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874B1 -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874B1
KR102089874B1 KR1020180161132A KR20180161132A KR102089874B1 KR 102089874 B1 KR102089874 B1 KR 102089874B1 KR 1020180161132 A KR1020180161132 A KR 1020180161132A KR 20180161132 A KR20180161132 A KR 20180161132A KR 102089874 B1 KR102089874 B1 KR 10208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temperature
unit
bag
dangerous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민
이윤신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7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561 priority patent/WO20201224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은, 유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유아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부; 유아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거나 또는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위험 상황 감지부;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외부로 방송하는 알람부; 및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부모가 휴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INFANT BAG AND HAZARDOUS SITUATION DETECTION SYSTEM HAVING THE ABILITY TO DETECT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은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 아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및/또는 부모에게 알릴 수 있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치안이 불안해지면서 유괴와 같은 범죄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인지능력이 아직 부족한 어린아이가 실종되는 사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유괴와 같은 범죄 및/또는 어린아이의 실종을 줄이기 위해 사회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어린 아이를 자녀로 둔 부모들의 걱정은 날로 늘어만 가고 있다.
또한, 유치원 및/또는 어린이집의 통학차량에 인솔 교사 및/또는 통학차량 기사의 부주의로 아이가 홀로 방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인지능력이 덜 발달된 유아의 경우에는 위험 상황(더위 또는 추위 속에서 차량 안에 장시간 방치되어 사고 발생)을 회피할 수 없어 생명을 잃는 등과 같은 큰 사고로 이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몸을 스스로 지키기 어려운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한 제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3900호(2012.12.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어린 아이의 위치 확인 및/또는 어린 아이가 위치하는 장소의 온도 감지를 통해 어린 아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 및/또는 부모에게 알릴 수 있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은, 유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유아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부; 유아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거나 또는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위험 상황 감지부;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외부로 방송하는 알람부; 및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부모가 휴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가방의 안쪽 등받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가방을 멘 유아의 체온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거나 높이기 위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냉방모듈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높이기 위해 난방모듈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유아가 가방을 맨 상태에서 누르기 쉽도록 가방의 어깨끈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은 유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유아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부, 유아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거나 또는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위험 상황 감지부,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통해 외부로 방송하는 알람부 및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부모가 휴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상기 유아용 가방으로부터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설치된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팝업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정보의 확인을 위한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확인을 위한 정보가 온도 정보인 경우, 구체적인 온도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확인을 위한 정보가 위치 정보인 경우, 미리 저장된 지도상에 상기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이가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 이를 외부 및/또는 부모에게 알려 위험상황을 인지시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은 유아용 가방(100) 및 휴대용 단말(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아용 가방(100) 및 휴대용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할 수 있다.
유아용 가방(100)은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GPS 센서 및/또는 온도 센서 등) 등이 부착되어 위치 제공 서비스 및 온도 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 아이가 등에 멜 수 있는 일반적인 가방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가방(100)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험 상황(여름 및/또는 겨울과 같은 계절에 어린이집 및/또는 유치원의 통학차량 속에 장시간 방치되는 상황 등)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외부(차량의 외부, 어린이집 및/또는 유치원의 관계자 및 부모 등)에 알리기 위한 모듈이 가방에 부착될 수 있다.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모듈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정보 측정의 효율성을 위해 가방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정보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가방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용 가방(1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200)은 유아용 가방(100)으로부터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미리 설치된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200)은 아이의 보호자 등이 소유한 휴대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설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회원가입 등을 통해 회원에 가입한 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회원가입시, 정보를 송신하는 유아용 가방(100)의 식별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유아용 가방(100)과 휴대용 단말(200)의 통신부(미도시)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유아용 가방(100)으로부터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설치된 위험상황감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200)은 유아용 가방(100)으로부터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화면 상에 위치 정보 및/또는 온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터치 버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정보의 확인을 위한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해당하는 위험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200)은 확인을 위한 정보가 온도 정보인 경우 구체적인 온도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확인을 위한 정보가 위치 정보인 경우 미리 저장된 지도상에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가방(100)은 위치 정보 획득부(110), 온도 정보 획득부(120), 버튼부(130), 위험 상황 감지부(140), 알람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110)는 유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110)는 GPS 센서일 수 있으며, GPS 센서는 위치 정보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유아용 가방(100)의 외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정보 획득부(120)는 유아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 정보를 생성한다. 온도 정보 획득부(120)는 온도 센서일 수 있으며, 온도 센서는 온도 정보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유아용 가방(100)의 외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가방(100)은 온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온도 센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센서 이외에 습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부(130)는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구성이다. 버튼부(130)는 사용자(유아)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후술하는 알람부(150)를 통해 외부로 위험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는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위험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청각적인 메시지는 소리일 수 있으며, 시각적인 메시지는 빛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130)는 사용자(유아)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가방의 어깨끈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유아)는 가방을 맨 상태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편한 자세에서 버튼부(130)를 눌러 구동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부(140)는 유아용 가방(100)을 멘 유아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부(140)는 사용자(유아)에 의해 버튼부(130)가 눌려지는 경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로부터 교육을 받은 유아가 가방에 부착된 버튼부(130)를 누를 수 있는데, 위험 상황 감지부(140)는 버튼부(130)가 눌려지는 경우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유아는 호기심이 왕성하여 부모로부터 교육을 받는다 하더라도, 위험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버튼부(130)를 누를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60)가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해 부모가 휴대한 단말(휴대용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200)을 소지한 부모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부모는 유아용 가방(100)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를 동작시킴으로써 아이의 주변 환경 정보를 눈으로 직접확인하고 위험 상황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미도시)는 가방을 멘 유아의 주변 상황에 대한 인지를 효율성 있게 할 수 있도록 가방의 어깨끈 전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험 상황 감지부(140)는 온도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가 영하 10도 및/또는 영상 40도인 경우, 위험 상황 감지부(140)는 온도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온도 정보가 임계 온도인 영하 10도 미만이거나 또는 영상 40도 이상인 경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위험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와 동시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주변 환경의 온도에 대응하여 아이의 체온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가방(100)은 가방의 안쪽 등받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가방을 멘 유아의 체온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온도 조절부(170)는 위험 상황 감지부(140)가 온도 정보 획득부(120)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거나 높이기 위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시적으로 유아에게 온도에 의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온도 조절부(170)는 온도를 높이기 위한 난방 모듈 및/또는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부(170)는 위험 상황 감지부(140)가 온도 정보 획득부(120)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냉방모듈을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부(170)는 위험 상황 감지부(140)가 온도 정보 획득부(120)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높이기 위해 난방모듈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때, 온도 조절부(170)에 포함되는 냉방 모듈 및/또는 난방 모듈은 유아용 가방(100)의 안쪽 등받이 부분에 전체적으로 설치되되, 각각 교차하여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온도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냉방 모듈 또는 난방 모듈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알람부(150)는 위험 상황 감지부(140)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외부로 방송할 수 있다. 예컨대, 알람부(150)는 위험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청각적으로 방송하기 위한 스피커 및/또는 위험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방송하기 위한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알람부(150)가 LED인 경우, 가방끈의 전영역에 구비함으로써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에 의해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유아용 가방(100)의 상술한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위험 상황 감지부(140)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부모가 휴대한 단말(휴대용 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아두이노와 같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일 수 있다. 아두이노(Arduino)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AVR을 기반으로 한 보드로 이루어져 있고, 최근에는 Cortex-M3를 이용한 제품인 Arduino Due도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 환경(IDE)이 있으며,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플래시, 프로세싱, Max/MSP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연동할 수도 있다. 아두이노의 가장 큰 장점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VR 프로그래밍이 WinAVR로 컴파일하여, ISP 장치를 통해 업로드를 해야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한다. 반면, 아두이노는 컴파일된 펌웨어를 USB를 통해 업로드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는 다른 모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윈도우를 비롯해 맥 OS X, 리눅스와 같은 여러 OS를 모두 지원한다. 아두이노 보드의 회로도가 CCL에 따라 공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직접 보드를 직접 만들고 수정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한편, 본 실시예 따른 유아용 가방(100)의 구성들은 전원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전원부(미도시)가 방전되는 경우 상술한 유아용 가방(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는 유아용 가방(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충전을 위한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유아용 가방
110: 위치 정보 획득부
120 : 온도 정보 획득부
130 : 버튼부
140 : 위험 상황 감지부
150 : 알람부
160 : 제어부
170 : 온도 조절부
200 : 휴대용 단말

Claims (7)

  1. 삭제
  2. 유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유아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유아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부;
    유아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거나 또는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위험 상황 감지부;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외부로 방송하는 알람부; 및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부모가 휴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가방의 안쪽 등받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가방을 멘 유아의 체온을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거나 높이기 위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냉방모듈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위험 상황 감지부가 온도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유아의 체온을 높이기 위해 난방모듈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61132A 2018-12-13 2018-12-13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KR10208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32A KR102089874B1 (ko) 2018-12-13 2018-12-13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PCT/KR2019/014561 WO2020122413A1 (ko) 2018-12-13 2019-10-31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32A KR102089874B1 (ko) 2018-12-13 2018-12-13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874B1 true KR102089874B1 (ko) 2020-03-17

Family

ID=7000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132A KR102089874B1 (ko) 2018-12-13 2018-12-13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9874B1 (ko)
WO (1) WO202012241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900B1 (ko) 2012-02-23 2012-12-18 신장진 블랙박스기능 및 gps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KR101341555B1 (ko)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1083U (ko) * 2013-08-30 2015-03-11 김영진 어린이용 안전가방
KR101818482B1 (ko) * 2015-10-19 2018-02-21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363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9848786B2 (en) * 2013-09-12 2017-12-26 Mattel, Inc.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900B1 (ko) 2012-02-23 2012-12-18 신장진 블랙박스기능 및 gps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KR20150001083U (ko) * 2013-08-30 2015-03-11 김영진 어린이용 안전가방
KR101341555B1 (ko)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8482B1 (ko) * 2015-10-19 2018-02-21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413A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34068B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定位方法及可穿戴设备
CN106921700B (zh) 一种根据特征信息进行安全预判的方法、装置以及系统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CN107901867A (zh) 用于可拆装车辆座椅传感器的系统和方法
KR20170064893A (ko)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225730A1 (en) Wearable Personal Locator Device with Removal Indicator
US11704989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locating items, people, and/or animals
US9251686B1 (en) Personal safety tracking using an apparatus comprising multiple sensors
JP2019507449A (ja) ウェアラブルアラートシステム
KR101859021B1 (ko) 생체 신호와 비콘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아동 케어 시스템
KR101818482B1 (ko)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KR101633006B1 (ko) 감시구역 이탈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323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ovement behind wearer of wearable device and signal
TW201447788A (zh) 物件追蹤服務系統及其方法
KR20170081023A (ko) 거주지 이탈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9874B1 (ko)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EP3466123A1 (en) Geo-fencing based on multiple signals and configuration
CN110298987B (zh) 服务器及火灾逃生方法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Tiwari et al. Design Of Smart Walking Stick Combined With Home Automation For Blind People
JP6402004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Pandey et al. Smart patch: An IoT based anti child-trafficking solutio
WO20180422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riggering of a trap for small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