주식회사 알씨엔 지능형 휴대용 추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31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974B1 (ko)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833586A (zh) 一种家用老人看护智能系统
US20090315719A1 (en) Fall acciden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515929B1 (ko) 수상 및 수중 인명 구조를 위한 무선 착용 기술 기반의 스마트 구명 조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06583A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JP6123971B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被監視者監視方法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102000644B1 (ko)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8251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KR20180057368A (ko)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JP2007264723A (ja) 靴圧力センサ及びicタグを利用した児童通学監視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KR102325295B1 (ko)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KR101625907B1 (ko) 어린이 안심 등하원 관리 및 알림 관제 방법
KR101883899B1 (ko) 스마트 밴드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 관리 시스템
KR101825134B1 (ko)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KR20160096380A (ko) 도보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165459B (zh) 监视系统
KR102571549B1 (ko)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20210066453A (ko)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KR102186671B1 (ko) 장애 아동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20032662A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694510B1 (ko) 개인의 이상 행동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