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55B1 -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55B1
KR101950755B1 KR1020170076945A KR20170076945A KR101950755B1 KR 101950755 B1 KR101950755 B1 KR 101950755B1 KR 1020170076945 A KR1020170076945 A KR 1020170076945A KR 20170076945 A KR20170076945 A KR 20170076945A KR 101950755 B1 KR101950755 B1 KR 10195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rime prevention
siren
security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357A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7007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경고 방송, 범죄 현장 촬영 및 방범요원(경찰)의 출동을 지원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System for Public Place Securit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경고 방송, 범죄 현장 촬영 및 방범요원(경찰)의 출동을 지원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범 시스템은 주택이나 빌딩 내에 설치되어 가스누출, 화재발생,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고,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범죄 또는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의 방범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인체 감지센서, 화재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각 센서의 감지신호가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방범 시스템은 단순히 화재 발생 또는 외부인 침입이 감지되었을 때 위급상의 발생을 경찰서 또는 소방서에 통보하는 것으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 및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0905438(음성인식에 기반한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2009. 06. 24.)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범죄 현장 촬영 및 방범요원(경찰)의 출동을 지원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죄 장소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에 전송할 수 있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인 및 현장을 촬영(녹음)하고, 영상 데이터와 녹음 데이터를 자동으로 방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 센서, 비상버튼, 방범 어플리케이션, 경보(사이렌 및 경광등) 장치, 내부 카메라 및 방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 센서는 공공장소의 출입문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비상 버튼은 상기 실내 및 실내 개별 칸막이 안에 설치되며, 비상버튼 내부에 RF모듈을 탑재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경보장치와 내부카메라에 비상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 녹음 기능 및 사이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범죄현장을 촬영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실내 및 건물 외부에 설치되고 RF모듈이 탑재되어 비상 신호 수신 시, 실내에서는 사이렌 경고음을, 건물 외부에서는 사이렌 및/또는 경광등을 출력한다. 상기 내부 카메라는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비상 신호 수신 시, 범죄현장을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방범 서버는 비상 상황의 발생 시,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 비상 상황이 발생한 곳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공공장소의 실외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사이렌 경고음 및/또는 경광등을 출력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는 RF모듈을 탑재하여 상기 비상 버튼에서 생성된 비상신호 수신 시, 사이렌 경보 및/또는 경광등을 출력하여 공공장소 주변에 신속하게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에서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모드에서 비상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 및 사이렌 경고 기능을 동작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내부 카메라는 디폴트(default)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RF모듈 및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카메라는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비상버튼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음향 센서를 통해 특정 DB 이상으로 감지된 소리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상기 내부 카메라는 촬영기능 이외에 사이렌 경보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RF 모듈 및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모듈은 비상버튼에서 출력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메라와 사이렌 경보기능을 동작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음향 센서는 비상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또는 비상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특정 db 이상의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 카메라와 사이렌 경보기능을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공 화장실 내의 카메라의 위치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화장실 내의 개별 칸막이 안이 아닌 칸막이 밖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범 시스템은 상황실 또는 방범센터에서 임의로 화장실 내부를 촬영할 수 없도록 비상버튼을 누른 경우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내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과 경보기에 수신된 비상신호는 시민 안전을 위한 전용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종합 상황실에 전송될 수 있으며, 전용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동영상과 비상신호가 종합 상황실에 전송될 수 있도록 비상모드로 전환된 스마트폰과 연동한 무선근거리통신 방식(WiFi, Bluetooth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방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상기 방범 서버는, 방범요원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출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상기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을 동작시키는 가로등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상기 방범 서버는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및 복수의 외부 카메라를 동작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외부 카메라는, 상기 도주 경로를 촬영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한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공공장소의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안전모드로 자동 동작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 음성 녹음, 사이렌 기능을 대기시키는 단계와,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비상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카메라 촬영, 상기 음성 녹음, 상기 사이렌 기능을 동작 시키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사이렌 장치에서 사이렌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와 함께, 상기 스마트폰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내부 카메라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범 서버에서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이 사이렌 경고 기능을 동작시켜 사이렌 경고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을 동작시켜 범죄 현장의 소리를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내부 카메라는 상기 사이렌 경고음을 감지(예를 들어, 비상버튼의 신호를 수신 또는 특정 db이상의 소리를 감지)하여 촬영 기능을 동작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방범 서버는 방범요원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출동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방범 서버는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상기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 및 복수의 외부 카메라를 동작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카메라는 상기 도주 경로를 촬영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범죄 현장 촬영 및 방범요원(경찰)의 출동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시민안전 전용 네트워크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죄 장소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인 및 현장을 촬영(녹음)하고, 영상 데이터와 녹음 데이터를 자동으로 방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상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비상벨 및 방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NFC 태그와 QR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이렌 동작과 함께 내부 카메라가 동작하여 범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상 상황 발생 시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가로등의 점등 및 외부 카메라가 동작하여 범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100)은 출입문 센서(110), 방범 어플리케이션(120), 비상 상황 입력수단(130), 사이렌 장치(140), 내부 카메라(150), 방범 서버(160), 외부 카메라(170) 및 가로등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 센서(110)는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출입문에 배치되고, 특정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으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출입문 센서(110)는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ID(identity)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출입문 센서(11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때, 방범 어플리케이션은 안전모드로 동작하며, 카메라 촬영, 음성 녹음, 사이렌 기능 등이 즉시 동작할 수 있도록 대기시킨다.
도 2는 비상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비상벨 및 방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NFC 태그와 QR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각 칸마다 도 2(a)에 도시된 비상버튼(132)이 설치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비상버튼(132)을 눌러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방범 서버(160)로 알릴 수 있다. 비상버튼(132)과 방범 서버(160)가 무선으로 접속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상버튼(132)이 눌리면 방범 서버(160)와 무선으로 접속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이 대기모드에서 비상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비상버튼(132)뿐만 아니라,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제공하는 비상 상황의 발생 메뉴를 사용자가 클릭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방범 서버(160)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2(b)에 도시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이 방범 서버(160)에 접속하고, 방범 서버(160)로부터 방범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NFC 태그는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각 칸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2(c)에 도시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이 방범 서버(160)에 접속하고, 방범 서버(160)로부터 방범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QR코드는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각 칸마다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이렌 동작과 함께 내부 카메라가 동작하여 범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상황 발생 시,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사이렌 장치(14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경고한다.
또한, 비상 상황 발생 시,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15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여기서, 비상버튼(132)의 눌림 및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의 비상 상황의 발생 메뉴의 선택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사이렌 장치(140) 및 내부 카메라(150)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범 서버(160)에서 사이렌 장치(140) 및 내부 카메라(150)를 동작 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 카메라(150)에 음향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사이렌 장치(140)에서 출력되는 사이렌 경고음 및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서 출력되는 사이렌 경고음을 감지한다. 사이렌 경고음이 감지된 경우 내부 카메라(15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예시적으로, 내부 카메라(150)는 공공장소(예컨대, 휴게실 또는 공중화장실)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디폴트(default)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비활성 상태로 설정된 내부 카메라(150)는 공공장소에 비상상황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작 상태로 전환되어 공공장소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내부 카메라(150)는 자신의 RF 모듈을 통해 비상버튼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자신의 음향 센서를 통해 특정 DB 이상으로 감지된 소리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특정 DB는 특정 공공장소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DB는 특정 공공장소에서 예상할 수 있는 소음보다 높은(해당 공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높은) 소음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가 실내 휴게실 또는 공중화장실과 같이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인 경우 특정 DB는 시끄러운 사무실 소음에 준하는 70 DB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공공장소가 외부 소음이 전달되는 오픈된 사무실과 같은 공간인 경우 특정 DB는 지하철 소음에 준하는 80 DB로 설정될 수 있다.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비상 상황 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또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비상 상황 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범 서버(160)에 전송한다. 또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비상 상황 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배치된 음성 녹음 장치를 동작시켜 범죄 현장의 소리를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범 서버(160)에 전송한다. 여기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에 전송함과 아울러,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비상 상황 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의 스피커를 동작시켜 사이렌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때, 영상 데이터의 생성, 음성 데이터의 생성 및 사이렌 경고음의 출력은 동시에 수행된다.
방범 서버(160)는 비상버튼(132) 또는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비상 상황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 및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상황실 및 방범센터에 통보한다. 상황실 및 방범센터에서는 비상 상황 발생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방범요원(경찰)을 출동 시킨다. 비상 상황 발생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해서 방범요원(경찰)이 범죄 현장으로 출동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범 서버(160)는 범죄현상의 상황, 범인의 인상착의 및 위치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내부 카메라(15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 방범센터로 전송한다.
또한, 방범 서버(160)는 방범요원(경찰)이 범죄 현장으로 출동한 것에 대한 출동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사용자는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범요원(경찰)의 출동 정보에 기초하여 방범요원(경찰)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비상 상황 발생 시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가로등의 점등 및 외부 카메라가 동작하여 범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범 서버(160)는 내부 카메라(150)의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 방범 센터로 전송하여, 범인이 위치 및 도주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벗어나 도주하는 경우, 가로등 제어부(180)는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180a~180d)으로 가로등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복수의 가로등(180a~180d)등을 점등 시킨다.
또한,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벗어나 도주하는 경우, 방범 서버(160)는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로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에 의해서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가 동작되어 범인을 촬영한다.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는 실시간으로 범인의 모습이 담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방범 서버(160)는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 방범 센터로 전송하여 범인의 도주 경로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범인의 검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 내부 카메라(150) 및 외부 카메라(170)를 동작시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범죄의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사용자가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출입문에 배치된 출입문 센서(110)가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으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S10). 또한, 출입문 센서(110)는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ID(identity)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이어서, 출입문 센서(11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때, 방범 어플리케이션은 안전모드로 동작하며, 카메라 촬영, 음성 녹음, 사이렌 기능이 즉시 동작할 수 있도록 대기시킨다(S20).
이어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30).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각 칸마다 도 2(a)에 도시된 비상버튼(132)이 설치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비상버튼(132)을 눌러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방범 서버(160)로 알릴 수 있다. 비상버튼(132)과 방범 서버(160)가 무선으로 접속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상버튼(132)이 눌리면 방범 서버(160)와 무선으로 접속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이 대기모드에서 비상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비상버튼(132)뿐만 아니라,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제공하는 비상 상황의 발생 메뉴를 사용자가 클릭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방범 서버(160)로 알릴 수 있다.
S30의 판단 결과,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을 비상모드로 동작 시키고, 사이렌 장치(140) 및 내부 카메라(150)를 동작 시킨다(S40).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범 서버(160)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 배치된 음성 녹음 장치를 동작시켜 범죄 현장의 소리를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범 서버(160)에 전송한다(S45).
여기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에 전송함과 아울러,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은 비상 상황 시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의 스피커를 동작시켜 사이렌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때, 영상 데이터의 생성, 음성 데이터의 생성 및 사이렌 경고음의 출력은 동시에 수행된다.
S40과 동시에, 비상 상황의 발생을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방범 서버(160)는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상황실 및 방범 센터로 전송한다(S50).
S40과 동시에,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사이렌 장치(14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경고한다.
또한, 비상 상황 발생 시, 근린공원의 휴게실 또는 공공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15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S60).
여기서, 비상버튼(132)의 눌림 및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의 비상 상황의 발생 메뉴의 선택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사이렌 장치(140) 및 내부 카메라(150)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범 서버(160)에서 사이렌 장치(140) 및 내부 카메라(150)를 동작 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 카메라(150)에 음향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사이렌 장치(140)에서 출력되는 사이렌 경고음 및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에서 출력되는 사이렌 경고음을 감지한다. 사이렌 경고음이 감지된 경우 내부 카메라(15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범죄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
이어서, 방범 서버(160)는 비상버튼(132) 또는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비상 상황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 및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상황실 및 방범센터에 통보한다. 상황실 및 방범센터에서는 비상 상황 발생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방범요원(경찰)을 출동 시킨다. 방범 서버(160)는 범죄현상의 상황, 범인의 인상착의 및 위치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내부 카메라(15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 방범센터로 전송한다. 이와 함께, 방범 서버(160)는 방범요원(경찰)이 범죄 현장으로 출동한 것에 대한 출동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으로 실시간 전송한다(S70). 사용자는 방범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범요원(경찰)의 출동 정보에 기초하여 방범요원(경찰)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벗어나 도주하는지 판단한다(S80).
S80의 판단 결과,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벗어나 도주하는 경우, 가로등 제어부(180)는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180a~180d)으로 가로등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복수의 가로등(180a~180d)등을 점등 시킨다. 또한,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벗어나 도주하는 경우, 방범 서버(160)는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로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에 의해서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가 동작되어 범인을 촬영한다.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는 실시간으로 범인의 모습이 담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160)로 전송한다(S90).
방범 서버(160)는 복수의 외부 카메라(170a~170d)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 방범 센터로 전송하여 범인의 도주 경로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범인의 검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 내부 카메라(150) 및 외부 카메라(170)를 동작시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범죄의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범죄 현장 촬영 및 방범요원(경찰)의 출동을 지원한다. 또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죄 장소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상황실 및 방범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근린공원 및 공공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범죄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범인 및 현장을 촬영(녹음)하고, 영상 데이터와 녹음 데이터를 자동으로 방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방범 시스템
110: 출입문 센서
120: 방범 어플리케이션
130: 비상 상황 입력수단
140: 사이렌 장치
150: 내부 카메라
160: 방범 서버
170, 170a, 170b, 170c, 170d: 외부 카메라
180: 가로등 제어부
180a, 180b, 180c, 180d: 가로등

Claims (17)

  1. 공공장소의 출입문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입문 센서;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비상버튼;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 녹음 기능 및 사이렌 경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범죄현장을 촬영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범 어플리케이션;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사이렌 경고음을 출력하는 사이렌 장치;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 시, 범죄현장을 촬영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내부 카메라; 및
    비상 상황의 발생 시,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 비상 상황이 발생한 곳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로 전송하는 방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진 경우,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에서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모드에서 비상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 녹음 기능 및 사이렌 경고 기능을 동작시키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카메라는 디폴트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RF모듈 및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카메라는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비상버튼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음향 센서를 통해 특정 DB 이상으로 감지된 소리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장소의 실외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사이렌 경고음 및/또는 경광등을 출력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RF모듈을 탑재하여 상기 비상 버튼에서 생성된 비상신호 수신 시, 사이렌 경보 및/또는 경광등을 출력하여 공공장소 주변에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카메라는 촬영기능 이외에 사이렌 경보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RF모듈 및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RF모듈은 비상버튼에서 출력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메라와 사이렌 경보기능을 동작하게 하고, 상기 음향 센서는 비상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특정 db 이상의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 카메라와 사이렌 경보기능을 동작하게 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서버는,
    방범요원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출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상기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을 동작시키는 가로등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상기 방범 서버는 복수의 외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카메라는,
    상기 도주 경로를 촬영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12.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공공장소의 출입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안전모드로 자동 동작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사이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대기시키는 단계;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방범 어플리케이션을 비상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카메라 촬영 기능, 상기 음성 녹음 기능, 상기 사이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동작 시키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사이렌 장치에서 사이렌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와 함께, 상기 스마트폰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내부 카메라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범 서버에서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황실 및/또는 방범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사이렌 경고 기능을 동작시켜 사이렌 경고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 기능을 동작시켜 범죄 현장의 소리를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카메라는 상기 사이렌 경고음을 감지하여 촬영 기능을 동작시키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서버는 방범요원의 위치 및 도착까지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출동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서버는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 상기 범인의 도주 경로에 배치된 복수의 가로등 및 복수의 외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카메라는 상기 도주 경로를 촬영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방범 서버로 전송하는,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70076945A 2017-06-16 2017-06-16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5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45A KR101950755B1 (ko) 2017-06-16 2017-06-16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45A KR101950755B1 (ko) 2017-06-16 2017-06-16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57A KR20180137357A (ko) 2018-12-27
KR101950755B1 true KR101950755B1 (ko) 2019-02-21

Family

ID=6495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45A KR101950755B1 (ko) 2017-06-16 2017-06-16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768A (ko)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삼광테라피 사물 인터넷용 엘이디 조명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241B1 (ko) * 2019-02-27 2020-09-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 블록을 구비한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KR102290376B1 (ko) * 2019-06-13 2021-08-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제 판단 로직을 이용한 승객 안전 및 편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41B1 (ko) * 2014-10-13 2015-11-06 원종만 출동정보전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38B1 (ko) 2008-11-04 2009-07-02 유정애 음성인식에 기반한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방법
KR101269576B1 (ko) * 2011-10-11 2013-06-05 박철우 Rfid 통신을 이용한 방범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20150003430A (ko) * 2013-07-01 2015-01-09 권형석 보조단말기 통신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20150012028A (ko) * 2013-07-24 2015-02-03 김일환 종합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41B1 (ko) * 2014-10-13 2015-11-06 원종만 출동정보전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768A (ko)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삼광테라피 사물 인터넷용 엘이디 조명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방법
KR102656909B1 (ko) 2021-11-29 2024-05-10 주식회사 삼광테라피 사물 인터넷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독거인의 모니터링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57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107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79108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60987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13052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085843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328541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US9953511B2 (en) Portable securit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home security system monitoring service
US20200336329A1 (en) Doorbell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CN107221133B (zh) 一种区域监控报警系统及报警方法
KR101950755B1 (ko)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JP7249260B2 (ja) 緊急事態通知システム
EP366265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769562B1 (ko)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04054536A (ja) 広域監視システム
US20230306825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07106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2007257113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連携システム
JP2008140346A (ja) 緊急通報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機
US9998713B2 (en) Device and system for security monitoring
JP2004110234A (ja) 非常報知器および非常報知システム
KR20100073671A (ko) 방범 장치
JP200624381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60135138A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