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40B1 -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40B1
KR101352040B1 KR1020130069091A KR20130069091A KR101352040B1 KR 101352040 B1 KR101352040 B1 KR 101352040B1 KR 1020130069091 A KR1020130069091 A KR 1020130069091A KR 20130069091 A KR20130069091 A KR 20130069091A KR 101352040 B1 KR101352040 B1 KR 10135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inal
information
offender
acce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철
박제기
고광호
Original Assignee
(주)씽크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씽크에이티 filed Critical (주)씽크에이티
Priority to KR102013006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상기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위치정보, 신상정보 및 전과정보를 포함한 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반환받는 제 3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 및 범죄자 사진 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을 개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자 발찌와 같은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을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 행동 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Sex offender approach alarm system, and approach alarm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발찌와 같은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을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 행동 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 발찌 착용자 접근을 알리도록 하기 위한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형법상 성범죄는 타인의 자유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정신적·언어적 폭력 등 일체의 행위로 인하여 성립되는 것으로서, 강간죄·강제추행죄·준강간추행죄·준강제추행죄·강간 등에 의한 치사상죄·미성년자·심신장애자 등에 대한 간음죄·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혼인빙자 등에 의한 간음죄, 미성년자에 대한 간음·추행죄 등이 이에 속한다.
성범죄자가 유죄판결을 받아 형기를 마치고 석방될 때에는 거주지 경찰서에서 그 자의 신체적 특징과 신상정보를 이웃에 알려 경계를 하도록 하고, 또는 성범죄자의 발목에 일정 기간 동안 위치추적이 가능한 전자 발찌를 강체 착용시켜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함으로써 성추행 행위의 재발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전자 발찌의 착용여부는 육안으론 확인할 수 없다. 교내의 여학생, 보행 또는 대중교통 이용 중인 여성은 전자 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로부터 언제 봉변을 당할지 예측할 수 없다. 특히 주변에 도움을 청할만한 사람이 없는 골목길, 으슥한 곳에서의 성추행 위험은 더 크다.
이런 점에서 전자 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로부터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위험을 통보하여 신변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관련기술문헌]
1. 성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34280호)
2. 특정 범죄자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의 인증방법(System for tracking criminal's posi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2954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발찌와 같은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을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 행동 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 발찌 착용자 접근을 알리도록 하기 위한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은,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상기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위치정보, 신상정보 및 전과정보를 포함한 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반환받는 제 3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 및 범죄자 사진 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을 개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10)이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 7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하여 성범죄자 주의 요청을 위한 ARS 멘트 안내 전송을 수행하는 제 8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8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 이후에도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 경도 대상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심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하는 제 9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9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심각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시 신고상태 통보 상태를 설정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상기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하는 제 11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은,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며, 사용자단말(10)이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하고,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상기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하는 거리분석 모듈(42a); 및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반환받은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정보 전송 모듈(42b);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반환받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주의 요청 모듈(42c);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하여 성범죄자 주의 요청을 위한 ARS 멘트 안내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경계 요청 모듈(42d); 및 상기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 이후에도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 경도 대상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심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심각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시 신고상태 통보 상태를 설정한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상기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신고 모듈(42f);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은, 전자 발찌와 같은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을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 행동 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효과로, 전자 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사용자의 행동반경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행하여 취약계층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효과로, 경찰청 내의 범죄자 위치 정보 서버와 연계하여 GPS기능이 포함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성범죄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하여 통보함으로써, 유사시 대비를 철저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효과로, 사용자단말를 통해 성범죄자의 위치와 정보를 알려주고, 위급상황시 경찰청 또는 보호자에게 연락이 취해서 2중의 안정 프로세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중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중 사용자단말(10)에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 통신망(20),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 보호자단말(50),경찰청 서버(60), 그리고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집합체(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집합체(70)는 제 1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70-1) 내지 제 n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7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10)은 성범죄자 접근 통보 요청을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전송한 사용자가 소지 및 운용하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단말(10) 및 보호자단말(50)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2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사용자단말(10),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 보호자단말(50), 경찰청 서버(60), 그리고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집합체(7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는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집합체(70)를 이루는 제 1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70-1) 내지 제 n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7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한 뒤,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은 경찰청에 존재하는 전자 발찌단말일 수 있으며, GPS 기능이 탑재된다.
한편,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중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중 사용자단말(10)에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송수신부(41), 제어부(42) 및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거리분석 모듈(42a), 정보 전송 모듈(42b), 주의 요청 모듈(42c), 경계 요청 모듈(42d),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 및 신고 모듈(42f)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2)를 구성하는 각 모듈을 중심으로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거리분석 모듈(42a)은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수신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여기서 거리분석 모듈(42a)은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할당된 지역별 모든 범죄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리분석 모듈(42a)은 성범죄자 접근 통보에 대해 사전에 요청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거리분석 모듈(42a)은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 중 위치하는 것이 있는지에 대한 거리를 분석한 뒤,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범죄자를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로 추출한다.
정보 전송 모듈(42b)은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거리분석 모듈(42a)에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에 해당하는 정보인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정보 전송 모듈(42b)은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 및 범죄자 사진 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범죄자 개인정보는 위치정보, 신상정보, 전과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참조).
즉 도 3a와 같이, 정보 전송 모듈(42b)은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미리 설정된 1 km이내 존재시 사용자단말(10)로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의 요청 모듈(42c)은 정보 전송 모듈(42b)에 의한 범죄자 정보 메시지 전송 이후,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주의 요청 모듈(42c)은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주의 요청 모듈(42c)은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가 500 m 이내 존재시 주의 단계로 판단하여, 사용자단말(10)로 지도 UI가 도 3b와 같이 구현되도록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계 요청 모듈(42d)은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한 뒤, 성범죄자 주의 요청을 위한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ARS 멘트를 통해 사용자를 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급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 상 임의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경계 요청 모듈(42d)에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 요청 모듈(42d)은 즉각적으로 경찰청 서버(60)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계 요청 모듈(42d)은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가 100 m이내 존재 시 사용자단말(10)로 전화를 요청하여 범죄자 정보에 대한 ARS 멘트 안내를 도 3c의 내용과 같이 제공하는 경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ARS 멘트 안내는 서버 기반 전화인증 DLP 관리 서비스 방식으로 전화인증 DLP 파일 생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은,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 이후에도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 경도 대상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즉,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은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가 10 m이내 존재 시 보호자단말(50)로 전화를 요청하여 범죄자 정보를 ARS 멘트 안내로 도 3d와 같이 통보를 할 수 있다.
신고 모듈(42f)은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에 의해 심각상태 지속으로 판단시 자체적으로 신고상태 통보 상태로 설정한다.
신고 모듈(42f)은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즉, 신고 모듈(42f)은 접근 경고 대상 범죄가 10 m 이내에 위치한 상태 지속시 도 3e와 같은 내용으로 경찰청에 사용자, 보호자, 범죄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한다(S1).
단계(S1) 이후, 사용자단말(10)은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한다(S2).
단계(S2)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단계(S1)의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단계(S2)의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한다(S3).
단계(S3)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단계(S3)의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한다(S4).
단계(S4)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단계(S4)에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한다(S11).
단계(S11) 이후,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단계(S11)에서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단계(S12)에서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 및 범죄자 사진 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13). 여기서 범죄자 개인정보는 위치정보, 신상정보, 전과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3)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21).
단계(S21) 이후,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22).
단계(S22)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단계(S22)에서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23).
단계(S23)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하여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다(S31).
단계(S31)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한다(S41).
단계(S42)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심각상태 지속시 신고상태 통보 상태를 설정한다(S51).
단계(S51) 이후,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한다(S52).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사용자단말
20: 통신망
30: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
40: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
41: 송수신부
42: 제어부
42a: 거리분석 모듈
42b: 정보 전송 모듈
42c: 주의 요청 모듈
42d: 경계 요청 모듈
42e: 심각상태 알림 모듈
42f: 신고 모듈
43: 데이터베이스
50: 보호자단말
60: 경찰청 서버
70: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집합체
70-1 내지 70-n: 제 1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내지 제 n 범죄자 위치추적용 단말

Claims (11)

  1.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상기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통신망(20)을 통해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위치정보, 신상정보 및 전과정보를 포함한 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반환받는 제 3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 및 범죄자 사진 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을 개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10)이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하여 성범죄자 주의 요청을 위한 ARS 멘트 안내 전송을 수행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 이후에도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 경도 대상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심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 이후,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심각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시 신고상태 통보 상태를 설정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가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상기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8.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가 통신망(20)을 통해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며, 사용자단말(10)이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송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모든 범죄자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모든 범죄자와 상기 사용자단말(10) 간의 거리를 분석하고, 거리분석 결과에 따라 모든 범죄자 중 상기 사용자단말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를 추출하는 거리분석 모듈(42a); 및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추출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범죄자 개인정보, 식별정보, 범죄자 사진 정보 포함)를 반환받은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 정보 중 범죄자 개인정보를 포함시킨 범죄자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정보 전송 모듈(42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 범죄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반환받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상기 범죄자 위치정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주의 요청 모듈(42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로 호 연결 요청하여 성범죄자 주의 요청을 위한 ARS 멘트 안내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경계 요청 모듈(42d); 및
    상기 ARS 멘트 안내를 수행한 이후에도 해당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 경도 대상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심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보호자단말(50)로 위험사실을 통보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심각상태 알림 모듈(42e);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성범죄자 접근 통보서버(40)는,
    상기 심각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시 신고상태 통보 상태를 설정한 뒤,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경찰청 서버(60)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정보, 상기 보호자단말(50)의 보호자정보, 그리고 접근 경고 대상 범죄자의 범죄자 식별정보와 위치를 포함한 위험사실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신고 모듈(42f);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자 접근통보 시스템.
KR1020130069091A 2013-06-17 2013-06-17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KR10135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91A KR101352040B1 (ko) 2013-06-17 2013-06-17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91A KR101352040B1 (ko) 2013-06-17 2013-06-17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40B1 true KR101352040B1 (ko) 2014-01-16

Family

ID=5014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091A KR101352040B1 (ko) 2013-06-17 2013-06-17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080B1 (ko) * 2014-02-28 2015-08-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997594B1 (ko) * 2018-11-02 2019-10-01 신호열 위치 기반 범죄 예방 방법
KR20220144484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진동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성범죄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위험 알림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8335A1 (en) 2007-03-05 2008-09-11 Attar Amir J Rfid based proximity sensor and alert system for fugitives, sex offenders, missing soldiers and the like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7049B1 (ko) 2010-12-24 2011-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KR20120029538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8335A1 (en) 2007-03-05 2008-09-11 Attar Amir J Rfid based proximity sensor and alert system for fugitives, sex offenders, missing soldiers and the like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9538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7049B1 (ko) 2010-12-24 2011-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080B1 (ko) * 2014-02-28 2015-08-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997594B1 (ko) * 2018-11-02 2019-10-01 신호열 위치 기반 범죄 예방 방법
KR20220144484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진동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성범죄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위험 알림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6823B1 (ko) * 2021-04-20 2023-09-1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진동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성범죄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위험 알림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365B2 (en) Positio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5101095A (zh) 服务器及基于位置信息的告警方法、系统
CN108141647A (zh) 车辆追击行动警报系统
KR101267809B1 (ko) 전자발찌조회통지방법
US20140118149A1 (en) Location and notification tracking system
KR101352040B1 (ko)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CN104574801A (zh) 报警方法、报警装置和移动终端
KR20130012708A (ko) 안전지대 설정을 통한 보호대상자의 보호 서비스 시스템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101039873B1 (ko) 전자발찌정보알림시스템 및 전자발찌정보알림방법
WO2004073318A3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the availability of a position-determination capability
KR101206443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48263B1 (ko)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US9615237B2 (en) Communication system, distribu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Yelne et al. Human protec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using an android application
CN107665403A (zh) 掌上报警和智慧出警调度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710136A (zh) 一种基于电子脚镣的报警控制系统
KR101324933B1 (ko)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Priyank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LVUS women safety device
KR20150044454A (ko)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방법
KR101505849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2952A (ko)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20120019842A (ko)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구조센터 시스템 및 그 구조 서비스 방법
US20160063851A1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KR101634547B1 (ko) 비콘 기반의 긴급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