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277A -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277A
KR20100101277A KR1020090019681A KR20090019681A KR20100101277A KR 20100101277 A KR20100101277 A KR 20100101277A KR 1020090019681 A KR1020090019681 A KR 1020090019681A KR 20090019681 A KR20090019681 A KR 20090019681A KR 20100101277 A KR20100101277 A KR 2010010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hotographing
protected
data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513B1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도찬구
김진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찬구, 김진양 filed Critical 도찬구
Priority to KR102009001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5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단말은 보호대상단말의 근거리무선통신 접속에 따라 보호대상단말로부터 보호대상단말의 ID를 수신한다. 촬영단말은 수신된 ID와, ID 수신에 따라 촬영단말이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와, 상기 촬영단말에 저장된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서비스서버는 촬영단말에서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비스서버는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다. 서비스서버는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감시단말로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 위치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보호대상단말을 소지한 보호대상자와 관련된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 위치데이터를 보호자가 소지한 감시단말로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어 효율적인 알림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위치, 통지, 아동, 메시지서비스

Description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notification based location}
본 발명은 통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대상자의 위치와 촬영데이터를 자동으로 보호자가 소지한 감시단말로 통지하여 보호대상자의 위치와 촬영데이터정보를 보호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폰은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 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폰이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 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어린이 유괴, 부녀자 납치 사건 등이 빈발하면서,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 버튼 하나로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긴급구조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긴급 호출 버튼(이하, "긴급버튼"이라 함)을 갖춘 신형 단말기(예를 들면, "알라딘 폰" 등)뿐만 아니라, 기존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긴급 구조요청에 대한 기능을 갖춘 단말기는 최근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알림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는 기본적으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호대상체의 능동적인 행동(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을 요구하거나, 보호대상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보호자의 능동적인 행동(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을 요구한다. 즉, 보호대상체나 보호자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알림 서비스이다. 따라서, 보호대상체나 보호자의 능동적인 행위(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 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가 없더라도, 보호대상자의 보호자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촬영단말을 통과하는 보호대상단말을 소지한 보호대상자에 대한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감시단말을 소지한 보호자에게 통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알림 서비스가 실현 가능한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방법은, 서비스서버가, 촬영단말에 대한 보호대상단말의 근거리무선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촬영단말에 전송된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ID 수신에 따라 상기 촬영단말이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에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된 시간에 따라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는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감시단말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전 송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상기 촬영단말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특정기관서버에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와 부재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자신 고유의 ID를 갖는 보호대상단말;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의 접속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를 수신하여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하며 자신의 단말번호를 갖는 촬영단말; 및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촬영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와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 뒤,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감시단말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서버; 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상기 촬영단말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와 부재사실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하는 특정기관서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는, 촬영단말 및 감시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3 송수신부; 및 상기 촬영단말에 대한 보호대상단말의 근거리무선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촬영단말에 전송된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ID 수신에 따라 상기 촬영단말이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에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 뒤,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감시단말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매칭하여 IP주소, MIN 중 어느 하나인 상기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보호대상자에 대한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 위치데이터를 보호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어 효율적인 알림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보호대상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서 특정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보호대상자의 부재사실을 특정기관에 알려서 실종, 유괴와 같은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해당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대상단말(100), 촬영단말(200), 통신망(300), 서비스서버(400), 감시단말(500)을 포함하며, 감시단말(500)은 유선단말(510)과 무선단말(55)을 포함한다.
보호대상단말(100)은 아동, 부녀자, 독거노인, 장애인과 같은 보호대상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카드형태 또는 무선단말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단말이다. 보호대상단말(1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촬영단말(200)의 통신가능영역에 자신의 접속여부를 확인한다. 보호대상단말(100)이 촬영단말(200)의 통신가능영역으로 접속한 경우, 자신의 고유 ID를 촬영단말(200)로 전송한다.
촬영단말(2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한 보호대상단말(100)의 접속시 보호대상단말(100)로부터 ID를 수신하고, 수신과 동시에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에 대한 촬영을 수행한다. 이후, 촬영단말(200)은 수신된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된 촬영데이터, 미리 저장된 자신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촬영단말(200)은 자신의 단말번호를 저장장치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촬영데이터는 사진 또는 동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통신망(300)은 촬영단말(200), 서비스서버(400), 감시단말(500)간의 데이터전송, 정보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IP망(310), 게이트웨이(330), 이동통신망(350)을 포함한다.
IP망(3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또한, IP망(310)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망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G/W, 330)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이동통신망(350)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단말(550)과, IP망(310)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서비스서버(400) 및 유선단말(5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330)는 왑게이트웨이(Wap Gateway)로서, 무선단말(550)이 웹서버인 서비스서버(400)에 액세스(Aceess)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350)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35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서비스서버(400)는 촬영단말(200)로부터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70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촬영단말(200)로의 접속시,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촬영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서버(400)는 수신된 시간을 확인한 뒤,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해당하는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 단말인 감시단말(500)의 식별번호를 독출한다. 또한, 서비스서버(400)는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를 이용해 촬영단말(200)의 위치를 독출한다. 이후, 서비스서버(400)는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 단말인 감시단말(500)로, 촬영단말(200)의 위치데이터와, 촬영단말(200)이 촬영한 촬영데이터와, 서비스서버(400)가 확인한 수신을 확인하여 생성한 시간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유선단말(510)의 식별번호는 IP주소일 수 있으며, 무선단말(550)의 식별번호는 무선단말(550)의 단말번호일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400)는 생성한 시간데이터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촬영단말(300)을 통해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특정기관서버(700)에 보호대상단말(100)의 ID와 부재사실을 전송한다.
감시단말(500)은 유선단말(510)과 무선단말(550)로 구분되며, 유선단말(500)은 유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통신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IP 텔레비전, 노트형 퍼스컴, 핸드헬드 컴퓨터를 포함하는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기기들이다. 유선단말(510)은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서비스서버(400)에서 위치데이터,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무선단 말(700)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제공하는 휴대기기들로 핸드폰, PDA, GSM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와 같은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무선단말(550)도 유선단말(510)과 동일하게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무선단말로서, 서비스서버(400)에서 위치데이터,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감시단말(500)은 서비스서버(400)로 보호대상단말(100)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요청하여 위치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보호대상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호대상단말(100)은 무선단말형태 또는 카드형태로 제공되며, 무선단말형태로 제공될 경우 제1 입력부(110), 제1 제어부(130), 제1 저장부(150),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 제1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10)는 촬영단말(200)과 보호대상단말(100)이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에 통신가능영역에 접속한 경우, 보호대상단말(100)을 소지한 보호대상자로부터 촬영단말(200)로의 ID 전송요청을 입력받아 입력된 ID 전송요청을 제1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130)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를 이용해 촬영단말(200)과 통신가능영역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저장부(150)에 저장된 보호대상단말(100) 고유의 ID를 촬영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30)는 통신 가능한 위치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보호대상단 말(100)의 고유의 ID를 촬영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동작으로 전송이 안된 경우 제1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ID 전송요청을 입력 받아서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촬영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저장부(150)는 보호대상단말(100) 고유의 ID를 저장한다. 제1 저장부(150)는 ID를 저장하기 위해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부(150)는 ID를 저장하기 위해 RFID 방식의 칩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로, 무선단말을 소지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USIM 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무선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RFID 방식으로 구현된 카드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보호대상단말(100)의 고유 ID를 촬영단말(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로, 근거리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등이 될 수 있다.
제1 출력부(190)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보호대상단말(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제1 출력부(190)는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통화연결 버튼,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출력부(190)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보호대상단말(100)의 고유 ID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보호대상단말(100)이 카드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제1 입력부(110)와 제 1 출력부(190)를 제외한 제1 제어부(130), 제1 저장부(150),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70)만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카드형태는 교통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촬영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촬영단말(200)은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10), 촬영부(230), 제2 제어부(250), 제2 저장부(270), 제1 송수신부(290)를 포함한다.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보호대상단말(100)에서 ID를 수신하여 제2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촬영부(230)는 제2 제어부(250)의 촬영개시신호와 촬영중단신호에 따라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제2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제2 제어부(250)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10)를 이용해 보호대상단말(100)과 통신가능영역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호대상단말(100)에서 ID를 수신하도록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10)를 제어하며, 수신된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제2 저장부(270)로 저장한다.
제2 제어부(25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수신에 따라 촬영부(230)로 촬영개시신호를 전송하여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를 촬영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보호대상단말(100)에서 출력된 신호의 방향으로 촬영부(23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촬영개시신호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이 지나면 촬영중단신호를 촬영부(230)로 전송하여 촬영을 중단하도록 하고, 촬영 데이 터를 제2 저장부(280)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제2 제어부(330)는 제2 저장부(280)에 저장된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를 독출한다. 제2 제어부(33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하도록 제1 송수신부(360)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33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함에 따라, 제2 저장부(280)에 저장된 보호대상단말(100)의 ID와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에 대한 촬영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메모리 자원을 유동적으로 관리한다.
제2 저장부(280)는 촬영단말(200)의 고유 단말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50)로부터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한편, 부가서비스 가입 보호대상단말(100)에 대해서는 저장된 보호대상단말(100)의 ID와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에 대한 촬영데이터를 원하는 시간만큼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촬영데이터는 추후에 촬영 데이터에 나타난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신원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촬영데이터는 촬영된 시간과 시간적 차이를 두고 서비스서버(400)로 전송되도록 제2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송수신부(290)는 제2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3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1의 서비스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서버(400)는 제2 송수신부(410), 제3 제어부(430),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한다. 제2 송수신부(410)는 촬영단말(200), 감시단말(500)과 통신 망(3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3 제어부(43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촬영단말(300)로의 접속에 따라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한 촬영단말(200)에서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2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43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 촬영데이터를 수신된 시간을 확인한 뒤 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시간데이터는 보호대상단말(100) 사용자인 아동의 등교 시간데이터 또는 하교 시간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대상단말(100) 사용자인 부녀자, 독거노인, 장애인과 같은 보호대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촬영단말(200)이 위치한 곳에 대한 통과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3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부(450)로부터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해당하는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 단말에 해당하는 식별번호를 독출한다. 또한, 서비스서버(400)는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450)에서 촬영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다.
제3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매칭되는 보호대상단말(100) 소지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감시단말(500)로 촬영단말(200)의 위치데이터, 촬영데이터, 시간데이터를 메시지(SMS 또는 MMS) 형태로 전송하도록 제2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한편, 제3 제어부(430)는 해당 전송과 별도로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매칭하여 촬영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50)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3 제어부(430)는 생성한 시간데이터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촬영단말(300)을 통해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특정기관서버(900)에 보호대상단말(100)의 ID와 부재사실을 전송하도록 제2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또한, 제3 제어부(430)는 감시단말(500)의 요청에 따라 보호대상단말(100)로부터 직접 수신한 위치데이터를 감시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제2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이때, 위치데이터는 보호대상단말(100)로부터 수신하며, 삼각측량 방식, GPS 방식 등에 의해 측정되어 보호대상단말(10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5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매칭하여 감시단말(500)의 식별번호를 미리 저장한다. 감시단말(500)이 유선단말(510)인 경우 감시단말(500)의 식별번호는 유선단말의 IP주소일 수 있으며, 감시단말(500)이 무선단말(550)인 경우 감시단말(500)의 식별번호는 무선단말(55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동국 식별 번호)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50)는 보호대상단말(100)의 ID에 매칭하여 촬영단말(300)의 위치에 보호대상단말(100)의 소지자가 통과해야 할 시간 영역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보호대상단말(1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촬영단말(200)으로의 접속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10, S12). 판단결과 접속이 확인된 경우 보호대상단말(1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고유 ID를 촬영단 말(200)로 전송한다(S14).
촬영단말(200)은 보호대상단말(100)에서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하면, 보호대상단말(100) 사용자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한다(S16). 한편, 촬영단말(200)은 보호대상단말(100)으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이용해 보호대상단말(100)이 위치한 곳으로 촬영부(23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촬영단말(200)은 보호대상단말(100)의 ID, 촬영데이터와 제2 저장부(270)에 미리 저장된 촬영단말 자신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한다(S18).
서비스서버(400)는 단계(S18)의 전송에 따른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S20). 시간데이터는 보호대상단말(100) 사용자인 아동의 등교 시간데이터 또는 하교 시간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대상단말(100) 사용자인 부녀자, 독거노인, 장애인과 같은 보호대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촬영단말(200)이 위치한 곳을 통과한 시간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400)는 보호대상단말(100)이 ID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 보호자가 소지한 유선단말(500) 또는 무선단말(700)의 식별번호를 독출한다. 또한, 서비스서버(400)는 촬영단말(200)의 단말번호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 촬영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다(S22).
서비스서버(400)는 메시지(SMS 또는 MMS)형태로 감시단말(500)의 독출된 식별번호로 촬영데이터, 위치데이터, 시간데이터를 전송한다(S24).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과정과는 별도로 서비스서버(4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촬영단말(300)을 통해 보호대상단말(100)의 ID가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26). 이때, 시간 영역은 등교시간인 오전 8시부터 8시 30분 사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보호대상단말(100)에 대해 중복적으로 하교시간인 오후 2시부터 2시 30분 사이로 설정할 수 있다.
판단결과,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비스서버(400)는 특정기관서버(900)에 보호대상단말(100)의 ID와 부재사실을 전송한다(S28). 한편, 보호대상단말(100)의 ID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서버(400)는 도 5a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의 도 5a 및 도 b의 과정은 보호대상단말(100)이 촬영단말(200)에 접속과 접속 중단이 발생한 뒤, 재접속이 발생한 경우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비스서버(400)는 감시단말(500)의 요청에 따라 보호대상단말(100)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보호대상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감시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호대상단말(100)에 대한 위치측정 방식은 삼각 측량방식, GPS 방식 등으로 측정되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호대상단말(100), 다수의 촬영단말(200), 통신망(300), 서비스서버(400), 감시단말(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촬영단말(200)이 다수개가 존재하고, 서비스서버(400)가 다수개의 촬영단말(200)에 대응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대상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영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호대상단말 200: 촬영단말
300: 통신망 400: 서비스서버
500: 감시단말

Claims (9)

  1. 서비스서버는, 촬영단말에 대한 보호대상단말의 근거리무선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촬영단말에 전송된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ID 수신에 따라 상기 촬영단말이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에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된 시간에 따라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는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식별번호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통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상기 촬영단말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특정기관서버에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와 부재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통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감시단말의 위치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단말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감시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통지 방법.
  4.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자신 고유의 ID를 갖는 보호대상단말;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의 접속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를 수신하여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하며 자신의 단말번호를 갖는 촬영단말; 및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촬영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와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 뒤,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감시단말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상기 촬영단말을 통해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와 부재사실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하는 특정기관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지간 통지 시스템.
  6. 촬영단말 및 감시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3 송수신부; 및
    상기 촬영단말에 대한 보호대상단말의 근거리무선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촬영단말에 전송된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 상기 ID 수신에 따라 상기 촬영단말이 상기 보호대상단말 소지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 상기 촬영단말에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를, 상기 촬영단말에서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상기 촬영단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촬영단말의 위치데이터를 독출한 뒤,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해 상기 감시단말로 상기 촬영데이터, 상기 시간데이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단말의 ID에 매칭하여 IP주소, MIN 중 어느 하나인 상기 감시단말의 식별번호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8. 촬영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보호대상단말의 ID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이용해 상기 촬영단말과 통신가능영역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ID를 상기 촬영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ID를 저장하는 RFID방식의 칩, USIM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단말.
KR1020090019681A 2009-03-09 2009-03-09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81A KR100987513B1 (ko) 2009-03-09 2009-03-09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81A KR100987513B1 (ko) 2009-03-09 2009-03-09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77A true KR20100101277A (ko) 2010-09-17
KR100987513B1 KR100987513B1 (ko) 2010-10-12

Family

ID=4300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681A KR100987513B1 (ko) 2009-03-09 2009-03-09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5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939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440543B1 (ko) * 2013-08-30 2014-09-17 허선우 미아 발생 예방방법
KR20150140544A (ko) * 2014-07-15 2015-12-16 전대연 피해자의 신속한 행적 확인 시스템
KR20160006533A (ko) * 2014-07-09 2016-01-19 (주)텔미전자 지그비 수신장치를 탑재한 아이피 카메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730B1 (ko) * 2015-04-28 2017-06-20 주식회사 자이온아이티에스 비콘과 cctv 융합 위치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0132B1 (ko) * 2017-07-07 2018-03-29 (주)포엠텍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52B1 (ko) * 2000-03-02 2003-03-15 주식회사 알파인터넷 원격 모니터링 및 리마인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2699A (ko) * 2000-08-08 2002-02-20 구자홍 놀이시설/교육시설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20560B1 (ko) * 2004-09-22 2006-09-12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767065B1 (ko) 2007-03-26 2007-10-17 (주)홈시큐넷 원격 보호관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939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440543B1 (ko) * 2013-08-30 2014-09-17 허선우 미아 발생 예방방법
KR20160006533A (ko) * 2014-07-09 2016-01-19 (주)텔미전자 지그비 수신장치를 탑재한 아이피 카메라 시스템
KR20150140544A (ko) * 2014-07-15 2015-12-16 전대연 피해자의 신속한 행적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513B1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7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tion notification
KR100987513B1 (ko)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113630B (zh) 在移动电子装置中进行紧急呼救的方法及装置
TWI251997B (en) Mobile wireless presence and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129012A1 (en) Portable digital devices
US20090197584A1 (en)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Devices
US20090029717A1 (en) Notifying a user of a portable wireless device
US20080214142A1 (en) Emergency Alerting System
TW200847696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ng, tracking and/or recov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57442A (ko) 검출능력 및 보안의 개선을 위한 통지 패킷들의 인터리빙
KR20120073153A (ko)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NO321855B1 (no) Mobiltelefontilstedevaerelses- og lokaliseringssystem ved bruk av en SIM-kortsender
US20070281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communications
US8774036B2 (en) Multi-mode mobile networking device
EP4138434A1 (en) Method for detecting bluetooth positioning device,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80278286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EP2847874B1 (en) Digital relay for out of network devices
JP42472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52502A (ja) 安否情報発信装置及び安否情報発信プログラム
WO2021000319A1 (zh) 保障终端安全的方法、装置以及系统
US12007488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4604267B (zh) 用于激活紧急事件信标信号的方法和装置
KR20050114837A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한 즉석 미팅 방법
CN113302997A (zh) 基站寻呼能力的区分方法、装置及通信设备
JP2007293705A (ja) 異常判定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