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76B1 -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276B1
KR101804276B1 KR1020160040180A KR20160040180A KR101804276B1 KR 101804276 B1 KR101804276 B1 KR 101804276B1 KR 1020160040180 A KR1020160040180 A KR 1020160040180A KR 20160040180 A KR20160040180 A KR 20160040180A KR 101804276 B1 KR101804276 B1 KR 10180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unit
schedule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707A (ko
Inventor
정성길
홍원태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2016004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친구찾기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스케줄부가서비스를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일 단위의 해당 스케줄에 이동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위치정보 검색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관리하므로 특정 지역에서 지인 중 업무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인을 빠르게 찾으며 타지역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친분이 있는 현지 지인을 통하여 해결하도록 협조 요청할 수 있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제공하고 현재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이동교환국;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무선접속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을 진행하며 지인찾기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운용하는 단말기; 단말기의 거주지정보가 포함되는 가입자신상정보를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이동교환국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가입자정보서버 및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무선접속된 해당 기지국 기반으로 실시간 확인하여 관리하는 위치정보서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of searching helpful friends in installing schedule with App progra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구찾기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스케줄부가서비스를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일 단위의 해당 스케줄에 이동할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위치정보 검색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관리하므로 특정 지역의 지인을 쉽게 찾고 업무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인을 빠르게 찾으며 방문 중인 지역이나 거리가 먼 타지역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하거나 위급한 상황을 통보 받았을 경우 친분이 있는 현지 지인을 통하여 해결하도록 협조 요청할 수 있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개인이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 접속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수요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는 소형이면서 경량으로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하에서는 단말기로 호칭하기로 한다.
이동통신용의 단말기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24 시간 휴대하고 있으나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 활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기술이 부가서비스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가서비스기능의 종류에는 일례로, 영상통화, 문자메시지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e Service), 스케줄관리, 전화번호부, 전자수첩, 티비, 녹음기, 계산기, 카메라, 동영상, 음악 플레이, 사전, 게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접속 기능 등등이 포함되며 단말기에 내장되어 공급되고 하드웨어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초기에 단말기에 내장된 상태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고, 일부 소프트웨어 또는 앱 형태로 개발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설치 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소형 컴퓨터 기능이 부가된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형태로 개발되어 통신기능과 개인정보 처리 기능이 부가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개발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발 및 발전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고, 건강관리 등과 같이 예상하지 못하였던 다른 독립적인 기능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각 기지국(BS)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는 경우 통신경로를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운용상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상 특징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가입 등록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운용상 특징을 이용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09994호(2007.04.16.)에 의한 것으로 “친구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친구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BS)을 관리하는 구역관리서버(30)는 다수의 지역을 관리하는 동시에 각 기지국(BS)이 설치된 구역에 2.4GHz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지그비 방식의 코디네이터(20a, 20b)를 추가설치한다.
지그비 방식의 코디네이터(20a, 20b)는 무선신호가 송달되는 거리 또는 서비스 영역이 비교적 매우 협소하여 하나의 기지국 서비스 영역 내에서도 다수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역관리서버(30)는 서비스 영역이 작은 다수의 코디네이터(20a, 20b)를 모두 감시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부하(load)가 소요되므로 시스템 전체의 운용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와 각 기지국 단위로 다수의 코디네이터(20a, 20b)를 설치 및 운용하기 위하여 시설비용과 유지보수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각 코디네이터(20a, 20b)에 의하여 위치가 확인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동의 없이 수집 및 제공하므로 개인정보 무단 노출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지인의 목록을 지정된 일자에 확인할 수 없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케줄 관리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에 거주하고 위치정보 검색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을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09994호(2007.04.16.) “친구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내장되고 설치되어 운용되는 스케줄서비스와 지인찾기앱에 의하여 스케줄이 설정된 일자에 방문할 장소 또는 특정된 지역에 거주하는 지인들의 목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과 접속하며 각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이동교환국; 상기 이동교환국의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지인찾기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운용하는 단말기;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거주지정보가 포함되는 가입자신상정보를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가입자정보서버; 및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무선접속된 해당 기지국 기반으로 실시간 확인하여 관리하는 위치정보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위 프레임은 상기 가입자신상정보가 기록된 20 워드 단위의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워드는 20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트는 20 비트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기지국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와 접속하고 상기 지인찾기앱을 최신버전으로 다운로받으며 지정된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고 수신된 제 1 단위 프레임으로부터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체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스케줄을 일자 단위로 기록 저장하며 스케줄된 일자가 도래하면 스케줄된 지역에 거주지 주소가 등록된 지인의 목록을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요청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스케줄관리모듈;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각 지인의 이름과 거주지 정보와 기록된 신상정보 제공 요청자와 정보제공 요청의 허락과 거절 상태를 각각 기록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가 유아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지인정보번호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지인찾기앱을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지인찾기앱운용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제 1 단위 프레임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지인찾기앱의 활성화에 의하여 해독하므로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지인정보번호부에 제공하는 프레임처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다운로드된 상기 지인찾기앱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제 1 단위 프레임의 정보를 해독하고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이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제 1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지피에스위치정보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이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현재 위치에서의 제 2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엘비에스위치정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각각 입력받고 산술평균 연산한 평균위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CDMA 방식과 W-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1 기지국무선부; 및 TRS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2 기지국무선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무선부는 CDMA 방식과 W-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1 단말무선부; 및 TRS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2 단말무선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이동교환국과 단말기와 가입자정보서버와 위치정보서버를 포함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정보번호부를 갱신 기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의 성명, 전화번호, 거주지정보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기록된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신상정보를 해독하여 입력하거나 직접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기록 저장된 모든 신상정보를 각각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케줄을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케줄관리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국내와 해외가 포함되는 방문지역의 지명과 시간을 입력하여 선택된 일자에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케줄관리모듈을 감시하고 스케줄이 기록된 일자가 도래되면 스케줄루틴을 운용하며 특정 일자가 지정되어 입력되면 오늘 루틴을 운용한 후 종료로 진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지인찾기앱을 설치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여 상기 지인찾기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휴식일정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 저장되며 공개되도록 요청하고 휴식모드에서 휴식일정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잠시휴식상태로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 저장되며 공개되도록 요청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 종료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모드로 복귀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늘 루틴은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피에스위치정보부가 검출한 제 1 위치정보와 엘비에스위치정보부가 검출한 제 2 위치정보를 산술평균연산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평균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 11 과정;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검출된 현재의 평균위치정보를 현재위치로 지정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정보번호부로부터 현재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거주지정보가 기록되고 신상정보제공이 허용된 지인을 검색하며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 12 과정;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색되고 목록으로 표시된 지인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교환국을 경유하여 위치정보서버로부터 목록으로 표시된 각 지인의 엘비에스서비스에 의한 기지국 기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표시하고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을 벗어난 지인이 있는 경우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제 13 과정; 및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한 지인의 목록 중 선택된 지인과 통신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을 진행시키는 제 14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2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시 단위의 지명을 입력하고 입력된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써 지인정보번호부에 거주지 정보가 기록된 지인을 검색하고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 15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루틴은 상기 단말기가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체 기록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스케줄달력이 표시되며 국내거주 지인과 해외거주 지인을 검색하여 구분 표시되도록 입출력표시부에 각각 출력하는 제 21 과정;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해외지인을 선택한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외거주 지인의 전체 목록과 거주하는 국가와 도시 또는 지역명을 검색하고 해외지인 표시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제 22 과정; 상기 단말기는 선택된 특정 일자 또는 도래된 현재 일자에 연계되어 기록 저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방문하는 국내 또는 해외의 방문대상 지역 전체 지인과 정보제공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을 지인정보번호부로부터 검색하고 각각의 숫자와 함께 지정된 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제 23 과정;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표시된 목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인과 통신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교환국에 호출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을 진행시키는 제 24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입출력표시부에 출력 표시된 지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전화번호와 통신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단말기가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운용 중인 지인찾기앱과 스케줄서비스의 운용에 의하여 지정 일자와 방문하고자 하는 특정 위치에 거주하는 지인의 목록을 제공하므로 업무처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시간배분이 원활하며 스케줄 조정이 용이하고 급한업무 처리를 위한 도움을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친구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의 기능구성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의 세부기능구성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오늘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신상정보 제공 신청과 허용여부를 유아이로 표시한 상태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에 유아이로 표시되는 오늘루틴과 스케줄 루틴의 상태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제 1 단위 프레임의 구성 상태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 루틴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스케줄과 해외와 국내의 지인 구성숫자 도시도,
그리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해외가 선택된 상태의 해외 거주 지인의 목록 표시상태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 등록된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무선 접속된 기지국 기준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되는 운용상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운용상 특성을 활용하여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거나 친구 찾기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등록된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지국 기반으로 파악하고 이와 같이 파악된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 service)라고 한다.
위치기반서비스(LBS)는 각 단말기가 무선접속하는 주변 기지국(BS)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분석하고 삼각도법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 또는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이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기지국(BS)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활용하므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보다 정확성이 매우 뛰어난 기술로 알려져 있다.
앱(App)은 응용(Applicatuon) 프로그램(S/W, program)의 한 종류이며 어플(Appl) 또는 어플릿(Applit)으로도 불리고, 매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며, CPU와 메모리와 기타 연관된 기능부 성능이 작거나 낮은 레벨의 노트북, 데이터단말기,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작은 용량의 응용프로그램을 지칭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앱(app)은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하고 종류도 매우 많으므로 응용분야에 적합하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사용자 또는 개발자 등이 임의로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의 기능구성 설명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의 세부기능구성 설명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오늘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신상정보 제공 신청과 허용여부를 유아이로 표시한 상태 설명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에 유아이로 표시되는 오늘루틴과 스케줄 루틴의 상태 설명도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제 1 단위 프레임의 구성 상태 설명도 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케줄 루틴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스케줄과 해외와 국내의 지인 구성숫자 도시도 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해외가 선택된 상태의 해외 거주 지인의 목록 표시상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900)은 단말기(1000), 기지국(2000), 이동교환국(3000), 가입자정보서버(4000), 위치정보서버(5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단말기(1000)는 CDMA 방식 또는 W-CDMA 방식으로 구동되는 무선부와 TRS 방식으로 구동되는 무선부를 동시에 구성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모든 무선부를 활성화 구동하여 동시에 무선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며, 기지국(200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기지국(2000)과 무선접속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을 진행하며, 이동교환국(3000)과 접속하여 이동교환국(3000)으로부터 지인찾기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운용한다.
단말기(2000)는 이동통신무선부(1010), 단말제어부(1020), 스케줄관리모듈(1030), 지인정보번호부(1040), 지인찾기앱운용부(1050), 프레임처리부(1060), 지피에스위치정보부(1070), 엘비에스위치정보부(1080), 입출력표시부(10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동통신무선부(1010)는 CDMA 방식과 W-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기지국(2000)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1 단말무선부(1012), TRS(Trunked Radio System) 방식으로 기지국(2000)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2 단말무선부(1014)를 포함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 1 단말무선부(1012)와 제 2 단말무선부(10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구동시켜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며, 제 1 단말무선부(1012)와 제 2 단말무선부(1014)는 기지국(2000)의 대응되는 구성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 CDMA 방식과 W-CDMA 방식과 TRS 방식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제어부(1020)는 이동통신무선부(1010)와 접속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며 지인찾기앱을 최신버전으로 다운로받고 지인찾기앱이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는 상태로부터 지인찾기앱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무선수신된 수신된 제 1 단위 프레임을 분석하므로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제어부(1020)는 각 기능부가 정상 운용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단말기(1000)의 전체 운용상태를 감시하여 정상 운용되도록 관리한다.
스케줄관리모듈(1030)은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스케줄을 일자 단위로 기록 저장하며 스케줄된 일자가 도래하면 스케줄된 지역에 거주지 주소가 등록된 지인의 목록을 가입자정보서버(4000)에 요청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각 지인의 이름, 전화번호, 거주지 주소가 포함되는 신상정보는 가입자정보서버(4000)와 단말기(1000)의 해당 기능부에 동일하게 기록 관리되고 있으나 일 례로, 특정 지인이 거주지 주소 또는 전화번호 등을 이사 등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신상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특성상 가입자정보서버(4000)에 실시간으로 기록 저장 관리하고 단말기(1000)는 기록 저장하지 못하므로, 각 지인에 대한 최신의 신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1000)는 가입자정보서버(4000)로부터 해당 지인의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필요에 의하여 요청하지 않을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지인정보번호부(104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각 지인의 이름과 거주지 정보와 기록된 신상정보 제공 요청자와 정보제공 요청의 허락과 거절 상태를 각각 테이블 상태로 기록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가 유아이(UI)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지인정보번호부(1040)에는 상대방이 정보제공 요청에 동의하지 않고 거절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알고 있는 임의의 주소가 입력되어 기록 저장될 수 있다.
지인정보번호부(1040)에 기록된 신상정보 제공 요청자와 정보제공 요청의 허락과 거절 상태가 유아이로 출력되는 상태는 첨부된 도 7 에 일 실시례에 의한 것으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7 은 a 와 b 로 구분되는데, a 는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상대방의 이름, 내가 또는 상배방이 신청한 상태와 상대방 또는 내가 허락 했는지 거부했는지의 상태가 표시된다. 그러나 도 7 의 b 는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상대방의 이름, 내가 또는 상대방이 신청한 상태와 거절한 상태가 표시되는 동시에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이 입력한 주소 또는 실시간 위치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즉, 상대방이 자신의 실시간 위치 검색을 허용한 상태가 더 표시된다.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정보는 어린이와 연로하신 부모님, 장애 또는 치매가 있는 상대방의 위치 확인을 위하여 해당 보호자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인찾기앱운용부(105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이동교환국(3000)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지인찾기앱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용한다.
프레임처리부(106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가입자정보서버(4000)로부터 입력받은 제 1 단위 프레임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활성화된 지인찾기앱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해독하므로 성명, 전화번호, 거주지 정보가 포함되는 제한된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여 지인정보번호부(1040)에 제공하므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한다.
즉, 지인 한사람에 대하여 필요한 모든 해당 정보는 하나의 제 1 단위 프레임에 기록 되므로 지인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할당되어야 할 제 1 단위 프레임의 숫자도 많아진다.
프레임처리부(106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직접입력되고 제 1 단위 프레임 포맷으로 변환되지 않은 정보는 제 1 단위 프레임 포맷으로 변환하여 암호화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 및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출력하며, 제 1 단위프레임포맷으로 변환되어 입력된 정보는 복호화 또는 해독처리하여 확인 가능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출력함은 매우 당연하다.
제 1 단위 프레임(1062)은 첨부된 도 9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전체 20 워드(word)로 이루어지고, 1 워드는 20 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1 바이트는 20 비트(bit)로 이루어지는 특정한 포맷이다. 이와 같이 특정한 포맷으로 제 1 단위 프레임(1062)을 구성하는 것은 개인의 신상정보가 해킹되어 부당하게 타인에게 노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단위 프레임(1062)은 6 개 필드 영역(field area)으로 구분되며 시작 필드는 1 워드로 이루어지고, 제 1 단위프레임(1062)이 시작되는 신호와 저장된 데이터의 숫자가 기록된다. 전화번호 필드는 2 워드로 이루어지고 단말기의 호출번호인 전화번호와 공장에서 생산시에 부여된 기계적인 일련번호와 제조과정에서 필ㅇ료에 의하여 임으로 부여한 소프트웨어적인 일련번호가 각각 기록 저장된다.
위치와 신상정보 필드는 7 워드로 이루어지고 단말기 사용자의 성명, 거주지 주소, 금융계좌정보, 결재일자 정보 등이 기록되며 단말기(1000)는 활성화된 지인찾기앱에 의하여 복호화 또는 해독된 정보로부터 성명, 거주지 주소 등의 제한된 정보만을 추출한다.
메모 필드는 7 워드로 이루어지고 지인에 대하여 필요한 메모가 기록되거나 또는 위치와 신상정보 필드의 내용이 동일하게 중복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공장에서 출고할 때 설정되거나 또는 제조자에 의하여 무선으로 갱신된 프로그램을 전송하므로 변경설정할 수 있다.
기타필드는 2 워드로 이루어지고 기타 사항 또는 여분으로 구비한 영역이며 메모 필드가 위치와 신상정보 필드의 내용을 중복 기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기타 필드는 메모 필드의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체크와 종료필드는 1 워드로 이루어지고 전송되는 제 1 단위프레임의 전체 숫자와 해당 순서에 의한 일련번호가 기록되며 제 1 단위 프레임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신호가 기록된다.
각 필드에 할당된 워드는 필요에 의하여 가감될 수 있고 또한, 기록되는 정보도 필요에 의하여 가감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활성화된 지인찾기앱에 의하여 신상정보를 제 1 단위 프레임(1062)에 기록 저장하는 것을 암호화라 하고 제 1 단위 프레임(1062)으로부터 필요하고 제한된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복호화 또는 해독이라고 한다.
지피에스위치정보부(107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지상의 저궤도 상에 정지상태로 운항하는 24 개 이상의 지이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 중 4 개 이상으로부터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 경도, 해발이 포함되는 위치정보 또는 좌표정보인 단말기(1000)의 제 1 위치정보를 검색 또는 연산하여 추출한다.
엘비에스위치정보부(108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이동교환국(3000)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에 의한 것으로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 경도, 해발이 포함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1000)와 각 기지국(2000) 사이의 직선거리 및 삼각도법을 활용하여 단말기(1000)의 정밀한 위치정보 또는 좌표정보에 의한 제 2 위치정보를 검색 또는 연산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020)는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산술평균 연산하여 정확성과 정밀성이 한층 개선된 평균위치정보를 실시간 연산하여 출력한다. 단말제어부(1020)는 연산된 평균위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표시부(1090)는 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신호에 의하여 유저인터페이스 또는 UI(user interface) 상태로 출력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의 터치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제어신호 또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이며, OLED 또는 LCD 소재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기지국(BS : base station)(2000)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단말기(1000)와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하는 구성이다. 기지국(2000)에 의하여 형성된 서비스 영역의 반경은 100 미터 내지 10 킬로미터 범위까지 있으며 도심에서는 약 500 미터 반경을 형성하고 시외곽 또는 인적이 드문 산악지역과 해안지역 등에서는 반경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기지국(2000)이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기지국(20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설치되어야 하고, 다수의 기지국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제어되고 관리된다. 한편, 각 기지국(2000)의 좌표정보 또는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특성상 동기(Sync.)를 위하여 매우 정밀하게 측정되고 관리된다.
기지국(2000)은 이동통신무선부(1010)의 제 1 단말무선부(1012)와 제 2 단말무선부(1014)에 대응하는 제 1 기지국무선부와 제 2 기지국무선부를 각각 구비하며, 제 1 기지국무선부와 제 2 기지국무선부의 구성과 기능은 제 1 단말무선부(1012)와 제 2 단말무선부(1014) 설명에 대응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특성상 각 단말기(1000)는 무선접속된 인접한 기지국(2000)에서 수신신호세기(RSSI) 검출과 분석에 의하여 직선거리를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된 직선거리값의 추적 및 분석에 의하여 각 단말기(1000)의 이동방향을 추적 또는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영특성상 정밀하게 확인된 각 기지국(2000)의 위치정보와 각 기지국(2000)에 기반한 해당 단말기(1000)의 직선거리 정보와 삼각도법에 의한 분석에 의하여 단말기(1000)의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정밀하게 분석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특성을 활용하여 각 단말기(1000)의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엘비에스서비스(LBS) 또는 위치기반서비스(LBS) 라고 한다.
이동교환국(3000)은 다수의 기지국(2000)과 접속하며 각 기지국(2000)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단말기(1000)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의 통신경로를 스위칭 처리로 설정 제공하고, 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900)일 수도 있다.
가입자정보서버(4000)는 이동교환국(3000)과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단말기의 거주지정보가 포함되는 가입자신상정보를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한다.
가입자정보서버(4000)는 입력되는 정보가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되어 입력되는 경우는 입력된 상태 그대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입력된 정보가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검색하는 경우 암호화 상태를 해독 처리하여 검색하는 것은 매우 당연하다.
위치정보서버(5000)는 이동교환국(3000)과 접속하고 단말기(1000)의 위치정보를 무선접속된 해당 기지국(2000) 기반으로 실시간 확인하여 관리하며 이동교환국(30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요청한 단말기(1000)의 위치기반서비스(LBS) 또는 엘비에스서비스(LBS) 정보를 출력한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1000)와 기지국(2000)과 이동교환국(3000)과 가입자정보서버(4000)와 위치정보서버(5000)를 포함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9000)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00)에 의하여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는지를 판단한다(S1010).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정보번호부를 갱신 기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20) 지인의 성명, 전화번호, 거주지정보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기록된 가입자정보서버(40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신상정보의 제 1 단위 프레임을 해독하여 입력하거나 직접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기록 저장된 모든 신상정보를 각각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가입자정보서버에 전송한다(S1030).
단말기는 입력된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스케줄을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040) 스케줄관리모듈(1030)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국내와 해외가 포함되는 방문지역의 지명과 시간을 입력하여 선택된 일자에 연계된 상태로 스케줄을 기록 저장한다(S1050).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케줄관리모듈을 감시하고 스케줄이 기록된 일자가 도래되면(S1060) 스케줄루틴을 운용하며(S1070), 특정 일자 또는 오늘 일자가 지정되어 입력되면 오늘 루틴(S1080)을 운용한 후 종료로 진행한다.
한편,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S1010) 지인찾기앱을 설치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90) 이동교환국(3000)에 접속하여 지인찾기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1100).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10), 휴식일정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1120), 휴식일정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자와 시간과 장소가 포함되어 입력되는 휴식일정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 저장되고 공개되도록 요청한다(S1130). 단말기에서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되는 모든 정보는 제 1 프레임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한편, 단말기는 휴식모드가 설정된 상태(S1120)에서 휴식일정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120) 잠시휴식상태로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저장되고 공개되도록 요청한다(S1140).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 종료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50), 휴식모드가 아닌 정상모드로 복귀되어 정상상태가 설정 운용되도록 제어한다(S1160).
한편, 상기 제 4 단계(S1060, S1070, S1080)에 의한 오늘 루틴(routine)은 단말기에 의하여 지피에스위치정보부(1070)가 검출한 제 1 위치정보와 엘비에스위치정보부(1080)가 검출한 제 2 위치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산술평균연산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보다 정밀한 평균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연산 또는 검출한다(S2010).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검출(연산)된 현재의 평균위치정보를 현재위치정보로 지정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2020), 지인정보번호부(1040)로부터 현재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거주지정보가 기록되고 신상정보제공이 허용된 지인을 검색하며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한다(S2030).
여기서 목록(list)으로 출력되어 입출력표시부(1090)에 표시되는 상태는 첨부된 도 8 에 일 실시 예로써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 표시되는 지인 중, 정보제공허용지인 목록에 표시된 지인은 해당 지역전체지인의 목록에 중복되어 표시되며, 해당 모든 지인의 현재 주소는 상대방이 허락(승인) 한 경우에는 정확하게 입력 기록할 수 있으나,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거나 알지 못하는 경우, 추측 또는 추정하여 입력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추측 또는 추정하여 입력된 주소를 기준으로 도 8 과 같이 목록으로 표시됨은 매우 당연하다.
단말기는 입력된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색되고 목록으로 표시된 각 지인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2040), 이동교환국을 경유하여 위치정보서버(5000)로부터 목록(list)으로 표시된 각 지인의 엘비에스서비스(LBS)에 의한 기지국 기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표시하고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을 벗어난 지인이 있는 경우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한다(S2050).
여기서 지인의 위치를 현재 위치로부터 지정된 반경으로 제한하는 것은 지인을 현재 위치로부터 쉽게 이동하여 찾을 수 있는 반경범위를 설정하기 위함이고, 반경 1 킬로미터(Km) 내지 2 킬로미터(Km) 범위로 한정하며 1 킬로미터 반경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경의 범위를 필요에 의하여 가감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현재 위치는 단말기(1000)의 평균위치정보에 의한 현재 위치 정보이다.
단말기는 입력된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한 지인의 목록 중 선택된 지인과 통신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2060) 호출제어 신호를 이동교환국에 출력하여 선택된 지인과의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므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진행시킨다(S2070).
단말기는 제 12 과정에서 입력된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2020), 감시 중인 입출력표시부를 통하여 도시 단위의 지명을 입력하고(S2080), 입력된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써 지인정보번호부에 거주지 정보가 기록된 지인을 검색하고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한다(S2090).
또한, 상기 제 4 단계(S1060, S1070, S1080)에 의한 스케줄 루틴(routine)은 단말기가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체 기록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스케줄달력이 표시되며 국내거주 지인과 해외거주 지인을 검색하여 해당 숫자와 함께 구분 표시되도록 입출력표시부에 유저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상태로 각각 출력한다(S3010). 이와 같이 표시된 UI 상태는 첨부된 도 10 에 상세히 잘 도시되어 있다.
유저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가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술이며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는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해외지인을 선택한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3020), 해외거주 지인의 전체 목록과 거주하는 국가와 도시 또는 지역명을 검색하고 해외지인 표시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서 유저인터페이스(UI) 상태로 표시되도록 출력시킨다(S3030). 이와 같이 표시된 UI 상태는 첨부된 도 11에 상세히 잘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는 선택된 특정 일자 또는 현재 일자의 스케줄이 도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040), 연계되어 기록 저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방문하는 국내 또는 해외의 방문대상 지역 전체 지인과 정보제공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을 지인정보번호부로부터 검색하고 각각의 숫자와 함께 지정된 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 UI 상태로 출력시킨다(S3050). 이와 같이 표시된 UI 상태는 첨부된 도 8 에 방문지역이 국내 경우(a)와 해외 경우(b)로 구분되어 상세히 잘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는 입력된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지정된 지역 또는 도시에 거주하는 지인의 목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인과 통신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3060), 호출제어 신호를 이동교환국에 출력하여 선택된 지인과의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므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진행시킨다(S3070).
한편, 입출력표시부에 유저인터페이스(UI) 상태로 표시되되 구분되는 각 부분은 외부로부터 터치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할당 또는 지정된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소프트 버튼으로 동작함은 매우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1000 : 단말기 1010 : 이동통신무선부
1012 : 제 1 단말무선부 1014 : 제 2 단말무선부
1020 : 단말제어부 1030 : 스케줄관리모듈
1040 : 지인정보번호부 1050 : 지인찾기앱운용부
1060 : 프레임처리부 1070 : 지피에스위치정보부
1080 : 엘비에스위치정보부 1090 : 입출력표시부
2000 : 기지국 3000 : 이동교환국
4000 : 가입자정보서버 5000 : 위치정보서버
1062 : 제 1 단위 프레임

Claims (14)

  1. 다수의 기지국과 접속하며 각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이동교환국;
    상기 이동교환국의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지인찾기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운용하는 단말기;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거주지정보가 포함되는 가입자신상정보를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포맷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가입자정보서버; 및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무선접속된 해당 기지국 기반으로 실시간 확인하여 관리하는 위치정보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기지국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와 접속하고 상기 지인찾기앱을 최신버전으로 다운로받으며 지정된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고 수신된 제 1 단위 프레임으로부터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체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스케줄을 일자 단위로 기록 저장하며 스케줄된 일자가 도래하면 스케줄된 지역에 거주지 주소가 등록된 지인의 목록을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요청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스케줄관리모듈;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각 지인의 이름과 거주지 정보와 기록된 신상정보 제공 요청자와 정보제공 요청의 허락과 거절 상태를 각각 기록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가 유아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지인정보번호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지인찾기앱을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지인찾기앱운용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제 1 단위 프레임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지인찾기앱의 활성화에 의하여 해독하므로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지인정보번호부에 제공하는 프레임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다운로드된 상기 지인찾기앱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제 1 단위 프레임의 정보를 해독하고 가입자신상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지국은
    CDMA 방식과 W-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1 기지국무선부; 및
    TRS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2 기지국무선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통신무선부는
    CDMA 방식과 W-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1 단말무선부; 및
    TRS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제 2 단말무선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단말무선부와 상기 제 2 단말무선부를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구동시켜 기지국의 대응되는 구성과 무선접속하여 동일한 통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프레임은
    상기 가입자신상정보가 기록된 20 워드 단위의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워드는 20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트는 20 비트 단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단위 프레임은 시작 필드, 전화번호 필드, 위치와 신상정보 필드, 메모 필드, 기타필드, 체크와 종료필드의 6 개 필드 영역으로 구분되며, 시작 필드는 1 워드로 이루어지고, 전화번호 필드는 2 워드로 이루어지고, 위치와 신상정보 필드는 7 워드로 이루어지고, 메모 필드는 7 워드로 이루어지고, 기타필드는 2 워드로 이루어지고, 체크와 종료필드는 1 워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이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제 1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지피에스위치정보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이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현재 위치에서의 제 2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엘비에스위치정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각각 입력받고 산술평균 연산한 평균위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이동교환국과 단말기와 가입자정보서버와 위치정보서버를 포함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인정보번호부를 갱신 기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의 성명, 전화번호, 거주지정보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기록된 상기 가입자정보서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신상정보를 해독하여 입력하거나 직접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기록 저장된 모든 신상정보를 각각 제 1 단위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서버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케줄을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케줄관리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국내와 해외가 포함되는 방문지역의 지명과 시간을 입력하여 선택된 일자에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케줄관리모듈을 감시하고 스케줄이 기록된 일자가 도래되면 스케줄루틴을 운용하며 특정 일자가 지정되어 입력되면 오늘 루틴을 운용한 후 종료로 진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지인찾기앱이 설치되어 운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지인찾기앱을 설치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여 상기 지인찾기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휴식일정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 저장되며 공개되도록 요청하고 휴식모드에서 휴식일정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잠시휴식상태로 기록 저장하고 가입자정보서버에 통보하여 기록 저장되며 공개되도록 요청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휴식모드 종료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모드로 복귀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늘 루틴은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지피에스위치정보부가 검출한 제 1 위치정보와 엘비에스위치정보부가 검출한 제 2 위치정보를 산술평균연산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평균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 11 과정;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검출된 현재의 평균위치정보를 현재위치로 지정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정보번호부로부터 현재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거주지정보가 기록되고 신상정보제공이 허용된 지인을 검색하며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 12 과정;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색되고 목록으로 표시된 지인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교환국을 경유하여 위치정보서버로부터 목록으로 표시된 각 지인의 엘비에스서비스에 의한 기지국 기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표시하고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을 벗어난 지인이 있는 경우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제 13 과정; 및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지정된 반경 안에 위치한 지인의 목록 중 선택된 지인과 통신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을 진행시키는 제 14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2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시 단위의 지명을 입력하고 입력된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써 지인정보번호부에 거주지 정보가 기록된 지인을 검색하고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면서 기록된 전체 지인의 해당 숫자와 각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 15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루틴은
    상기 단말기가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체 기록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스케줄달력이 표시되며 국내거주 지인과 해외거주 지인을 검색하여 구분 표시되도록 입출력표시부에 각각 출력하는 제 21 과정;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감시중인 입출력표시부로부터 해외지인을 선택한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외거주 지인의 전체 목록과 거주하는 국가와 도시 또는 지역명을 검색하고 해외지인 표시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제 22 과정;
    상기 단말기는 선택된 특정 일자 또는 도래된 현재 일자에 연계되어 기록 저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방문하는 국내 또는 해외의 방문대상 지역 전체 지인과 정보제공을 허용한 지인의 목록을 지인정보번호부로부터 검색하고 각각의 숫자와 함께 지정된 포맷으로 정렬하여 입출력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제 23 과정;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표시된 목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인과 통신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교환국에 호출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을 진행시키는 제 24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입출력표시부에 출력 표시된 지인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전화번호와 통신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운용방법.
  14. 삭제
KR1020160040180A 2016-04-01 2016-04-01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0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80A KR101804276B1 (ko) 2016-04-01 2016-04-01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80A KR101804276B1 (ko) 2016-04-01 2016-04-01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07A KR20170112707A (ko) 2017-10-12
KR101804276B1 true KR101804276B1 (ko) 2017-12-04

Family

ID=6014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80A KR101804276B1 (ko) 2016-04-01 2016-04-01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464B1 (ko) * 2018-03-20 2019-08-28 손일수 비상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07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7610B (zh) 在移动终端中发送紧急呼叫的方法和设备
CA2511639C (en) Proximity-based authorization
KR101077502B1 (ko) 핸드헬드 오브젝트 선택기
KR20180090586A (ko)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090005068A1 (en) Location-Based Emergency Information
CN108605205B (zh) 用于确定电子装置的位置的设备和方法
CN101675647A (zh) 搜索和排列联系人数据库中的联系人
SE522917C2 (sv) Mobilkommunikationssystem vilket möjliggör positionsassocierade medelanden
US11908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CN105096522B (zh) 用于广播恐慌警报通知的方法和系统
CN101627396A (zh) 基于受限设备的地理存在来保护数据的系统和方法
US20090170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eting opportunity alert messages to users of mobile terminals located in the same geographical area
CN103187997A (zh) 使用近距离无线通信标签提供服务的系统与方法
US11477615B2 (en) Alerting mobile devices based on location and duration data
WO2004060003A1 (en) Method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WO2017191908A1 (ko) 위치 정보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04276B1 (ko)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2178696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96176B2 (ja) リモート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
KR100810113B1 (ko) 일회성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95658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541992B1 (ko) 가입자 식별자 및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11901740B (zh) 一种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KR101823666B1 (ko)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6121673B2 (ja) 位置情報収集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位置情報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