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54B1 -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54B1
KR102466554B1 KR1020200119785A KR20200119785A KR102466554B1 KR 102466554 B1 KR102466554 B1 KR 102466554B1 KR 1020200119785 A KR1020200119785 A KR 1020200119785A KR 20200119785 A KR20200119785 A KR 20200119785A KR 102466554 B1 KR102466554 B1 KR 10246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image information
beach
intelli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166A (ko
Inventor
지명훈
김민수
박장운
이창복
강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텍
(주) 포인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텍, (주) 포인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텍
Priority to KR102020011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그 재난경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는 바다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지능형영상획득부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바닷가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경보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APP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F INTELLIGENT BEACH DISASTER ALERT}
본 발명은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그 재난경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화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바닷가의 위험영역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바닷가는 여름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 적지 않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이다. 바다는 여러가지 재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너울성 파도나 지진해일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히 사람들을 대피시켜야 한다. 바닷가 근처에는 해양경찰이나 자체 구조대가 활동하고 있으나, 모든 영역을 감시하기에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기상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재난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있으나, 이동통신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대로 경보신호를 받을 수 없어 피해를 입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639호(2012년 12월 18일 등록)는 이중화된 경보제어장치를 갖는 재난재해 예경보를 위한 경보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로 예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출력부와, 관제센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예경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출력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경보제어장치와, 제2의 방송출력부, 통신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경보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메인 경보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된 때에 작동하는 서브 경보제어장치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메인 경보제어장치 또는 서브 경보제어장치에 연결하는 절체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바닷가의 상황에 따라 능동적인 경보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상정보에 따라 일률적으로 경보를 하는 것이므로, 실시간 경보가 어렵고 그 지역 특성이나 이용자의 현황에 따른 맞춤형 경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닷가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경보를 할 수 있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용망과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이용하여 이중화된 경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경보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영상학습을 통한 객체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야간에도 객체를 식별하여 보다 정밀한 객체 탐색이 가능한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는 바다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지능형영상획득부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의 기상서버로부터 바닷가 주변의 기상정보를 획득하는 기상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영역을 가변시켜 상기 경보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위험영역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변조 연속파형(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의 레이더신호를 감지하는 레이더신호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더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람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부는 상기 경보단말로부터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신호 전송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경보관리장치의 재난경보관리방법은,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단계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단계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닷가 지능형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보단말과,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지능형영상획득부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상기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난경보관리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바닷가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경보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용망과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이용하여 이중화된 경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경보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학습을 통한 객체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야간에도 객체를 식별하여 보다 정밀한 객체 탐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지능형영상획득부에서 위험영역의 객체를 탐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경보부에서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경보부에서 경보단말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시스템은 경보단말(10) 및 재난경보관리장치(100)를 포함한다.
경보단말(10)은 바닷가의 설치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경보단말(10)은 재난경보관리장치(100)로부터 전용망과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경보단말(10)에는 스피커,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단말(10)은 바닷가 근처의 재난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경보하는 경보신호를 조기에 수신할 수 있다. 경보단말(10)이 이동형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비행드론 또는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물속에 위치한 사람의 경우 개인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고 있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경보단말(10)과 통신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한다.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바닷가의 지능형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객체를 식별한다.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바닷가의 위험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위험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탐색한다. 이 경우, 객체의 형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외부의 기상서버(20)로부터 기상정보를 획득하여 예보성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이용하여 이중화된 망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신호의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외부의 관제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관제서버(30)는 해양경찰, 소방서 등과 연계 가능한 서버이다.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위험영역에 객체가 사람으로 판별되는 경우, 경보신호 전송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30)로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위험영역에 있는 사람에게 구조인력을 투입하여 긴급구조를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해당 객체의 위치로 비행드론 또는 수중드론을 접근시켜 구조원들에게 그 위치를 안내하고,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현장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재난경보관리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지능형영상획득부에서 위험영역의 객체를 탐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경보부에서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중 경보부에서 경보단말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지능형영상획득부(110), 경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300)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고정형/회전형 카메라와 같은 영상장비를 이용하여 바다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깊이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객체와 유사도 범위 내의 객체를 탐색한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구역을 분할하여 객체에 대한 영상정보(300)를 획득할 수 있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도 3에서 영상정보(300) 중 (A), (B), (C), (D)와 같이 영역을 분할하여 위험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영상정보(300)에 대한 반복적인 기계적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객체가 탐지되면 이를 추종하면서 영상정보(300)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회전형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드론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위치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GPS를 이용하여 영상정보(3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위험영역은 일종의 지오펜스(geo-fence) 개념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각 위험영역에 식별되는 객체에 대한 영상정보(300)를 획득한다.
또한,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의 영상정보(300)를 획득할 수 있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온도범위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탐색하게 된다. 이는 야간에 일반 카메라로 식별되지 않는 객체를 색온도를 이용하여 식별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객체의 종류에 따른 색온도범위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인 구간에서는 적외선카메라를 온시켜 영상정보(300)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영상획득부(110)는 주간에도 일반카메라로 영상이 식별되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객체를 식별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경보부(120)는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10)로 경보신호를 전송한다. 경보단말(10)은 바닷가에 설치된 고정형 또는 이동형 단말로 형성될 수 있다. 경보부(120)는 소리 또는 문자 형태의 경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부(12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용망을 통해 경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경보부(120)는 전용망과는 별도로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두 개의 이중화망을 이용하여 경보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험영역에 있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또한, 경보부(120)는 드론을 경보단말(10)로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부(120)는 드론에 긴급구호장비를 부착시켜 객체의 위치로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경보부(120)는 드론에 스피커나 경광등을 부착시켜 바다에서 탐색된 사람에게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경보단말(10)이 이동형인 경우 이를 이동시켜 신속히 바다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경보단말(10)에는 긴급구호장비가 탈부착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위험영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이를 낙하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영상정보(300)를 분석하여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경보단말(1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전용망은 경보단말(10)의 유선 폐쇄망을 이용하여 직접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고,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은 공용망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중계시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바닷가의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의 감도가 기 설정된 감도 미만인 경우에는 라디오망, 위성망을 대체적으로 탐색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산간지역과 인접한 바닷가 지역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의 신호감도가 낮아 경보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는 것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위험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식별하여 사람으로 분석된 경우에는 드론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드론으로 객체가 식별된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드론에는 긴급구호장비(11)가 장착되어 객체의 위치에 이를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드론은 비행드론이거나 수중드론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기상정보에 따라 비행드론이나 수중드론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효율적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기상정보획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획득부(140)는 외부의 기상서버(20)로부터 바닷가 주변의 기상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획득부(140)는 일기예보와 같은 기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정보는 경보신호의 시점을 가변하거나, 위험영역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상정보획득부(140)는 감시중인 바닷가의 기상정보의 편차를 판단한다. 기상정보획득부(140)는 기 설정된 주기로 기상서버(20)로부터 기상정보를 획득하여 각 시점에 따른 기상정보가 기 설정된 편차 이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30)로 긴급신호를 출력한다. 기상정보획득부(140)는 태풍, 너울성 파도, 지진해일 등이 기상정보로 획득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30)로 긴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기상정보에 따라 위험영역을 가변시켜 경보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위험영역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경보신호를 다르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위험영역은 GPS좌표로 설정되는데 고정된 영역이 아니며, 가변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상정보가 태풍, 너울성파도, 지진해일 등의 심각한 재난이 예상되는 경우 위험영역을 확대시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상정보에 따라 위험영역을 재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경보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경보단말(10)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신호는 경보단말(10)로부터 확인메시지일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내로 경보단말(1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의 관제서버(30)로 재접속할 수 있도록 경보단말(10)에 SMS를 발송하여 재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긴급구호를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레이더신호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신호감지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바닷가의 위험영역에서 발생하는 위험영역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변조 연속파형(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의 레이더신호를 감지한다. 레이더신호감지부(150)는 객체에 반사된 레이더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레이더신호감지부(150)는 기 설정된 사람의 레이더신호에 대한 주파수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이더신호감지부(150)는 바닷가의 영역을 분할하여 레이더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신호감지부(150)는 레이더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100)는 음성신호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신호감지부(16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바닷가 근처의 소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영상정보(300) 외에 소리정보를 이용하여 객체가 사람인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소리정보를 기 설정된 소리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소리정보 중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람인지, 동물인지, 무생물인지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리정보 중 음성을 인식하여 긴급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람살려", "도와주세요"와 같은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위급신호로 판단하고 객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외부의 관제센터로 객체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경보단말
11 : 긴급구호장비
20 : 기상서버
30 : 관제서버
100 :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110 : 지능형영상획득부
120 : 경보부
130 : 제어부
140 : 기상정보획득부
150 : 레이더신호감지부
160 : 음성신호감지부
300 : 영상정보

Claims (6)

  1.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객체가 탐지되면 이를 추종하면서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대한 기계적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하고,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인 구간에서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지능형영상획득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로부터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보부;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위험영역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변조 연속파형(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의 레이더신호를 감지하는 레이더신호감지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레이더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람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신호 전송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에 상기 관제서버로 재접속할 수 있도록 SMS를 발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기상서버로부터 바닷가 주변의 기상정보를 획득하는 기상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영역을 가변시켜 상기 경보신호를 변경하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재난경보관리장치의 재난경보관리방법에 있어서,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객체가 탐지되면 이를 추종하면서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대한 기계적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하고,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인 구간에서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단계;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로부터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보단계;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위험영역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변조 연속파형(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의 레이더신호를 감지하는 레이더신호감지단계;
    마이크를 이용하여 근처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음성신호감지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레이더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람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신호 전송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에 상기 관제서버로 재접속할 수 있도록 SMS를 발송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방법.
  6.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보단말; 및
    바닷가의 표면상의 객체를 탐색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객체가 탐지되면 이를 추종하면서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대한 기계적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하고,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인 구간에서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지능형영상획득부와, 전용망 또는 무선통신망(DMB, LoRa, 4G, 5G)을 통해 상기 경보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로부터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보부와,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위험영역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변조 연속파형(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의 레이더신호를 감지하는 레이더신호감지부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근처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음성신호감지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용망 또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경보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레이더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람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신호 전송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단말에 상기 관제서버로 재접속할 수 있도록 SMS를 발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바닷가 지능형 재난경보관리시스템.
KR1020200119785A 2020-09-17 2020-09-17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KR10246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85A KR102466554B1 (ko) 2020-09-17 2020-09-17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85A KR102466554B1 (ko) 2020-09-17 2020-09-17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66A KR20220037166A (ko) 2022-03-24
KR102466554B1 true KR102466554B1 (ko) 2022-11-14

Family

ID=8093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85A KR102466554B1 (ko) 2020-09-17 2020-09-17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61B1 (ko) * 2022-11-09 2023-06-22 김병준 엣지 ai 기술 기반의 객체 식별 및 사전 경보를 제공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18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67875B1 (ko) * 2017-12-06 2020-01-20 주식회사 아세스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43069B1 (ko) * 2019-01-15 2020-08-10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Uwb 레이더를 적용한 지능형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66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084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s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CN105704437B (zh) 集成的相机感知和无线传感器系统
US7460019B2 (en) Personal locator system
CN108227606B (zh) 一种基于多源感知的船舶安防智能管理系统
KR20190063729A (ko)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US11830337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JP2001527663A (ja) 自己探索型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643253B1 (ko)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KR20110125332A (ko) 해상 조난신호 추적 시스템
KR20200106278A (ko) 해상 조난자 위치 발신 장치 및 수색용 드론 운용 시스템
KR102161917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 지역의 구조를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80323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预警系统
KR102466554B1 (ko)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46617A1 (en) Image based aquatic alert system
KR101870208B1 (ko)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0505216A (ja) 自己探索型遠隔監視システム
US11487000B2 (en) Millimeter wave-based fire detecting and rescu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2149203B1 (ko)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JP2020017155A (ja) 携帯飛行監視端末、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20180041915A (ko) 밀물 사전예고 경보시스템
US107719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patial position of a mobile transmitter, man-over-board detection system
WO2017083904A1 (en) Fire front path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