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263B1 -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63B1
KR101448263B1 KR1020130037536A KR20130037536A KR101448263B1 KR 101448263 B1 KR101448263 B1 KR 101448263B1 KR 1020130037536 A KR1020130037536 A KR 1020130037536A KR 20130037536 A KR20130037536 A KR 20130037536A KR 101448263 B1 KR101448263 B1 KR 10144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attacher
distan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조
손정락
김민정
이진욱
박한수
오재성
손희목
정준우
김민호
김윤지
최형림
김재중
이재기
김채수
홍순구
이강배
이은규
최성필
문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KR102013003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죄자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는 범죄자 보호관찰시스템과 연계하여 특정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위치하거나 진입하는 취약 계층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서 성범죄 발생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구속장치가 착용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저장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일정반경 내에 부착자의 접근을 알림 서비스하는 범죄자 회피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active offenders using electronic bind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자발찌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한 성범죄자 위치정보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발찌의 정보를 활용하여 성범죄자들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App.)과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성범죄 발생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납치, 유괴, 강도, 강간 등 개인을 상대로 한 강력 범죄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이나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을 상대로 한 강력 범죄가 늘어가고 있다. 청소년이나 아동에 대한 범죄는 아직 가치관이 형성되지 못한 청소년이나 아동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고, 이러한 범죄는 사회적인 파장도 매우 크다. 아울러 이러한 강력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들은 재범의 위함이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강력 범죄자, 특히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 공개를 시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로 법원에서 유죄확정판결과 함께 공개명령이 선고된 자의 신상정보를 인터넷 홈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또한 그 범죄자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성범죄자 위치 조회는 기지국 기반으로 위치 측위를 수행하여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고, 아울러 단순히 성범죄자의 위치정보만을 인터넷 홈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을 뿐, 이러한 성범죄자로부터 취약 계층을 보호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시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정부는 이러한 강력 범죄자, 즉 성범죄자 또는 살인범과 같은 중범죄 전과를 가진자는 출소 후에도 지속적인 보호관찰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관찰대상자는 준수사항으로 주거지역의 제한, 주거이전이나 국내, 외 여행 시 보호관찰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관찰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제도가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의 부착 등에 관한 법률’로서,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위치추적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범죄자(10)에게 전자발찌(11)를 착용시켜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자발찌 부착자(10)의 위치정보가 확인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가 중앙관제센터(위치추적관제센터)(20)로 전송되어 부착자(10)의 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 중에 전자발찌(11)가 훼손되거나 금지구역 진입, 금지시간에 외출하게 되면 보호관찰소(30)의 전담직원(관리감독관)은 해당 부착자(10)를 지도 감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부착자의 위치추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발찌는 단순히 무선송신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재범이 발생되는 경우에 중앙관제센터는 관리서버로부터의 경고에 따라 부착자의 신상을 파악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게 되지만 그 사이에 또 다시 강력 사건이 재발한다 할지라도 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성범죄자 또는 살인범과 같은 특정 범죄의 중범죄자가 학교주변, 놀이터, 아파트 등에 나타난다 할지라도 이를 일반사람들은 알 방법이 없어 비록‘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의 부착들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발찌가 부착자의 발목에 채워진다 할지라도 여전히 어린 자녀들과 여성들(취약 계층)에게는 범죄에 대하여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전자발찌를 이용한 제도 하에서 이러한 중범죄자의 주변 출몰에 대비한 방어적 차원의 안전 시스템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범죄자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는 범죄자 보호관찰시스템과 연계하여 특정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위치하거나 진입하는 취약 계층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서 성범죄 발생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발찌의 정보를 활용하여 일정구역 내에 전자발찌를 찬 범죄자의 접근 유무를 확인하면 경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의 특징은 전자구속장치가 착용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저장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일정반경 내에 부착자의 접근을 알림 서비스하는 범죄자 회피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구속장치는 전자발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인터넷 통신 및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로서,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에서 제공하는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범죄자 회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확인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를 범죄자 회피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는 전자구속장치를 착용시킨 부착자의 위치정보 및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부착자의 주변 접근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와,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접근 거리 산출부와, 상기 접근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의 범죄명과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매칭부와, 상기 서비스 매칭부에서 매칭이 확인되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송신부와, 부착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서비스를 위한 알림정보, 애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는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자구속장치를 착용시킨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부착자 위치추적 수신부와,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추적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의 특징은 (A)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자구속장치로부터 수신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B)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로 제공하여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알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부착자와의 거리를 다수의 반경으로 구분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 및 부착자의 이동경로, 속도를 기반으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의 범죄명을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부착자의 범죄명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이 일치하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산출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를 통해 그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경우에는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림정보는 사용자의 지인이나 유관기관에 도움 문자를 원터치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은 취약 계층에게 측정 범죄자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일정구역 내에 범죄자의 접근 유무를 알려줌으로써 취약 계층이 특정 범죄자에게 노출되는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여 강력 범죄 피해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자를 위치추적을 담당하는 관계기관의 범죄자의 지도 및 감독에서 취약 계층 스스로가 범죄자로부터 자신의 신변을 보호 및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발찌를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2의 범죄자 회피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은 전자구속장치(110)가 착용된 부착자(100)의 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부착자(100)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저장하는 중앙관제센터(200)와, 상기 중앙관제센터(200)의 DB(210)에 저장되어 있는 부착자(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착자(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현재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로 일정반경 내에 부착자(100)의 접근을 알림 서비스하는 범죄자 회피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자구속장치(110)는 전자발찌를 포함하며, 이는 고유인증값을 포함하는 폴링(polling)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200)에서 지속적으로 탐지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는 인터넷 통신 및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로서,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범죄자 회피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는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기(400)의 위치정보가 확인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는 범죄자 회피서버(300)로 전송되어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확인한다.
한편,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310)와, 접근 거리 산출부(320)와, 서비스 매칭부(330)와, 데이터 생성부(340)와, 서비스 송신부(350)와, 저장부(360)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310)는 전자발찌(110)를 착용시킨 부착자(100)의 위치정보 및 이동단말기(400)를 통하여 부착자(100)의 주변 접근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는 방법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법이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310)는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자발찌 부착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중앙관제센터(위치추적관제센터)(200)로부터 전자발찌(110)를 착용시킨 부착자(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부착자 위치추적 수신부(311)와,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400)의 현재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추적 수신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거리 산출부(320)는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부착자(100)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를 산출한다. 이때 위치정보는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매칭부(330)는 접근 거리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부착자(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100)의 범죄명과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로 요청한 범죄명이 성범죄자인 경우에는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서비스 매칭부(330)에서 성범죄자인 부착자(100)로 확인된 경우에만 이동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부착자(100)의 범죄명은 중앙관제센터(200)를 통해 확인되며, 사용자가 요청한 범죄명은 회원 가입시 또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범죄자 회피서버(300)에 접속하여 입력된 내용을 통해 확인된다. 참고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범죄명은 복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340)는 서비스 매칭부(330)에서 매칭이 확인되면, 이동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알림정보로는 버저음, 경고등, 메시지, 진동, 전화알림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알림정보가 메시지나 전화알림과 같이 구체적인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생성부(340)는 부착자(100)의 범죄명, 위치정보, 예상 이동경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송신부(350)는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360)는 부착자(100)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서비스를 위한 알림정보, 애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360)는 중앙관제센터(200)로부터 수신되는 부착자(100)의 범죄명, 부착자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부착자 정보 DB(361)와, 회원가입 시 또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범죄자 회피서버(300)에 접속하여 입력된 정보 및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362)와, 이동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DB(36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중앙관제센터(200)는 전자구속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폴링(polling) 메시지와 자신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전자구속장치(110)가 신체 일부에 체결된 부착자(100)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이렇게 파악된 부착자(100)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범죄자 회피서버(300)로 송신한다(S10). 이때, 송신되는 위치정보는 부착자(100)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400)의 현재 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S20). 이때, 상기 이동단말기(400)는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기(4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는 범죄자 회피서버(300)로 전송되어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범죄자 회피서버(300)는 접근 거리 산출부(320)를 통해 수신된 부착자(100)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를 산출한다(S30). 이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부착자(100)와의 거리를 1km, 500m, 100m 등으로 다수의 반경으로 구분하여 산출하며, 또한 사용자 및 부착자의 이동경로, 속도 등을 기반으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 등을 산출한다.
그리고 접근 거리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부착자(1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S40), 서비스 매칭부(330)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100)의 범죄명을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한다(S50). 즉, 현재 부착자(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 내에 접근된 경우, 해당 부착자의 범죄명이 사용자가 서비스로 요청한 범죄명과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이때, 부착자(100)의 범죄명은 중앙관제센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요청한 범죄명은 회원 가입시 또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범죄자 회피서버(300)에 접속하여 입력된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범죄명은 복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취약 계층이 특정 범죄에 노출되는 가능성을 더욱 강력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산출된 부착자(1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산출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 등을 통해 그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경우에는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종료하다.
상기 확인 결과(S50), 산출된 부착자(100)의 범죄명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이 일치하면, 데이터 생성부(340)를 통해 이동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한다(S60). 이때, 알림정보가 메시지나 전화알림과 같이 구체적인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생성부(340)는 부착자(100)의 범죄명, 위치정보, 예상 이동경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되는 알림정보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와 부착자(100)와의 거리를 1km, 500m, 100m 등 다수의 반경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즉, 거리가 먼 경우에는 단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반해, 거리가 점점 가까워질수록 경고 메시지, 위험 메시지 등으로 생성하고, 10m 이내 반경의 거리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인이나 유관기관에 도움 문자를 원터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생성한다. 실시예로서, 이동단말기(400) 화면에 “지인 및 유관기관에 도움 메시지를 전송할까요? (Y/N)"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도움 메시지를 지인이나 유관기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비스 송신부(35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400)로 제공한다(S70). 상기 이동단말기(400)는 범죄자 회피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서비스 송신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자구속장치가 착용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GPS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저장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부착자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일정반경 내에 부착자의 접근을 알림 서비스하는 범죄자 회피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는
    전자구속장치를 착용시킨 부착자의 위치정보 및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부착자의 주변 접근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와,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접근 거리 산출부와,
    상기 접근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의 범죄명과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매칭부와,
    상기 서비스 매칭부에서 매칭이 확인되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송신부와,
    부착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서비스를 위한 알림정보, 애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알림정보로는 버저음, 경고등, 메시지, 진동, 전화알림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정보가 메시지나 전화알림과 같이 구체적인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알림정보에 부착자의 범죄명, 위치정보, 예상 이동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구속장치는 전자발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인터넷 통신 및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에서 제공하는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범죄자 회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확인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를 범죄자 회피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범죄자 회피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신호 수신부는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자구속장치를 착용시킨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부착자 위치추적 수신부와,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추적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8. 삭제
  9. (A)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전자구속장치가 착용된 부착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B) 범죄자 회피 서비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수신된 부착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 위치 및 예상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생성된 알림정보를 이동단말기로 제공하여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알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과 부착자의 범죄명을 서로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부착자의 범죄명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범죄명이 일치하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알림정보는 부착자의 범죄명, 위치정보, 예상 이동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현재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부착자와의 거리를 다수의 반경으로 구분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 및 부착자의 이동경로, 속도를 기반으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부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임의의 정의된 거리(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산출된 시간별 예상 경로 및 이를 통한 접근 가능 거리를 통해 그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경우에는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사용자의 지인이나 유관기관에 도움 문자를 원터치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방법.
KR1020130037536A 2013-04-05 2013-04-05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44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536A KR101448263B1 (ko) 2013-04-05 2013-04-05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536A KR101448263B1 (ko) 2013-04-05 2013-04-05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263B1 true KR101448263B1 (ko) 2014-10-14

Family

ID=5199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536A KR101448263B1 (ko) 2013-04-05 2013-04-05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84B1 (ko) * 2015-04-10 2015-11-13 주식회사 다누시스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669655B1 (ko) *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101735491B1 (ko) * 2015-09-25 2017-05-24 윤태식 실시간 보안 및 감시, 관찰 연계 시스템
KR20210047044A (ko) 2019-10-21 2021-04-29 김학선 전자발찌 감지용 단말기
KR20220016755A (ko) 2020-08-03 2022-02-10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전자발찌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24B1 (ko) 2006-10-10 2007-10-23 주식회사 케이티 Rfid 센서 또는 센서 노드를 부착한 전자 팔찌의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873B1 (ko) 2011-03-02 2011-06-09 (주)한국전산감리원 전자발찌정보알림시스템 및 전자발찌정보알림방법
KR20120029538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24B1 (ko) 2006-10-10 2007-10-23 주식회사 케이티 Rfid 센서 또는 센서 노드를 부착한 전자 팔찌의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9538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873B1 (ko) 2011-03-02 2011-06-09 (주)한국전산감리원 전자발찌정보알림시스템 및 전자발찌정보알림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84B1 (ko) * 2015-04-10 2015-11-13 주식회사 다누시스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16163613A1 (ko) * 2015-04-10 2016-10-13 주식회사 다누시스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669655B1 (ko) *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101735491B1 (ko) * 2015-09-25 2017-05-24 윤태식 실시간 보안 및 감시, 관찰 연계 시스템
KR20210047044A (ko) 2019-10-21 2021-04-29 김학선 전자발찌 감지용 단말기
KR20220016755A (ko) 2020-08-03 2022-02-10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전자발찌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294B2 (en)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KR101448263B1 (ko)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US8862092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US8525681B2 (en) Location based proximity alert
US20120268269A1 (en) Threat score generation
US10223897B2 (en) Data driven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 and system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KR101486402B1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CN105096522B (zh) 用于广播恐慌警报通知的方法和系统
KR101500660B1 (ko) 범죄인 보호 관찰 시스템과 연계된 위험 지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6437A (ko)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32900A1 (en) Monitoring zone escape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70087223A (ko) 비콘 일체형 스마트cctv를 이용한 영상감시 및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Yelne et al. Human protec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using an android application
KR101031732B1 (ko) 위기 관리 시스템
KR20170052053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발찌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정보 시스템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498931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US8610568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Girinath et al. IoT based threat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for women safety
KR20140068304A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101505849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009928B1 (ko) 모바일 통신망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및위치추적 시스템
Kommineni et al. A Review on IoT-based Defensive Devices for Women Security
GB2398687A (en) People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