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949B1 -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949B1 KR101483949B1 KR20130121729A KR20130121729A KR101483949B1 KR 101483949 B1 KR101483949 B1 KR 101483949B1 KR 20130121729 A KR20130121729 A KR 20130121729A KR 20130121729 A KR20130121729 A KR 20130121729A KR 101483949 B1 KR101483949 B1 KR 101483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button
- integrated control
- camera
- preset
- camer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버튼; 및 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과, 원격으로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상기 비상버튼이 설치된 지점으로 PTZ(Pan/Tilt/Zoom)제어하여, 제어된 카메라의 PTZ (Pan/Tilt/Zoom)값을 기초로 상기 비상 버튼이 설치된 지점을 촬영하도록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셋(Preset)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 스크린에 표시하는 통합 제어부를 갖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출 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의 지점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다각도에서 촬영하도록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를 각각 상기 호출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시키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호출신호가 접수된 사건발생의 위치를 즉각 확인 가능하고, 발생한 사건에 대한 근접한 위치의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을 원격지에서 마련된 운영센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함으로써 현장 정보에 입각하여 신속한 상황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황발생을 알리고, 감시지역에 설치된 영상기기의 수집영상을 관제센터에서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를 현장 처리반에 제공함으로써 각종 사건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방범에서부터 문화재 감시 및 각종 교통정보 수집에 이르기 까지 보안감시 시스템은 점차 디지털화되고 있다. 각종 사회범죄의 발생이 우려되는 취약지점이나 현장 감시인력의 배치가 어려운 장소에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발생한 사건에 대한 증거자료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CCTV와 같은 감시용 영상장치를 설치하여 사건 해결에 활용하는 것을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CCTV와 같이 촬영한 영상을 기록만 수행하는 경우, 사건에 대한 증거자료의 확보에 유용하게 이용되긴 했으나, 사건의 실시간 대처에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따라 수집된 감시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모니터링하는 운영센터를 활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관리하는 지역의 감시용 영상장치에서 수집되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스크린에 일괄 표시하고, 운영요원은 표시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특이사항 발생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와 같이 감시영상의 단순 나열방식에서는 다수의 영상이 일괄표시됨에 따라 운영요원은 수 시간 지속되어 표시되는 영상을 집중감시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건이 발생한 위치에서 목격자나 피해 당사자는 신고하여 사건발생을 접수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긴박한 상황에 따라 극도로 당황하고 긴장한 경우이거나, 주변지리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전화기를 통해 음성 전달방식으로 신고하는 경우, 정확한 사건발생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어려울 수 있어, 상황전파의 속도에 신속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신속한 대응처리가 되지 못할 때, 피해의 규모가 확대되는 것이 다반사이고, 심지어 피의자의 현장검거가 어려워 사건 이후 이차적인 인력투입이 실시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안감시가 이루어지는 운영센터에서 사건 발생장소를 즉각 인지할 수 있는 사건발생 알림을 제공하고, 원격지에서도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영상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현장처리반에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버튼; 및 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과, 원격으로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상기 비상버튼이 설치된 지점으로 PTZ(Pan/Tilt/Zoom)제어하여, 제어된 카메라의 PTZ (Pan/Tilt/Zoom)값을 기초로 상기 비상 버튼이 설치된 지점을 촬영하도록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셋(Preset)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 스크린에 표시하는 통합 제어부를 갖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출 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의 지점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다각도에서 촬영하도록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를 각각 상기 호출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시키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달성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통합관제센터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맵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를 전송한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영스크린에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가 표시된 영상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검색된 상기 비상 버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영상 지도상에서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에서는,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에 대한 프리셋(Preset)을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를 향하는 주요 이동로 지점에 대한 카메라의 좌우방향(Pan), 상하방향(Tilt), 줌(Zoom) 값을 가지도록 더 설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는,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를, 상기 특정 카메라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셋 중, 호출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과 최단거리를 가지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하도록 더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감시영상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된 감시 리스트가 등록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감시 리스트를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돤 상기 감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감시 리스트에 대응하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호출신호가 접수된 사건발생의 위치를 즉각 확인 가능하고, 발생한 사건에 대한 근접한 위치의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을 원격지에서 마련된 운영센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함으로써 현장 정보에 입각한 신속한 상황 대처가 가능하여 시설물 경비, 치안유지, 주·정차 단속 및 어린이 보호구역 통학 등과 연계하여 안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건 발생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맵 정보를 함께 활용함에 따라 사건과 관련된 감시대상의 예상이동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며, 호출신호 발생지점의 수집영상뿐만 아니라, 사건에 인접한 위치의 카메라의 수집영상을 스크린에 동시에 표시함에 따라 사건과 연관된 제2의 객체를 확인하거나, 다양한 각도에서 사건 발생지점과 감시대상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어 사건정황 파악과 감시대상의 외형적 세부정보의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이나 휴대하는 현장처리반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어 현장대응에 용이함이 있다.
한편으로는, 운영센터의 운영요원 또는 감시 추적 메뉴얼에 따라 그룹화하여 등록한 감시리스트가 스크린에 표시되며 운영요원은 감시리스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장소의 감시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감시 및 추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운영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의 통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호출신호 발생 시, 활성된 감시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6은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설치 지점이 표시되는 운영 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7은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현장처리반의 사건 발생지점까지의 이동경로와 거리를 표시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8은 감시 리스트에 활용에 따라 감시영상이 출력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의 통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호출신호 발생 시, 활성된 감시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6은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설치 지점이 표시되는 운영 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7은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현장처리반의 사건 발생지점까지의 이동경로와 거리를 표시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8은 감시 리스트에 활용에 따라 감시영상이 출력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 상호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건발생에 따른 신고가 접수되거나, 운영자의 인지에 의해 사건현장 주변의 카메라(100)을 활용하여 범인을 추적하여 검거하거나 카메라(100)로부터 수집되어 기록된 감시영상을 조회하여 범인 검거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100),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버튼(200), 및 복수의 카메라(100)가 주변의 설정된 지점을 촬영하도록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셋(Preset)을 설정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과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는 통합 제어부(400)를 갖는 통합관제센터(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운영을 예시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100)는,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등과 같이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카메라로, 영상 감시 시스템에 대응하여 설계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00)는 감시운영에 보다 적합한 PTZ(Pan/Tilt/Zoom) 카메라를 적용한 것을 예시로 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300)에서 원하는 위치와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비상버튼(200)은, 카메라(100)가 설치된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벤트(사건) 발생 시, 피해자나 사건 발생 주변을 지나는 목격자가 신속한 상황신고접수를 위한 것으로 사건 발생 시, 눈에 잘 띄도록 높이와 색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비상버튼(200)을 누르면 호출신호를 발생시켜 통합관제센터(30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이 카메라(100)로부터 수집한 감시영상을 활용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함께, 카메라(100)가 실시간 수집하는 감시영상을 전송하므로 카메라(100)와 비상버튼(200)은 인접한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영상 수집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카메라 설치 기둥의 일측에 설치하여 제1 통신망(610)을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 통신망(610)은 주지관용의 통신망으로서 통합관제센터(300)와 상호 데이터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하기로 한다.
통합관제센터(300)는 카메라(100) 및 비상버튼(200)과 원격지에 위치하여 카메라(100)에서 수집한 감시영상과 비상버튼(200)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운영스크린 에 활성시켜 감시 또는 추적 시스템을 운영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비상버튼(200)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카메라(100) 중 비상버튼(20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감시영상을 운영스크린에 표시한다.
이때, 감시영상은 통합제어부(400)에 의해 설정된 프리셋(Preset)에 의해 동작된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이다.
프리셋은, 지정된 동작을 실시하도록 카메라(100)마다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복수의 카메라(100) 각각에 주변으로 설치된 비상버튼의 방향 및 거리에 대응한 PTZ(Pan/Tilt/Zoom)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설치된 비상버튼(200)에서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통합제어부(400)는 카메라(100)가 카메라 설치위치 및 비상버튼(200) 주변을 촬영하도록 등록된 프리셋으로 동작시킨다.
프리셋의 등록 방식을 예로 설명하면, 운용자는 통합관제센터(300)에서 카메라(100)를 원격으로 PTZ제어하여 원하는 지점의 영상을 최적화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조작한 후, 카메라(100)의 조작된 PTZ값을 조회하여 그 값을 기초로 하나의 프리셋으로 등록한다. 이때, 후술할 데이터베이스의 맵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등록하는데, 여기에서 촬영되는 지점의 위치정보는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의 좌표를 그 예시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카메라(100)는 유효 촬영 반경 내의 특정 지점들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교차로나 골목, 개방된 장소의 여부 등 주변의 환경이나 운용자의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리셋을 등록한다.
프리셋 설정은 비상버튼(20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100)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에 대한 프리셋(Preset)을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버튼(200)의 설치 위치를 향하는 주요 이동로 지점에 대한 카메라의 PTZ값을 가지도록 더 설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로, 통합제어부(400)에서 비상버튼(200)에 의한 호출신호 수신 시, 비상버튼(200)주변의 5대 카메라(100)가 호출신호가 발생된 비상버튼(200)의 위치로 프리셋을 동작하도록 설정된 경우, 주변의 5대 카메라가 호출신호 발생 장소를 향해 PTZ 제어되더라도 일부 카메라는 주변 건물이나 지형 등에 의해 불가시 우려가 있어 이에 효과적으로 관제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특정 카메라(100)는 호출신호가 발생된 비상버튼(200)과 연결되는 주요 이동로 등으로 촬영 지점을 설정하는 방식의 프리셋으로 운영된다.
이는 호출신호가 발생된 비상버튼(200)과의 가까운 거리가 중요함은 물론이지만, 통합제어부(400)에 의해 비상버튼(200)에 대응하여 동작되도록 설정된 카메라(100)가 건물이나 자연물에 의해 이벤트 발생 지점을 직접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이벤트 발생 지점과 연결되는 주요 이동로를 촬영 지점으로 프리셋을 설정함으로써 추가적인 영상 확보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른 프리셋 설정의 예시로, 상기 비상버튼(20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100)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를, 상기 특정 카메라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셋 중, 호출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과 최단거리를 가지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하도록 더 설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통합제어부(400)는 맵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비상버튼(20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100)를 각각 호출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으로 동작시키게 되는데, 프리셋으로 등록된 촬영 지점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면 비상버튼 버튼(200)과 가장 가까운 프리셋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수의 프리셋 중, 비상버튼(200)에 인접된 위치에 대한 PTZ의 프리셋으로 카메라(100)를 동작시켜 신속한 감시 영상 수집이 가능해진다.
이는, 통합제어부(400)을 통해 이벤트 발생에 대비하여 카메라(100)의 촬영 지점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주요 감시 지점으로 카메라(100)를 직접 제어하여 감시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대체하여 이벤트 발생 지점에 대한 증거영상의 확보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사건 처리에 대한 효율이 대폭 개선된다.
앞선 설명에서 비상버튼(200)을 통한 호출신호의 발생의 경우의 통합 관제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비상버튼(200)에 의한 호출신호의 발생이 아니더라도, 감시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운영자의 인지에 의해 사건 발생의 알림과 검거 시스템의 발령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영자는 인지된 사건 발생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수집된 감시영상을 재탐색하여 현장 처리반에 사건 관계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현장 대응을 실시한다.
위 설명과 같이,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통합관제센터(300)의 운영스크린에는 카메라(100)의 실시간 수집영상을 팝업(Pop-Up)창을 활성시켜 표시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팝업창의 개수는 통합관제센터(300)의 운영요원이 설정한 수로 활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출신호 발생 시, 활성된 감시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의 예시도에서 7개의 팝업창에 감시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기 설정된 수의 팝업창이 활성되는 것이지만 운영 중에도 팝업창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호출신호 발생지역과 관련도가 낮은 위치 즉, 사건 발생 지점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영상을 운영스크린에서 표시하는 것에 대한 우선순위를 낮춰 운영요원의 모니터링 가능한 적정한 개수의 화면을 활성시켜 사건 발생 지점의 정밀한 감시가 가능해진다.
통합관제센터(300)의 운영스크린에 표시되는 감시영상은 다양한 사이즈의 분할 출력과, 듀얼 모니터와 같은 복수의 영상기기에 출력을 지원한다.
그리고, 저장된 감시영상을 검색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재생시간 조정, 재생 속도의 가변, 특정 영상의 확대 및 출력을 실시하여 현장 처리반에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관제센터(300)의 통합 제어부(400)에서 송신한 감시영상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500)를 더 포함한다. 이는 통합 제어부(400)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500)로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감시영상을 전송한다. 이를 현장처리반에서 모바일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감시영상을 확인하고 조속한 현장대응을 실시한다.
통합관제센터(300)에서는 필요에 따라 현장 처리반의 위치를 GIS에 기반하여 실시 파악하고 이벤트 발생 지점과 근접한 몇몇의 현장 처리반에 즉각적인 현장 대응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500)에서는 동시 다발적인 이벤트 발생시, 특정 장소를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시영상과, 통합운영센터(300)로부터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에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500)는 차량 부착형태로 구성하거나 휴대하여 도보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단말기에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다. 단, 제2 통신망(620)에 호환 가능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야 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제1 통신망(610)은, 신호 데이터의 쌍방통신이 이루어진다. 카메라(100)로부터 수집한 감시영상과 비상버튼(200)을 통해 생성된 호출신호를 통합관제센터(300)로 전송하는 역할과, 통합관제센터(300)에 설치된 통합 제어부(400)를 통해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카메라(100)에 PTZ(Pan Tilt Zoom)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특정 위치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확대 및 축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감시하는 지역이 박물관이나 전시장 같은 비교적 소규모의 장소일 경우, 제1 통신망(610)은 케이블 직접연결 방식을 통한 신호 데이터 교환, 도심의 관할 지역구와 같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의 감시 및 추적은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100)와 비상버튼(200)은, 고유번호 또는 할당 주소를 갖는 슬레이브 장치로 적용되고 운영프로세서(410)는 마스터 장치가 되어 주소 지정을 통한 신호 데이터의 전송이 실시되는 것이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500)의 일차적 기능은 감시영상의 수신에 있으므로 제2 통신망(620)은 반드시 쌍방통신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물론 모바일 단말기(500)를 소지한 현장처리반과 통합관제센터(300)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쌍방통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4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통합 제어부(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운영프로세서(410), 통신부(420), 영상처리부(430), 음성처리부(440), 중계부(450) 및 데이터베이스부(460)를 포함한다.
운영프로세서(410)는, 통합 제어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제어와 관리가 실시되는 것으로 운영PC이다. 운영P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영요원의 수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시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용 프로세서, 영상데이터와 사건관련기록, 맵 정보 및 카메라의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변경된 요소에 대한 갱신 등의 정보의 기록을 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서, 중계관리 프로세서 등으로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운영될 수 있다.
통신부(420)는 통합관제센터(300)에서 카메라(100) 및 비상버튼(200)간에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제1 통신부(610)의 설명에 그 기능을 설명하였으므로 추가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처리부(430)는 운영스크린에 표시되는 감시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월 컨트롤러(Wall Controller), 빔프로젝터, RGB Matrix, RGB 라우터, 비디오&DVD 등을 구성한 것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의 입력과 출력을 원하는 개수로 조절하고,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화면 제어가 실시된다.
추가적으로는 카메라(100)의 현장 PTZ 제어가 포함된다. 여기에서의 PTZ 제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영상의 일측에 카메라 제어용 화면을 활성시켜 마우스와 같은 보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감시방향과 화면배율을 조절한다. 앞서 프리셋으로 설명한 카메라(100)의 촬영 지점으로 자동 제어된 이후, 운용자는 카메라(100)를 원격에서 수동으로 PTZ 제어하며 추적 및 감시를 실시한다.
음성처리부(440)는, 통합관제센터(300)와 모바일 단말기(500)를 소지한 현장처리반과 교신하기 위한 유무선 마이크와 마이크 컨트롤러, 마이크 무선 리시버, 오디오 믹서, 스피커, 이퀄라이저 및 앰프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중계부(450)는 감시영상을 모바일 단말기(500)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허브, 방화벽, 중계서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부(450)에 대한 추가설명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합관제센터(300)는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관, 예를 들어 지역구 경찰서에서 운영하며 직접 관리가 실시되는 형태로 구축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통합관제센터(300)를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운영 및 관리하고 서비스 의뢰업체에 상시 감시영상과 사건발생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의뢰업체에서 감시영상을 중계받아 자체적으로 지역관제센터를 운영하는 실시형태이다.
이때, 지역관제센터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되고 통합관제센터(300)가 서버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의 네트워크는 분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카메라(100)가 IP기반으로 동작할 때 네트워크 부하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클라이언트가 되는 지역관제센터에서는 통합관제센터(300)에 구성된 통합 제어부(400)의 부분적인 제어 권한이 부여되어 카메라(100)의 PTZ 제어와,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된 감시영상정보의 재탐색 및 중계부(450)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500)에 감시영상의 전송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중계부(450)와 데이터베이스부(460)를 복수로 구성하는 이중화 운영과, 무정전 전원 공급기 등을 구비하여 데이터 제공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구성한다.
도 5는,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6는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설치 지점이 표시되는 운영 스크린의 예시도이며, 도 7은 위치정보와 맵정보에 기반하여 현장처리반의 사건 발생지점까지의 이동경로와 거리를 표시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로서, 통합관제센터(300)의 운영스크린에 표시되는 감시 추적 방식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것처럼 운영스크린은 맵지도 상에 사건 발생지점이나 감시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통합관제센터(300)는 카메라(100)와 비상버튼(200)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맵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60)를 더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400)는 데이터베이스(460)를 참조하여 호출신호를 전송한 비상버튼(200)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비상버튼(200)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영스크린에 상기 비상버튼(200)의 설치 위치가 표시된 영상 지도를 출력한다.
이로써 운영요원은 호출신호의 수신 시, 자동으로 표시되는 사건 발생 지점을 즉각 확인하고, 이동객체의 이동에 따른 수동추적 또는, 실시간으로 영상 분석을 통한 지능형 자동추적을 실시한다.
이때, 맵 정보를 이용하면 감시대상의 예상이동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앞서 설명한 이동객체의 추적결과를 맵 정보에 반영하면 시간별 행적 위치와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어 어린이 안심 통학 서비스와 같은 인프라 구축에 적용 및 실시가 용이해 진다.
또한, 통합 제어부(400)는 데이터베이스(460)를 참조하여 호출신호가 검출된 설치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100)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영상 지도상에서 카메라(10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해당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을 표시한다.
감시 리스트에 활용에 따라 감시영상이 출력된 운영스크린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460)에는 복수의 카메라(100)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여 등록한 감시 리스트가 기 저장되어있어, 통합 제어부(4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460)에 등록된 감시 리스트를 운영스크린에 표시하고, 운영스크린에 표시돤 감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감시 리스트에 대응하는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한다.
감시 리스트의 예로, 등하교 시간대의 학교별, 야간 취약지점, 출퇴근 교통 혼잡지역 등의 목적별, 기관별, 특정지역별 그룹 리스트를 등록하여 운영할 때, 통합관제센터(300)의 운영요원은 감시리스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장소의 감시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감시 및 추적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카메라 200: 비상버튼
300: 통합관제센터 400: 통합 제어부
410: 운영프로세서 420: 통신부
430: 영상처리부 440: 음성처리부
450: 중계부 460: 데이터베이스부
500: 모바일 단말기 610: 제1 통신망
620: 제2 통신망
300: 통합관제센터 400: 통합 제어부
410: 운영프로세서 420: 통신부
430: 영상처리부 440: 음성처리부
450: 중계부 460: 데이터베이스부
500: 모바일 단말기 610: 제1 통신망
620: 제2 통신망
Claims (8)
-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기 설정된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버튼; 및
영상이 표시되는 운영스크린과, 원격으로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상기 비상버튼이 설치된 지점으로 PTZ(Pan/Tilt/Zoom)제어하여, 제어된 카메라의 PTZ (Pan/Tilt/Zoom)값을 기초로 상기 비상 버튼이 설치된 지점을 촬영하도록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셋(Preset)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 스크린에 표시하는 통합 제어부를 갖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출 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의 지점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다각도에서 촬영하도록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를 각각 상기 호출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시키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센터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맵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를 전송한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영스크린에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가 표시된 영상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검색된 상기 비상 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영상 지도상에서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에서는,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에 대한 프리셋(Preset)을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버튼의 설치 위치를 향하는 주요 이동로 지점에 대한 카메라의 좌우방향(Pan), 상하방향(Tilt), 줌(Zoom) 값을 가지도록 더 설정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는,
상기 비상버튼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순의 기 설정된 개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특정 카메라를, 상기 특정 카메라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셋 중, 호출신호가 수신된 상기 비상버튼과 최단거리를 가지는 프리셋(Preset)으로 동작하도록 더 설정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감시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된 감시 리스트가 등록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감시 리스트를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돤 상기 감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감시 리스트에 대응하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운영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249 | 2013-04-01 | ||
KR20130035249 | 2013-04-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247A KR20140120247A (ko) | 2014-10-13 |
KR101483949B1 true KR101483949B1 (ko) | 2015-01-21 |
Family
ID=5199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1729A KR101483949B1 (ko) | 2013-04-01 | 2013-10-14 | 통합 관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9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275B1 (ko) * | 2015-05-22 | 2015-12-21 | 주식회사 사라다 | 위험객체 위치추적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범보안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0597B1 (ko) * | 2015-01-07 | 2015-05-27 | 주식회사보다텍 | 전 방향 터치패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 시스템 |
US10587844B2 (en) | 2015-02-17 | 2020-03-10 | Innodep Co., Ltd. | Image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dynamically allocated camera image,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KR101604651B1 (ko) * | 2015-07-01 | 2016-03-18 | 렉스젠(주) |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
KR101697754B1 (ko) * | 2016-03-08 | 2017-01-18 | 강원식 | 이벤트 기반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2402778B1 (ko) * | 2021-07-21 | 2022-05-30 |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멀티 연결 비상벨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6631A (ja) * | 1997-05-28 | 1998-12-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監視カメラの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
KR100769562B1 (ko) * | 2007-06-19 | 2007-10-23 | (주)유셀네트웍스 |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
KR20120125688A (ko) * | 2011-05-09 | 2012-11-19 | 마명철 | 무선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원격관제시스템의 비상벨 신호 제어장치 |
-
2013
- 2013-10-14 KR KR20130121729A patent/KR101483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6631A (ja) * | 1997-05-28 | 1998-12-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監視カメラの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
KR100769562B1 (ko) * | 2007-06-19 | 2007-10-23 | (주)유셀네트웍스 |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
KR20120125688A (ko) * | 2011-05-09 | 2012-11-19 | 마명철 | 무선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원격관제시스템의 비상벨 신호 제어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275B1 (ko) * | 2015-05-22 | 2015-12-21 | 주식회사 사라다 | 위험객체 위치추적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범보안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247A (ko) | 2014-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15748A1 (en) |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 |
KR101483949B1 (ko) | 통합 관제 시스템 | |
KR101321444B1 (ko) | Cctv 모니터링 시스템 | |
US960750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 |
US8988252B2 (en) | Traffic event monitoring | |
KR101345270B1 (ko) |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
EP220179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s | |
KR100997497B1 (ko) | 자동감지/촬영기능을 구비한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 |
JP5715775B2 (ja) |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監視方法 | |
WO2017115598A1 (ja) |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773130B2 (ja) | 映像収集システム、映像収集サーバ、映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392628B1 (ko) |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 |
CN106097220A (zh) | 一种预案调派方法及装置 | |
KR101005568B1 (ko) | 지능형 방범 시스템 | |
JP6533814B2 (ja) | 双方向型情報配信システム | |
CN105160836B (zh) | 一种社会综合公共安全主动防范系统 | |
RU2693926C1 (ru) |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бъекты, представляющие интерес, и выполняемые ими процесс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 |
KR101250956B1 (ko) | 자동 관제 시스템 | |
RU99221U1 (ru) |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 |
CN107657567A (zh) | 一种要地安保指挥系统 | |
KR101075874B1 (ko) | 영상전송장치 | |
JP2002165211A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に防犯監視システムの基本機能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 |
KR102445896B1 (ko) |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 |
KR101383583B1 (ko) |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 |
KR200411295Y1 (ko) |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