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908B1 -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908B1
KR102122908B1 KR1020180152848A KR20180152848A KR102122908B1 KR 102122908 B1 KR102122908 B1 KR 102122908B1 KR 1020180152848 A KR1020180152848 A KR 1020180152848A KR 20180152848 A KR20180152848 A KR 20180152848A KR 102122908 B1 KR102122908 B1 KR 10212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e
data
gps
score
l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917A (ko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102018015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 또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소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고, 총 범죄 점수를 제 1, 2 설정값과 비교하여 범죄 가능성을 결정하여서 제 1 설정값 이상일 때 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경찰서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주어 범죄를 예방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RIME USING GPS DATA}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 또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소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고, 총 범죄 점수를 제 1, 2 설정값과 비교하여 범죄 가능성을 결정하여서 제 1 설정값 이상일 때 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경찰서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주어 범죄를 예방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빈발하고 있는 아동과 부녀자 범죄 사건으로 일반 국민들의 불안감은 높아 가는데 한정된 치안 인력과 장비로는 대응할 수단과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치안당국이나 지자체, 통신회사 등에서는 첨단 IT 기술을 활용한 대응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현재 개발 또는 추진 중인 기술로는 성명, 연락처 등 학생의 신상정보가 내장된 RFID 태그를 가방에 부착해 학교와 통학로 등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학생들이 통행시 촬영된 사진 등을 보호자 휴대전화로 전송토록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아동안전 확보시스템과, 어린이가 위험상황에서 GPS가 장착된 비상호출기의 버튼을 누르면 주변에 설치된 CCTV가 자동으로 경고음을 울리고 비상호출기 위치를 조준 촬영해 그 영상을 112나 119센터, 학교, 학부모 휴대전화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평소에는 부모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자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GPS 수신 장치와 CCTV를 이용한 유괴방지 시스템이 있으며, 상용화된 서비스로 등하교시 어린이 가방에 부착된 전자 명찰을 정문에 설치된 자동인식시스템이 인식, 해당 어린이의 학부모 휴대폰으로 학교 출입 여부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해 주는 어린이 안심서비스 등이 있으나, RFID 태그시스템과 GPS(위성항법장치) CCTV 연계시스템의 경우 아동들의 이동로 전체에 RFID 리더기, 사진촬영 송신시스템 또는 호출기, 지향성 CCTV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도시지역의 통학로 같이 특정된 공간에서는 활용이 가능하나 인구밀도가 낮은 시골의 경우 광범위한 지역으로 인해 적용이 어렵고, RFID 리더기의 판독 가능 거리와 CCTV의 촬영가능 거리에 제한이 있으며, 더 나아가 전술한 시스템에 따른 감시 및 보호가 전혀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범죄자가 아동에게 접근하여 범죄를 행하여도 이에 대한 예방이나 보호 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동대상 범죄자에게 전자팔찌(또는 전자발찌)를 채워 해당 범죄자를 감시하는 법안이 채택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전자팔찌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경보함과 아울러 경찰 및 학부모 등에게 통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국내 특허 등록 제 1453248호 공보(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전자발찌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사용하여 위험감시추적서버에서 사용자와 전자발찌의 측위가 매칭된 지도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전자발찌 착용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전자발찌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범죄예방을 유도하는 방식이므로 만약에 범죄자가 전자발찌를 벗어버리거나 전자발찌가 오작동할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으며, 범죄예방을 유도하는 방식이므로 위험한 상황에 놓인 사람이 모니터링을 하지 않고 집중하지 않을 경우에는 범죄예방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를 소지하기만 하면 범죄가능성을 파악하여 위험상황에 놓일 경우 자동으로 경찰서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에 전달해줄 수 있어 범죄 예방 효과가 뛰어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GPS/LBS 데이터 수신부;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GPS/LBS 데이터 분석부; 상기 GPS/LBS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를 제 1, 2 설정값과 비교하여 범죄 가능성을 산정하도록 구성된 범죄 가능성 결정부; 및 상기 범죄 가능성이 설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 "특이사항" 또는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주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는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 "특이사항"으로 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방법은 GPS/LBS 데이터 수신부가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GPS/LBS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범죄 가능성 결정부가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에 의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에 의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는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고, 이때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는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 결정 단계에서,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 "특이사항"으로 결정하고, 이때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 해당 사항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며,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고, 이때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단말기를 소지하기만 하면 범죄가능성을 파악하여 위험상황에 놓일 경우 자동으로 경찰서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에 전달해줄 수 있어 범죄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범죄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M)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여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는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이동 단말기(M) 소지자들의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는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에 의해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고,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고, 총 범죄 점수를 제 1, 2 설정값과 비교하여 범죄 가능성을 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 "특이사항"(즉, 범죄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주시해야 될 상황)으로 결정하고,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범죄가능"(즉, 범죄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고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140)는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에 의해 "특이사항"으로 결정되면 해당 상황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한편, "범죄가능"으로 결정되면 경고 신호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서,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경찰서 서버(P)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의 분석 지역이 CCTV 관측이 어려운 지역일 경우에는 드론을 출동시켜 해당지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범죄예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범죄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의미한다.
먼저,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가 복수의 이동 단말기(M)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고(S10),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가 수신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한다(S20).
이어서,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가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내부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부여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범죄 점수를 산정함)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한다(S30).
이후,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에 의해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40).
상기 스텝(S40)에서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이면(YES),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에 의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50).
한편, 상기 스텝(S40)에서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미만이면(NO), 상기 스텝(S10)으로 진행된다.
상기 스텝(S50)에서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면(YES),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는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고, 이때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140)는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하게 한다(S60).
상기 스텝(S50)에서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NO),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는 "특이사항"으로 결정하고, 이때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해당 사항을 알린다(S7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며,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고, 이때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 및 경찰서 서버 중 하나 이상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단말기를 소지하기만 하면 범죄가능성을 파악하여 위험상황에 놓일 경우 자동으로 경찰서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에 전달해줄 수 있어 범죄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M: 이동 단말기
100: 범죄예방 시스템
110: GPS/LBS 데이터 수신부
120: GPS/LBS 데이터 분석부
130: 범죄 가능성 결정부
140: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
S: 보호자 단말기
P: 경찰서 서버

Claims (4)

  1. 복수의 이동 단말기(M)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
    상기 GPS/LBS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를 제 1, 2 설정값과 비교하여 범죄 가능성을 산정하도록 구성된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 및
    상기 범죄 가능성이 설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 "특이사항" 또는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주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경찰서 서버(P)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의 분석 지역이 CCTV 관측이 어려운 지역일 경우에는 드론을 출동시켜 해당지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는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 "특이사항"으로 결정하고,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3. 제 1 항에 기재된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으로서,
    GPS/LBS 데이터 수신부(110)가 복수의 이동 단말기(M)로부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GPS/LBS 데이터 분석부(120)가 상기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가 결정된 요소(밀집도, 움직임 형태, 속도, 장소 및 시간) 각각을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AI 분석하여서 범죄 점수를 결정하여 총 합계를 내어 총 범죄 점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에 의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1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에 의해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범죄 가능성 결정부(130)는 "범죄가능"이라고 결정하고, 이때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부(140)는 "범죄가능"이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상기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 결정 단계에서,
    상기 총 범죄 점수가 상기 제 2 설정값 미만일 경우 "특이사항"으로 결정하고, 이때 상기 보호자 단말기(S) 및 경찰서 서버(P) 중 하나 이상에 해당 사항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방법.
KR1020180152848A 2018-11-30 2018-11-30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12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48A KR102122908B1 (ko) 2018-11-30 2018-11-30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48A KR102122908B1 (ko) 2018-11-30 2018-11-30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7A KR20200065917A (ko) 2020-06-09
KR102122908B1 true KR102122908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48A KR102122908B1 (ko) 2018-11-30 2018-11-30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64B1 (ko) * 2012-11-16 2014-09-2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적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범죄지도 서버 및 위험지역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581772B1 (ko) * 2015-04-08 2016-01-05 (주)네다스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 예방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64B1 (ko) * 2012-11-16 2014-09-2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적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범죄지도 서버 및 위험지역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581772B1 (ko) * 2015-04-08 2016-01-05 (주)네다스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 예방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7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0748B1 (en)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monitoring of released criminals by law enforcement
US8606316B2 (en) Portable blind aid device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US20100066545A1 (en) Offender presence warning system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20140191864A1 (en) Offender presence warning system
CN1987933A (zh) 幼儿园和小学用指纹接送安防系统
KR20120029538A (ko)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7223A (ko) 비콘 일체형 스마트cctv를 이용한 영상감시 및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0267B1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102122908B1 (ko) Gps 데이터 또는 lbs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7256A (ko) 전파식별(알에프아이디)를 활용한 미아 방지용 위치추적시스템
KR20140139183A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KR20120030674A (ko) 범죄 예방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104081B1 (ko) 보호자가 참여하는 안심 보호 시스템
TWI773141B (zh) 危險預知應對裝置及系統
JP6081502B2 (ja) 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101009928B1 (ko) 모바일 통신망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및위치추적 시스템
WO2019049182A1 (en) ELECTRONIC PERSONAL SECURITY SYSTEM
JP7447626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90164401A1 (en) Object tr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