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02B1 -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 Google Patents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02B1
KR101472502B1 KR1020130073838A KR20130073838A KR101472502B1 KR 101472502 B1 KR101472502 B1 KR 101472502B1 KR 1020130073838 A KR1020130073838 A KR 1020130073838A KR 20130073838 A KR20130073838 A KR 20130073838A KR 101472502 B1 KR101472502 B1 KR 10147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ild
distance
parent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13007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서버가 아동과 부모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아동과 부모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서버로부터 아동정보를 전송받은 주변단말이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미아 찾기 시스템 그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아찾기 시스템은, 아동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아동정보가 저장되고, 무선 통신을 모듈을 포함하는 아동단말과, 내부에 무선 통신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동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부모단말, 상기 아동단말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아동의 인적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단말로부터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전송받아 부모와 아동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되면, 미아추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는 메인서버, 그리고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아동단말과 부모단말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아동의 인적사항을 송신받아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변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A lost child finding system and lost child fin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서버가 아동과 부모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아동과 부모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서버로부터 아동정보를 전송받은 주변단말이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미아 찾기 시스템 그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어린이와 치매노인, 그리고 정신지체아 등 미아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인구는 약 4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미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형 놀이 동산 등의 경우에 목걸이나 팔찌 등을 아동에게 착용시키고,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에 미아보호소에 미아 신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미아를 찾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미아를 발견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제적으로 미아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0827호(발명의 명칭 : 미아 찾기 방법)에 따르면 특정 통신사가 이동통신 단말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미아 찾기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아동의 부모는 사전에 회원으로 가입되어야 하며, 미아가 발생하면 부모가 우선 인터넷을 통해 통신사 서버로 미아 신고를 하고, 해당 통신사에서 미아신고를 한 부모 휴대폰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해당 통신사의 단말 중 미아찾기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들에 미아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관련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해당 통신사에 사전에 미아찾기 서비스를 가입한 회원들에 한하여 미아신고를 받거나 미아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므로, 타 통신사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미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 인근 수 km 반경 내의 가입자들에게 미아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미아 찾기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은 불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미아 찾기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의 부주의 또는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미아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실제로 미아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특정 지역내에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미아의 위치를 파악하여 미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미아 찾기 시스템과 미아 찾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미아와 부모 외의 다른 주변단말과 고정단말을 이용하여 미아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미아를 발견할 수 있는 미아 찾기 시스템과 미아 찾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부모단말 외의 주변단말로부터 미아가 발견하여 신고하도록 함으로써 미아를 발견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도록 하는 미아 찾기 시스템과 미아 찾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동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아동정보가 저장되고, 무선 통신을 모듈을 포함하는 아동단말(10)과, 내부에 무선 통신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동단말(10)과의 통신을 통해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며,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는 부모단말(20),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와, 아동의 인적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단말(20)로부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전송받아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떨어졌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메인서버(30), 그리고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송신받아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변단말(4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의 인적사항을 송신받아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도록 특정 지역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단말(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말(50)에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된 아동을 인식하기 위한 비젼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동단말(10)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주변단말(40)은 상기 미아찾기 앱을 통해 아동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메인서버(30)로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30)는,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단말(40) 또는 고정단말(50)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아동단말(10)의 위치 오차를 보정하고, 아동의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동단말(10) 이외의 다른 아동단말(10')은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부모단말(20)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아동단말(10)을 소지한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주소를 포함하는 아동정보를 메인서버(30)에 저장하고,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관계를 설정하며, 미아찾기 앱을 부모단말(20)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아동정보를 미아찾기 앱을 설치한 주변단말(4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단말(40)의 위치와,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측정된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메인서버(30)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전송된 주변단말(40)의 위치와,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아동단말(10)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상기 부모단말(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아동정보를 특정지역 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단말(50)로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단말(50)로부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고정단말(5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메인서버(30)는 부모단말(20)에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단말(40) 또는 고정단말(50)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동단말(10)과의 위치를 전송받아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변단말(40)은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전송된 아동을 발견시, 상기 주변단말(40)에 설치된 미아찾기 앱을 통해 아동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신고하는 신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동단말(10) 이외의 다른 아동단말(10')은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부모단말(20)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아동단말(10)을 소지한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아 찾기 앱을 설치한 부모단말과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메인서버가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일정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단말과 고정단말로 아동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아동의 정보를 주변단말과 공유하여 신속하게 미아를 찾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주변단말과 고정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아동의 위치를 이용하여 정확한 아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미아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미아찾기 앱이 설치된 주변단말은 메인서버로부터 미아의 정보를 전송받아 메인서버로 미아 신고를 할 수 있어 신속하게 미아를 발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주변단말과 고정단말로부터 전송된 미아의 위치를 전송받아 메인서버에서 미아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정확한 미아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찾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차 찾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아 찾기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찾기 방법에 따른 각 단계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찾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찾기 시스템은, 아동이 소지할 수 있는 아동단말(10)과, 아동의 부모가 소지하고 상기 아동단말(10)과 통신하는 부모단말(20),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를 전송받아 미아추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인서버(30),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미아의 정보를 전송받아 미아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주변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모단말(20)은 여러 사람이 소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아가 된 아동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부모가 소지하는 단말을 부모단말(20)이라고 칭하고, 그 외의 부모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을 주변단말(40)로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메인서버(30)에서 미아추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특정 지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고정단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은 최초에 미아보호소 내의 메인서버(30)에 등록을 하게 된다. 이때 아동의 인적사항, 예를 들면, 아동과 부모의 이름, 연락처, 아동의 특징, 그리고 사진 등과 같은 기초 정보를 메인서버(30)에 등록한다.
상기 아동단말(10)은 아동이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RFID 통신의 태그(Tag)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부모단말(20) 또는 주변단말(40) 또는 고정단말(5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모단말(20)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부모단말(20)에도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부모단말(20)은 RFID 통신의 리더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부모단말(20)에는 미아찾기 앱을 설치하도록 하여, 아동단말(10)이 부모단말(20)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아동이 미아가 되었을 때, 상기 부모단말(20)은 이동 송수신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모단말(20)에는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부모단말(20)은 아동단말(1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된 자신의 위치와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주변단말(40) 또한 상기 부모단말(2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변단말(40)은 상기 메인서버(30)에 등록되고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서버(30)와의 관계에서 미아의 정보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자신의 위치와 미아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30)에서 미아추적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주변단말(40)에 설치된 미아찾기 앱에 의해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된 자신의 위치와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MAC address)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를 각 주변단말(40)에 전송하고, 각 주변단말(40)은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를 수신한 각 주변단말(40)은 아동단말(10)과의 페어링(pairing)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메인서버(30)에서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을 수동으로 페어링함으로써,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변단말(40)은 상기 아동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메인서버(30)는 여러 대의 주변단말(40)로부터 수신된 아동단말(10)의 위치를 분석하여 정확한 아동단말(1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아가 된 상기 아동단말(10)은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된 주변단말(40)의 다른 아동단말(10')과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단말(40)의 아동단말(10')은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미아가 된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MAC address)를 포함한 아동정보를 전송받아, 미아가 된 상기 아동단말(10)이 통신 가능한 영역내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주변단말(40)의 아동단말(10')은 미아가 된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미아가 된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를 수신한 아동단말(10')은 미아가 된 아동단말(10)과 별도의 페어링(pairing)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메인서버(30)에서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을 수동으로 페어링함으로써,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측정된 거리는 상기 주변단말(40)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단말(40)은 아동단말(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주변단말(40)의 아동단말(10')이 미아가 된 아동단말(10)과의 통신을 통해 미아가 된 아동단말의 위치를 수집함으로써, 미아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미아가 된 아동단말(10) 이외의 아동단말(10')은 주변단말(40)을 통해 측정된 아동단말과의 거리를 전송함으로써 아동단말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미아찾기 앱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30)는 주변단말(40)에 아동의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주변단말(40)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아동단말(10)이 상기 주변단말(40)과의 통신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면, 상기 주변단말(40)에 설치된 미아찾기 앱을 통해 상기 아동단말(10)과 주변단말(4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서버(30)에는 저장매체가 구비되어 있어, 앞에서 설명한 아동에 대한 기초정보와, 각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예를 들면, MAC address)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이 부모단말(20)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것을 인지하여 아동이 미아가 된 것을 파악하게 되면, 미아추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말(50)은 상기 메인서버(30)와 무선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특정 지역내에 다수 개 설치되는 것으로, 미아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통제를 받아 상기 아동단말(10)과 고정단말(50)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단말(50)은 아동이 고정단말(50)의 측정거리 내로 이동한 경우,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50) 또한 아동단말(10)과 블루투스 통신 또는 RFID 통신을 통해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말(50)에는 비전카메라(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된 아동단말(10)을 소지하고 있는 아동의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아동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이와 같이 비전카메라를 상기 고정단말(50)에 설치하는 것은, 미아가 된 아동이 아동단말(10)을 버리거나 분실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아동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아 찾기 시스템을 통하여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미아를 찾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은 최초에 미아보호소 내의 메인서버(30)에 등록을 하게 된다(S10). 이때 아동의 인적사항, 예를 들면, 아동과 부모의 이름, 연락처, 아동의 특징, 그리고 사진 등과 같은 아동에 관한 기초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30)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MAC address) 또한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관계를 설정한 후, 상기 부모단말(20)에는 미아찾기 앱을 설치한다(S10).
다음으로, 상기 부모단말(20)은 아동단말(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주기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상기 메인서버(3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30)는 상기 부모단말(20)로부터 아동단말(10)이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20).
이때,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동단말(10)에 구비된 RFID 태그를 부모단말(20)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상기 부모단말(20)은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모단말(20)에 구비되어 있는 GPS 모듈을 통해 상기 부모단말(20)은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모단말(20)의 위치와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상기 메인서버(30)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30)는, 상기 부모단말(20)로부터 전송된 부모단말(20)의 위치와,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상기 아동단말(10)이 부모단말(2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아동단말(10)이 부모단말(20)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미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메인서버(30)는 부모단말(20)에서 경고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30). 경고 신호는 부모단말(20)에 알람 등과 같은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 또는 경고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신호를 통해, 아동의 부모는 아동이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아동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미아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메인서버(30)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포함한 아동에 관한 정보를 각 주변단말(40)에 송신한다(S30).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은 상기 주변단말(40)들은 아동단말(10)이 상기 주변단말(40)과의 측정거리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한다(S40).
이때,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 측정을 위해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은 각 주변단말(40)은 상기 아동단말(10)과의 페어링 절차 없이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RFID 방식으로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이 통신을 하는 경우는, 상기 아동단말(10)에 구비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상기 주변단말(40)에 구비된 RFID 리더기가 읽어들임으로써,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단말(40)에 구비되어 있는 GPS 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량한 후, 상기 주변단말(40)의 위치와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메인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30)는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포함한 아동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고정단말(50)에도 전송한다(S40).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은 상기 고정단말(50)들은 아동단말(10)이 상기 고정단말(50)과의 측정거리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고정단말(5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 측정을 위해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은 각 고정단말(50)은 상기 아동단말(10)과의 페어링 절차 없이 고유번호(MAC address)를 이용하여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말(50)은 자신의 절대 위치로부터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메인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50)에는 비전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된 아동단말(10)을 소지하고 있는 아동의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아동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단말(50)에 설치된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여 아동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도록 함으로써, 미아가 된 아동이 아동단말(10)을 실수로 버리거나 또는 분실하였을 경우,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무의미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여 미아가 된 아동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게 아동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아동정보를 입력한 후 부터, 등록된 아동의 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정보를 아동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아동의 옷 색깔 또는 특징점을 파악하여 아동의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상기 메인서버(30)에서는 상기 주변단말(40)과 고정단말(50)로부터 전송된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수집하고, 수집된 아동단말(10)의 위치값으로부터 아동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주변단말(40)과 고정단말(50)로부터 아동의 위치를 수집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아동의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S50).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서버(30)는 계산된 미아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상기 부모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부모가 미아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아동단말
20:부모단말
30:메인서버
40:주변단말
50:고정단말

Claims (12)

  1. 아동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아동정보가 저장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아동단말(10)과,
    내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며,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는 부모단말(20),
    상기 아동단말(10)의 고유주소와, 아동의 인적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단말(20)로부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전송받아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떨어졌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메인서버(30), 그리고
    미아찾기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변단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아동의 인적사항을 송신받아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도록 특정 지역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단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50)에는 상기 메인서버(30)에 저장된 아동을 인식하기 위한 비젼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동단말(10)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주변단말(40)은 상기 미아찾기 앱을 통해 아동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메인서버(30)로 신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는,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단말(40) 또는 고정단말(5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아동단말(10)의 위치 오차를 보정하고, 아동의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동단말(10) 이외의 다른 아동단말(10')은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부모단말(20)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아동단말(10)을 소지한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시스템.
  7.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주소를 포함하는 아동정보를 메인서버(30)에 저장하고, 미아찾기 앱을 부모단말(20)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아동정보를 미아찾기 앱을 설치한 주변단말(4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단말(40)의 위치와,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측정된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메인서버(30)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전송된 주변단말(40)의 위치와, 상기 주변단말(4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아동단말(10)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상기 부모단말(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아동정보를 특정지역 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단말(50)로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단말(50)로부터 아동단말(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고정단말(5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모단말(20)과 아동단말(1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메인서버(30)는 부모단말(20)에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찾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단말(40) 또는 고정단말(50)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동단말(10)과의 위치를 전송받아 상기 아동단말(10)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단말(40)은 상기 메인서버(30)로부터 전송된 아동을 발견시, 상기 주변단말(40)에 설치된 미아찾기 앱을 통해 아동이 상기 주변단말(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신고하는 신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동단말(10)과 부모단말(2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동단말(10) 이외의 다른 아동단말(10')은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부모단말(20)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아동단말(10)을 소지한 아동의 인적사항과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상기 아동단말(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변단말(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찾기 방법.

KR1020130073838A 2013-06-26 2013-06-26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KR10147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838A KR101472502B1 (ko) 2013-06-26 2013-06-26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838A KR101472502B1 (ko) 2013-06-26 2013-06-26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02B1 true KR101472502B1 (ko) 2014-12-12

Family

ID=5267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838A KR101472502B1 (ko) 2013-06-26 2013-06-26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91B1 (ko) * 2014-12-09 2016-05-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분실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60112233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광대역밴드를 이용한 피탐색 단말기 탐색 시스템 및 방법
US10306017B2 (en) 2015-11-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KR102271376B1 (ko) * 2020-03-13 2021-06-30 (주)한국기술개발원 주변 장치 검색 기반 타깃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41B1 (ko) * 2004-06-30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로 설정된 안전구역에 대한이탈경보 서비스 방법
KR100681126B1 (ko) * 2005-01-06 2007-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위치 정보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기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1104181B1 (ko) * 2009-10-20 2012-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추적용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30048478A (ko) * 2011-11-02 2013-05-10 한성환 미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그리고 미아방지를 위한 디바이스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41B1 (ko) * 2004-06-30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로 설정된 안전구역에 대한이탈경보 서비스 방법
KR100681126B1 (ko) * 2005-01-06 2007-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위치 정보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기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1104181B1 (ko) * 2009-10-20 2012-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추적용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30048478A (ko) * 2011-11-02 2013-05-10 한성환 미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그리고 미아방지를 위한 디바이스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91B1 (ko) * 2014-12-09 2016-05-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분실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60112233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광대역밴드를 이용한 피탐색 단말기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656B1 (ko) 2015-03-18 2016-10-24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광대역밴드를 이용한 피탐색 단말기 탐색 시스템 및 방법
US10306017B2 (en) 2015-11-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KR102271376B1 (ko) * 2020-03-13 2021-06-30 (주)한국기술개발원 주변 장치 검색 기반 타깃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8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door position location with assisted user profiles
US9189948B2 (en) Object acquiring system and acquiring method thereof
KR101472502B1 (ko) 미아찾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US10044847B2 (en)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KR101318042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CN105829911A (zh) 一种防止走失的方法、智能手环及终端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KR20100041325A (ko) 미아 찾기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 휴대단말, 서버 및 방법
US20130196613A1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5163283A (zh) 一种提醒用户的方法及装置
RU2710986C2 (ru) Средство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о перемещениях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575000B2 (ja) 見守り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9222B1 (ko) 그룹 이탈자 인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71662B1 (ko) 미아 추적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97739A (ja) 移動履歴管理機能を有するサーバ及び端末
JP5102232B2 (ja) 端末装置、位置情報制御方法および位置情報制御システム
KR101569109B1 (ko)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266756A (ja) 通信装置及び緊急通知システム
JP2017076201A (ja)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JP2016091256A (ja) 警報装置、警報システム、警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61178A (ko) 미아 방지 시스템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10042596A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101699982B1 (ko)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