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82B1 -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82B1
KR102408982B1 KR1020210091063A KR20210091063A KR102408982B1 KR 102408982 B1 KR102408982 B1 KR 102408982B1 KR 1020210091063 A KR1020210091063 A KR 1020210091063A KR 20210091063 A KR20210091063 A KR 20210091063A KR 102408982 B1 KR102408982 B1 KR 10240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larm
electronic anklet
electronic
ank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권
Original Assignee
박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권 filed Critical 박승권
Priority to KR102021009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정부가 운영하는 중앙관제 센터의 소극적 감시체계를 보완하여 성범죄자로부터 취약한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전자발찌 신호를 감지하면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단말기에서 경보를 발생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성범죄자의 보호 구역 관계자 및 인근 유관 기관으로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적극적, 능동적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를 발신하며,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전자발찌 및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고,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 지속시간을 기초로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며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포함하여,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Protected area warning system to prevent recurrence of sexual crimes}
본 발명은 성범죄 전과자(이하, "성범죄자"라 약칭함)가 성범죄자 접근 금지 구역 및 성범죄에 취약한 집단의 주 활동 구역(이하 "보호 구역"이라 약칭함) 내 불순한 목적으로 접근시를 대비한 능동적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부가 운영하는 중앙관제 센터의 소극적 감시체계를 보완하여 성범죄자로부터 취약한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전자발찌 신호를 감지하면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단말기에서 경보를 발생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성범죄자의 보호 구역 관계자 및 인근 유관 기관으로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적극적, 능동적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두순 출소로 인해 유아/아동을 가진 국민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고, 경찰청 집계에 따르면 13세 이하 아동 성범죄가 꾸준히 증가하며, 성범죄 재범률 또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에서는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는 성범죄자들에게 전자발찌 등의 위치 추적장치를 일정 기간 착용하게 하여 이들의 활동 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범의 발생을 억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전자발찌는 부착장치와 재택감독 장치 및 GPS가 내장된 위치추적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발찌를 이용한 성범죄 재발 방지 대책은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만 추적할 수 있고,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정보와 위치는 중앙관제센터에서만 확인 가능한 정보로써 실제 일반인 및 잠정적 범죄 피해 대상자들에게는 여전히 범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성범죄자를 관리하는 방식에 추가하여 현장 중심의 능동적이고 다양한 감시, 보호 체계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의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혹은 사용자 단말기와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경로를 통해 접근해 오고 있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혹시 모를 범죄 발생을 미리 방지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아두이노와 연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에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전자발찌 일측에 구비된 서보 모터가 작동하여 보행 중인 지면에 위치 추적용 액체가 분사되도록 하여, 전자발찌의 위치 추적에 위치 추적에 용이함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UWB 레이더를 이용하여 지능형 전자발찌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검출된 맥박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능형 전자 발찌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발찌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전자발찌를 추적하는 방법, 전자발찌 검출 시 이를 타인에게 알려 성범죄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들로서,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스스로 보호 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하여 성범죄 재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9655(2016.10.20. 등록)(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7919(2018.01.06. 등록)(RFID 태그 인식 기능이 구비된 위치 추적용 전자발찌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1269(2017.11.20. 등록)(UWB 레이더를 이용한 지능형 전자 발찌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발찌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에게 스스로 보호 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해줄 수 없는 단점과 중앙관제 센터의 소극적 감시체계로부터 발생하는 성범죄 재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성범죄자로부터 취약한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전자발찌 신호를 감지하면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단말기에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성범죄자의 보호 구역 관계자 및 인근 유관 기관으로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적극적, 능동적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전자발찌에 RFID 통신기술을 추가하여 성범죄자와 보호 구역 간 서로 감지가 가능하게 하여, 성범죄자로부터의 범행을 능동적으로 사전에 예방하고, 범행 발생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은,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를 발신하며,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전자발찌; 및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고, 상기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 지속시간을 기초로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며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자발찌는,
성범죄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된 RFID 태그;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의 개인정보를 전자발찌 신호로 발신하는 RFID 태그 안테나; 및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위치추적용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호구역 경보장치는,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전파 송출 및 경보부;
전자발찌로부터 전송된 전자발찌 신호를 상기 전파 송출 및 경보부를 통해 수신하는 RFID 리더;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파 송출 및 경보부는,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전자발찌로부터 송출된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는 RFID 리더 안테나;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성범죄자의 접근에 대한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경광등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기는,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 측정부;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시간 측정부에 의해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황별 경보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전파 송출 및 경보부에 경보음 발현신호를 전송하며, 유관기관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지속시간을 경과하면, 전자발찌 착용자가 소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을 경과하면,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경보 프로세스는,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을 경과하면,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면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 아니면 보호구역 경보장치의 경보발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범죄자로부터 취약한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전자발찌 신호를 감지하면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에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성범죄자의 보호 구역 관계자 및 인근 유관 기관으로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적극적, 능동적 조치가 가능하여, 성범죄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발찌에 RFID 통신기술을 추가하여 성범죄자와 보호구역 간 서로 감지가 가능하게 하여, 성범죄자로부터의 범행을 능동적으로 사전에 예방하고, 범행 발생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호구역 경보를 위해 적용된 RFID의 동작 원리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제1 경보 프로세스 실시 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제2 경보 프로세스 실시 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신호 체계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전자발찌(100), 보호구역 경보장치(200) 및 유관기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발찌(100)는 성범죄자가 착용하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를 발신하며,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발찌(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범죄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된 RFID 태그(111),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111)의 개인정보를 전자발찌 신호로 발신하는 RFID 태그 안테나(112) 및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는 성범죄자의 위치 추적을 위해 성범죄자가 휴대하는 무선 단말기이다.
보호구역 경보장치(200)는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고, 상기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 지속시간을 기초로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여 구역 보호 및 보호 대상자를 보호하며,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구역 경보장치(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전파 송출 및 경보부(210), 전자발찌로부터 전송된 전자발찌 신호를 상기 전파 송출 및 경보부(210)를 통해 수신하는 RFID 리더(220), 상기 RFID 리더(220)를 통해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고 유관기관(300)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파 송출 및 경보부(210)는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전자발찌(100)로부터 송출된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는 RFID 리더 안테나(211), 상기 제어기(230)의 제어에 따라 성범죄자의 접근에 대한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경광등 및 스피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2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RFID 리더(220)를 통해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232), 상기 신호 판독부(232)에서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 측정부(231), 상기 신호 판독부(232)에서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시간 측정부(231)에 의해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황별 경보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233), 상기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데이터베이스(DB)(236)에 등록하는 등록부(235) 및 상기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전파 송출 및 경보부에 경보음 발현신호를 전송하며, 유관기관(300)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부(235)는 보호구역 경보장치(200)의 동작 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6)에 기록 및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36)는 중앙관제센터와 연동하여,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 성범죄자의 최신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항상 최신 성범죄자의 정보를 유지 및 저장한다. 여기서 성범죄자의 신상정보는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해킹 등에 의해 정보 누출시에도 성범죄자의 개인정보의 보안성을 향상한다.
상기 통신부(234)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을 이용하여 경고신호의 전파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33)는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지속시간(예를 들어, 5분)을 경과하면, 전자발찌 착용자가 소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에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예를 들어, 10분)을 경과하면,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호구역 경보를 구현한다.
상기 제2 경보 프로세스는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을 경과하면,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면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 아니면 보호구역 경보장치의 경보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유관기관(300)은 성범죄자의 신상 정보 및 위치 파악 권한을 보유한 중앙관제센터, 해당 보호 구역에 상황 발생시 즉각 출동하여 구역 보호 및 해당 성범죄자의 신병을 확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할 파출소, 성범죄자가 거주하는 구역 내 행정적 업무를 주관하는 관할 지자체, 긴급 의료 지원 등이 가능한 119구급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성범죄자가 성범죄자 접근 금지 구역 및 성범죄에 취약한 집단의 주 활동 구역(예를 들어, 보호 구역)에 접근 시, 성범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전달하여 실수로 접근하거나 고의로 접근한 경우 스스로 보호 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하여 1차적으로 성범죄 재발을 방지한다. 아울러 1차적인 경고에도 성범죄자가 해당 보호 구역에 머물거나 접근할 경우, 보호 구역에서 자체적으로 경고를 하고 보호 구역 관계자에게 이를 알려 능동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유관기관에 이를 알려 적극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2차적으로 성범죄 발생을 사전에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자 인력을 성범죄 방지를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여 성범죄자 감시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 구역은 영아, 유아 생활공간, 여성 전용 공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발찌(100)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이동을 하는 도중에 성범죄 보호구역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전자발찌(100)에 구비된 RFID 태그 안테나(112)에서 보호 구역에 설치된 보호구역 경보장치(200)의 RFID 리더 안테나(211)로부터 송출된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RFID 태그 안테나(112)는 이를 구동 전력(에너지)으로 사용하고, 성범죄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된 RFID 태그(111)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자발찌 신호로 발신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성범죄자의 개인정보인 전자발찌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IC칩)가 내장된다.
도 3은 전자발찌(100)와 보호구역 경보장치(200) 간에 RFID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FID 작동 원리의 개략 구성도이다.
보호구역 경보장치(200) 내의 RFID 리더 안테나(211)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지속적으로 전자발찌 검출용 신호를 전파의 형태로 생성하여 공진 주파수에 맞는 전자기파를 에너지(ENERGY)로 송출한다.
전자발찌(100)의 RFID 태그 안테나(112)는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의 도달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인 전자기파를 에너지로 수신하여 제어장치에 전달한다. 제어장치는 에너지를 공급받으면 상기 RFID 태그(111)에 저장된 개인정보(성범죄자 식별정보)를 전자발찌 신호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보호구역 경보장치(200) 내의 RFID 리더 안테나(211)는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고, RFID 리더(220)는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기(230)에 전달한다. 이로써, 제어기(230)는 전자발찌의 접근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30)의 신호 판독부(232)는 상기 RFID 리더(22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전자발찌 신호를 판독하고, 판독한 성범죄자 데이터를 제어부(233)에 전달한다. 여기서, 신호 판독부(232)는 감지한 전자발찌 신호에 포함된 성범죄자의 신상정보와 데이터베이스(236)에 등록된 성범죄자의 신상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전자발찌 데이터를 제어부(233)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33)는 전자발찌 신호가 감지되면 시간 측정부(231)를 통해 해당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한다. 여기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는 이유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불순한 의도 없이 보호 구역을 그냥 스쳐 지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고 유관기관(300)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기(230)의 제어부(233)는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지속시간(예를 들어, 5분)을 경과하면, 전자발찌 착용자가 소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에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예를 들어, 10분)을 경과하면,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33)는 신호 판독부(232)를 통해 성범죄자가 감지 즉, 전자발찌 신호가 감지되면(S110), 시간 측정부(231)를 통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한다. 다시 말해, 성범죄가 해당 보호 구역에 머무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어,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지속시간(5분) 이내에 사라지면, 즉,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상기 제1지속시간 이내에 해당 보호 구역을 떠나면 경보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는 범죄 발생 이전까지는 성범죄자의 신상이 일반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권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는 달리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지속시간을 경과하여 지속으로 감지되면(S120),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신호를 통신부(234)를 통해 전자발찌(100) 착용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로 전송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121). 여기서 전자발찌 신호를 통해 성범죄자의 개인정보(식별정보)를 인지한 상태이므로, 이를 유관기관(300)인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여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획득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번호로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발찌(100) 내의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는 상기 보호구역 경보장치(200)로부터 발신된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보호 구역에 접근하고 있으므로 해당 보호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한다(S122). 여기서 경보음 송출과 동시에 LED 등의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적색 LED를 점등시켜 해당 보호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
경보음의 발신에 따라 성범죄자는 현재 위치가 보호구역임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해당 보호 구역을 이탈하여, 자신이 불순한 의도로 해당 보호 구역에 접근한 것이 아님을 입증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성범죄 재발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범죄 발생 이전까지는 성범죄자의 신상이 일반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권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경보음을 송출한 상태에서도, 성범죄자가 보호 구역을 이탈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해당 보호 구역의 근처에 머물게 되면, 시간 측정부(231)는 지속적으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233)는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지속시간(10분)을 경과하여 지속으로 감지되면(S130), 전파 송출 및 경보부(210) 내의 경광등 및 스피커(212)와 같은 경보장치를 발동시키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S131a). 여기서 경광등은 시각적인 경보장치가 되고, 스피커는 접근 금지에 대한 경보음을 출력하는 청각적인 경보장치가 된다. 이와 같이 시각 및 청각적인 경보장치를 발동하여, 현장에 존재하는 보호구역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하여 구역 보호 및 보호 대상자의 보호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S131b). 이와 같이 현장 인력을 성범죄 예방 인력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발생하는 성범죄자 감시인력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보호구역 관리자의 대응은, 성범죄의 대처가 기존의 중앙관제센터 중심이 아닌 범죄 발생이 가능한 현장 중심으로 이루어져, 범죄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능동적은 대처를 구현한다.
아울러 제어부(233)는 통신부(234)를 통해 생성한 경보신호를 유관기관(300)으로 송출한다(S132a). 여기서 경보신호는 성범죄자의 식별정보, 보호 구역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관기관(300)의 하나인 중앙관제센터는 전송된 성범죄자의 식별정보 및 보호 구역 위치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성범죄자 신상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성범죄가 위치한 위치를 파악한다(S132b, S132c). 이렇게 파악한 성범죄자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다른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유관기관(300)의 하나인 관할파출소는 성범죄자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필요에 따라 119 등에 연락하여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출동 인원에게 성범죄자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긴급 출동을 통해 시설보호와 초동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성범죄를 사전에 예방한다(S132d - S132f).
이후, 성범죄자에 대해 조치가 완료되면 보호구역 경보상황을 해제하고, 초기 상태로 전환을 하여 전자발찌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경보 프로세스는 해당 보호 구역(시설)의 운용시간과 무관하게 경보를 작동하는 과정이며, 이때, 해당 시설이 운영되지 않는 시간이면 불필요한 경보가 발생하여 자원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예컨대, 제어부(233)는 신호 판독부(232)를 통해 성범죄자가 감지 즉, 전자발찌 신호가 감지되면(S110), 시간 측정부(231)를 통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한다. 다시 말해, 성범죄가 해당 보호 구역에 머무는 시간(잔류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어,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지속시간(5분) 이내에 사라지면, 즉, 전자발찌를 착용한 성범죄자가 상기 제1지속시간 이내에 해당 보호 구역을 떠나면 경보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지속시간을 경과하여 지속으로 감지되면(S120),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신호를 통신부(234)를 통해 전자발찌(100) 착용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로 전송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121). 여기서 전자발찌 신호를 통해 성범죄자의 개인정보(식별정보)를 인지한 상태이므로, 이를 유관기관(300)인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여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획득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번호로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발찌(100) 내의 위치추적용 휴대장치(113)는 상기 보호구역 경보장치(200)로부터 발신된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보호 구역에 접근하고 있으므로 해당 보호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한다(S122). 여기서 경보음 송출과 동시에 LED 등의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적색 LED를 점등시켜 해당 보호구역을 이탈하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
경보음의 발신에 따라 성범죄자는 현재 위치가 보호구역임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해당 보호 구역을 이탈하여, 자신이 불순한 의도로 해당 보호 구역에 접근한 것이 아님을 입증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성범죄 재발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경보음을 송출한 상태에서도, 성범죄자가 보호 구역을 이탈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해당 보호 구역의 근처에 머물게 되면, 시간 측정부(231)는 지속적으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233)는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지속시간(10분)을 경과하여 지속으로 감지되면(S130), 유관기관(300)인 중앙관제센터를 통해 해당 시설(보호 구역)의 운영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획득한 시설의 운영시간 정보와 현재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설이 운영되는 시간인지를 확인한다(S132g). 이 확인 결과, 현지 시설이 운용되지 않는 시간이면, 불필요한 경보 발생으로 인한 자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구역 경보장치(200)의 경보발생을 수행하지 않는다(S132h). 즉, 경광등 및 스피커를 이용한 시각적인 경보와 청각적인 경보를 수행하지 않으며, 아울러 유관기관에도 경보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현재 시설이 운영되는 시간이면 성범죄 재발 방지와 성범죄 발생의 예방을 위해, 전파 송출 및 경보부(210) 내의 경광등 및 스피커(212)와 같은 경보장치를 발동시키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S131a). 여기서 경광등은 시각적인 경보장치가 되고, 스피커는 접근 금지에 대한 경보음을 출력하는 청각적인 경보장치가 된다. 이와 같이 시각 및 청각적인 경보장치를 발동하여, 현장에 존재하는 보호구역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하여 구역 보호 및 보호 대상자의 보호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S131b). 이와 같이 현장 인력을 성범죄 예방 인력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발생하는 성범죄자 감시인력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33)는 통신부(234)를 통해 생성한 경보신호를 유관기관(300)으로 송출한다(S132a). 여기서 경보신호는 성범죄자의 식별정보, 보호 구역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관기관(300)의 하나인 중앙관제센터는 전송된 성범죄자의 식별정보 및 보호 구역 위치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성범죄자 신상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성범죄가 위치한 위치를 파악한다(S132b, S132c). 이렇게 파악한 성범죄자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다른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유관기관(300)의 하나인 관할파출소는 성범죄자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필요에 따라 119 등에 연락하여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출동 인원에게 성범죄자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긴급 출동을 통해 시설보호와 초동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성범죄를 사전에 예방한다(S132d - S132f).
이후, 성범죄자에 대해 조치가 완료되면 보호구역 경보상황을 해제하고, 초기 상태로 전환을 하여 전자발찌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은 성범죄자로부터 취약한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전자발찌 신호를 감지하면 성범죄자가 휴대한 위치추적용 휴대단말기에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여, 성범죄 발생을 예방한다.
아울러 전자발찌 신호가 감지되면 성범죄자의 보호 구역 관계자 및 인근 유관 기관으로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적극적, 능동적 조치가 도모한다.
또한, 전자발찌에 RFID 통신기술을 추가하여 성범죄자와 보호 구역 간 서로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성범죄자로부터의 범행을 능동적으로 사전에 예방하고, 범행 발생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전자발찌
111: RFID 태그
112: RFID태그 안테나
113: 위치추적용 휴대장치
200: 보호구역 경보장치
210: 전파 송출 및 경보부
211: RFID 리더 안테나
212: 경광등 및 스피커
220: RFID 리더
230: 제어기
231: 시간 측정부
232: 신호 판독부
233: 제어부
234: 통신부
235: 등록부
236: 데이터베이스
300: 유관기관

Claims (7)

  1. 성범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으로서,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를 발신하며,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전자발찌; 및
    상기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고, 상기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 지속시간을 기초로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며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구역 경보장치는 상기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고, 주변에 경보음을 발현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고,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상황별 경보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보호구역 경보장치의 동작 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중앙관제센터와 연동하여,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 성범죄자의 최신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최신 성범죄자의 정보를 유지 및 저장하되, 성범죄자의 신상정보는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해킹에 의해 정보 누출시에도 성범죄자의 개인정보의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자발찌는,
    성범죄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된 RFID 태그;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의 개인정보를 전자발찌 신호로 발신하는 RFID 태그 안테나; 및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위치추적용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보호구역 경보장치는,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전파 송출 및 경보부;
    전자발찌로부터 전송된 전자발찌 신호를 상기 전파 송출 및 경보부를 통해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전파 송출 및 경보부는,
    전자발찌 검출용 전파를 송출하며, 전자발찌로부터 송출된 전자발찌 신호를 수신하는 RFID 리더 안테나;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성범죄자의 접근에 대한 경보음을 송출하고, 경고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경광등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5.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수신한 전자발찌 신호를 판독하는 신호 판독부;
    상기 신호 판독부에서 판독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발찌에 경고신호를 전송하고, 전파 송출 및 경보부에 경보음 발현신호를 전송하며, 유관기관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지속시간을 경과하면, 전자발찌 착용자가 소지한 위치추적용 휴대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보호구역 이탈을 유도하는 제1 경보 프로세스; 및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을 경과하면,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2 경보 프로세스는,
    상기 측정한 전자발찌 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지속시간을 경과하면,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면 보호구역 경보장치를 발동시켜 보호 구역 내의 대상을 보호조치하고, 유관기관으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시설 운영시간을 확인하여 현재시간이 시설운영시간이 아니면 보호구역 경보장치의 경보발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KR1020210091063A 2021-07-12 2021-07-12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KR10240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63A KR102408982B1 (ko) 2021-07-12 2021-07-12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63A KR102408982B1 (ko) 2021-07-12 2021-07-12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982B1 true KR102408982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63A KR102408982B1 (ko) 2021-07-12 2021-07-12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40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20170129360A (ko) * 2016-05-17 2017-11-27 정혜경 Rfid 태그 인식 기능이 구비된 위치 추적용 전자발찌 시스템
KR101801269B1 (ko) 2015-03-30 2017-11-28 주식회사 호서텔넷 Uwb 레이더를 이용한 지능형 전자 발찌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발찌 시스템
KR102139651B1 (ko) * 2020-03-31 2020-07-30 김대환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1012A (ko) * 2019-12-23 2021-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40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KR101801269B1 (ko) 2015-03-30 2017-11-28 주식회사 호서텔넷 Uwb 레이더를 이용한 지능형 전자 발찌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발찌 시스템
KR101669655B1 (ko) 2015-05-20 2016-10-2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발찌를 착용한 범죄자 접근 알림 방법
KR20170129360A (ko) * 2016-05-17 2017-11-27 정혜경 Rfid 태그 인식 기능이 구비된 위치 추적용 전자발찌 시스템
KR101817919B1 (ko) 2016-05-17 2018-02-21 정혜경 Rfid 태그 인식 기능이 구비된 위치 추적용 전자발찌 시스템
KR20210081012A (ko) * 2019-12-23 2021-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39651B1 (ko) * 2020-03-31 2020-07-30 김대환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8344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sonnel
US20080218335A1 (en) Rfid based proximity sensor and alert system for fugitives, sex offenders, missing soldiers and the like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US20140206307A1 (en) Indoor/Outdoor Personal Security System
Hoshen et al. Keeping tabs on criminals [electronic monitoring]
KR101500660B1 (ko) 범죄인 보호 관찰 시스템과 연계된 위험 지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8204219A (ja) 防犯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不審者検出装置及び防犯サーバ
KR20170087223A (ko) 비콘 일체형 스마트cctv를 이용한 영상감시 및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AU2011383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nd tracking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EP2463839A1 (en) Multi-functional wireless equipment for monitoring and protection of person, mode of operation of the equipment
EP3314593B1 (en)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2408982B1 (ko)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ES2686086B1 (es) Sistema autónomo de seguridad privada, capaz de prestar servicios pasivos y activos y en la lucha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KR101997236B1 (ko) 출입통제 영역 관리를 위한 출입자의 위치추적시스템
KR20130120328A (ko) 휴대 경보기
KR20120027749A (ko) 전자발찌를 이용한 범죄자 접근 경보 시스템
WO1996020464A1 (en) A personal gps security system
KR102046807B1 (ko) 긴급구조위치 전송시스템
KR20170126338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성범죄 예방 시스템
KR101783641B1 (ko) 범죄자 관리를 위한 무선데이터 칩을 이용한 감시 및 추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감시 및 추적 방법
KR20140042952A (ko)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GB2398687A (en) People tracking
KR102122908B1 (ko)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265003B1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