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851B1 - 미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851B1
KR101085851B1 KR1020090117740A KR20090117740A KR101085851B1 KR 101085851 B1 KR101085851 B1 KR 101085851B1 KR 1020090117740 A KR1020090117740 A KR 1020090117740A KR 20090117740 A KR20090117740 A KR 20090117740A KR 101085851 B1 KR101085851 B1 KR 10108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child
guardian
l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178A (ko
Inventor
손명규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8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6Threshold set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미아 방지 시스템은, 제 1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호자용 센서;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아이용 센서;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의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고,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아이용 센서의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중계센서 그룹; 및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보호자용 센서로 송신하며, 추적 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 및 아이용 센서 간의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미아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용 센서 및 아이용 센서로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아, 센서, 위치

Description

미아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 및 아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한 미아를 더욱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보호자와 동행하는 아이에 대한 미아 방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아 방지 기술은, 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나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와 아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아이의 미아 발생 여부를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GPS 기술을 이용한 미아 방지 기술은, 실내나 지하공간 등과 같이 GPS 신호 음영 지역에서는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점으로 인해 보호자와 아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의 경우, GPS 기술을 이용한 보호자와 아이의 위치 인식 범위가 너무 넓어서 정확한 위치 인식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RFID 기술을 이용한 미아 방지 기술은, RFID 신호의 송수신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많은 RFID 리더기를 아주 조밀하게 설치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 어디서든, 보호자 및 아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한 미아를 더욱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호자용 센서;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아이용 센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아이용 센서의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중계센서 그룹; 및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로 송신하며, 상기 추적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 간의 이격거리가 유효거리 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미아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로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또는 실외 어디서든, 보호자 및 아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한 미아를 더욱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미아 방지 시스템은, 보호자가 지닌 보호자용 센서, 아이가 지닌 아이용 센서 및 복수 개의 중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보호자용 센서 및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를 통해, 아이용 센서를 가진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아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한 미아를 보다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미아 방지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은,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를 포함하는 이동형 센서와, 관리서버(140)와, 이러한 이동형 센서와 관리서버(14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복수의 중계센서를 포함하는 중계센서 그룹(130) 등을 포함한다.
보호자용 센서(110)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식별정보인 제 1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한다.
아이용 센서(120)는, 아이용 센서(120)의 식별정보인 제 2 식별정보가 포함 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한다.
중계센서 그룹(130)은, 보호자용 센서(110)가 송신한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110)의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고, 아이용 센서(120)가 송신한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아이용 센서(120)의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서버(140)로 송신한다.
관리서버(140)는, 중계센서 그룹(130)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를 추적하고,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를 보호자용 센서(110)로 송신하며,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 간의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미아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로 송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중계센서 그룹(130)은, 보호자용 센서(110)와 아이용 센서(120) 등의 이동형 센서와 직접 통신하는 1차 중계센서를 포함하는 1차 중계센서 함)와, 이러한 복수의 1차 중계센서와 관리서버(14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중계센서(1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용 센서(110)와 아이용 센서(120) 등의 이동형 센서와 직접 통신하는 복수의 1차 중계센서는, 보호자용 센서(110)와 직접 통신하여 제 1 데이터를 일정 주기 마다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110)에 대한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와, 아이용 센서(120)와 직접 통신하여 제 2 데이터를 일정 주기 마다 수신하고 수신된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아이용 센서(120)에 대한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는 송신하는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를 포함한다. 이때,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와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는 동일한 1차 중계센서이거나 다른 1차 중계센서일 수 있다.
전술한 중계센서 그룹(130)은, 보호자용 센서(110)에 대한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아이용 센서(120)에 대한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가 복수의 1차 중계센서(즉,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와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에서 관리서버(140)로 송신되도록, 복수의 1차 중계센서(즉,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와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 및 관리서버(14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중계센서(1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중계센서와 2차 중계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예: 블루투스, 무선랜 등)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2차 중계센서는 관리서버(14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중계센서 그룹(130)에 포함된 1차 중계센서(1311,1312,1313) 및 2차 중계센서(1321)는, 공원, 대형마트, 백화점, 수영장, 공연장 등의 특정 지역에 배치된다. 특히, 1차 중계센서(1311,1312,1313)는, 자신과 특정한 통신 범위 이내에서, 특정 지역에 있는 이동형 센서(보호자용 센서(110), 아이용 센서(120) 및 미아 방지 로봇(150) 등)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1차 중계센서(1311,1312,1313)는, 특정 지역 내 어디서든 미아가 발생하더라도 미아 발생 상황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1차 중계센서 각각의 배치 위치를 설계해야한다.
보호자용 센서(110)와 직접 통신하는 1차 중계서버인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는, 보호자용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식별정보" 및 보호자용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된 "보호자용 센서(110)와의 제 1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과,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식별정보" 및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한다. 또한, 아이용 센서(120)와 직접 통신하는 1차 중계서버인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는, 아이용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 및 아이용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된 "아이용 센서(120)와의 제 2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식별정보" 및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보호자용 센서(110)와 직접 통신하는 1차 중계서버인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로부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수신하고, 아이용 센서(120)와 직접 통신하는 1차 중계서버인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로부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를 이용하여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40)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제 1 식별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가 고정형의 1차 중계센서인 경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추적을 위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의 인식은,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로 치환하거나,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 추적을 위한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의 인식은,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위치정보를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로 치환하거나,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의 인식과 관련하여, 관리서버(140)는,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에서 송신된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를 제 1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로서 대응시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40)는,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의 위치정보와,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보호자용 센서(110)와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1311) 간의 제 1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를 계산하여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다시 말해,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의 인식과 관련하여, 관리서버(140)는,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에서 송신된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위치정보를 제 2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로서 대응시켜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40)는,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아이 연결 중계센서(1312)의 위치정보와,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제 2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를 계산하여 추적할 수 있다.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 간의 계산된 이격거리가 미리 정의된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의된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로 송신한다.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 알림 정보를 포함하거나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 로 송신한다. 또한, 관리서버(140)는,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 알림 정보를 포함하거나,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아 발생 정보를 아이용 센서(120)로 송신한다.
보호자용 센서(110)는, 관리서버(140)에서 송신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와 특정 지역의 지도정보를 보호자가 기 등록하여 연결 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관리서버(140)에서 송신된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가 기 등록하여 연결 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용 센서(110)는, 단말기의 화면상에 지도정보에 추적 결과를 매핑시킨 지도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용 센서(110)는, 미아 발생 정보를 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한 경우 미아 발생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미아 발생 정보를 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를 토대로 아이용 센서(120)와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면, 미아 발생 주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용 센서(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방식으로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일 예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미아 발생에 대한 처리를 위해, 미아 발생 정보를 미아 보호 센터 등의 다른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 결과와, 특정 지역의 지도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은, 특정 지역을 이동하면서 순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미아 방지 로봇(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아 방지 로봇(1500은, 2차 중계서버(1321)와 1차 중계서버(1313)를 통해 관리서버(140)로부터 미아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미아 발생 정보를 토대로, 현재의 위치에서 아이용 센서(120)가 위치한 곳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하여 이동하여, 아이용 센서(120)가 위치한 곳에서 이미지나 영상을 촬영하거나 음성을 녹음하고,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 또는 녹음된 음성을 1차 중계서버(1313)와 2차 중계서버(1321)를 통해 관리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미아 방지 로봇(150)은,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 등의 이동형 센서를 포함하는 로봇일 수 있다.
이러한 미아 방지 로봇(150)은, 아이용 센서(12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음성이나 화면으로 표시하여 주변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미아 방지 로봇(150)은, 아이용 센서(120)가 위치한 곳에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시키면서, 미리 정의된 안전 지역으로 미아를 유도하기 위한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아가 더 멀리 도망가지 못하게 하거나 주변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해주어, 미아를 더욱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전술한 관리서버(140)는, 아이용 센서(120)를 가진 미아의 신체 정보(인상 착의) 및 옷 색깔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아 정보를 미아 발생 상황의 파악 전 또는 파악 후에 보호자 등으로부터 입력받아 미아 방지 로봇(150)으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미아 방지 로봇(150)은, 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미아 정보를 이용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아이용 센서(120)가 위치한 곳에서 미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에 포함된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 등의 이동형 센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 등의 이동형 센서는, 중앙 처리부(210), 메모리(220), RF(Radio Frequency) 송수신부(230), 안테나(240), 스피커(250) 및 통신 인터페이스(260) 등을 포함한다.
RF 송수신부(230)는, 1차 중계센서(1311,1312)와 RF 통신을 수행하여, 이러한 제 1 데이터 또는 제 2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1차 중계센서(1311,1312)에게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식별정보(메모리(220)에 기 저장된 제 1 식별정보 또는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또는 제 2 데이터를 안테나(240)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근처의 1차 중계센서(1311,1312)가 제 1 데이터 또는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RF 송수신부(230)는, 관리서버(140)에서 송신된 데이터(예: 지도정보, 추적 결과, 미아 발생 정보 등)를 근방에 있는 1차 중계센서(1311,1312)를 통해 안테나(240)로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250)는, RF 송수신부(230)에서 수신한 데이터(예: 지도정보, 추적 결과, 미아 발생 정보 등)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RF 송수신부(230)에서 수신한 데이터(예: 지도정보, 추적 결과, 미아 발생 정보 등)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60)는, 미리 정의되어 연결가능한 단말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의위치에 추적결과(즉, 위치정보)와, 지도정보와, 또는 미아 발생 정보 등을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처리부(210)는, 전술한 통신 기능(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음성 출력 기능 등을 중앙에서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에 포함된 관리서버(140)에서의 미아 방지 서비스를 위한 실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40)는 위치를 추적할 보호자용 센서(110)의 제 1 식별정보 및 아이용 센서(120)의 제 2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S300). 이후,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자용 센서(110)에 대한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아이용 센서(120)에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S302). 추적 결과를 이용하여, 보호자용 센서(110)와 아이용 센서(1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정한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04). 판단 결과,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 상황의 지속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S306), 이격거 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 상황의 지속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미아 발생 정보를 생성하고(S308), 생성된 미아 발생 정보를 보호자용 센서(110), 아이용 센서(120) 및 미아 방지 로봇(150) 등으로 송신한다(S310). 이후, 미아 발생 상황이 해제되는지를 판단하여(S312), 해제되면 위치 추적(S302)을 다시 시작하고, 해제되지 않았으면 미아 발생 정보 생성 단계(S308) 이후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때, 보호자용 센서(110)로는, 지도정보, 지도상에서 보호자용 센서(110)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 등을 제공한다. 미아 방지 로봇(150)로는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정보 및 아이(미아)에 관한 정보(미아 정보)를 전달하여, 미아 방지 로봇(150)이 아이의 위치 근처로 찾아 갈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100)에 포함된 보호자용 센서(110)에서의 미아 방지 서비스를 위한 실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에, 보호자용 센서(110)는, 해당 특정 지역(예: 공원, 대형마트, 백화점, 수영장, 공연장 등)의 전체 지도정보를 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하여(S400), 단말기로 송신한다(S402). 이후, 보호자용 센서(110)는, 주기적으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결과(즉, 보호자와 아이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받거나, 관리서버(140)로부터 미아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404), 수신된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결과(즉, 보호자와 아이의 위치정보) 또는 미아 발생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S406). 이후, 관리서버(140)로부터 미아 발 생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S408), 경보음과 함께 경보메시지를 연결된 단말기로 송신하여 미아 발생 소리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S410). 관리서버(140)로부터 미아 발생 정보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보호자용 센서(110)의 위치 및 아이용 센서(120)의 위치에 대한 추적결과를 토대로, 아이용 센서(120)와의 이격거리가 특정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S409)하여, 초과하면, 미아 발생 주의 정보를 생성하여 미아 발생 주의 소리를 발생(S411)시킴으로써,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하여 미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또는 실외 어디서든, 보호자 및 아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아이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한 미아를 더욱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 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에 포함된 보호자용 센서 및 아이용 센서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에서의 미아 방지 서비스를 위한 실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에 포함된 보호자용 센서에서의 미아 방지 서비스를 위한 실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미아 방지 시스템
110: 보호자용 센서
120: 아이용 센서
130: 중계센서 그룹
1311, 1312, 1313: 1차 중계센서
1321: 2차 중계센서
140: 관리서버
150: 미아 방지 로봇

Claims (16)

  1. 제 1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호자용 센서;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아이용 센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아이용 센서의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중계센서 그룹; 및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로 송신하며, 상기 추적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호자용 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 간의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미아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로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아이용 센서가 위치한 곳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하여 이동하여, 상기 아이용 센서가 위치한 곳에서 이미지나 영상을 촬영하거나 음성을 녹음하고, 상기 이미지나 상기 영상, 또는 상기 음성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미아 방지 로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센서 그룹은,
    상기 보호자용 센서와 직접 통신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일정 주기 마다 수신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와 직접 통신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를 일정 주기 마다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는 송신하는 아이 연결 중계센서
    를 포함하는 복수의 1차 중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와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는 동일한 1차 중계센서이거나 다른 1차 중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센서 그룹은,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가 상기 복수의 1차 중계센서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되도록, 상기 복수의 1차 중계센서 및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중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는,
    상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1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된 상기 보호자용 센서와의 제 1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고,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2 식별정보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된 상기 아이용 센서와의 제 2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 1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정보로서 대응시켜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보호자 연결 중계센서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계산하여 추적하고,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 2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정보로서 대응시켜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기 저장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아이 연결 중계센서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 2 위치 추적 필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2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를 계산하여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격거리가 상기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이격거리가 상기 유효거리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파악하고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 및 상기 아이용 센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 알림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로 송신하고,
    상기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 알림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아이용 센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미아 보호 센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에 대한 상기 추적 결과와 특정 지역의 지도정보를 상기 보호자용 센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용 센서는,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에 대한 상기 추적 결과와 특정 지역의 지도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지도정보에 상기 추적 결과를 매핑시킨 지도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용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방지 로봇은,
    상기 아이용 센서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미아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음성이나 화면으로 표시하여 주변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 방지 로봇은,
    상기 아이용 센서가 위치한 곳에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시키면서, 미리 정의된 안전 지역으로 미아를 유도하기 위한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아이용 센서를 가진 미아의 신체 정보 및 옷 색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아 정보를 상기 미아 발생 상황의 파악 전 또는 파악 후에 입력받아 상기 미아 방지 로봇으로 전달하고,
    상기 미아 방지 로봇은,
    상기 미아 정보를 이용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아이용 센서가 위치한 곳에서 상기 미아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용 센서는,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면, 미아 발생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미아 발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지 않아도, 상기 보호자용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아이용 센서의 위치에 대한 상기 추적 결과를 토대로 상기 아이용 센서와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면, 미아 발생 주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KR1020090117740A 2009-12-01 2009-12-01 미아 방지 시스템 KR10108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40A KR101085851B1 (ko) 2009-12-01 2009-12-01 미아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40A KR101085851B1 (ko) 2009-12-01 2009-12-01 미아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78A KR20110061178A (ko) 2011-06-09
KR101085851B1 true KR101085851B1 (ko) 2011-11-22

Family

ID=4439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40A KR101085851B1 (ko) 2009-12-01 2009-12-01 미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974B1 (ko) * 2012-01-06 2018-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CN107590949A (zh) * 2017-08-17 2018-01-16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电子报警系统、报警方法及电子设备
CN111638486B (zh) * 2019-03-01 2024-08-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系统和装置
KR102212639B1 (ko) * 2019-07-09 2021-02-0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위치 추적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4865A2 (en) 2000-10-27 2002-06-06 Digital Ang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tracking related u.s. paten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4865A2 (en) 2000-10-27 2002-06-06 Digital Ang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tracking related u.s. patent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78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42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9040B1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서버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4488007A (zh) 数字安全网络系统和方法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KR101085851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JP2018181291A (ja) デバイス、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9882A (ko) Rfid 리더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rfid를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71362B2 (ja) 盗難検出のための物体
JP2017045218A (ja) 近距離無線通信可能な発信機器を用いた迷子防止システム
JP5144151B2 (ja) パトロール方法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101472502B1 (ko)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TWI583983B (zh) 藍芽定位系統及方法
KR20220086114A (ko) 비콘을 이용한 아동 위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17016336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94879B2 (en) Determining path traversed by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964561B2 (ja) 位置管理システム
JP2008192096A (ja) 情報監視装置、情報監視システム、情報監視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6091256A (ja) 警報装置、警報システム、警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81315B1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0674A (ko) 범죄 예방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91416B1 (ko) 사운드qr을 이용한 미아방지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US96996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99982B1 (ko)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