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55B1 -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55B1
KR101669655B1 KR1020150070404A KR20150070404A KR101669655B1 KR 101669655 B1 KR101669655 B1 KR 101669655B1 KR 1020150070404 A KR1020150070404 A KR 1020150070404A KR 20150070404 A KR20150070404 A KR 20150070404A KR 101669655 B1 KR101669655 B1 KR 10166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user terminal
footbalance
poi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4Display details on parent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GP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발찌의 거리를 소정 시간간격마다 측정하여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속도를 상태값으로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혹은 사용자 단말기와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경로를 통해 접근해오고 있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혹시 모를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METHOD FOR ALARMING ACCESS OF CRIMINALS WEARING ELECTRONIC TAGGING}
본 발명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앙 관제 센터와 별개로 자체적으로 전자발찌로부터 방출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주변에 있는 전자발찌 착용자의 접근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흉악한 성폭행 등의 성범죄가 날로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강력범죄의 강력한 재범방지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는 성범죄자들에게 전자팔찌 또는 전자발찌 등(이하, 전자발찌라고 함)의 위치 추적 장치를 일정 기간 착용하게 하여 이들의 활동 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재범이 발생했을 경우 범죄자를 용이하게 검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자발찌는 부착 장치와 재택감독장치 및 GPS가 내장된 위치추적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발찌 착용자는 항상 위치추적장치를 휴대해야 하며, 발목의 부착 장치에서 발신되는 전자파를 위치추적장치가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재택감독장치로 전송한다. 중앙관제센터는 재택감독장치를 통해 전자발찌 착용자의 신원 및 현재 위치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전자발찌 착용자가 위치추적장치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거나 전자발찌를 절단하면 경보음이 발생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센터에 보고된다. 이 경우 보호 관찰소는 감시 대상 성범죄자의 신변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전자발찌를 이용하여 성범죄자의 위치만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발찌 착용자의 재범죄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전자발찌 착용자의 재범죄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위치추적은 단지 국가에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로 인해 일반인들이 성범죄자에게 노출되어 이에 대한 미리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08934 B1 KR 10-1279241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혹은 사용자 단말기와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경로를 통해 접근해오고 있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은, 착용자의 GP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발찌의 거리를 소정 시간간격마다 측정하여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속도를 상태값으로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혹은 사용자 단말기와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경로를 통해 접근해오고 있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혹시 모를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이용하여 안전 반경 내에서 전자발찌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이용하여 폐영역 내에서 전자발찌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이용하여 안전 반경 내에서 전자발찌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을 이용하여 폐영역 내에서 전자발찌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자의 GP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의 GPS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안전 반경 내에 전자발찌(200)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안전 반경(r) 내에 전자발찌(200)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만일 상기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200)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전자발찌(100)의 거리를 소정 시간간격마다 측정하여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 속도를 산출한다(S20).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전자발찌(200)가 'A->B->C->D->E'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경우, 전자발찌(200)의 위치 'A'일 땐 사용자 단말기(100)의 안전 반경 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리 측정을 하지 않으나, 전자발찌(200)의 위치가 'B','C','D' 및 'E'일 땐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전자발찌(200)의 각 이동 경로별로 접근 속도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발찌(200)가 'A->B'의 경로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발찌(200)가 'A'위치일 때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를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발찌(200)의 접근 속도를 산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전자발찌(200)가 'B->C'의 경로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발찌(200)가 'B'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r과, 전자발찌(200)가 'C'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l1의 차를 시간간격 t로 나누어 'B->C'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1을 구한다. 이 경우 'B'위치일 때의 거리 r이 'C'위치일 때의 거리 l1보다 크므로 접근 속도 V1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발찌(200)가 'C->D'의 경로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발찌(200)가 'C'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l1과, 전자발찌(200)가 'D'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l2의 차를 시간간격 t로 나누어 'C->D'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2를 구한다. 이 경우 'C'위치일 때의 거리 l1이 'D'위치일 때의 거리 l2보다 작으므로 접근 속도 V2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발찌(200)가 'D->E'의 경로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발찌(200)가 'D'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l2와, 전자발찌(200)가 'E'위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 l3의 차를 시간간격 t로 나누어 'D->E'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3를 구한다. 이 경우 'D'위치일 때의 거리 l2가 'E'위치일 때의 거리 l3보다 크므로, 접근 속도 V3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접근속도가 "+"인 경우는 전자발찌(200)와의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접근속도가 "-"인 경우는 전자발찌(200)와의 거리가 멀어진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다음으로, S20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속도를 상태값으로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다(S30).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 속도가 제1상태값일 때는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 속도가 제2상태값일 때는 상기 제1색과 상이한 제2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B->C'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1는 "+", 'C->D'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2는 "-", 'D->E'로 이동 시의 접근 속도 V3는 "+"이면, 접근속도가 "+"인 경우, 즉, 제1상태값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접근속도가 "-"인 경우, 즉, 제2상태값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발찌가 사용자 단말기를 향해 가까이 다가오고 있는지 혹은 멀어지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은, 상기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200)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전자발찌(200)의 진행방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로의 접근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속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단계(S40~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시점에는 상기 안전 반경 내에서 상기 전자발찌(200)가 감지되었으나 상기 제1시점 이후인 제2시점에는 상기 안전 반경 내에서 상기 전자발찌(200)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S4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110,120)와 상기 전자발찌(200)의 상기 제1시점일 때의 위치(210)에 기초하여 폐영역(300)을 생성하고 상기 폐영역(300) 내에 상기 전자발찌(200)의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220)가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구체적으로, 상기 폐영역(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점(110) 및 제2점(120)과 상기 전자발찌(200)의 상기 제1시점일 때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3점(210)을 꼭짓점으로 하여 형성한 삼각형을 상기 제2점과 상기 제3점을 연결한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시점일 때는 전자발찌(20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안전 반경 내에 위치하였으나, 제2시점일 때는 전자발찌(20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안전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전술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폐영역(300) 내에 상기 전자발찌(200)의 제2시점일 때의 위치(220)가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폐영역(300) 내에 상기 전자발찌(200)의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가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상기 제1색 및 상기 제2색과 상이한 제3색으로 표시한다(S60).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발찌(200)의 제2시점일 때의 위치(220)가 상기 폐영역(300) 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상기 전자발찌(200)의 접근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3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안전 반경 내에 위치하진 않으나 사용자 단말기와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경로를 통해 접근해오고 있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줌으로써, 혹시 모를 범죄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제1점
120: 제2점 200: 전자발찌
210: 제3점 300: 폐영역

Claims (5)

  1. 착용자의 GP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전 반경 내에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발찌의 거리를 소정 시간간격마다 측정하여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속도를 상태값으로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1시점에는 상기 안전 반경 내에서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었으나 상기 제1시점 이후인 제2시점에는 상기 안전 반경 내에서 상기 전자발찌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와 상기 전자발찌의 상기 제1시점일 때의 위치에 기초하여 폐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폐영역 내에 상기 전자발찌의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가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 속도가 제1상태값일 때는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발찌의 접근 속도가 제2상태값일 때는 제2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점 및 제2점과 상기 전자발찌의 상기 제1시점일 때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3점을 꼭짓점으로 하여 형성한 삼각형을 상기 제2점과 상기 제3점을 연결한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영역 내에 상기 전자발찌의 상기 제2시점일 때의 위치가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색 및 상기 제2색과 상이한 제3색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1020150070404A 2015-05-20 2015-05-20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10166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04A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5-05-20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04A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5-05-20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655B1 true KR101669655B1 (ko) 2016-10-26

Family

ID=5725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404A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5-05-20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65B1 (ko) * 2019-09-06 2020-05-15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전자 감독 장치 및 시스템
KR102139651B1 (ko) 2020-03-31 2020-07-30 김대환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8982B1 (ko) 2021-07-12 2022-06-15 박승권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US11651674B2 (en) 2018-09-21 2023-05-16 Life Science Technology, Inc.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737B1 (ko) * 2003-07-28 2006-03-06 기륭전자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항법데이터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1279241B1 (ko) 2011-09-22 2013-06-26 장은주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1448263B1 (ko) * 2013-04-05 2014-10-14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934B1 (ko) 2013-08-29 2015-04-08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737B1 (ko) * 2003-07-28 2006-03-06 기륭전자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항법데이터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1279241B1 (ko) 2011-09-22 2013-06-26 장은주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1448263B1 (ko) * 2013-04-05 2014-10-14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전자구속장치 정보를 활용한 능동적 범죄자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934B1 (ko) 2013-08-29 2015-04-08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1674B2 (en) 2018-09-21 2023-05-16 Life Science Technology, Inc.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9965B1 (ko) * 2019-09-06 2020-05-15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전자 감독 장치 및 시스템
WO2021045550A1 (ko) * 2019-09-06 2021-03-11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전자 감독 장치 및 시스템
KR102139651B1 (ko) 2020-03-31 2020-07-30 김대환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8982B1 (ko) 2021-07-12 2022-06-15 박승권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655B1 (ko)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US10896667B2 (en) Distributed network of communicatively coupled noise monitoring and mapping devices
US846201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hange of status of traffic light at a crosswalk
CN105761426A (zh) 安全报警方法及装置
US9747770B1 (en) Child tracking device
US9942520B2 (en) Interactive and targeted monitoring service
US9007203B2 (en) Informing system for electronic anklet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thereof
CN107592606B (zh) 一种预警方法及系统
GB2507155A (en) Proximity tag and method for object tracking
CN110718041B (zh) 一种防止儿童走失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EP3449745B1 (en) Safety headwear status detection system
CN109729497A (zh) 一种基于uwb定位的监狱管理系统的位置异常报警方法和装置
CN106530605A (zh) 基于穿戴设备的安全报警方法及装置
KR101315863B1 (ko) 전자 발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범죄 예방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CN106683335A (zh) 一种告警方法及设备
CN110602646A (zh) 社区人员活动路径追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20140008495A (ko) 착용형 위험 감지 장치 및 위험 고지 장치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101508934B1 (ko)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KR20150074565A (ko) 웨어러블 호신 센서장치
KR101505849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282790B1 (ko) 성범죄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9183A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CN110219472A (zh) 一种建筑工人安全防护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