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72B1 -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72B1
KR100889272B1 KR1020070063783A KR20070063783A KR100889272B1 KR 100889272 B1 KR100889272 B1 KR 100889272B1 KR 1020070063783 A KR1020070063783 A KR 1020070063783A KR 20070063783 A KR20070063783 A KR 20070063783A KR 100889272 B1 KR100889272 B1 KR 10088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cell
location notifi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320A (ko
Inventor
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6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단말에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셀 ID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셀 ID리스트로부터 현재 접속 셀의 ID를 확인하고,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의 ID 중 상기 현재 접속 셀의 ID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에 따라 이를 지정 단말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말이 위치하는 셀 영역이 변경된 경우 미리 지정된 단말에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상기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 단말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경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위치 확인 동작을 여러번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한번에 각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단말, 위치, 알림, 메시지, 셀, 출력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Location alar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ystme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도시된 간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알림 메시지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확인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알림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확인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알림 메시지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화면이 도시된 예시도, 및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화면이 도시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위치 알림 단말 50: 위치 확인 단말
100: 위치 확인 서버 12: 위치 알림 모듈
13, 53: 메모리 52: 위치 제공 모듈
110: 서버 제어 모듈 120: 셀 ID DB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 확인을 위한 별도의 망 접속과정 없이도 단말에서 자동으로 자신의 위치를 지정단말에 알려주도록 하며,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다수 단말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여 단말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은 그 기술의 발달로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 주식정보, 날씨정보 등 문자 정보 뿐만 아니라 게임, 동영상, 영화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타 단말 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는 어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에서 해당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확인을 요청한 단말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는 소정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매번 직접 이동통신 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해야 하며,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의 등록번호 또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다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려는 경우에는 각 단말의 정보를 입력하고 위치정보를 제공받은 후 다시 다른 단말의 정보를 입력하는 등 동일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각 단말의 위치정보가 차례로 제공되지 않고 입력단계에 따라 따로따로 출력이 되므로 이전 단계에서 제공된 단말의 위치를 잊으면 다시 해당 단말의 정보를 입력해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위치 확인 요청단계부터 위치 정보 출력단계까지 계속 서버에 접속해 있어야 하므로 무선 채널의 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에는 서버로 전송되는 요청 데이터 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관련 데이터가 원활하게 송수신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설정된 영역 밖으로 이탈하게 되면 지정된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지정 단말에서 간편하게 상기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이 설정된 영역 밖으로 이탈하면 지정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유괴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보호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단말의 위치정보를 한 화면상에 동시 출력하여 사용자가 각 단말의 위치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널 환경에 관계없이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단말에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셀 ID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셀 ID리스트로부터 현재 접속 셀의 ID를 확인하고,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 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의 ID 중 상기 현재 접속 셀의 ID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에 따라 이를 지정 단말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단말에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셀ID 리스트를 통해 자신이 속한 셀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위치확인 서버로부터 단말에 위치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 서버는 접속 가능한 셀 정보 및 상기 각 셀에 할당된 ID리스트를 저장하는 셀 ID DB; 및 상기 셀 ID DB에 저장된 셀 ID리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 ID 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셀ID리스트를 통해 위치 알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위치 알림 영역을 이탈하거나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지정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위치 알림 모듈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위치를 확인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위치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도시된 간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말(50), 및 상기 각 단말과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되어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확인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확인 서버(100)는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과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로 셀 ID 리스트를 전송한다. 셀은 이동통신 기술에 있어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넓은 서비스 지역을 작은 영역으로 분할한 것으로, 상기 셀 내에 기지국을 설치하면 기지국은 셀 영역 내 에 위치하는 가입자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단말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포함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소정 단말이 어느 셀 영역을 관할하는 기지국과 접속할 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확인 서버(10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로 전송되는 셀 ID리스트에는 소정 셀에 있어서, 상기 셀을 나타내는 고유 셀 ID를 포함하여 상기 셀 내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기지국 고유정보, 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대한 행정구역 상 등의 지역정보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은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셀 ID리스트에 따라 자신이 현재 접속한 셀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치 확인 단말(50)에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위치 확인 단말(50)은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말로서,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로부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동적인 위치 확인동작을 수행하거나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그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능동적인 위치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위치 확인 단말(50)이 수동적인 위치 확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로부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위치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치 알림 단말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해 미리 위치 알림 단말로부터 위치 확인 권한을 부여받는 과정을 미리 거쳐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 및 위치 확인 단말(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확인 단말(50)에서 다수의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각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위치 알림 단말에서 다수의 위치 확인 단말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알림 단말 및 위치 확인 단말은 위치 알림 서비스에 있어서,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위치 알림 기능 및 위치 확인 기능이 모두 수행되는 경우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위치 알림 단말로서, 위치 확인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위치 확인 단말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위치 확인 서버(100)는 이러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초기에 위치 알림 단말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위치 알림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위치 확인 단말이 위치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위치 확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알림 메시지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위치 알림 단말에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위치 알림 단말은 어느 셀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진입한 셀의 기지국과 접속을 시도한다. 위치 알림 단말 및 진입한 셀의 기지국이 기지국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접속 연결이 되면 위치 알림 단말은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10에서, 위치 알림 단말은 이동통신 망에 접속하여 위치확인 서버와 연결하며, 상기 위치확인 서버로부터 셀 ID리스트를 수신한다. 위치 알림 단말은 자체 내장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위치 확인 서버에 자동 연결하거나 기능 키 입력 등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위치 확인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셀 ID리스트는 단말이 접속가능한 셀이 추가 또는 변경되거나 셀이 관할하는 영역에 변동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위치 확인 서버로부터 최신의 셀 ID리스트를 수신하여 위치 알림 단말에 저장되는 셀 ID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 대, 예를 들어 늦은 밤부터 새벽까지의 시간대를 주기로 하여 셀 ID리스트가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주일, 한달, 3개월 등 셀 ID리스트의 변동 또는 위치 확인 서버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주기에 따라 데이터 수신 시기가 되면 셀 ID리스트가 위치 알림 단말에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위치 알림 단말이 위치 확인 서버에 접속한 때에 위치 알림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셀 ID 리스트의 버전을 확인하고, 위치 확인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셀 ID리스트의 버전과 비교하여 구버전인 경우 새 버전의 셀 ID리스트가 위치 알림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단계 S20에서, 위치 알림 단말은 수신된 셀 ID리스트로부터 현재 접속한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 ID를 검색하여 확인한다.
다음, 단계 S30 에서, 위치 알림 단말에 미리 위치 알림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위치 알림 영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에서, 위치 알림 영역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50에서, 설정된 위치 알림 영역을 나타내는 셀 ID중에 현재 위치 알림 단말이 위치한 셀의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결과 현재 위치한 셀의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60에서, 지정단말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는 셀 ID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현재 접속한 셀의 지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간단한 지도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장문 문자 서비스(LMS; Long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지도정보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50에서, 설정에 따라 위치 알림 영역을 나타내는 셀 ID에 현재 단말이 위치한 셀 ID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계 S60에서, 상기 단말이 위치 알림 영역을 이탈하였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지정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이 이동하여 새로운 셀 영역에 진입하고 그에 따라 새 셀의 기지국과 접속 연결된 경우 새 셀의 ID를 검색하여 검색된 ID가 위치 알림 영역에 포함되는지 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위치 알림 메시지를 지정 단말에 전송할 수 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위치 확인 단말에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00에서, 위치 확인 단말은 위치를 확인하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 현재 또는 앞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겠다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는 각 단말에 대해 개별적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되거나 생성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인증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 확인을 허락한다는 인증요청 수락 메시지 또는 허락하지 않겠다는 인증요청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위치 확인 단말로 전송한다.
위치 확인 단말은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 확인 단말은 인증 요청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해당 단말을 위치 확인이 가능한 위치 알림 단말로 등록한다.
단계 S120에서 위치 알림 단말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면, 단계 S130에서 선택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위치 확인 단말은 선택된 단말로부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알림 메시지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위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내용을 판독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0에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망을 통해 위치 확인 서버와 연결되어 위치 확인 서버에 선택된 각 단말의 등록정보를 전송하고, 위치 확인 서버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위치 확인 단말로부터 위치 확인 서버에 전송되는 선택된 각 단말의 등록정보는 해당 단말의 이동통신번호, 단말의 사용자, 단말기기의 고유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확인 서버는 상기 등록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을 식별하여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선택된 단말의 수를 판단하여, 위치 확인을 위해 선택된 단말이 하나인 경우, 단계 S150에서, 상기 선택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 확인 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40에서 상기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각 단말에 대한 위치정보 역시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S160에서 상기 각 단말에 대한 위치정보를 위치 확인 단말의 한 화면 상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단말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위치정보는 출력해야 할 단말의 수에 따라 위치 확인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화면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할당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각 위치 확인 단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의 크기에 비해 위치 확인을 위해 선택된 단말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동시에 출력하더라도 사용자가 각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화면 상에 스크롤 바를 구비하여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확인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버는 접속 가능한 셀 정보 및 상기 각 셀에 할당된 ID리스트를 저장하는 셀 ID DB(120), 및 상기 셀 ID DB(120)에 저장된 셀 ID리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제어모듈(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각 단말의 단말기 고유정보, 및 단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130)와, 지형지물의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지도 DB(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버제어모듈(1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에 해당 위치의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망을 통해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150)은 위치 확인 서버가 소정의 서버와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알림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단말은 제어모듈(11), 위치 알림 모듈(12), 메모리(13), 입력부(14), 출력부(15) 및 통신모 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4)는 단말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 버튼 및 다수의 기능 키 버튼으로 구비되며 상기 키 버튼을 조작하여 통화, 문자 메시지, 및 기타 단말에 구비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할 때 이를 알리기 위한 지정 단말을 설정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망을 통해 상대 통화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 버튼 또는 마이크 외에도 터치패드, 라이트 펜, 리모트 컨트롤 기기 등 상기 단말에 연결 가능한 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의 상태 또는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의 음성신호가 출력되거나 음악 재생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이 구비된 경우 단말에 저장된 음원을 음성신호로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는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전화번호부, 문자 메시지, 통화기록 등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면서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또한,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단말과 접속 가능한 셀의 지역정보 및 기지국 정보 등이 포함된 셀 ID리스트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다.
위치 알림 모듈(12)은 상기 셀 ID리스트를 통해 위치 알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위치 알림 영역을 이탈하거나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지정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알림 모듈(12)은 단말에 포함되는 부가기능으로서 미리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이 위치 확인 서버(100)와 초기 연결된 때에 상기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실행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실행 프로그램은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모듈(11)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위치 알림 모듈(12)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이를 실행하여 상기 위치 알림 모듈(12)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위치 알림 모듈(12)이 설치되면 상기 위치 알림 모듈(12)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은 제어모듈(11)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망에 접속하여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판독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제어모듈(1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이동통신 망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이 USB 등의 연결방식으로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확인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 확인 단말(50) 및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나, 상기 단말은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하나의 단말에서 위치 확인기능 및 위치 알림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단말은 입력부(54), 출력부(55), 메모리(53), 제어모듈(51), 위치 제공모듈(52) 및 통신모듈(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4)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 버튼 및 다수의 기능 키 버튼으로 구비되며 상기 키 버튼을 조작하여 통화, 문자 메시지, 및 기타 단말에 구비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또한, 위치를 알고자 하는 단말의 단말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부(55) 상에 출력된 다수 단말 중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대 통화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단말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 버튼 또는 마이크 외에도 상기 단말에 연결 가능한 여러 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며, 입력부(54)로부터 선택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대의 음성신호가 출력되거나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면 음원을 음성신호로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전화번호부, 문자 메시지, 통화기록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또한, 위치를 확인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위치 알림 단말(10a 내지 10c)로부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입력부(54)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데이터는 해당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위치 제공모듈(52)은 상기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어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미리 해당 단말로부터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을 받아야 하므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의 단말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단말로 위치 확인 인증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단말로부터 위치 확인 인증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을 위치 확인 가능단말로 등록한다. 따라서, 위치 확인 가능 단말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등록된 단말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얻는다. 위치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위치 확인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 확인 서버(100)로 선택된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선택된 단말로부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위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해당 단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근접하다고 예측할 수 있으므로 최신의 위치 알림 메시지에서 해당 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얻을 수 있다.
선택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얻으면 이를 출력부(5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데, 선택된 단말이 하나인 경우에는 선택된 단말의 정보와 현재 시간,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현 데이터로 간단히 생성할 수 있으나,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화면 상에 동시에 출력되도록 구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에는 그 수만큼 출력부의 패널 화면을 분할하여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개 단말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패널 화면을 3개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역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패널의 크기 및 해상도는 대체로 고정된 값을 갖게 되므로 선택된 단말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분할된 영역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각 영역에 출력되는 위치정보는 가독성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독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정도의 수로 단말이 선택되면 상기 패널상에 가상의 스크롤 바 등을 표시하여 입력부의 조정에 따라 스크롤 바를 상하로 조정하면 가려져있던 단말의 위치정보가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게 되는 경우, 각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를 통합하여 선택된 단말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제공모듈(52)은 상술한 위치 알림 모듈(12)의 경우와 마찬가지 로 단말의 출시때부터 포함될 수 있으며 위치 확인 단말(50)이 위치 제공서비스를 받기 위해 위치 확인 서버(100)와 초기 연결되는 때에 상기 위치 확인 서버(100)로부터 실행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알림 모듈(12)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알림 메시지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위치 알림 단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이 설정된 위치 알림 영역을 이탈하게 되면, 위치 알림 단말은 자동으로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지정단말로 전송하게 되고, 지정 단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출력되는 위치 알림 메시지는 위치 알림 단말의 이동통신 번호 또는 단말의 사용자로 등록된 호칭이 출력될 수 있으며, 단순히 설정지역 이탈을 알리거나 어느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구체적인 명칭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위치 확인 서비스를 실행하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인증을 받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다수 단말의 이동통신 번호 또는 단말에 등록된 호칭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위치 확인 가능 단말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싶은 단말을 2개 선택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화면을 2분할 하여 각 분할 영역에 선택된 단말을 각각 배치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 출력화면이 도시된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실행하게 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인증을 받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다수 단말의 이동통신 번호 또는 단말에 등록된 호칭 등이 출력된다. 그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싶은 단말을 3개 선택하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3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에 선택된 단말을 각각 배치하고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화면 상에 나타난 가상의 기능 키 중 '지도에 표시' 키를 입력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각 단말의 위치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및 그 시스템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에서 자동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다수 단말의 위치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서 당 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단말이 위치하는 셀 영역이 변경된 경우 미리 지정된 단 말에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어린아이들 또는 정신 지체자들의 경우 일정 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을 벗어나면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지정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괴 또는 길을 잃는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보호자가 신속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설정한 영역을 벗어나거나 설정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만 지정 단말에 통보되므로 불필요한 정보 제공을 피하면서도 상대의 안전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다수 단말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경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위치 확인 동작을 여러 번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한번에 각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셀 ID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셀 ID리스트로부터 현재 접속 셀의 ID를 확인하고,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의 ID 중 상기 현재 접속 셀의 ID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에 따라 이를 지정 단말에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ID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셀 ID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ID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이동한 셀과 접속하는 경우, 상기 셀 ID리스트로부터 상기 이동한 셀의 ID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이동한 셀의 ID가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된 셀 ID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접속 셀의 ID가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된 셀 ID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 단말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설정된 셀 ID에 상기 접속된 셀ID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정 단말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셀ID 리스트를 통해 자신이 속한 셀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위치 확인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확인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로부터 인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위치 확인 가능 단말로 등록하고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단말로부터 SMS, LMS, 및 MM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위치 알림 메시지를 검색하여 최신의 위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해당 단말의 위치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화면을 선택된 단말의 수만큼 분할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지도 상에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3.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위치확인 서버로부터 단말에 위치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 서버는
    접속 가능한 셀 정보 및 상기 각 셀에 할당된 ID리스트를 저장하는 셀 ID DB; 및
    상기 셀 ID DB에 저장된 셀 ID리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14. 제 13 항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 ID 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셀ID리스트를 통해 위치 알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위치 알림 영역을 이탈하거나 상기 위치 알림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지정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위치 알림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15. 제 13 항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위치를 확인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선택된 단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위치 제공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70063783A 2007-06-27 2007-06-27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8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783A KR100889272B1 (ko) 2007-06-27 2007-06-27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783A KR100889272B1 (ko) 2007-06-27 2007-06-27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20A KR20090002320A (ko) 2009-01-09
KR100889272B1 true KR100889272B1 (ko) 2009-03-19

Family

ID=4048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783A KR100889272B1 (ko) 2007-06-27 2007-06-27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555B1 (ko)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3757B1 (ko) * 2020-03-31 2020-12-21 선유기술 주식회사 질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43B1 (ko) * 2011-11-15 2013-03-15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사용자 위치 확인 방법, 그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284119B1 (ko) * 2013-04-19 2013-07-10 이택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25312B1 (ko) 2014-03-12 2020-06-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약속시간 보장을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167A (ja) 2001-10-10 2003-04-25 Yamaha Corp 迷子防止用端末
KR20050009458A (ko) * 2003-07-16 2005-01-25 주식회사 일광테크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50024997A (ko) * 2003-09-05 2005-03-11 이강문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50087864A (ko) * 2005-06-24 2005-08-31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을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KR20060012975A (ko) * 2004-08-05 2006-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의 단말기간 상호 위치 알림 시스템및 그 알림 방법
KR20060097899A (ko) *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상의 지도를 이용한 위치 알림및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25944B1 (ko) 2006-04-07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행으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91801A (ko) *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167A (ja) 2001-10-10 2003-04-25 Yamaha Corp 迷子防止用端末
KR20050009458A (ko) * 2003-07-16 2005-01-25 주식회사 일광테크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50024997A (ko) * 2003-09-05 2005-03-11 이강문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60012975A (ko) * 2004-08-05 2006-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의 단말기간 상호 위치 알림 시스템및 그 알림 방법
KR20060097899A (ko) *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상의 지도를 이용한 위치 알림및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87864A (ko) * 2005-06-24 2005-08-31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을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KR20070091801A (ko) *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5944B1 (ko) 2006-04-07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행으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555B1 (ko)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3757B1 (ko) * 2020-03-31 2020-12-21 선유기술 주식회사 질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20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536B1 (ko)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KR100880889B1 (ko) 고객 맞춤식 위치추적 서비스
US9154379B2 (en) Remote configuration of a hardware device module of a security system
JP4983005B2 (ja) 電子機器、優先接続装置、優先接続方法及び優先接続プログラム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WO2016087478A1 (en) Method for providing a visitor controlled access into a building
US200701232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tatu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 group network directly to other members in the group network
JP2000215169A (ja) アクセスする端末の位置に依存してのコンピュ―タアクセス
JPH0819034A (ja)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情報管理装置
KR100889272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US20080085706A1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US81439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vehicle
KR200800642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2012123552A (ja) 認証方法、管理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US20080081643A1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KR20110041661A (ko) 좌석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운송 수단,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JP2000174894A (ja) 携帯電話機
KR100998753B1 (ko)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m2m모듈, 상기 m2m 모듈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m2m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JP5516321B2 (ja) 電子機器
JP2002297474A (ja) 電子掲示板システム、遠隔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123320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00603A (ko) NFC Tag 접촉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JP2013157863A (ja) 通信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804276B1 (ko)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71927B1 (ko) 특정 지역의 인스턴트 메시지 및 위치를 능동적으로 고지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