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41B1 -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41B1
KR102053541B1 KR1020180088140A KR20180088140A KR102053541B1 KR 102053541 B1 KR102053541 B1 KR 102053541B1 KR 1020180088140 A KR1020180088140 A KR 1020180088140A KR 20180088140 A KR20180088140 A KR 20180088140A KR 102053541 B1 KR102053541 B1 KR 10205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ecurity light
way
emerge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05B37/0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야간 통행의 안전을 위해 보안등에 긴급호출을 할 수 있도록 한 비상버튼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중앙관제센터 및 경찰서, 소방서의 긴급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보안등과,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점멸기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와 IoT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양방향 점멸기를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가 설치된 전체 보안등의 각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양방향 점멸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상버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Emergency call system of security light}
본 발명은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야간 통행의 안전을 위해 보안등에 긴급호출을 할 수 있도록 한 비상버튼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중앙관제센터 및 경찰서, 소방서의 긴급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등은 보행자의 동선을 밝혀주어 야간 통행안전 및 방범 목적의 조명시설물로서 통행량이 적은 곳이나 어두운 골목길,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안등은 자동점멸기와 연결되어 보안등의 점등/소등이 이루어지며 단순히 불빛을 밝혀주는 형태로 범죄를 예방하고 있지만,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보안등이 설치된 곳이라 할지라도 범죄자가 모자나 선글라스 등을 통해 얼굴을 가린 채로 범행을 저지르기 때문에 보안등의 설치가 무용지물인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보안등이 설치된 구역에서 신변의 위협을 받고 있거나 건강상의 위급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112나 119의 전화신고를 통해 경찰 및 구급대원의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신고접수 과정에서 신고자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지만 보안등이 설치된 구역의 대부분은 큰 건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현재의 위치를 알릴만한 시설물이 주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할 신고가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고자 단말기의 GPS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적하고 있으나 GPS의 오차로 인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없거나, 범죄의 위협을 받고 있어서 신고자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려워 신속한 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래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① 등록특허 제10-1561831호(CCTV Pool 또는 가로등을 이용한 비상통화 신고 시스템)에는 상세하게는 CCTV Pool 또는 가로등과, 구간별로 선택된 CCTV Pool 또는 가로등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비상통화신고 단말기와, 상기 비상통화신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며 비상통화신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포함한 구조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관련 기관에 상기 구조정보를 전달하는 중앙관제서버와, 및 상기 비상통화신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비상통화신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비상통화신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앙관제서버와 통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고정된 위치에서 신고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명백한 범죄자 또는 거동이 수상한 자로부터 추격을 받고 있는 상황의 경우 중앙관제서버와의 통화시간에 따른 딜레이로 인해 신속한 신고가 어렵고 비상통화신고 단말기의 신고과정에서 신고장소를 불가피가 이탈하게 될 경우 신고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② 등록특허 10-1303680(세이프존 운영 시스템)에는 위험자(예를 들어, 주부 여성, 어린이, 노약자 등)의 위험자호출 단말기고유번호, 얼굴 사진(증명사진) 및 인적사항이 프로그램되어 있되, 호출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호출버튼의 누름시, 위험자의 위험 호출신호를 보내는 위험자호출단말기; 및 세이프존 시설물(예를 들어, 전봇대, 차량블랙박스, 가로등 및 공중전화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자호출 단말기로부터 위험 호출을 수신하여 방범순찰자에게 경광등의 조명 점멸신호 또는 경고음 발생신호 또는 실시간적으로 촬영된 동영상신호를 보내어 긴급피난을 알려주는 세이프존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안전구역까지의 긴급피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지만, 긴급한 상황에서 위험자호출단말기와 세이프존단말기의 통신이 끊기거나 원활하지 않을 경우 방범순찰자에게 호출신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안전구역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위험자의 위치파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경찰 및 방범순찰자의 현장출동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③ 공개특허 제10-2009-0131021호(가로등 시설물을 활용한 도시 안전 및 관리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에는 중계기를 통해 가로등 분전반의 정보를 수신하여 도시 안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 안전 및 관리 서버와; 상기 도시 안전 및 관리 서버와 상기 가로등 분전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와; 가로등에 설치되고, 휴대용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와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가로등 분전반과; 상기 도시 안전 및 관리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로등 분전반에서 처리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를 조회하는 사용자 컴퓨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SMS로 통보받는 보호자 휴대폰과; 상기 가로등 분전반과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차량용 단말기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를 통한 버스의 도착 정보를 표시하는 정류장 표시기;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버스의 도착정보, 가로등의 누전정보, 설비장애 감시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긴급상황시 보호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크게 도움을 줄만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순히 단말기를 통해 긴급상황을 알리게 되면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안등에 보행자의 긴급호출을 위한 비상버튼을 설치하되 중앙관제센터에서 보안등의 점멸제어를 담당하는 양방향 점멸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비상버튼을 누른 보행자가 사정에 의해 최초 긴급호출한 장소에서 이동을 하더라도 보행자의 실시간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찰 및 구급대원이 정확한 장소로 출동하도록 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보안등과,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점멸기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와 IoT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양방향 점멸기를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가 설치된 전체 보안등의 각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양방향 점멸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상버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와 보안등 주변의 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카메라부와, 상기 보안등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와 양방향 소통 또는 일방향 소통을 하는 음성통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버튼부에는 사용자의 지문인식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등에 설치되어 주변 일정영역에 통신망을 형성하는 위치추적 통신부와,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의 통신망에 접속되어 해당 보안등의 비상버튼부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안등에 보행자의 긴급호출을 위한 비상버튼을 설치하되 중앙관제센터에서 보안등의 점멸제어를 담당하는 양방향 점멸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버튼을 누른 보행자가 사정에 의해 최초 긴급호출한 장소에서 이동을 하더라도 보행자의 실시간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찰 및 구급대원이 정확한 장소로 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실시예의 이해를 위한 작동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보안등(100)과,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100)의 점등 및 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점멸기(200)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200)와 IoT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양방향 점멸기(200)를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300)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200)가 설치된 전체 보안등(100)의 각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0)와,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양방향 점멸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상버튼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00)는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400)를 기반으로 해당 보안등(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보안등(100)으로 음성안내와 경찰청 및 소방서의 출동요청을 수행하고, 최초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지점에서 사용자가 이탈할 경우 근접한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가 발생한 지점의 보안등(100)으로 출동요청을 변경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각 구성요소를 좀 더 설명하자면, 상기 보안등(100)은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통행량이 적은 도로 근처나 어두운 골목길,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로에 설치되어 야간의 통행안전 및 범죄예방을 위해 설치된다.

상기 양방향 점멸기(200)는 보안등(100)의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러 대의 보안등(100)을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보안등(100)의 일괄, 그룹, 개별 제어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양방향 점멸기(2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보안등(100)의 개수는 특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00)는 양방향 점멸기(200)와 IoT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직접 양방향 점멸기(200)를 직접 제어하거나 보안등(100) 및 양방향 점멸기(200)의 고장증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의 보안등(100)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부(600) 및 음성통화부(700)를 통해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의사소통을 통해 경찰청 및 소방서의 출동요청을 중앙관제센터(300)에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에 따라 해당 보안등(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이유는 전체 보안등(100)의 각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400)를 통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상버튼부(500)는 보안등(100)마다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양방향 점멸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관제센터(300)로 위험상황을 알리고 긴급 호출을 요청하는 구성이다. 상기 비상버튼부(500)는 단순 아날로그 방식보다는 디지털 방식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은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300)와 보안등(100) 주변의 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카메라부(600)와, 상기 보안등(100)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300)와 양방향 소통 또는 일방향 소통을 하는 음성통화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물론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지점에서 경찰 및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지만 상황에 따라 비상버튼부(500)를 누른지점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동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첫째는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긴급 호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병원 도착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병원이 위치한 방향으로 직접 걸어가거나 제3자에 의해 부축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상황, 둘째는 범죄자로부터 추격을 당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거동이 수상한 자로부터 미행을 당하고 있는 상황이 있다.

즉, 최초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사용자는 다른 위치의 비상버튼부(500)를 다시 누름으로써 최근의 위치를 중앙관제센터(300)로 곧바로 보내주게 되고,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비상버튼부(500)를 1차, 2차, 3차, 4차 누름으로써 중앙관제센터(300)에서는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비상버튼부(500)를 순차적으로 누른 사용자가 동일인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감시카메라부(6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버튼부(500)를 누르면서 이동할 경우 현재의 예상위치를 중앙관제센터(300)에 알려주는 위치연산부(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연산부(310)는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가 1차신호와 2차신호로 이루어질 때, 상기의 누름 신호가 서로 다른 위치의 비상버튼부(500) 일경우 1차신호가 발생한 보안등(100)과 2차신호가 발생한 보안등(100)의 거리와 1차신호와 2차신호의 신호간격을 통해 사용자의 평균 보행속도를 연산하고, 이동경로에 따른 방향을 예상하여 현재의 예상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1차신호와 2차신호는 단적인 예를 든 것으로서 3차신호, 4차신호, 5차신호.....와 같이 신호가 더 발생할 경우에도 연산이 가능하며 신호량이 많을수록 정확도는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보안등(100)끼리의 거리는 데이터베이스부(400)의 보안등(100)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비상버튼부(5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인식기능이 더 포함될 경우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사용자의 간단한 신원정보를 경찰서 및 소방서에 제공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사용자가 모두 동일인에 해당하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관제센터(300)에서 감시카메라부(600)를 통한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위치추적 통신부(800) 및 이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900)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800)는 보안등(100)에 각각 설치되어 보안등(100)의 주변 일정영역까지 통신망을 형성한다. 상기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기(900)의 인터넷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통신망의 범위 안에서 비상버튼부(500)를 원격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800)는 사용자 단말기(900)에 미리 비상버튼부(500)를 작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설치한 다음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통신망에 들어오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해당 보안등(100)에 설치된 비상버튼부(500)의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800)는 사용자의 위치추적에 효율적인 구성인데, 최초의 비상버튼부(500)를 작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경우 각 보안등(100)에 설치된 위치추적 통신부(800)와의 연결 또는 끊김에 따라 위치연산부(310)에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통신망 범위를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하고 해당 보안등(100)의 위치정보, 통신망의 범위, 연결 또는 끊김의 시점 등을 연산하여 해당 보안등(100)의 위치에서 얼마만큼의 거리로 벗어났는지 또는 얼만큼의 접근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종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예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간단히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보안등(100)에 각각 위치추적 통신부(800)가 설치되어 제1통신망과 제2통신망으로 이루어질 때, 제1통신망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9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킨 다음 제1통신망을 벗어날 때 제1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900)의 연결이 끊기는 시점을 체크한다. 이때 제1통신망의 수신거리가 반경 100m라고 가정할 때 사용자 단말기(900)의 통신연결이 끊기는 시점이 제1통신망에 있는 보안등(100)으로부터 100m 떨어진 지점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제2통신망의 범위 안으로 들어설 때 제2통신망의 연결시점을 체크 하여 제2통신망에 있는 보안등(100)으로부터 100m 떨어진 지점에서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800)는 통신망끼리의 거리가 너무 좁아 통신망이 서로 중첩되거나 통신망끼리의 거리가 너무 멀어 통신망이 닿지 않는 간격이 클 경우, 위치정보를 연산하는데에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간격으로 통신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보안등(100)의 설치 간격에 따라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수신거리를 각각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데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효과는 긴급 호출과정에서 일일이 비상버튼부(500)를 누르지 않고도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범죄자가 접근해오는 과정에서 긴급 호출을 들키지 않고 시간을 끌어 경찰의 출동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상버튼부(500)는 누름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통화부(700)의 스피커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범죄자의 위협을 받지 않는 상황이라면 음성통화부(700)의 스피커를 통해 안내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범죄자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는 음성통화부(700)의 스피커에서 안내를 받는 것이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 호출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 방식에 따른 신호분류는 버튼의 종류를 늘려 선택하거나 버튼의 누름 시간을 짧게 또는 길게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00)는 해당지역으로 경찰 및 구급대원의 도착이 임박할 경우, 최종적으로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가 제공된 보안등(100)의 위치로 사이렌을 울리게 함으로써, 현장에 도착하는 경찰 및 구급대원이 사이렌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출동을 유도하여 현장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물론 비상버튼부(500)를 물리적으로 누르지 않고 위치추적 통신부(800)와 사용자 단말기(900)의 연동을 통해 이동한 경우라면 최종적으로 연결된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보안등(100) 위치로 사이렌이 울리게 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00)는 앞서 설명한 출동명령을 전달한 경찰청 및 소방서와의 지속적인 교신을 통해 해당지역으로 출동하는 경찰 및 구급대원의 경찰 및 구급대원의 도착 임박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사이렌의 소리는 앞서 설명한 음성통화부(700)의 구성에 해당하는 스피커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보안등 200 : 양방향 점멸기
300 : 중앙관제센터 310 : 위치연산부
400 : 데이터베이스부 500 : 비상버튼부
600 : 감시카메라부 700 : 음성통화부
800 : 위치추적 통신부 9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5)

  1.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보안등(100)과,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100)의 점등 및 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점멸기(200)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200)와 IoT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양방향 점멸기(200)를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300)와,
    상기 양방향 점멸기(200)가 설치된 전체 보안등(100)의 각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0)와,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양방향 점멸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상버튼부(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관제센터(300)는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400)를 기반으로 해당 보안등(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보안등(100)으로 음성안내와 경찰청 및 소방서의 출동요청을 수행하고, 최초 비상버튼부(500)를 누른 지점에서 사용자가 이탈할 경우 근접한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가 발생한 지점의 보안등(100)으로 출동요청을 변경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00)에는 비상버튼부(500)의 누름 신호가 1차신호와 2차신호로 이루어질 때, 상기의 누름 신호가 서로 다른 위치의 비상버튼부(500) 일경우 1차신호가 발생한 보안등(100)과 2차신호가 발생한 보안등(100)의 거리와, 1차신호와 2차신호의 신호간격을 통해 사용자의 평균 보행속도를 연산하고, 이동경로에 따른 방향을 예상하여 현재의 예상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연산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300)와 보안등(100) 주변의 현장을 감시하는 감시카메라부(600)와, 상기 보안등(100)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되어 중앙관제센터(300)와 양방향 소통 또는 일방향 소통을 하는 음성통화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버튼부(5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인식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어 주변 일정영역에 통신망을 형성하는 위치추적 통신부(800)와,
    상기 위치추적 통신부(800)의 통신망에 접속되어 해당 보안등(100)의 비상버튼부(500)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단말기(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5. 삭제
KR1020180088140A 2018-07-27 2018-07-27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205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0A KR102053541B1 (ko) 2018-07-27 2018-07-27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0A KR102053541B1 (ko) 2018-07-27 2018-07-27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541B1 true KR102053541B1 (ko) 2019-12-06

Family

ID=6883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140A KR102053541B1 (ko) 2018-07-27 2018-07-27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62B1 (ko) * 2020-05-13 2020-08-21 이상섭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58B1 (ko) * 2012-01-20 2012-06-18 석주한 엘이디-정보통신기술 융합 멀티플렉스 보안시스템
KR101246199B1 (ko) * 2011-05-26 2013-03-25 (주)엠투랩 네트워크 기반 통합 led 보안시스템
KR101579513B1 (ko) * 2015-05-20 2015-12-22 주식회사 넷 지문인식이 가능한 비상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처리시스템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99B1 (ko) * 2011-05-26 2013-03-25 (주)엠투랩 네트워크 기반 통합 led 보안시스템
KR101158058B1 (ko) * 2012-01-20 2012-06-18 석주한 엘이디-정보통신기술 융합 멀티플렉스 보안시스템
KR101579513B1 (ko) * 2015-05-20 2015-12-22 주식회사 넷 지문인식이 가능한 비상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처리시스템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62B1 (ko) * 2020-05-13 2020-08-21 이상섭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20190072703A (ko)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JP2007329757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制御サーバ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WO2018232894A1 (zh) 一种基于路灯物联网的智能监控井盖的系统及方法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8296B1 (ko) 실시간 비상구호 시스템 및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CN113271435A (zh) 一种智慧城市安全监控系统
KR102053541B1 (ko)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JP2007072541A (ja) 誤報いたずら対策用無線タグ付名札および誤報いたずら対策用通報装置
EP3058557B1 (en) A mobile control unit,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mobile unit control system,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unit control method
KR20190115316A (ko) 불법 주정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05654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2208558B1 (ko) 불법 주정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9539A (ko) 인공지능 방범시스템
KR102585736B1 (ko) 스마트 시티를 위한 IoT 다기능 통합 모듈시스템 및 방법
KR102429226B1 (ko) 스마트 보안등 점멸기를 이용한 안심귀가 시스템
KR102146862B1 (ko)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169316B1 (ko) 엘이디 전등 제어와 연동된 보안 시스템
KR101534804B1 (ko) 방범 장치
KR102265003B1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JP2007328621A (ja) 警報システム及び警報管理サーバ
KR102614695B1 (ko) 스마트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