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012A -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1012A KR20210081012A KR1020190173157A KR20190173157A KR20210081012A KR 20210081012 A KR20210081012 A KR 20210081012A KR 1020190173157 A KR1020190173157 A KR 1020190173157A KR 20190173157 A KR20190173157 A KR 20190173157A KR 20210081012 A KR20210081012 A KR 202100810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and
- sound
- electronic anklet
- location
- ank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은,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발찌에서, 미성년자 만이 청취 가능한 고주파의 음향 신호를 발생 시킴으로써, 미성년자로 하여금, 근처에 성범죄자가 있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행히도 한번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다시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다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특히 성범죄의 경우는 유난히 재범률이 높다.
재범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면, 재범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유사한 범죄가 일어났을 때 용의가 의심되는 사람의 신변 또한 신속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장비의 힘으로 특정인을 쉽고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전자발찌(Ankle monitor)이다. 전자발찌는,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발목에 채워, 위치를 추적하는 도구이다.
현재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전자발찌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기능이 있어, 성범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만, 이러한 전자발찌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 센터에서 만, 성범죄자의 위치를 있을 뿐이고, 현실 공간에서, 성범죄자와 지근 거리에 있는 일반인들은 성범죄자의 존재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성범죄자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발찌로부터, 미성년자에게 만 들리는 음향 신호를 출력 시킴으로써, 성범죄자의 존재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발찌로 발송되는 명령을 공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감지기를 제공 함으로써, 개인들이 성범죄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범죄를 하기 적합하지 않는 다중이용 시설이나, 범죄자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는 음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범죄자의 최소한의 인권이 존중되도록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은,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하는 명령 결정부;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하는 명령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부터, 미성년자에게 만 들리는 음향 신호를 출력 시킴으로써, 성범죄자의 존재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 발송되는 명령을 공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감지기를 제공 함으로써, 개인들이 성범죄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범죄를 하기 적합하지 않는 다중이용 시설이나, 범죄자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는 음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범죄자의 최소한의 인권을 존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위치 확인부(110), 명령 결정부(120), 및 명령 송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14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위치 확인부(110)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위치 확인부(110)는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위치 추적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받아, 전자발찌의 위치 좌표, GPS 좌표 등을,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로서 확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주기는 관찰 대상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정 시간격일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위치 추적기에서 신호를 발신하는 시간 사이의 간격으로 5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관찰 대상자는 전자발찌를 착용하고 있는, 성범죄자를 포함한 범죄자 일 수 있다.
명령 결정부(120)는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한다. 즉, 명령 결정부(120)는 관찰 대상자가 현재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전자발찌를 제어할 명령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명령으로는, 전자발찌로부터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발생 명령,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상기 전자발찌로부터 더 이상 출력되지 않게 하는 음향중지 명령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면, 명령 결정부(120)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다중이용 공간이나, 개인 공간으로 확인되면, 명령 결정부(120)는 음향 신호의 출력 중지를 위한, 음향중지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명령 송출부(130)는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한다. 즉, 명령 송출부(130)는 관찰 대상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명령을 전자발찌로 송출 함으로써,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명령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명령의 결정 및 명령의 송출에 있어, 상기 위치가 보호장소로 규정된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는 경우, 명령 결정부(120)는,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명령 결정부(120)는 관찰 대상자가 청소년 들이 많이 다니는 영역으로 진입 함에 따라,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명령 송출부(130)는, 결정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전자발찌로 송출 함으로써,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파수는 17,000 Hz 이상으로, 청년기의 미성년자에게 만 청취 가능한 주파수 일 수 있다.
즉, 명령 결정부(120)는,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17,000 Hz 이상으로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하여, 궁극적으로 전자발찌에서 청소년 만이 청취 가능한 음향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에 주로 분포하는 연령을 파악하여,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처리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개인 단말을 통해, 상기 청소년 집결 공간에 가장 많이 위치하는 청소년의 연령을 식별한다. 즉, 처리부(140)는 개인 단말에 대응되어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위치 데이터와 연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청소년 집결 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연령대를 인지할 수 있다.
이후, 명령 결정부(120)는 상기 식별된 연령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조정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명령 결정부(120)는 청소년 집결 공간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에 따라 음향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집결 공간에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가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일 경우, 명령 결정부(120)는 상술한, 주파수 크기 17,000 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의 청소년들에게 만, 전자발찌를 착용하는 관찰 대상자의 존재가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청소년 집결 공간에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이 '만 20세~만 34세'의 청년일 경우, 명령 결정부(120)는 상기 17,000 Hz 보다 낮은 주파수 크기(예, 15,000 Hz 이하)로 조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의 청년들에게도, 전자발찌를 착용하는 관찰 대상자의 존재가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현 주기에 확인된 위치가 공공장소로 규정된 다중이용 공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명령 송출부(130)는,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청소년 집결 공간에서 다중이용 공간으로 바뀌면, 명령 송출부(130)는 관찰 대상자가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적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이용 공간은, 다양한 연령층이 다수 모이는 장소로서, 예컨대 극장, 공연장, 백화점 등의 개방된 장소를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다수의 주기 동안, 동일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명령 송출부(130)는, 상기 위치가 상기 다중이용 공간으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일정 범위의 영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면, 명령 송출부(130)는 관찰 대상자가 자신 개인 공간(예, 자택)에 있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사전에 동작 해제 장소로 설정된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명령 송출부(130)는,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동작 해제 장소(예, 자택, 근무지 등)로 확인되면, 명령 송출부(130)는 관찰 대상자가 예상되는 공간에 있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됨에 따라, 명령 송출부(130)는, 상기 위치가 속하는 영역 내 음파 감지기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음파 감지기와 연결되는 스피커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음향 신호의 출력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명령 송출부(130)는 개인 소유의 음파 감지기로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수신한, 음파 감지기는,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청소년 만이 청취 가능한, 주파수 크기 17,000 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에서는, 전자발찌를 통한 음향 신호의 출력 뿐만 아니라, 개인 소유의 음파 감지기를 통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지원하여, 관찰 대상자의 존재를 주변 청소년이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전자발찌 내에 비콘 발생기를 내장시키고, 비콘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패턴 신호를 수신한, 주변의 공공 음파 감지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공 음파 감지기는, 청소년 집결 공간에 사전에 배치되어, 비콘 발생기로부터의 패턴 신호를 감지 함에 따라, 관찰 대상자의 접근을 알람하거나, 화면 등에 자막으로 경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부터, 미성년자에게 만 들리는 음향 신호를 출력 시킴으로써, 성범죄자의 존재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 발송되는 명령을 공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감지기를 제공 함으로써, 개인들이 성범죄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범죄를 하기 적합하지 않는 다중이용 시설이나, 범죄자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는 음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범죄자의 최소한의 인권을 존중할 수 있다.
2006년 영국에서는 매장 등에서 소란을 피우는 청소년들을 퇴치하기 위해, 미성년만 청취 가능한 고주파로 의도적인 소음을 일으키는 장치를 발명하여 판매하였고, 일부 매장에서 설치/운영하였다.
또한, 현재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전자 발찌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기능이 있어, 범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두 장치는 각각 개별적인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이 두 기술을 융합하면 유아/아동/청소년 등을 성범죄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전파를 방사하는 비콘 발생 장치를 추가 장착하면, 별도 전자 장치를 통해 성범죄자 근접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 대상자의 발목에는, 전자발찌(200)가 착용되어 있고, 전자발찌(200) 내부에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210)가 구비되어 있다.
신호 발생기(210)는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음향발생 명령에 따라, 17,000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파 감지기(230)는,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수신하여, 연결되는 스피커를 통해, 17,000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파 감지기(230)는 발생된 음파의 주기 또는 패턴으로 감지하여 관련 구성원(학생, 피해자 등)에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파 감지기(230)는 고정형태와 휴대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형태의 음파 감지기(230)는 접근 금지 지역의 출입구 등에 위치하여, 음향발생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로서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형태의 음파 감지기(230)는 목걸이, 팔찌 등의 형태로 개인에게 착용하며, 진동 등을 통해 착용자에게 범죄자 접근을 경보할 수 있다.
참고로, 음파는 벽, 유리, 의류 등을 투과할 수 없으므로 음파 감지기(230)는 외부에 노출되어야 한다.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전자발찌(200)에 내장된 위치 수신기(GPS)의 정보를 바탕으로, 관찰 대상자가 접근 금지 지역에 근접하는 경우만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항상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다가, 관찰 대상자가 공공 공간 등에 접근하는 경우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음파는 벽, 유리, 의류 등을 투과할 수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전자발찌(200) 내에 비콘 발생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콘 발생기는 전자발찌(200)에 내장되어, 임의의 패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비콘 발생기에서 발생된 패턴 신호는, 공공 음파 감지기(240)에서 수신할 수 있다.
공공 음파 감지기(240)는, 접근 금지 지역에 사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접근 금지 지역 내의 전봇대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외에, 공공 음파 감지기(240)는 건물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공공 음파 감지기(240)는, 비콘 발생기의 패턴 신호를 감지 함에 따라, 관찰 대상자의 접근을, 음향 신호의 출력으로 알람(경보)하거나, 화면 등에 자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찌 제어 방법은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한다(310). 단계(310)는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위치 추적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받아, 전자발찌의 위치 좌표, GPS 좌표 등을,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로서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주기는 관찰 대상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정 시간격일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위치 추적기에서 신호를 발신하는 시간 사이의 간격으로 5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관찰 대상자는 전자발찌를 착용하고 있는, 성범죄자를 포함한 범죄자 일 수 있다.
또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한다(320). 단계(320)는 관찰 대상자가 현재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전자발찌를 제어할 명령을 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명령으로는, 전자발찌로부터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발생 명령,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상기 전자발찌로부터 더 이상 출력되지 않게 하는 음향중지 명령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다중이용 공간이나, 개인 공간으로 확인되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음향 신호의 출력 중지를 위한, 음향중지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한다(330). 단계(330)는 관찰 대상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명령을 전자발찌로 송출 함으로써,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명령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일 수 있다.
명령의 결정 및 명령의 송출에 있어, 상기 위치가 보호장소로 규정된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관찰 대상자가 청소년 들이 많이 다니는 영역으로 진입 함에 따라,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결정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전자발찌로 송출 함으로써,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파수는 17,000 Hz 이상으로, 청년기의 미성년자에게 만 청취 가능한 주파수 일 수 있다.
즉,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17,000 Hz 이상으로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하여, 궁극적으로 전자발찌에서 청소년 만이 청취 가능한 음향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에 주로 분포하는 연령을 파악하여,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개인 단말을 통해, 상기 청소년 집결 공간에 가장 많이 위치하는 청소년의 연령을 식별한다. 즉,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개인 단말에 대응되어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위치 데이터와 연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청소년 집결 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연령대를 인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식별된 연령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조정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에 따라 음향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집결 공간에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가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일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술한, 주파수 크기 17,000 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의 청소년들에게 만, 전자발찌를 착용하는 관찰 대상자의 존재가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청소년 집결 공간에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이 '만 20세~만 34세'의 청년일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17,000 Hz 보다 낮은 주파수 크기(예, 15,000 Hz 이하)로 조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청소년 집결 공간 내의 청년들에게도, 전자발찌를 착용하는 관찰 대상자의 존재가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현 주기에 확인된 위치가 공공장소로 규정된 다중이용 공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청소년 집결 공간에서 다중이용 공간으로 바뀌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관찰 대상자가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적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이용 공간은, 다양한 연령층이 다수 모이는 장소로서, 예컨대 극장, 공연장, 백화점 등의 개방된 장소를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다수의 주기 동안, 동일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위치가 상기 다중이용 공간으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일정 범위의 영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관찰 대상자가 자신 개인 공간(예, 자택)에 있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사전에 동작 해제 장소로 설정된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동작 해제 장소(예, 자택, 근무지 등)로 확인되면,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관찰 대상자가 예상되는 공간에 있다는 판단 하에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음향중지 명령을, 전자발찌 내 신호 발생기로 송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됨에 따라,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상기 위치가 속하는 영역 내 음파 감지기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음파 감지기와 연결되는 스피커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음향 신호의 출력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개인 소유의 음파 감지기로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수신한, 음파 감지기는,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청소년 만이 청취 가능한, 주파수 크기 17,000 Hz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에서는, 전자발찌를 통한 음향 신호의 출력 뿐만 아니라, 개인 소유의 음파 감지기를 통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지원하여, 관찰 대상자의 존재를 주변 청소년이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발찌 제어 장치(100)는, 전자발찌 내에 비콘 발생기를 내장시키고, 비콘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패턴 신호를 수신한, 주변의 공공 음파 감지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공 음파 감지기는, 청소년 집결 공간에 사전에 배치되어, 비콘 발생기로부터의 패턴 신호를 감지 함에 따라, 관찰 대상자의 접근을 알람하거나, 화면 등에 자막으로 경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부터, 미성년자에게 만 들리는 음향 신호를 출력 시킴으로써, 성범죄자의 존재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발찌로 발송되는 명령을 공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감지기를 제공 함으로써, 개인들이 성범죄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범죄를 하기 적합하지 않는 다중이용 시설이나, 범죄자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는 음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범죄자의 최소한의 인권을 존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전자발찌 제어 장치
110 : 위치 확인부 120 : 명령 결정부
130 : 명령 송출부 140 : 처리부
110 : 위치 확인부 120 : 명령 결정부
130 : 명령 송출부 140 : 처리부
Claims (15)
-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 보호장소로 규정된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17,000 Hz 이상으로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개인 단말을 통해, 상기 청소년 집결 공간에 가장 많이 위치하는 청소년의 연령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연령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조정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현 주기에 확인된 위치가 공공장소로 규정된 다중이용 공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다수의 주기 동안, 동일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위치가 상기 다중이용 공간으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됨에 따라,
상기 위치가 속하는 영역 내 음파 감지기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음파 감지기와 연결되는 스피커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방법. -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전자발찌를 착용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명령을 결정하는 명령 결정부; 및
상기 명령을, 상기 전자발찌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로 송출하는 명령 송출부
를 포함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 보호장소로 규정된 청소년 집결 공간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명령 결정부는,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결정부는,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17,000 Hz 이상으로 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개인 단말을 통해, 상기 청소년 집결 공간에 가장 많이 위치하는 청소년의 연령을 식별하는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 결정부는,
상기 식별된 연령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가 갖는 주파수의 크기를 조정하는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현 주기에 확인된 위치가 공공장소로 규정된 다중이용 공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명령 송출부는,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가, 다수의 주기 동안, 동일 영역에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명령 송출부는,
상기 위치가 상기 다중이용 공간으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상기 음향중지 명령을 송출하는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으로서 음향발생 명령을 결정 됨에 따라,
상기 명령 송출부는,
상기 위치가 속하는 영역 내 음파 감지기로 상기 음향발생 명령을 송출 함으로써, 상기 음파 감지기와 연결되는 스피커에서, 정해진 주파수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전자발찌 제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157A KR102297442B1 (ko) | 2019-12-23 | 2019-12-23 |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157A KR102297442B1 (ko) | 2019-12-23 | 2019-12-23 |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1012A true KR20210081012A (ko) | 2021-07-01 |
KR102297442B1 KR102297442B1 (ko) | 2021-09-02 |
Family
ID=7686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3157A KR102297442B1 (ko) | 2019-12-23 | 2019-12-23 |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4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982B1 (ko) * | 2021-07-12 | 2022-06-15 | 박승권 |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5440A (ko) * | 2013-08-29 | 2015-03-10 |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
KR20190071397A (ko) * | 2017-12-14 | 2019-06-24 | 김근상 | 모기퇴치기능을 구비한 미아방지용 휴대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
2019
- 2019-12-23 KR KR1020190173157A patent/KR1022974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5440A (ko) * | 2013-08-29 | 2015-03-10 |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 전자발찌 근접 경보 시스템 |
KR20190071397A (ko) * | 2017-12-14 | 2019-06-24 | 김근상 | 모기퇴치기능을 구비한 미아방지용 휴대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982B1 (ko) * | 2021-07-12 | 2022-06-15 | 박승권 | 성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보호 구역 경보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442B1 (ko) | 2021-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8752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 |
US10540877B1 (en) | Danger monitoring system | |
US8995678B2 (en) | Tactile-based guidance system | |
KR101700395B1 (ko) |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 |
US10035023B2 (en) | Network of internet connect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 |
KR101831603B1 (ko) | 비가청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중 전송을 수행하는 전관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1557014B2 (en) |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 |
CN1910635B (zh) | 用于火情检测和人员定位的自动音频系统 | |
ES2971050T3 (es) | Método y dispositivo de notificación | |
JP7318706B2 (ja) |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音源位置特定方法 | |
US2020028524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hreat response | |
US7839290B2 (en) | Sonic building rescue beacon | |
KR102297442B1 (ko) |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 |
AU2006273887B2 (en) | Locatable and information sound device and method | |
Dong et al. | Study of sound direction evacuation | |
EP2983148B1 (en) |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 |
KR101816691B1 (ko) |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 |
US9697719B2 (en) | Security system, security arrangement and method therfore | |
JP4373703B2 (ja) | 入退出管理システム | |
CN104504862A (zh) | 一种用于特殊人群的手腕式定位装置 | |
US20240161590A1 (en) | Light switch systems configured to respond to gunfire and methods of use | |
CN204303134U (zh) | 一种用于特殊人群的手腕式定位装置 | |
WO2023073762A1 (ja) |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 | |
US7764165B2 (en) | Locatable information sound device and method | |
Elliot et al. | FASS: Firefighter Audio Safety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