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32B1 -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32B1
KR101830132B1 KR1020170086359A KR20170086359A KR101830132B1 KR 101830132 B1 KR101830132 B1 KR 101830132B1 KR 1020170086359 A KR1020170086359 A KR 1020170086359A KR 20170086359 A KR20170086359 A KR 20170086359A KR 101830132 B1 KR101830132 B1 KR 10183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beacon
beacon signal
notif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경호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포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엠텍 filed Critical (주)포엠텍
Priority to KR102017008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는 단계,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CTV ALARMING SERVICE USING BEACON SIGNAL}
본 발명은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에 비콘을 부착하여 CCTV의 촬영 범위 내에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성폭행, 아동유괴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각종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인 안전대책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CCTV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CCTV 설치를 매년 확대하고 있다. 다만, CCTV는 촬영하는 주체만이 활용을 할 수 있을 뿐, 촬영에 포함된 객체인 일반인은 접근이 제한되고 이용률도 극히 낮다.
이때, 비콘과 CCTV를 융합한 서비스는 비콘 안테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비콘 데이터를 CCTV에서 촬영된 촬영 데이터에 태깅되도록 함으로써, 피보호자가 모바일 단말을 소지하지 않고,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지라도 보호자 단말에서 피보호자의 위치 및 영상을 추적 및 조회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촬영되고 있는 촬영 객체는 정작 자신이 CCTV에 의해 촬영되고 있다는 것 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CCTV가 촬영중이라는 표시가 허위이거나, 촬영되고 있는데도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있음을 촬영 객체가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에서 알람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는 자신이 CCTV에 노출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CCTV에 노출된 상태임을 알고 활동함으로써 안전함을 느낄 수 있고, 불미스러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CCTV 촬영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영상이 불법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고나 범죄의 발생시 CCTV의 영상 요청 및 검색이 스마트 폰에 저장된 자료를 기반으로 빨라질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는 단계,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에서 알람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는 자신이 CCTV에 노출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CCTV에 노출된 상태임을 알고 활동함으로써 안전함을 느낄 수 있고, 불미스러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CCTV 촬영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영상이 불법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고나 범죄의 발생시 CCTV의 영상 요청 및 검색이 스마트 폰에 저장된 자료를 기반으로 빨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알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비콘 장치(100),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피알림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장치(100)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또는 직접 피알림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알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직접 비콘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콘 장치(100)는, CCTV에 부착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100)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세지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고,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100)는, CCTV의 정보를 피알림 단말(4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100)는, CCTV의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콘 장치(100)의 전송 세기는, 10 내지 50 미터로 다양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100)는, CCTV의 촬영 범위로 제한되도록 조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100)는, CCTV의 관리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이에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설치 위치, 장소, CCTV의 식별 번호 등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알림 단말(400)에서 비콘 장치(100)가 설치되지 않은 CCTV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미확인 CCTV로 위치 등을 매핑하여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범죄 이력이 있거나 전자 발찌가 감지되거나, 범죄 관련 텍스트나 음성이 감지된 경우에는, 비콘 신호(100)에 의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다시 슬립 모드로 변경시켜 구동하지 않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알림 단말(400)에서 자신이 촬영된 히스토리 로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요청하는 경우, 그 근거(CCTV 관리자 정보 & 설치 위치 정보 & 촬영되었다는 정보)를 보유한 경우, 해당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알림 단말(400)에서 촬영된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경우, 지도 기반, 시간 정렬 기반 등으로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알림 단말(400)은,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알림 단말(400)은,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의 가용 신호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비콘 장치(100)에 의하여 웨이크업 되어 해당 기록을 저장 및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피알림 단말(400)은, CCTV의 촬영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촬영 반경을 벗어났다는 알람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피알림 단말(400)은, 비콘 신호(100)를 수신한 기록을 저장하고, 히스토리 로그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피알림 단말(400)에서 비콘 신호(100)로 웨이크업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내에 CCTV가 촬영된 경우, 해당 촬영된 장소 및 CCTV가 포함된 프레임을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가 부착되지 않은 CCTV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다른 피알림 단말(400)이 해당 장소에 위치할 때, 미부착 CCTV가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피알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알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피알림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알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100)는, 활성화부(110), 감지 알람부(120), 비감지 알람부(130), 저장부(140), 정보 제공부(150), 범죄 방지부(160), 영상 요청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피알림 단말(400)로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피알림 단말(400)은,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피알림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비콘 장치(100),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피알림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활성화부(110)는,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Beacon) 신호로 웨이크업될 수 있다. 이때, 비콘 장치(100)는, 피알림 단말(400)로 CCTV의 정보를 주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센서 노드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CTV가 기 설정된 위치마다 설치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콘 장치(100)가 하나의 센서 노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콘 신호는, 네트워크 구조의 시간 동기화 및 비콘 간 라우팅 경로 형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비콘 신호는, 패킷 식별 번호(PCK SEQ), 비콘 식별 번호(BEACON SEQ), 최초 송신자 주소(ORIGIN SRC), 현재 송신자 주소(SRC), 홉 수(HOP CNT), 수신 신호 세기(RSSI) 등의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비콘 장치(100)는, 저전력 동작 수행을 해야 하는 경우, 주기적 웨이크업 및 슬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콘 장치(100)는, 주기적은 비콘 메세지를 통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100)의 비콘 신호는, 시간 동기화와 함께 경로 찾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로 선정에서 실제 외부 환경이 차량이나 시설물 등 다양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특정 시점에 형성된 경로가 항상 통신이 잘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통신 경로는 물리적인 최단거리 등을 고려하는 것보다 연결 품질(Link Quality)을 우선시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알림부(120)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알림부(120)는, 사용자가 CCTV에 촬영되고 있음을 알려주며,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된 경우에는, 비콘 신호를 식별자로 현재 자신이 촬영되고 있는 CCTV의 화면을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도 있다.
비감지 알림부(130)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의 위치를 비콘 신호(100)를 통하여 GPS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CCTV가 촬영하고 있는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EEE 802.15.4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 노드(현재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 이외에 사용자가 감지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GPS 정보를 받는다. 이때, 전송받은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리적 거리 계산법(삼각법)을 이용하고,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의 회전 또는 팬틸트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공간,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콘 신호(100)의 세기도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CCTV가 설치된 곳(비콘 장치(100)의 위치(a0, b0, c0)), 이벤트를 발생시킨 센서 노드(다른 비콘 장치(100)의 위치)가 설치된 곳(a2, b2,c2), 현재 CCTV가 영상을 찍고 있는 곳(a1, b1, c1)의 세 점의 위치를 알고 있다면, 지리적 거리 계산법을 통해 세 변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위도, 경도에 따른 거리 계산도 가능하며, CCTV가 설치된 위치와 현재 CCTV 지향 위치 간의 거리(Km)와, CCTV 설치 위치와 이벤트 발생 센서 노드 위치 간의 거리(Km)와, 현재 CCTV 지향 위치와 이벤트 발생 센서 노드 위치 간의 거리(Km)를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CTV의 좌우 이동 각도, CCTV의 상하 이동 높이 차이에 따른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CCTV의 촬영까지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저장부(140)는,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는 경우, 언제 어디서 찍혔는지를 정확히 기록할 수 있고, 이후에 CCTV에 노출된 상황의 자료를 집계할 경우, 지도 기반, 시간순 정렬 등이 가능해진다.
정보 제공부(150)는, 저장부(140)에서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한 후,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알림 단말(40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CCTV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피알림 단말(400)과 연동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CCTV가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위치를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피알림 단말(400)이 웨이크업 되지 않았다면 이는 비콘 신호를 받지 않았다는 의미(비콘 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음)이므로, 비콘 장치(100)가 부착되지 않은 CCTV의 위치 및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CCTV의 위치가 포함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피알림 단말(400)이 위치한 경우, CCTV가 촬영되고 있다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는, CCTV가 촬영하는 범위를 바운더리로 설정하도록 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즉, 비콘 신호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범위가 다를 수 있는데, 비콘 신호의 도달 범위와, 촬영 범위가 다를 경우, 자신이 촬영되고 있지 않은데도 촬영중이라고 잘못 인지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의 신호 세기는, 각각의 CCTV의 특성에 따른 촬영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CCTV는 비콘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CCTV를 구분하는 식별자와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비콘 장치(100)를 경유하여 피알림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 주기나 전원 없음으로 인한 구동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0)는, 저장부(140)에서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한 후, CCTV에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노출된 상황 자료를 집계하는 요청 이벤트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50)는,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CCTV에 노출된 상황 자료를 지도 기반, 시간 기반, 및 장소 기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범죄 방지부(160)는, 활성화부(110)에서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된 후, 비알림 단말에서 전자 발찌의 감지, 피알림 단말(400)과 연동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범죄 기록이 공유, 및 비알림 단말에서 범죄 관련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인 경우, 비알림 단말이 비콘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되지 않도록 슬립 모드로 강제 전환할 수 있다.
최근, 유아 토막 살인 사건과 같은 흉악 범죄가 늘어나는데, 이미 범죄를 저질렀거나, 저지를 가능성이 있거나, 계획하고 있는 경우에까지 해당 서비스를 확대한다면, 이를 악용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영상 요청부(170)는, 저장부(140)에서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한 후,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된 시간 및 장소에서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피알림 단말(400)과 연동된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요청부(17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시간 및 장소에 촬영되고, 비콘 신호와 일치하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비콘 장치(100)가 부착된 CCTV의 영상을,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백화점에서 지갑을 도난당한 경우라던가, B 거리에서 시비가 붙어서 싸운 경우 등 자신이 어느 카메라에 찍혔는지를 확실히 모를 때에는 요청하기도 쉽지 않고 시간도 정확치 않아 찾는다고 할지라도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데, 자신이 어디서 언제 찍혔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요청하기도 수월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비콘 장치(100)가 설치된 CCTV의 촬영 반경에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b) 피알림 단말(400)은, CCTV가 자신을 촬영중이라는 사실을 알려주게 되는데, 이는 비콘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에 기반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다른 승객과 다툼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정확히 자기가 탔던 열차의 탑승칸 번호를 모른다면, CCTV를 찾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d) 피알림 단말(400)은, 자신이 감지한 비콘 신호(100)의 히스토리 로그를 통하여 손쉽게 어떤 CCTV 카메라에서 언제 피알림 단말(400)의 사용자가 촬영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요청도 쉬울 수 있으며, 이후 경찰에서 사건을 해결하는 단서로도 손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e) CCTV에 촬영된 현황은 집계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로그를 수집할 때 피알림 단말(400)의 GPS를 이용하거나 또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설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 표시하되,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f) 또는, 엑셀 형식으로 각 월별, 주별, 일별로 시간순에 따라 정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행을 클릭하면, 지도 앱과 연동되어 지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역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콘 장치(100)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동기화되고,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비콘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실행한다(S4200).
또한, 피알림 단말(400)로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S4300), 피알림 단말(400)은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 되어(S4400),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독출한다(S4410).
그리고, 화면에 알람을 표시하고(S4430), 독출된 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고(S4450), 이를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4500).
여기서, 피알림 단말(400)이 비콘 신호에 의한 웨이크업 없이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하였는데, CCTV가 프레임 내에 포함된 경우(S4700), 피알림 단말(400)에서 CCTV가 촬영된 장소와 시간을 추출하여(S4800),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4810).
이때,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4600 단계에서 등록된 CCTV가 아닌 경우와 함께, 미등록 CCTV의 장소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미등록 CCTV 내의 범위에 임의의 사용자가 위치할 때, 이를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S4900).
이에 따라, 피알림 단말(400)의 감지된 위치가 미등록 CCTV의 장소인 경우(S4910, S4930),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가 존재한다는 알림을 피알림 단말(400)로 전송 및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S4950, 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알림 단말은,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된다(S5100).
그리고 나서, 피알림 단말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S5200).
여기서, 피알림 단말은,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한다(S5300).
또한, 피알림 단말은,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피알림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피알림 단말에서 전자 발찌의 감지, 상기 피알림 단말과 연동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범죄 기록이 공유, 및 상기 피알림 단말에서 범죄 관련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인 경우, 상기 피알림 단말이 상기 비콘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되지 않도록 슬립 모드로 강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피알림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CCTV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수신 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CCTV의 촬영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콘 신호로 웨이크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알림 단말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CCTV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피알림 단말과 연동하는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CCTV가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위치를 매핑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CCTV의 위치가 포함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피알림 단말이 위치한 경우, CCTV가 촬영되고 있다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CTV에 부착된 비콘 장치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는, 상기 CCTV가 촬영하는 범위를 바운더리로 설정하도록 세기가 조정된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CTV는 상기 비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CCTV를 구분하는 식별자와 상기 관리자 정보 및 설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비콘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피알림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CCTV에 피알림 단말의 사용자가 노출된 상황 자료를 집계하는 요청 이벤트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CCTV에 노출된 상황 자료를 지도 기반, 시간 기반, 및 장소 기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된 시간 및 장소에서 상기 피알림 단말의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상기 피알림 단말과 연동된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시간 및 장소에 촬영되고, 상기 비콘 신호와 일치하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비콘 장치가 부착된 CCTV의 영상을, 상기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86359A 2017-07-07 2017-07-07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59A KR101830132B1 (ko) 2017-07-07 2017-07-07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59A KR101830132B1 (ko) 2017-07-07 2017-07-07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132B1 true KR101830132B1 (ko) 2018-03-29

Family

ID=6190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59A KR101830132B1 (ko) 2017-07-07 2017-07-07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13B1 (ko) * 2009-03-09 2010-10-12 김진양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13B1 (ko) * 2009-03-09 2010-10-12 김진양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1266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EP3497590B1 (en) Distributed video storage and search with edge computing
US8682570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condition alert services
JP5298742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US10423688B1 (en) Notifying entities of relevant events
US11889375B2 (en) Tracking device location identification
US9460615B2 (en) Automatic update of crowd and traffic data using device monitoring
US72367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tion notification
CN104301431B (zh) 一种基于多源大数据gis的重点人群实时监控系统
Jisha et al. An android application for school bus tracking and student monitoring system
US20110285535A1 (en) Mobile Asset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US20150161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Based Reporting and Surveillance and Publishing Event Information
CN110088817A (zh) 用于选择通知接收者的方法和设备
CN110887498B (zh) 导航路线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Goncalves et al. Design of a mobile ad hoc network communication app for disaster recovery
EP2801084B1 (en) Released offender geospatial location information clearinghouse
CN109859426A (zh) 一种社区安防管理系统
KR101548729B1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5272A (ko)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30633A (ko) 실종 개체 수색 방법과 시스템, 이를 위한 셀 기반 무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요소, 디바이스 및 모듈
US9799189B2 (en) Tracking device and tracking system and tracking device control method
Alkhateeb et al. A multi agent-based system for securing university campus: Design and architecture
CN101953179B (zh) 旅行者警报系统
KR101830132B1 (ko)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