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549B1 -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549B1
KR101215549B1 KR1020110010334A KR20110010334A KR101215549B1 KR 101215549 B1 KR101215549 B1 KR 101215549B1 KR 1020110010334 A KR1020110010334 A KR 1020110010334A KR 20110010334 A KR20110010334 A KR 20110010334A KR 101215549 B1 KR101215549 B1 KR 10121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portable terminal
user
safety system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141A (ko
Inventor
성현규
Original Assignee
성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현규 filed Critical 성현규
Priority to KR102011001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원격 관제 센터로 중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어린이의 옷이나 가방 등에 착탈되는 카메라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 시 휴대 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그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카메라모듈을 부착한 어린이가 처한 상황을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Description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USER CENTERED REMOTE MONITORING SAFETY SYSTEM USING RADIO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본 발명은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외부 환경을 촬영한 후 촬영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그 정보를 원격 관제 센터로 전송하여 서비스에 등록된 보호자 단말기 또는 공공기관에 전달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에 것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어린이 유괴나 여성 대상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에서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이용한 어린이 등교 서비스,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등교 서비스,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등하교 등 위치를 실시간으로 부모에게 알려주고 비상시 119에 신고를 하거나 CCTV를 이용하여 현장을 추적하는 방식을 이용이다.
도 1a는 행정안전부의 u-어린이 안전 서비스를 위한 도면이다.
종래 행정안전부의 u-어린이 안전 서비스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CCTV(10-1 내지 10-n)와 관제센터(20)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행전안전부의 u-어린이 안전 서비스는 GPS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어디서나 어린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어린이가 등교 또는 하교 시 학교 정문을 통과하거나 또는 사전에 지정된 등하교 경로를 이탈할 경우 부모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어린이가 단말기의 SOS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부모와 119에 통보되고 인근 CCTV(10-1 또는 10-n)가 현장을 촬영한다.
이와 같이, u-어린이 안전 서비스에 이용되는 CCTV(10-1 또는 10-n)는 주요 범죄 발생가능 지역 및 예방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서 지속적으로 상황을 촬영하여 원격지의 관제센터(20)에서 감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점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CCTV(10-1 또는 10-n)는 특정 방향과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과 여러 방향으로 카메라의 움직임이 가능한 이동형이 있으며, 이동형은 다양한 각도가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행정안전부 u-어린이 안전 서비스는 사용자 중심이 아니라 관리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관리자가 고정되어 설치된 CCTV를 통해 특정 범위를 대상으로 감시를 하기 때문에 여성이나 어린이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따라가면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종래 행정안전부 u-어린이 안전 서비스는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각지대를 피할 수가 없고 개개인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CCTV 및 GPS 등과 연계된 종래 u-어린이 안전 서비스로는 신속하게 어린이의 유괴를 막기는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다.
도 1b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등교 서비스를 위한 도면이다.
종래 RFID 태그를 이용한 등교 서비스는 학교 등 어린이가 움직이는 경로에 RFID 리더(11-1 내지 11-n)를 설치하여서 학생들이 해당 리더가 설치된 교문 등을 통과할 경우에 관제센터(20)에 해당 이벤트를 수집하고 그 해당 이벤트를 보호자와 학교 등의 유관 기관(30)으로 전송해주는 것이다.
유사한 방법으로는 GPS를 이용한 방식으로 어린이의 위치를 전송해주는 방법이 있다. 핸드폰에 설치되어 있는 GPS를 이용하여서, 긴급상황시에 처한 사람이 핸드폰의 비상버튼을 누르면 위험신호 및 GSP 위치정보가 원격지의 관제센터로 전송됨으로서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위급상황에서 가방이나 주머니속에 보관되는 핸드폰을 꺼내어 위급상황 신호를 스스로 보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어린이의 위치를 알려줄 수는 있지만, 어린이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알려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비상시에 어린이가 처해있는 상황을 알리기 위한 손쉬운 방법으로는 핸드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핸드폰의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핸드폰을 일상적인 상황에서 호주머니 또는 가방에 저장하는 것을 고려할 때, 어린이 대상 유괴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어린이가 카메라를 꺼내어서 정면에서 촬영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사람의 옷이나 장신구 또는 별도의 고정 장치를 통해 카메라를 사람에게 부착되는 개인별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SenseCam, 카네기 멜론 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의CMUCAM 제품이 있다. 이들 장치는 초소형 카메라로 어린이에게 부착이 가능한 크기로 촬영 데이터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핸드폰이나 컴퓨터 단말로 전송하여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들은 이동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의 보호자가 어린이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다. 기존 제품들은 카메라모듈, 단말, 그리고 외부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에서의 어린이 안전시스템 구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없다.
카메라모듈은 외부에서 정면 또는 후면에서의 어린이가 처한 상황을 촬영할 수 있어야하며, 무선이동통신을 통해서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나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야한다. 또한 어린이 유괴와 같은 긴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모듈 및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영상정보 및 상황정보를 이용하여서 긴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어야하며, 해당 시점 전후의 영상데이터 및 GPS 위치정보와 같은 유용한 센서데이터를 원격 관제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어린이 스스로 긴급상황에서 위험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주머니나 가방에 저장되는 핸드폰 이외에 손쉽게 해당 긴급 스위치를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배터리로 동작되는 특성상, 제품의 크기와 전류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카메라 및 센서들 그리고 입력수단 등과 이동통신기능을 모두 단일장치에 집적하는 대신 별도의 모듈의 형태로 구현하고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이의 신체나, 옷, 가방 등에 착탈되는 카메라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저전력무선통신으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다시 영상데이터를 원격지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카메라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관리 기능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이용하는 카메라모듈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실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의 일 측면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원격 관제 센터로 중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의 다른 측면은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고,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모듈 또는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이벤트 감지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 이벤트 감지모듈 및 휴대 단말기는, 슬립 상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를 통해 제공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며, 카메라모듈의 식별을 위한 식별 ID 및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외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촬영수단;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영상촬영수단의 촬영을 제어하며,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값(시간)에 따라 슬립/웨이크업을 반복하는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 시,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 수신 이전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정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수단에 의해 쵤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위험감지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카메라모듈에 대한 기능 명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최초 휴대 단말기와 접속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명세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커맨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커맨드 메시지에 상응하는 영상촬영수단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고, 커맨드 메시지의 내용으로 설정 정보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기능 명세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기능 명세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경우, 카메라 모듈의 기능 명세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능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IP 주소 또는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수신한 IP 주소에 해당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사전에 정의된 인터넷 서버와 수신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명세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수신된 기능 명세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경우, 카메라 모듈의 기능 명세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보호자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등록 시 등록한 관제시스템으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되,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의 IP 통신을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기에게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감지모듈은,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면,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고,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모듈로 무선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비상스위치를 구비한 입력부와, 압력센서, GPS 또는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션 디텍터(엑셀레로 미터), 뇌파 센서(EEG), 혈압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은 어린이의 몸이나, 옷, 가방 등에 착탈되는 카메라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 시 휴대 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그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카메라모듈을 부착한 어린이가 처한 상황을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전원관리 기능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이용하는 카메라모듈의 실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a는 행정안전부의 u-어린이 안전 서비스를 위한 도면.
도 1b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등교 서비스를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에서 카메라모듈과 이벤트 감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은 카메라모듈(100), 휴대 단말기(200) 및 원격 관제 센터(400)를 포함하며,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은 어린이의 옷이나 가방 등에 착탈되고, 외부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수단(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근거리 무선통신부(140), 배터리(150) 및 타이머(160)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00)의 영상촬영수단(110)은 CCD나 CMOS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때, 영상촬영수단(110)은 넓은 시야각을 가지도록 비망원 렌즈를 이용할 수 있으며, 흔들림 방지 기능, 플래쉬, 초당 프레임전송속도 (fps) 조절, 각도조절을 위한 미세모터, 줌(Zoom), 주위 명암에 적응하기 위한 노출 민감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조절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의 저장부(120)에는 영상촬영수단(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며, 카메라모듈(100)의 식별을 위한 식별 ID 및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저장부(120)는 선택적으로 MMC(Multimedia Card)/Smart Media Card/SD(Secure Digital)/CF (comfactflash)/memory stick/XD picture 등의 외부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00)의 제어부(130)는 영상촬영수단(110)의 촬영 및 설정을 제어하며, 영상촬영수단(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100)의 제어부(130)는 카메라모듈(100)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웨이크업 기능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웨이크업을 반복하는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130)는 저전력 동작을 위해 슬립 상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160)를 통해 제공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메시지를 주고받는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 및 휴대 단말기(200)가 같은 시각에 슬립 및 웨이크업 을 수행하고 웨이크업 상황에서 통신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위해서는 카메라모듈(100), 이벤트 감지모듈(300) 및 휴대 단말기(200)가 동기를 맞추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프로토콜 및 에너지가 소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기화를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모듈(300)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휴대 단말기(200)가 지속적인 신호를 보내고 수신측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이 슬립 상태에서 깨어나 해당 신호를 받으면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부가적인 동기화 프로토콜을 구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송신측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지속적인 신호가 수신측의 슬립 주기보다 길어야 하며 에너지의 소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웨이크업 리시버(wake-up receiv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서 카메라모듈(100), 이벤트 감지모듈(300) 또는 휴대 단말기(200)에 메인 무선 리시버 이외에 부가적인 웨이크업 리시버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웨이크업 리시버는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도록 설계되며, 메인 라디오 및 카메라모듈(100), 이벤트 감지모듈(300) 또는 휴대 단말기(200)는 슬립 모드에 들어가서 전력을 소비량을 최소화하며, 깨어있는 웨이크업 리시버가 웨이크업 시그널을 받는 경우 인터럽트를 발생하여서 메인 라디오를 웨이크업하고,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웨이크업 리시버는 에너지 소스에 따라서 액티브와 패시브로 나뉠 수 있다. 패시브는 웨이크업 회로가 외부로부터의 전류에 의해서 동작하게 되며, 액티브는 회로상에서 내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을 한다.
패시브의 경우는 에너지의 소비가 최소화되지만 거리 등에서 제약을 받는다. 웨이크업 리시버는 메인 리시버와 동일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 사용함으로서 구현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다른 주파수와 채널을 사용하거나 복수의 주파수/채널을 이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웨이크업 리시버는 시그널에 따라서 무선을 이용하거나 음파(acoustic)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웨이크업 리시버는 특정 비트 스트링을 이용하여서 웨이크업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를 명시할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와 유사하게 특정 범위의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를 웨이크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모듈(100), 이벤트 감지모듈(300) 또는 휴대 단말기(200)중 하나는 웨이크업 리시버를 구비하여서 이벤트의 발생 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수신측에 웨이크업 신호를 보내서 수신측이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변환된 후에 데이터의 전송을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2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로부터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영상촬영수단(110)을 통해 외부 정보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부(130)는 MPEG4, MJPEG, JPEG, H.264 등의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구비하여 영상촬영수단(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부(13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 촬영되어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전송 시 위험 상황 인지 이전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정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 삭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부(130)는 영상촬영수단(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위험감지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데이터의 색상 또는 배경을 비교함으로써 교실 내에 앉아 있는 것과 같이 배경 또는 색상의 이미지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급격한 색상 및 배경의 변화 등에는 위험감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모듈(1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는 휴대 단말기(2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1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3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는 저전력 동작을 위해 슬립 상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160)를 통해 제공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1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40), 휴대 단말기(2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1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무선통신부(330)는 IEEE 802.15.1(블루투스), IEEE 802.15.3(UWB), NFC 또는 IEEE 802.11 (와이파이, Wi-Fi), IEEE 802.15.4 (ZigBee), IEEE 802.15.5, IEEE 802.15 SG mmWave 등의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의 배터리(150)는 충전식이며, 매일 또는 자주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충전과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 직접적인 충전코드의 접촉 없이 비접촉 근거리 원격충전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100)은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 등의 촬영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00)은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손쉽게 외출 시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카메라모듈(100)은 가방의 어깨끈에 걸 수 있는 형태, 목걸이 또는 링(손목)의 형태, 옷을 사이에 두고 옷이나 가방의 천에 손실 없이 붙일 수 있는 자석형태, 옷이나 신발에 걸 수 있도록 핀과 반대편에서 핀에 대응되는 고정부 등으로 천을 투과하는 형태, 명찰과 같이 집게가 달린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원격 관제 센터(400)로 중계 전송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GPS 모듈(240) 및 이동통신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2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10)는 카메라모듈(1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40)와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330)는 무선 통신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20)는 통신 가능한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감지하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카메라모듈(1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이동통신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 관제 센터(4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GPS 모듈(24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데이터 전송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200) 구매 시에는 반드시 u-안전 센서노드인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반드시 패키지로 구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카메라모듈(100)을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추가로 휴대 단말기(200)는 이벤트 감지모듈(300)과도 연동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 휴대 단말기(200),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각각의 고유 식별코드 또는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 초기 셋업 과정을 수행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등록 가능한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매핑시켜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200)은 저장부(230)에 등록된 카메라모듈(10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제어함으로써 긴급 상황의 감지와 영상정보 수집이 자동화되어 처리되게 한다.
카메라모듈(10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암호 등의 방법으로 lock이 해제되기 전에 다른 휴대 단말기와 새로 연결되지 않도록 lock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연동된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를 바인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인딩이란 입력과 출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200)가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출력을 카메라모듈(100)의 동작으로 연결하도록 설정하면, 이벤트 감지모듈(300)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이벤트 감지모듈(300)이 메시지를 카메라모듈(100)로 직접 전송하여 외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기(200)가 카메라모듈(10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과 통신을 위해서는 사전에 정의된 공통 커맨드 메시지를 이용하거나, 카메라모듈(10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에서 수신된 기능정보명세를 참고하여서 커맨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이렇게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에 연동된 휴대 단말기(200)는 정상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수집된 영상데이터를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의 이동통신 통신부(250)는 3G, 4G 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관제 센터(4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커맨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100)의 영상촬영수단(110)에서 초당 프레임 수(fps), 노출 민감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줌, 각도 변경, 플래쉬 동작, 웨이크업 주기 변경 등을 제어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등록된 카메라모듈(100)이나 이벤트 감지모듈(200)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카메라모듈(100)이나 이벤트 감지모듈(200)로부터 동작 종료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정상 종료로 판단한다.
만약, 동작 종료 메시지의 수신 없이, 등록된 카메라모듈(100)이나 이벤트 감지모듈(200)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비상상황으로 간주하여 원격 관제 센터(400)로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200)는 보호자 단말기(510)가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등록 시 등록한 보호자 단말기(510)에게도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되,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의 IP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자는 어린이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로 facetime과 같은 영상통화나 음성통화를 신청하면, 영상통화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휴대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IP 주소로 영상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모니터링 안전시스템은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영상통화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서, 카메라모듈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영상통화로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카메라모듈(100) 또는 휴대 단말기(200)에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310), 입력부(320), 근거리 무선통신부(330) 및 배터리(340)를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감지센서(310)는 압력센서, GPS 또는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션 디텍터(엑셀레로 미터), EEG(뇌파) 센서, 혈압센서 일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비상스위치이다.
또한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330)와 배터리(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카메라모듈(100) 또는 휴대 단말기(200)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기능에 맞게 별도의 감지센서(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감지센서(310)인 모션 디텍터는 휴대 단말기(200)에 통합될 수 있지만, 혈압센서는 손목 등 적절한 위치에 부착되어야 하며, 압력센서는 신발의 밑창 또는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 시,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착용한 어린이가 발가락 또는 손가락 등을 움직여 상대방 모르게 위험감지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혈압센서 등은 자동적으로 혈압의 증가에 따라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와 원격 관제 센터(4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u-안전 서비스에 등록해야 한다. 원격 관제 센터(40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계정정보), 휴대 단말기 정보, 비상알림방법(SMS, 이메일), 비상알림 대상(보호자 단말기, 공공기관) 등의 서비스 정보를 매핑하여 서비스 가입 정보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이러한, 원격 관제 센터(400)는 서비스 가입 정보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위험상태를 판단하고,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서비스 가입 정보 테이블(도시하지 않음)등록된 보호자 단말기(510) 또는 공공기관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SMS, MMS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근거리 무선통신부(210)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를 구비한 카메라모듈(100)을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등록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부(330)를 구비한 이벤트 감지모듈(300)이 존재할 경우, 이벤트 감지모듈(300) 또한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등록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210)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00)는 각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를 구비한 카메라모듈(100)의 고유 식별코드나 식별이름, 네트워크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고유 식별코드나 식별이름,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된 카메라모듈(100)을 매핑시켜 저장함으로써 등록이 가능하다.
한편, 이벤트 감지모듈(300)이 추가로 검색될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이벤트 감지모듈(300)과의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등록되거나 검색된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을 바인딩시킬 수도 있다.
한편, 각 근거리 무선통신부(140), 근거리 무선통신부(210)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330)가 지그비 프로토콜일 경우,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코디네이터로 동작하여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부에게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초기 셋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패시브(passive)하거나 액티브(active) 디스커버리(discovery)로 구성될 수 있다.
패시브 디스커버리는 휴대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비콘 메시지를 보내고, 각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들은 전원 인가 및 시작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디스커버리의 수신 후에 응답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액티브 디스커버리는 각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이 적극적으로 자신의 식별번호 또는 IP 주소를 포함한 announce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기능 정보명세가 전송되어 휴대 단말기(200) 또는 원격 관제 센터(400)에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기능에는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디스크립션, 카메라에 대한 정보(해상도, 칼라구성, 프레임 수, 이미지 압축방법 등) 등과 성능(메모리, CPU)에 대한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는 XML 또는 사전에 정의된 포맷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 디스크립션 대신에 고유 식별자만 부여하고, 해당 고유식별자를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고유기능코드로 사용하여 인터넷 상에 저장된 카메라모듈(1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 성능에 대한 정보를 얻어 올 수 있다.
또한, 원격 관제 센터(400)에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휴대 단말기 정보, 비상알림방법, 비상알림 대상 등의 서비스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모듈(100), 휴대 단말기(200), 및 이벤트 감지모듈(300) 간에 초기 셋업이 되고, 휴대 단말기(200)가 원격 관제 센터(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카메라모듈(100)은 사용자의 옷이나 가방 등에 부착된다. 이때, 카메라모듈(100)은 가방의 어깨끈에 걸 수 있는 형태, 목걸이 또는 링(손목)의 형태, 옷을 사이에 두고 옷이나 가방의 천에 손실 없이 붙일 수 있는 자석형태, 옷이나 신발에 걸 수 있도록 핀과 반대편에서 핀에 대응되는 고정부 등으로 천을 투과하는 형태, 명찰과 같이 집게가 달린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부착된 카메라모듈(100)은 영상 촬영 수단(13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후, 카메라모듈(100)은 이벤트 감지모듈(300)로부터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모듈(100)의 제어부(130)에서 영상 촬영 수단(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감지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벤트 감지모듈(300)의 감지센서(310)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비상스위치, 압력센서, GPS 또는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션 디텍터(엑셀레로 미터), EEG(뇌파) 센서, 혈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 관제 센터(400)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20)는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원격 관제 센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원격 관제 센터(400)는 수신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등록된 사용자의 위험상태를 판단하고,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등록된 보호자 단말기(510) 또는 공공기관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SMS, MMS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카메라모듈(100)과 이벤트 감지모듈(300)은 소형으로 제작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 또는 원격 관제 센서(400)를 통해 각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100)의 기능은 IR 감도, 비디오의 ISO 값, 프레임 수, 해상도, 촬영주기, flash 동작, 비상 상황 인지를 위한 임계값 등이다.
사전에 정의된 카메라모듈(100)의 기능 정보명세를 인터넷 상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HTTP 프로토콜, FTP 또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에 구비하고, 카메라모듈(100)은 해당 프로파일 문서에 매칭되는 파일명 또는 식별자(IP 주소)를 휴대 단말기(200)에게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기(200)는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기능 정보명세 또는 기능 정보명세를 포함한 프로그램을 엑세스(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 뿐만 아니라 원격 관제 센터(400)에서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는 u-안전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프로파일을 디코딩하거나 active-X 프로그램/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디스플레이화면에서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가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선택하고, 휴대 단말기(200)는 해당 커맨드 메시지를 카메라모듈(100)로 전송한다.
이에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한 카메라모듈(100)은 해당 커맨드 메시지에 상응하도록 해당 기능의 설정을 변경한다. 이때, 해당 커맨드 메시지는 기능 정보명세 또는 기능 정보명세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사전에 표준 또는 특정 개발자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다.
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카메라모듈(100)의 설정은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관제 센터(400)는 카메라모듈(100)의 기능 정보정보(프로파일,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의 형태)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
이후, 원격 관제 센터(400)는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 수정된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 카메라모듈(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본 센싱주기를 30초에서 40초로 변경하는 설정이 있을 경우, 원격 관제 센터(400)는 센싱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커맨드 메시지인 0140(command 01이 센싱주기 변경으로 정의된 경우)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커맨드 메시지(0140)를 해당 카메라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카메라모듈(100)의 기능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모듈(100)은 외부 상태를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S1).
이후, 카메라모듈(100)은 이벤트 감지모듈(300) 혹은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
상기 판단 단계(S2)에서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모듈(100)은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S3).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원격 관제 센터(400)로 전송한다(S4).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휴대 단말기(200) 또는 이벤트 감지모듈(30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GPS, 카메라, 음성, 가속도 센서 등)와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원격 관제 센터(400)는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를 모니터링(S5)하며,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사용자(보호자 단말기 또는 공공기관)에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6).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카메라모듈 110 : 영상촬영수단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근거리 무선통신부 150 : 배터리
160 : 타이머 200 : 휴대 단말기
210 : 근거리 무선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GPS 모듈
250 : 이동통신 통신부 300 : 이벤트 감지모듈
310 : 감지센서 320 : 입력부
330 : 근거리 무선통신부 340 : 배터리
400 : 원격 관제 센터

Claims (19)

  1.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고,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이벤트 감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모듈, 상기 이벤트 감지모듈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립 상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위험 이벤트의 발생 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2.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고,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이벤트 감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모듈, 상기 이벤트 감지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립 상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를 통해 제공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원격 관제 센터로 중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 이벤트 감지모듈 및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저전력 통신을 위한 wake-up receiver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외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촬영수단;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영상촬영수단의 촬영을 제어하며,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값(시간)에 따라 슬립/웨이크업을 반복하는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촬영된 외부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영상촬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 시, 위험 이벤트 감지신호 수신 이전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정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위험감지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기능 설정에 대한 XML 등의 문서로 서술된 기능 정보명세(텍스트, 프로그램 또는 라이브러리 형태)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최초 휴대 단말기와 접속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정보명세를 접속된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커맨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커맨드 메시지에 상응하는 영상촬영수단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고, 커맨드 메시지의 내용으로 설정 정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설정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설정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경우, 해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능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IP 주소 정보만을 설정 정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설정 정보 메시지 내에 기능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IP 주소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IP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기능 변경에 따라 해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영상통화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요청하거나,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등록 시 등록한 보호자 단말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되,
    영상통화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IP 주소로 영상통화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동작 종료 메시지의 수신 없이, 등록된 상기 카메라모듈이나 이벤트 감지모듈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비상상황으로 간주하여 상기 원격 관제 센터로 긴급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모듈은,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면,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모듈 또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비상스위치를 구비한 입력부와, 압력센서, GPS 또는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션 디텍터(엑셀레로 미터), 뇌파 센서(EEG), 혈압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 및 이벤트 감지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면 다른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지 않도록 락(Look) 기능을 설정하고, 락(lock)이 해제되기 전에 다른 휴대 단말기와 새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1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방의 어깨끈에 걸 수 있는 형태, 목걸이 또는 링(손목)의 형태, 옷을 사이에 두고 옷이나 가방의 천에 손실 없이 붙일 수 있는 자석형태, 옷이나 신발에 걸 수 있도록 핀과 반대편에서 핀에 대응되는 고정부 등으로 천을 투과하는 형태 또는 명찰과 같이 집게가 달린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KR1020110010334A 2011-02-01 2011-02-01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KR10121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34A KR101215549B1 (ko) 2011-02-01 2011-02-01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34A KR101215549B1 (ko) 2011-02-01 2011-02-01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41A KR20120089141A (ko) 2012-08-09
KR101215549B1 true KR101215549B1 (ko) 2012-12-26

Family

ID=4687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334A KR101215549B1 (ko) 2011-02-01 2011-02-01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88Y1 (ko) 2013-04-15 2014-05-09 이승재 인명구조경보기
KR101442959B1 (ko) * 2013-02-20 2014-09-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비상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비상신호 전송시스템
US9654688B2 (en) 2014-11-28 2017-05-16 Hanwha Techwin Co., Ltd. Low-powere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image processing device with low power
KR101878309B1 (ko) * 2017-07-25 2018-07-13 강혜림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89B1 (ko) * 2013-02-06 2014-11-05 주식회사 미디어인포메이션커뮤니케이션 무선경보장치와 무선경보시스템 및 그 무선경보방법
KR101427718B1 (ko) * 2013-02-08 2014-08-07 이익선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492506B1 (ko) * 2013-08-09 2015-02-12 주식회사 시큐인포 가정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072695A1 (ko) * 2013-11-12 2015-05-21 이승호 개인보호 영상감시 장치 및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보호 영상 시스템
KR200474732Y1 (ko) * 2014-08-11 2014-10-13 주식회사 신우테크 태양광 led 가로등에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556018B1 (ko) * 2014-10-14 2015-09-30 신주연 촬영조명 보조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KR101699471B1 (ko) * 2015-05-15 2017-01-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방문자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82454B1 (ko) * 2015-07-13 2021-07-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KR102454915B1 (ko) * 2015-07-20 2022-10-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착용 카메라
CN105139578A (zh) * 2015-08-05 2015-12-0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终端的防止坑洞危险发生的安全保护系统及方法
WO2017146297A1 (ko) 2016-02-22 2017-08-31 신현해 몰래카메라 영상 불법 유출 방지 및 실시간 범죄 대처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WO2018070565A1 (ko) * 2016-10-12 2018-04-19 신현해 카메라모듈 및 이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웨어러블형 액세서리 장치
KR101902687B1 (ko) 2017-02-14 2018-11-07 신현해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KR200486329Y1 (ko) * 2017-07-06 2018-05-03 주식회사 카이언스 스마트 경보 장치
CN108337435A (zh) * 2018-03-29 2018-07-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网络摄像机唤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081618B1 (ko) * 2018-09-21 2020-02-27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 구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59B1 (ko) * 2013-02-20 2014-09-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비상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비상신호 전송시스템
KR200472588Y1 (ko) 2013-04-15 2014-05-09 이승재 인명구조경보기
US9654688B2 (en) 2014-11-28 2017-05-16 Hanwha Techwin Co., Ltd. Low-powere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image processing device with low power
KR101878309B1 (ko) * 2017-07-25 2018-07-13 강혜림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41A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549B1 (ko)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US9912901B2 (en) Body camera
US76363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n 802.15.4 network
US10547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n 802.15.4 network
US20120327225A1 (en) Surveillance camera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capability
CN105425657B (zh) 闹钟响铃控制方法及装置
US11798385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7412264B2 (en) Lone worker monitor
US115383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16098A1 (zh) 一种跨电子设备转接服务的方法、设备以及系统
KR20140050773A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CN106255071A (zh) 发送求救信息的方法及装置
CN114339697A (zh) 通信连接建立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35420A (ko)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CN113676339B (zh) 组播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28410B1 (ko) 영상획득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890823B1 (ko) 360도 영상을 지원하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KR20170083881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41895B1 (ko) 유아 및 노약자용 방범시스템
US20170162032A1 (en) Personal security
KR102369796B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39475A (ko) 영상처리장치
CN116582754A (zh) 多机位拍摄系统的拍摄方法、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KR101138345B1 (ko)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액자형 디지털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