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241B1 -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241B1
KR101279241B1 KR1020110095885A KR20110095885A KR101279241B1 KR 101279241 B1 KR101279241 B1 KR 101279241B1 KR 1020110095885 A KR1020110095885 A KR 1020110095885A KR 20110095885 A KR20110095885 A KR 20110095885A KR 101279241 B1 KR101279241 B1 KR 10127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electronic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153A (ko
Inventor
장은주
Original Assignee
장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주 filed Critical 장은주
Priority to KR102011009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2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행동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하여 자신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전자발찌의 발신신호 감지 및 인식수단을 내장하여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진동모터, 스피커를 통해 경보를 발하며, 또는 이와 함께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에 경보문구로 표시되거나 LED가 점멸되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신변 안전을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감지되는 즉시 ON되어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부로 전달해 경보케 하는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수단은 사용자의 안전행동반경 내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존재하는 사실이 처음 확인된 후로 정해진 시간 동안 동안 반복적으로 경고를 발하고, 경고유효시간 경과 후에는 경고대기상태로 전환되며, 계속해서 전자발찌의 발신신호가 포착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의 경보가 반복되고 전자발찌의 발신신호가 소멸되면 경보가 해제되는 타임 딜레이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CELLUAR PHONE WITH ELECTRIC FOOT RING FROM EMERGENCY SIGNAL TO CA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정해진 반경 이내에 있거나 접근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미지의 성추행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형법상 성범죄는 타인의 자유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정신적·언어적 폭력 등 일체의 행위로 인하여 성립되는 것으로서, 강간죄·강제추행죄·준강간추행죄·준강제추행죄·강간 등에 의한 치사상죄·미성년자·심신장애자 등에 대한 간음죄·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혼인빙자 등에 의한 간음죄, 미성년자에 대한 간음·추행죄 등이 이에 속한다.
성범죄자가 유죄판결을 받아 형기를 마치고 석방될 때 에는 거주지 경찰서에서 그 자의 신체적 특징과 신상정보를 이웃에 알려 경계를 하도록 하고, 또는 성범죄자의 발목에 일정 기간 동안 위치추적이 가능한 전자발찌를 강체 착용시켜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함으로써 성추행 행위의 재발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위치정보알림 및 구조요청이 가능한 장치를 내장하여 위험에 대비토록 한 것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8-369784호의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과 공개특허공보 제2009-123862호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긴급 통신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이 그렇다.
전자는 위기 상황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한 긴급구조요청용 비상발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비상발신버튼이 부착된 리모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리모컨의 비상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서 구조신호가 발신되거나 리모컨 단독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지 않고도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성추행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를 요청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후자는 이동 단말을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 단말을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 이동 단말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수신측에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측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와 이동 단말의 전체구동을 제어하기 의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호출 연결을 요청하며, 기지국에 직접 또는 주변 중계국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레인징 및 대역 할당을 요청하고, 레인징 및 대역 할당 요청 경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긴급 구조를 위한 서비스 플로우의 설정을 요청하며, 이를 위해 상향링크 맵 또는 상향링크 맵의 상향링크 정보요소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향링크 대역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일정한 행동반경 범위 내에 성범죄 전력자가 있거나 접근할 경우 그 사실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음성, LED 또는 진동으로 경보하는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인근에 있는 성범죄 전력자로부터 신변의 안전을 도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전자발찌의 착용여부는 육안으론 확인할 수 없다. 교내의 여학생, 보행 또는 대중교통 이용 중인 여성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로부터 언제 봉변을 당할지 예측할 수 없다. 특히 주변에 도움을 청할만한 사람이 없는 골목길, 으슥한 곳에서의 성추행 위험은 더 크다.
이런 점에서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로부터 여성의 신변 안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자가 경고수단은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 전력자가 사용자의 안전행동반경 범위 내에 들어올 경우 경보를 발하여 자신의 신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발찌의 발신신호 감지 및 인식수단을 내장하여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진동모터와 스피커를 통해 진동경보와 음성경보를 발하며, 또는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에 경보분구로 표시되거나 LED가 점멸되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신변 안전을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는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감지되는 즉시 ON되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부로 전달해 경고하게 하는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수단은 행동반경 내에 성범죄 전력자가 존재하는 사실이 처음 확인되면 정해진 수 초 동안 반복적으로 경보를 발하고, 경보 종료 직후에는 경보대기상태로 전환되며, 계속해서 전자발찌의 발신신호가 포착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의 경보가 반복되고 전자발찌의 발신신호가 소멸되면 경고를 해제시키는 타임 딜레이도 포함한다.
음성경보는 예를들면 "당신으로부터 반경 30m 내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와 같이 들리게 알리고, 디스플레이에는 음성경보와 동일한 경고문구 또는 전자발찌 착용자의 접근 사실을 알릴만한 특정의 경고문구로 표시되며, 경고유효시간이 경과하면 타임 딜레이에 의해 저절로 꺼진다.
자기 방어(피신)가 가능한 안전한 행동반경 내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들어오는 즉시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감지되어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이 발동하므로 사용자는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안전하다. 본 발명은 주변에 도와줄 사람이 없는 외진 곳에서의 신변 안전에 특히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 1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통신단말기(a)는 수신기(1)와 필터(2), 스위치(3), 증폭기(4),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 및 타임 딜레이(6)로 이뤄지는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b)이 부가된 것이다.
공중파 중에는 저감도 주파수대의 전파가 여럿 존재한다. 성범죄 전력자가 착용하는 전자발찌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저감도 주파수대 중의 하나다. 많은 저감도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는 대로 반응한다면 본 발명은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상기 수신기(1)는 전자발찌에서 발신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2)는 상기 수신기(1)에 수신되는 전파 중에서 전자발찌의 발신신호만 을 감지하여 증폭기(4)로 보내는 것으로, 밴드 필터가 대표적이다.
스위치(3)는 필터(2)에서 걸러져 오는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전해지는 즉시 켜져서 증폭기(4)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증폭기(4)는 필터(2)에서 걸러져 오는 전자발찌의 저감도 발신신호를 증폭시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로 보내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는 증폭기(4)에서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이동통신단말기(a)의 처리부(11)로 보내는 것이다.
타임 딜레이(6)는 이동통신단말기(a)의 제어부(12)에 의해 통제되어 전자발찌 발신신호의 수신회차별로 디스플레이(14)와 진동모터(16), 스피커(17)를 작동시켜 전자발찌 착용자의 접근경보가 발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3)에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a)에는 처리부(11)와 제어부(12), ROM(13), 디스플레이(14), 확인버튼(15), 진동모터(16), 스피커(17), GPS데이터 수신장치(18), 메모리(19), 위치정보전송수단(20)이 내장되어 있다.
처리부(11)에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5)부터 수신한 변환신호를 제어부(12)에 통보하여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b)의 작동에 필요한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제어부(12)에는 기존의 GPS 데이터 수신장치(18) 외에 처리부(11)에서 제공받은 전자발찌 발신신호의 디지털신호를 ROM(13)에 미리 입력된 유관 프로그램에 의하여 스피커(17)를 통해 특정의 음성경보가 발하게 하고, 디스플레이(14)에는 상기 음성경고에 부응하는 경고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부가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진동모터(16)는 상기 제어부(12)에 직결하여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감지되는대로 발진하게 함으로써 주위의 소음 때문에 스피커(17)를 통한 음성경보의 효과가 상쇄되더라도 전자발찌 착용자의 접근 사실을 알리는 데 차질이 없도록 한다.
스피커(17)는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a)와 같이 ROM(13)에 연결되어 통제된다.
메모리(19)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12)를 거쳐 온 전자발찌 발신신호에 따라 특정의 음성경보, 경고문구, 진동경보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메모리(19)에 입력된 음성경보, 경고문구, 진동경보 정보는 ROM(13)을 거쳐 스피커(17), 디스플레이(14), 진동모터(16)에 전달되어 이동통신단말기(a) 사용자의 지근거리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확인버튼(15)에는 음성경보, 진동경보, 경고문구를 인식한 사용자가 그런 사실을 확인한 후에 눌러서 모든 기능이 대기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b)이 내장된 이동통신달말기(a)를 휴대한 사용자의 안전행동반경 범위 내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들어온 순간 전자발찌 발신신호가 수신기(1)에 수신되는 즉시 필터(2)에 의해 확인되고 스위치(3)가 ON되어 증폭기(4)에 의해 증폭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처리부(11)로 전달된다.
처리부(11)를 거친 신호가 제어부(12)에 전달되면 진동모터(16)가 발동하여 진동경보함으로써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 전자발찌 착용자가 지근거리에 있음을 분명히 알리고, 음성경보, 경보문구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9)는 ROM(13)을 통해 스피커(17)는 음성경고를 발하고 디스플레이(14)에는 상기 음성경고에 부응하는 경보문구가 표시된다.
진동경보와 음성경보는 타임 딜레이(6)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를테면 수 초 이내에서 주기적으로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이뤄진다. 진동 또는 음성경고가 발하는 동안 경고문구는 디스플레이(14) 상에서 점멸되도록 하는 것, 또는 제어부(12)에 LED(20)를 부가하여 진동 또는 음성경고가 발하는 동안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할 수 있다.
진동경보, 음성경보, 경고문구를 통하여 자신의 안전한 행동반경 내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있는 사실을 인지한 후 확인버튼(15)을 누르면 이동통신단말기(a)와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b)은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이 후속 경고를 발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a: 이동통신단말기
b: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
1: 수신기
2: 필터
4: 증폭기
5: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6: 타임 딜레이
12: 제어부
13: ROM
16: 진동모터
17: 스피커

Claims (4)

  1. 수신기로 수신되는 전자발찌 발신신호를 선별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자동으로 ON되는 스위치와, ON된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해지는 전자발찌 발신신호를 증폭시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전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자발찌 발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부로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이뤄진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에 통제되어 전자발찌 착용자의 접근 경고를 정해진 시간 동안 반복하고 경고유효시간이 경과하는 즉시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를 중지시키는 타임 딜레이가 포함된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수신한 변환신호를 제어부에 통보하여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제공받은 전자발찌 발신신호의 디지털신호에 따라 진동모터가 진동으로 경고하게 통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에 입력된 정보대로 스피커를 통해 특정의 음성경고를 발하게 하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진동 경고 또는 음성경고에 부응하는 경고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ROM을 가진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진동경고, 음성경고, 문자경고를 통해 사용자가 지근거리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있음을 확인한 후에 누르면 후속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고수단과 함께 경고대기상태로 복귀시키는 확인버튼이 구비된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20110095885A 2011-09-22 2011-09-22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127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85A KR101279241B1 (ko) 2011-09-22 2011-09-22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85A KR101279241B1 (ko) 2011-09-22 2011-09-22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53A KR20130032153A (ko) 2013-04-01
KR101279241B1 true KR101279241B1 (ko) 2013-06-26

Family

ID=4843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885A KR101279241B1 (ko) 2011-09-22 2011-09-22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CN106056841A (zh) * 2016-06-28 2016-10-26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安全预警方法、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48B1 (ko) * 2019-10-21 2021-09-27 김학선 전자발찌 감지용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873B1 (ko) 2011-03-02 2011-06-09 (주)한국전산감리원 전자발찌정보알림시스템 및 전자발찌정보알림방법
KR20120027749A (ko) * 2010-09-13 2012-03-22 (주)필테라 전자발찌를 이용한 범죄자 접근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7749A (ko) * 2010-09-13 2012-03-22 (주)필테라 전자발찌를 이용한 범죄자 접근 경보 시스템
KR101039873B1 (ko) 2011-03-02 2011-06-09 (주)한국전산감리원 전자발찌정보알림시스템 및 전자발찌정보알림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KR1020120027749 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CN106056841A (zh) * 2016-06-28 2016-10-26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安全预警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53A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82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track of children
KR100548850B1 (ko) 개인 구호 시스템
US8116724B2 (en) System containing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device
JP5776126B2 (ja) 手荷物警報システム
KR101279241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접근 경보수단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US20200074838A1 (en) Wearable multi-functional personal security device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9741A (ko) 낙상 자동 감지 경보 시스템
US20110045795A1 (en) Portable radio with automatic motion sensing and emergency alert facility
JP2006172431A (ja) 異常発報装置
JP2008090602A (ja) 登下校時の防犯システム
JP2010087688A (ja) 携帯端末
KR20140008495A (ko) 착용형 위험 감지 장치 및 위험 고지 장치
US10881326B1 (en) Wearable safety device
JP2010086156A (ja) 携帯端末
KR101489839B1 (ko) 전자구속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과 방법
US20150302716A1 (en) Proximity alert system and application
US11189151B2 (en) Monitoring system for a water environment
JP6525250B2 (ja) ホイッスル
WO2018124941A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для людей, оказавшихся в опасной для жизни ситуации
CN104680686A (zh) 便携式呼叫报警器
RU106843U1 (ru) Сигн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JP2005275776A (ja) 要救助通報装置
KR20100137784A (ko) 긴급구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