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66B1 -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66B1
KR102111566B1 KR1020190085683A KR20190085683A KR102111566B1 KR 102111566 B1 KR102111566 B1 KR 102111566B1 KR 1020190085683 A KR1020190085683 A KR 1020190085683A KR 20190085683 A KR20190085683 A KR 20190085683A KR 102111566 B1 KR102111566 B1 KR 10211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information
environmental
matrix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강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to KR102019008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66B1/ko
Priority to KR1020200049068A priority patent/KR102252017B1/ko
Priority to KR1020200049067A priority patent/KR102252007B1/ko
Priority to KR1020200049069A priority patent/KR102268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66B1/ko
Priority to US16/909,386 priority patent/US202100196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환경, 인력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리스크 판단, 평가 및 후속지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Multi-Dimensional Risk Matrix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차원(3차원 등)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환경, 인력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리스크 판단, 평가 및 후속지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안전관리와 관련하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리스크 관리는 이해가 쉽고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건설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외 건설기업에서는 과거부터 리스크에 관심을 가지고 기초적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발전시켜 왔으며, 현재에는 기업별로 정교하게 구축된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리스크 관리 방법은 편의성을 강조하다 보니 관리항목이 많이 단순화되고, 리스크 수준을 평가하기 보다는 리스크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리스크 관리 방법은 핵심적인 리스크 요인을 선별하기 어렵고, 관리 방법의 다양성이 미흡하여 실무적으로 가치 있는 리스크 관리 방법 또는 리스크 해소 방법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075063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379407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71157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공사에 주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공정, 환경, 인력에 대한 리스크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산정하여 해당 공정의 실질적인 리스크를 산출할 수 있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의 체감 평가를 반영하여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계화되는 일반요인에서 무시될 수 있는 개별 요인을 추가적으로 검토하도록 특수요인을 반영시킬 수 있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공정, 외부환경 및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설비요인 평가단계, 상기 설비요인과 기 수집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공정PI산출단계, 및 상기 공정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환경PI산출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환경요인이 반영된 환경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인력PI산출단계,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상기 역량지수와 기 수집된 특수인력요인이 반영된 인력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 및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3차원으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비요인 평가단계는,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개별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개별설비요인을 평가하는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 및 복수의 설비로 이루어진 집합 설비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집합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설장비 사고 발생 유형, 빈도, 설정된 기간별 장비 사고 발생 건수 및 누적 건수, 표준적인 사용연한, 주요 구성 부품별 내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에서 개별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사고 정보와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개별설비용인의 평가에 반영하고, 상기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장 내 건설장비 간 접촉이나 충돌, 전도 사고 등으로 발생한 사고 발생 이슈를 사건사고 정보별로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집합설비요인의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공정요인은, 상기 공종, 상기 공정,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된 상기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의 자체적인 속성 정보, 과거 사고 이력, 공종 및 공정별 사고 통계정보를 포함하며, 개별 공종 및 공정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특수공정요인은, 선택된 공종 및 공정에 외부 환경조건 및 상기 설비요인을 반영하여 산출된 해당 공종 및 공정의 설비 리스크를 포함하되, 설정된 영역 내의 공정 리스크와 상기 외부 환경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도록 건설장비의 상태 및 유지보수 상태, 현재 건설현장의 지반 상태, 지표 상태, 현장의 경사도, 주변지 상태를 포함하는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 및 외부 환경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개별 공정 자체의 리스크에 대한 공정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공정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현장 작업자 및/또는 작업조직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해당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공정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개별설비요인 반영을 통해 확인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설비 비교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비교 지표는 상기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에서 수치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가 실제로 투입되는 건설장비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수반되는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공종 선택 이전에,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환경에 의해 재해 사항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환경요인은, 상기 공종, 상기 공정, 및 상기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건설현장의 지리적 정보, 계절, 기온, 강수량,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된 공종 및 공정별 환경 변수와의 상관관계, 및 작업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위험도가 높은 환경 변수가 과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특수환경요인은, 공정이 진행되는 선택된 지역의 실시간 환경 정보가 현재 수행과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변수는 수행과업이 진행되는 지역의 고도, 위치, 광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세부적으로 차별화되어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구간별 환경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환경 정보의 평균값에 따른 리스크에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건설현장 자체의 환경 리스크에 대한 환경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환경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공종 및 공정별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리스크 정보와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기상기후 조건에 따른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환경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외부 환경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공종 선택 이전에,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환경에 의해 재해 사항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인력요인은,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어지는 작업장소에 따라 선택된 공종 및 공정의 유형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에 투입되는 통계적인 작업인력의 속성, 수행과업별 필요 인력 수, 작업 필요 공간, 및 장비 연계 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직급별, 역량 수준별 직무기술에 따른 표준 성과 지표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정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특수인력요인은, 상기 인력역량 평가단계의 평가결과를 기초로, 개별 인력 및/또는 조직이 배치된 건설 공정 내 작업 환경이나 작업 부하, 노동 시간, 신체 상태, 환경에 따른 상태 위험 발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단위 공정에 참여하는 개별 인력에 대한 개별적 고려가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력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 및 수행과업에 투입되는 작업인력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인력 자체의 리스크에 대한 인력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인력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력역량 평가단계는, 개인역량을 평가하여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하는 개인역량 평가단계; 및 조직역량을 평가하여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조직역량 평가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역량 평가단계에서는, 신체역량지수 및 업무역량지수를 이용하여 개인의 일반 인적사항 및 특수 인적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상기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조직역량 평가단계는, 투입 입력을 입력 및/또는 산정하는 단계; 투입 인력에 대한 역량지수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공정 자체 인력에 대한 이슈를 반영시키기 위하여 공정 환경 요인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력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현장 작업자 및/또는 작업조직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해당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인력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개별인력요인 반영을 통해 확인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투입되는 개별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신체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인력 비교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 비교 지표는 상기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에서 수치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가 실제로 투입되는 작업인력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인력 관련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력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설공정 및 외부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설비요인 평가단계, 상기 설비요인과 기 수집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공정PI산출단계, 및 상기 공정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환경PI산출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환경요인이 반영된 환경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 및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매트릭스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설공정 및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설비요인 평가단계, 상기 설비요인과 기 수집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공정PI산출단계, 및 상기 공정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인력PI산출단계,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상기 역량지수와 기 수집된 특수인력요인이 반영된 인력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 및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매트릭스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외부환경 및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환경PI산출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환경요인이 반영된 환경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인력PI산출단계,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상기 역량지수와 기 수집된 특수인력요인이 반영된 인력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 및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매트릭스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설공정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에 대한 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설비요인 평가단계; 상기 설비요인과 기 수집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공정PI산출단계; 상기 공정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 및 상기 발생확률(P), 상기 영향강도(I), 및 상기 공정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외부환경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PI산출단계;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 및 상기 발생확률(P), 상기 영향강도(I), 및 상기 환경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하는 인력PI산출단계;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 상기 인력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상기 역량지수와 기 수집된 특수인력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를 추가로 반영하는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 및 상기 발생확률(P), 상기 영향강도(I), 및 상기 인력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환경, 인력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리스크 판단, 평가 및 후속지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공사에 주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공정, 환경, 인력에 대한 리스크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산정하여 해당 공정의 실질적인 리스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체감 평가를 반영하여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계화 되는 일반요인에서 무시될 수 있는 개별 요인을 추가적으로 검토하도록 특수요인을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건설 “공종”이나 “공정”간의 간섭관계에 의한 위험도(리스크, Risk)를 사전에 판단 및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건설 현장 등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 변화(고도별 풍향, 풍속, 기온, 강우, 강설 등 기상정보 등 포함), 투입되는 현장 작업 근로자의 상태(건강, 역량, 경험, 신체조건 등) 등 현장조건의 변동으로 인한 작업기간의 변경은 물론 각 “공종” 및/또는 “공정”별 잠재 위험도(리스크)를 정량적(일 예로 matrix 형태)으로 진단 및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자체가 가지는 리스크에 대한 수치적 정량 평가만이 아니라, 공정-환경 연계, 공정-인력 연계, 공정-환경-인력 연계 등 보다 복합적인 건설현장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리스크)에 대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환산하여, 현장 관리자나 원격으로 복수개의 건설 현장 사이트를 실시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잠재적 리스크(위험도)을 토대로 사업계획 변경, 설계 변경이나 작업일정 변경, 추가 설비/인력 투입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있는 등 복수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 등 잠재적인 위험성(Risk)를 해당 건설현장별 개별 사업기간을 기준으로 현장 및/또는 원격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 및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인명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PI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예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PI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예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 PI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예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조직역량 평가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공정, 외부환경 및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은 공종을 선택하는 단계(S100), 공정을 선택하는 단계(S200),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된 작업장소를 선택하는 단계(S300),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00),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500),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종(Construction Type)”은 공사의 종류와 종목을 지칭하는 것이며, “공정(Progress)”은 각 개별 공종에 따른 개별적인 공사 과정(진도)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스크(위험도, Risk)”는 공종이나 공정에 본연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즉 공종 및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 건설현장 내부 및 외부 환경 요인, 작업 시간 조건, 작업 근무 형태 등에 따라 건설 작업 절차상의 실수(Procedural errors), 공종 및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 설비 등 건설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행상의 실수(Task execution errors) 및/또는 현재의 공종이나 공정의 안정적 수행에 필요한 사전 구비 요건의 불충족(Failures in meeting activity preconditions)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명 및/또는 재산상의 손실 등의 위험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스크(위험도, Risk)”는 “1~10”과 같은 스케일 범위 내 점수로 수치화(정량화)되거나, “상-중-하”와 같은 등급으로 생성되거나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Matrix)”는 공정별, 환경별, 인력별 요소에 따른 과거의 통계분석 결과에 기초한 리스크 값(수치), 건설현장에 구축된 센서 네트워크(및/또는 현장 관리자 등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하여 임의 값을 부여하는 현재 리스크 값(수치)이 될 수도 있다)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실시간 리스크 값(수치), 예측 알고리즘(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 예측에 따른 리스크 값(수치)을 기반으로 각각(즉, 일 예로 “공정”에 대한 리스크를 과거, 현재 및 미래 예측 값(수치)으로 각각 계산하고, 이를 3차원 벡터 형태나 3차원 그래프로 생성) 도시화 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Matrix)”는 공정(X축)-환경(Y축)-인력(Z축)의 종합적으로 도식화한 3차원 매트릭스나 2차원 등 다차원(Multi-Dimensions)의 그래프 등이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들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Matrix)”는 공정별, 환경별 및 인력별 요소 중 어느 2개를 상호 조합하여, 과거 리스크 값, 현재 리스크 값 및 미래 리스크 값(수치, 숫자)을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등의 다차원의 그래프나 좌표, 도표 등의 형태로 생성된 이미지 자료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단계 S100에서는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공종(Construction Type)을 선택하고, 단계 S200에서는 공종에 따른 세부 진행사항인 공정(Progress)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단계 S100 및/또는 단계 S200에서는 개별적인 공종 및 공정에 대해 순차별 또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등에 따라 세부 순번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단계 S100 및/또는 단계 S200는 건설 공사 세부 명칭, 건설 공사 담당자/작업자 성명, 건설 공사 세부 일정, 건설공사 투입 자재,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건설공사 캐드(CAD)나 3차원 빌딩 정보 모델링(BIM) 등과 같은 데이터, 공종 및 공정별 공사비 내역, 건설 공사 공정 등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거나 전달받아 저장하고 연산이나 가공 등에 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300에서는 작업장소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작업장소는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포괄적인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단계 S300는 작업장소가 실내 인지 실외 여부에 따라 기온, 강우, 풍속, 풍향 등 외부 환경 요인을 크게 받게 되며, 이에 따라 리스크도 변화되는 부분을 고려한 단계이다.
따라서 단계 S300를 통해, 현장 관리자 등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거나 덜 받는 실내(일 예로 건축 중인 구조물 내부, 터널 내부 등)에서는 비나 바람, 기온의 영향이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공정 자체의 리스크가 아닌 외부환경에 따라 발생 가능한 추가적인 리스크는 제한적인 상황일 경우, 작업 현장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거나 배제하는 등의 수단을 통해 공정별, 환경별 및/또는 인력별 리스크 값(수치)를 수정하거나 변경,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실외 공정인 경우, 일 예로 비가 오는 동안에는 외부 도장 작업이나 용접 등의 작업에 제약이 발생하며, 고온 등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게 되는 부분 등을 감안하여, 현장 관리자 등은, 단계 S300에서, 공종이나 공정 자체의 리스크 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가중치나 중요도를 수치화(정량화) 된 리스크에 더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S300를 통해, 현장 관리자 및/또는 원격 관리자 등은 같은 공종 및 공정상의 건설 작업이라도, 내외부 환경 조건 및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고려되어야 할 리스크를 보다 사전적,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에 대한 보다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 S400은 건설공정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설비요인 평가단계(S410), 일반공정요인 매칭단계(S420), 공정PI 산출단계(S430), 특수공정요인 매칭단계(S440),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S450), 및 공정(Activity)축 생성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2를 더 참조하여 단계 S4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410에서는 단계 S200에서 선택된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에 대한 설비요인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410은 공정에 투입되는 개별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개별설비요인을 평가하는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 및 복수의 설비로 이루어진 집합 설비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집합설비요인을 평가하는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S414)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공종/공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과거의 공종/공정에 투입된 개별설비 및/또는 집합설비에 대한 평균 데이터(통상 동일, 유사한 공정에 투입된 설비의 사용연수, 점검상태 등, 이하 후술)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거 통계 데이터는 이후 현재에 투입되는 개별/집합설비의 상태 등을 반영하여 공정체감도(S)를 결정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다.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는 공종 선택(S100), 공정 선택(S200) 및 작업장소선택(S300)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이후, 해당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실내외)의 특성과 상황, 공사 진척 상황에 맞는 건설장비(굴착기, 불도저, 타워크레인, 로더, 지게차, 스크레이퍼, 덤프트럭 등)가 자동 또는 선택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에서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각각의 건설장비 종류별 평균적인 사고 발생 이슈, 즉 건설장비 사고 발생 유형(일 예로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픽케이지 등의 상부 구조물 붕괴, 지브 파단, 자재 낙하 등), 빈도, 설정된 기간별 장비 사고 발생 건수 및 누적 건수, 표준적인 사용연한, 주요 구성 부품별 내구성 등 건설현장에서 개별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 정보와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를 자체 DB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S414)는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에서 반영된 개별 건설장비들 간의 상호 영향 강도를 통해 리스크의 가중 또는 저감을 반영할 수 있는 단계이다. 즉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S414)는 공종 선택(S100), 공정 선택(S200) 및 작업장소선택(S300)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이후, 반영되는 개별 건설장비가 작동(회동)하는 범위, 현장 건설 현장 내 이동하게 되는 주요 동선 및 제1 건설장비(일 예로 타워크레인) 작업 반경 이내 제2 건설장비(일 예로 수평면에서 다른 타워크레인, 수직면에서 아래쪽에 덤프트럭이나 다른 건설장비가 이동 내지 주차 등)가 위치하거나, 이동 및/또는 가동에 따른 상호 영향 관계 및/또는 설정된 영역(범위) 내에서 제1 건설장비가 이웃하는 제2 건설장비 간의 작동, 이동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리스크를 반영할 수 있는 단계이다. 즉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S414)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현장 내 건설장비 간 접촉이나 충돌, 전도 사고 등으로 발생한 사고 발생 이슈를 사건사고 정보별로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를 자체 DB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는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선택에 따라 반영되는 개별 건설장비에 대한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리스크를 전달 및/또는 입력 받을 수 있는 단계이며,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S414)는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S412)를 통해 도출되는 개별 설비들의 건설 현장 설치 위치 및/또는 주요 이동 동선, 작업 범위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가 설정된 범위(건설 현장 내)에서 작동 및/또는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 재산적 사고 등에 대한 리스크를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달 및/또는 입력 받을 수 있는 단계로 볼 수 있다.
다음, 단계 S420에서는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 선택에 따른 공정상의 리스크 정보를 생성 및/또는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설비요인(S412 및/또는 S414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정보) 역시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공정요인 단계(단계 S420)는 공종, 공정,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의 자체적인 속성 정보, 과거 사고 이력, 공종 및 공정별 사고 통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종, 공정별 인명/재산상의 사고에 대한 통계적 정보는 KOSHA Code(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에 관한 지침)이나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등에 의해 정의된 표준화된 공종에 따른 과거 통계자료(DB, 일 예로 한국산업안전공단,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이거나 건설사, 지자체, 정부 등이 이미 확보하고 있거나, 현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일반공정요인 단계(단계 S420)는 과거의 통계자료 이외 추가적으로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국내외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공정 자체의 속성(터널 굴착 공사의 경우 암반 폭파에 의한 사고나 터널 굴착에 따른 붕괴, 터널 굴착을 위한 장비의 운용에 따라 발생 가능한 위험 이슈 등 개별 공정이나 해당 공정에 포함한 개별 공사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를 지칭한다. 이는 이하 후술한 환경 자체의 속성, 즉 터널 굴착 대상이 되는 암반의 연약상태나 지하수의 존재 여부, 외부 기상정보 등에 따른 환경에 따른 위험 이슈 등 외부 환경이슈를 지칭한다. 또한 후술할 인력 자체의 속성은 개별 공정, 공사에 참여하는 인력별 또는 개별 인력들의 집합체인 단위 유닛 등의 신체상태 등에 기인한 위험 이슈에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에 기인한 실시간의 건설사고 발생 및 사고 원인과 피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반영하여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공정요인 단계(S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공종 및 공정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단계 및 과정(“공정 리스크 회피설계단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 관리자가 현재 또는 가까운 시일 내 진행해야 할 건설현장 작업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430은 공정PI 산출단계로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 Probability)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 Impact)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확률(P) 및 영향강도(I)는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건설현장 내 건설사고 발생 가능성(P)과 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 강도(I)를 의미하며, 건설 공종, 공정별 중대재해(인명 사고 등) 등 재해사고 발생확률과 공종별/공정별/작업장소별 재해사고 발생에 따른 손실액을 수치적, 금전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공정PI 산출단계(S430)에서는 공종별/공정별 및 작업장소의 상태 등에 따라 발생된 과거 재해사고와 관련된 통계정보에 기반한 것으로써, 선택된 각 개별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 등의 다차원 축으로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해서 공정PI 산출단계(S4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건설 공종에 따른 공정 PI값, 즉 세부 공정별 리스크 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PI 산출단계(S430)는 각 공종별 개별 세부 공정에 대한 과거 재해사고 발생확률(P) 및 재해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 금전적 수치로 표시 가능)을 각각 도출(도 2A(a))한 이후, 각 공종 및/또는 공정, 세부 공정별 PI값을 종합적으로 산출(도 2A(b))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해당 건설현장별 전체 공종을 통합하여 공정 PI가 산출될 수도 있다(일 예로 공종별로 도시되는 도 2A(b)와 같은 그래프가 공종별로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개의 공종별 그래프가 겹쳐지거나 합쳐져 나타나도록 하여 해당 건설현장의 전체 공종에 따른 공정 PI가 산출되는 형태 등).
또한 이와 달리(또한 함께) 전술한, 공정 PI결과값의 데이터는 1~10 스코어 등 스케일로 수치화 된 값으로도 생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440에서는 선택된 공종, 공정에 따라 실제로 투입되는 설비요인이 반영된 특수공정요인 단계를 지칭한다.
특수공정요인 단계(S440)에서의 특수공정요인은 선택된 공종 및 공정에 외부 환경 조건(작업장소 선택 정보 반영) 및 공정별로 실제 투입 건설장비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건설장비들의 조건을 지칭하는 것이다. 일 예로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된 타워크레인의 건설기계 등록 여부, 안전검사(정기 및 수시검사) 확인 여부, 확인 시점 및 주기, 제작연도, 제작 및 관리운영 업체, 사고 이력, 타워크레인의 설치(상승), 해체 작업자의 자격 여부(제관기능사/비계기능사 등) 및 경력/이력 정보, 투입될 타워크레인 조종사의 면허 소지 여부 및 경력/이력, 설치 타워크레인의 접지면인 지반의 상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즉, 특수공정요인 단계(S440)는 실제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각종 건설장비들의 개별 이력과 설정된 작업 진행을 위해 사전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는 설치 등과 관련된 사전요소들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현장 관리자 등에 의해 입력 받거나, 개별 장비에 설치된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전송받아 입력, 관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특수공정요인(As-IS 정보 반영)은,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종/공정에 따라 투입되어 왔던 건설장비 및 공종/공정 자체의 본연의 재해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일반공정요인과 달리,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타워크레인 등의 건설장비의 상태 및 유지보수 상태, 현재 건설현장의 지반 상태, 지표 상태, 현장의 경사도, 주변지 상태 등과 같은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반영, 수치화할 수 있는 차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공정요인 단계(S440)는, 개별설비요인 단계(S412)를 통해 확인된 공종/공정/작업장소에 따라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 등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별도의 “설비 비교 지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비 비교 지표”는 이하에서 설명할 S(체감도) 입력 단계(S450)에서 수치 등으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 등이 실제로 투입되는 건설장비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 등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통상적으로 투입되는 타워크레인 대비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타워크레인이 최근 생산되고, 실린더 받침대가 고정되는 마스트 수평지지대 등의 구조가 더 강화, 보강되어 기존 통상 사용되는 기존의 타워크레인 대비 내구성과 안전성이 더 높을 경우, 특수공정요인 단계(S440)에서 생성되는 “설비 비교 지표” 상에는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평점을 부여하고, 이렇게 부여된 평점이 S(체감도) 입력 단계(S450)에서 제시되도록 하여 현장 관리자 등이 체감도 입력 단계에서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더 완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설비 비교 지표”는 1~10과 같은 스케일 단위로 표기될 수 있다. 만약 기존 사용 건설장비 대비 내구성 등이 우수한 신규의 건설장비 등을 투입하게 되는 경우, 단계 S420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의 실행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수공정요인 단계(S440)는 설정된 지역/구역/영역/범위 내 공정의 리스크(해당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의 점검, 설비 역량평가 등)와 외부 환경 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반영한 공정 내 특정 지역/구역/영역/범위 별 리스크를 산출하도록 하되, 현재 및/또는 미래의 외부 환경 조건 정보를 반영하여 공정별 실시간 및/또는 예측 리스크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합설비요인 단계(S414)에서 평가된 통상적으로 공종/공정별 투입되는 복수개의 설비의 운용 조건에 따른 건설정비(설비) 간의 배치 및 이동, 작동 동선에 따른 수평/수직면상의 접촉 등의 사고 발생 평균값(과거 데이터 기반)과 실제 평가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에 투입된 건설장비들 간의 배치 및 이동, 작동 동선에 따른 수평/수직면상의 접촉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현재 상태로 현장 관리자의 입력 또는 개별 장비에 부착되거나 현장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입력 받는 데이터 기반)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설비 비교 지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 비교 지표”는 건설현장 내 설치된 가상센서 등과 연동되어, 외부 기상환경(풍속, 풍향, 외기 온도, 습도, 강우 등)에 따른 개별/집합 건설장비들의 배치 및 이동, 작동상의 제약이나 접촉 등의 사고 발생성에 대한 예측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비교(과거-현재-미래)하는 지표로 생성되고, 이러한 지표가 S(체감도) 입력 단계(S450)에 고려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450에서는 개별 공정 자체의 위험도(리스크)를 관리자 등이 현 시점에서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체감도, Sensory Level, significance) 입력 단계를 지칭한다.
즉, 단계 S450에서는 현장 관리자 등으로부터 개별 공정 자체의 리스크에 대한 공정체감도(S, Sensory Level/Significance)를 과거의 통계 데이터(PI 값, S430 단계를 통해 도출)와 특수공정요인(S410)에 기반한 현재 및/또는 미래 예측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비교 판단(“설비 비교 지표” 등이 함께 평가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하여 현장 관리자나 원격의 사업 관리자 등이 입력할 수 있다. 다만, 객관적으로 수치화 되어 도출될 수 있는 과거 통계 데이터(PI 값, S430 단계를 통해 도출)와 달리 현장 관리자 등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한계점을 고려하여, S(체감도, Significance/Sensory Level) 입력 단계에서는 단계 S430에서의 평가 지표보다는 보다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오류를 줄이기 위해 평가 지표를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단계 S430에서의 평가 지표는 1~10과 같은 스케일로 평가 범위가 넓은 반면, 단계 S450에서는 상/중/하와 같이 평가 범위(간격)를 좁게 하여 평가자 별로 부여할 수 있는 선택 범위를 좁게 함으로써 평가자 별 관점 등에 따른 오차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정체감도(S)는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만 등급이 구분될 수 있으며, 현장 관리자 등은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 공정체감도(S)를 평가할 수 있으며, 공정PI 산출단계(S430)에서 도출된 PI결과값에 가감되어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S450단계에서는 이러한 공정체감도(S) 평가에 있어, 일반공정요인 단계(S420)에서 함께 도출, 제시되는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이 리스크 평가에 있어 실제 평가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에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 역시 반영되어 현장 평가자 등의 체감도(S) 평가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정체감도(S)는 전술한 회피과업의 실행 용이성, 실행자산 보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PI결과값에 가감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또는 별도로) PI값과 S값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460은 공정축 생성단계로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는 발생확률(P), 영향강도(I), 및 공정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에서는 벡터값을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정리하면, 단계 S400에서는 공종/공정별로 투입되었던 개별/집합 건설장비의 현황 및 해당 공정별 재해사고 등과 관련된 과거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발생확률(P) 및 영향강도(I)를 산출하여 각 공정 자체의 리스크를 산출하되, 관리자 등이 현 시점에서, 실제 개별 건설현장의 상황이나 개별/집합 건설장비의 현황 및 상태와 개별 공정 자체의 위험도(리스크)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실무적 정보인 심리적 체감도(S) 및 해당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건설장비) 리스크를 반영하여 실무적 활용도를 높인 공정축(X축)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공종/공정별 건설공사에 작업장소의 상태를 고려한 재해사고의 발생확률과 영향강도(손실액) 외의 리스크 속성들을 포괄할 수 있는 “체감도(significance)”항목을 추가하도록 하였고, 현장 관리자 등 평가자의 Risk 관리를 진행하는 평가자가 리스크의 중요성에 대해 직관적이며 종합적으로 체감하는 정도를 추가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 등 평가자는 각 리스크 시나리오에 대하여, 평가된 리스크 발생확률(P), 영향강도(I, 손실액 기준) 및 체감도 정보(S)를 기반으로 하는 PIS 정량화 기법에 의해, 해당 리스크에 대한 평가를 A, B, C, D, E로 구분하여 평가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1~10 스케일과 같은 범위로 공정 리스크를 평가하고 확인, 관리하거나 도 2B와 같이 3차원 등의 매트릭스로 평가를 보다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건설현장별 공종이나 하나의 특정 건설현장별 개별 공정에 대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는 공종 단위 또는 건설현장(Site) 단위로 그룹화하여 3차원의 리스크 매트릭스로 도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3차원 매트릭스의 예시는 도 2B(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와 같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크 매트릭스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공종 및/또는 개별 공정별로 발생확률(P), 영향강도(I) 및 체감도(S)를 각각 축으로 하는 3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과거 또는 현재의 실시간 관측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객관적으로 수치 값이 형성될 수 있는 발생확률(P)와 영향강도(I)와 관련된 축(Axis)에 해당되는 값은 1에서 10까지 범위 등으로 된 스케일(Scale)로 제공되는 반면, 관리자 등의 주관적인 수치 값이 반영되는 체감도(S)에 대응되는 축(Axis)에 해당되는 값은 관리자의 심리상태나 관리자별 판단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나 이슈 보정(즉 관리자별로 느낄 수 있는, 또는 생각하는 체감도(S)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리스크 매트릭스 전체 지표나 수치 값이 크게 상이해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보정)을 위해 상대적으로 변화의 폭이 적은 상/중/하 등 다른 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이나 스케일을 축소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등 리스크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하는 사용자, 관리자 등의 성향에 따라 리스크 매트릭스 결과값이나 중간 산출 값(리스크에 관련된 수치 값)이 크게 변화될 수 있는 한계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부분은 이하 설명할 도 3B나 도 4B에 대응되는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는 “교량” 공종에 대한 공정(Activity)요인 리스크 값을 산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확률(P)은 10점 기준으로 4.5점, 영향강도(I)는 10점 기준으로 5점, 체감도(S)는 상/중/하 중 “중”등급을 받았으며, 이러한 개별 값을 기준으로 3차원 벡터값(평균, 가중평균 또는 가감합산 등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산출되는 리스크 값)을 형성을 생성(도 2B에서는 6.5)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3차원 벡터값의 산출 방식은 별도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이나 계산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산출되거나, 발생확률(P), 영향강도(I), 체감도(I)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값에 대한 증감 상황을 감안하여 반영되어 산출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되어 도식화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이하 설명할 도 3B나 도 4B에 대응되는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2B, 도 3B 및 도 4B에 제시된 “현장”은 모두 “A site”라 표시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다양한 복수개의 현장(Site)에 대응되는 각각 개별적인 현장에 대응하여 리스크 매트릭스가 생성될 수 있는 부분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단계 S400 이후에는, 리스크 등급(또는 벡터값, 도 2B 참조)이 높은 개별 공정(또는 건설 현장(site)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회피과업 및 회피과업 실행을 위한 자원을 추천 및/또는 재배치하도록 하고, 이를 실시한 회피과업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거나 성과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축 생성 단계(S460)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수반되는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Pop Up)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Icon) 등이 함께 생성되는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여, 현장 관리자 등이 보다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는 팝업(Pop Up)이나 아이콘(Icon)은 3차원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의 3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3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눈에 띄는 색깔 등으로 관리자 등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리스크가 존재할 경우, 발생확률(P)이 높거나, 영향강도(I)가 큰 순서 등 미리 설정된 리스크의 위험순위에 따라 팝업창/아이콘의 크기나 점멸 횟수/강도, 표시 위치 등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관리자 등의 클릭(Click) 등에 따라 반응하여 크게 확대하거나 세부 리스크 내용을 열람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00)는 하나 또는 복수개 지역에서 진행되는 공종 및/또는 공정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지역을 설정된 패턴(일 예로 건설 공구, Construction Area/Zone 등으로 지역을 구획할 수 있다)으로 분할한 뒤, 각각 구획된 지역별로 각각의 공정 리스크를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산출하고, 각 구획된 지역별로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00)는 단계 S100에 앞서,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등이 이상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지반 침하 등 재해 사항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00)에서 언급된 PI(발생확률과 영향강도) 및/또는 S(체감도)의 산출 방식이나 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매트릭스(Matrix)나 축(X-Axis)과 관련된 대한 기본적인 프레임은 이하 후술할 환경축 생성 및/또는 인력축 생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500은 외부환경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일반환경요인 매칭단계(S510), 환경PI 산출단계(S520), 특수환경요인 매칭단계(S530),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S540), 및 환경축 생성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3을 더 참조하여 단계 S5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510에서는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일반환경요인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환경요인은 공종, 공정,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건설현장(site)의 지리적 정보 및 공종/공정별 작업 및/또는 공기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절 및/또는 계절에 따른 기온, 강수량, 풍속과 같은 포괄적인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환경요인은 대상 건설현장과 대응되는 지역(구역)에 대한 과거 기상기후 정보 데이터를 가반으로 구축된 DB 및/또는 기상청, 외부 서비스 제공업체 등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된 과거 기간 동안의 기상기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0에서 수집되는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조건에 대한 데이터는 건설현장의 지번 주소나 위도경도 좌표값, GIS 등을 기초로 상세한 위치정보를 특정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구획된 현장의 경우에도 복수개로 각각 대응), 이렇게 특정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현장에 대응되는 기온, 풍속, 풍향, 강우량, 미세 먼지, 강수 형태, 하늘 상태, 습도, 뇌전 상태, 지진 강도 등의 각종 기상기후 데이터를 입력/전달받아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510에서는 다양한 기상기후 정보를 유형별로(기온, 풍속 등) 정리하고, 설정된 기간(1개월, 6개월, 1년 단위 등) 내 기상재해(강풍으로 인한 구조물의 탈락, 폭우로 인한 지하 구조물 침수 등)의 발생 가능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산출된 이후, 해당 지역(건설현장)의 과거 기상기후 데이터를 기초로 통계적 이상 상황 발생 일수(Day)나 횟수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통계적 이상 상황 일수나 횟수를 점수화, 지표화 하여 해당 건설현장에서의 설정된 공기(공사기간) 동안 기상기후로 인한 공기지연이나 인명 및/또는 재산상의 손실 발생에 대한 과거 사건, 사고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산출된 기상기후의 유형별 발생 가능성 점수를 산술 평균하여 최종 발생 가능성 점수가 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기후기상 정보는 해당 건설현장의 고도별, 즉 고층 구조물 등이 건설되고 있을 경우 고도별로 상이한 풍속, 풍향이나 기온, 습도 등 기상기후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으며, 과거 기상기후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도별 기상기후 정보를 연직분포 형태로 변환하여 DB화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고도별 연직분포를 고려한 기상기후 정보는 기온의 경우, 표준대기의 단열감율 공식(-6.5℃/1000m)에 따라 기온의 고도별 변화량을 산정하거나, 건조단열감율은 -.8/km, 습윤단열감율은 -4.5/km로 감안할 수 있으며, 실제 대기의 상태는 평균적으로 기온감률을 6.5로 설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강우량의 경우, 연직분포가 동일한 것으로 산정될 수 있으며, 풍속의 경우, 건설현장의 지표면의 상태(녹지, 노지 등)나 주변 건물 등 구조물의 높이와 밀접도 등을 고려하여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충적으로 과거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건설현장 내외부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바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에 의해 다양한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가 보충적으로 수집되어, 전술한 평가 및/또는 분석, 산출 등에 함께 이용될 수 있다(고도에 따른 기상기후의 연직분포와 관련된 참고자료. 한국특허 제10-1,379,407호).
또한, 일반환경요인은 선택된 공종/공정별 환경 변수와의 상관관계 및 작업/공기 등에 환경 위험도가 높은 환경 변수가 과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공종 및 공정별에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칠 수 있는 기상기후 정보 등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리스크 정보와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기상기후 조건 등에 따른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단계 및 과정(“환경 리스크 회피설계단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 관리자가 현재 또는 가까운 시일 내 진행해야 할 건설현장 작업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500, 즉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이전 단계 S300에서 결정된 실내 또는 실외 등 공사 진행 장소에 대응하여, 전술한 일반환경요인이 상이하게 반영될 수 있다. 즉 실내 작업의 경우, 우천 등의 영향에 따른 리스크 발생이 없거나 감소하는 부분을 감안될 수 있으며, 실외 작업의 경우, 이상 고온이나 강풍 등에 대한 영향에 대한 리스크 가중치를 더 부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실외 또는 실내 작업 등에 대한 외부 환경정보에 따른 일반환경요인이 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외 작업의 경우, 기상기후 유형별로 “작업 위험 기준”을 미리 설정(일 예로 실외 기초용 철근 배근 작업의 경우, 기온이 38→ 이상일 경우, 작업을 중단하기로 하는 기준 등)할 수 있으며, 해당 건설현장과 대응되는 지역의 과거 기상기후 데이터의 통계 값을 기초로 각 유형별 “작업 위험 기준”을 초과한 일자나 횟수 등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환경요인(단계 S520)는 과거의 통계자료 이외 추가적으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국내외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에 기인한 실시간의 건설사고 발생 및 사고 원인과 피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반영하여 수집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520은 환경PI 산출단계로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과거 통계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구간별(단위 공종별/공정별, 계절별 등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산출 가능하다) 환경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환경 정보의 평균값(기온, 풍속, 강수량 등)에 따른 리스크에 과거 유형별 기상기후와 연계된 사고 및/또는 작업 위험 기준 등과 관련된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 등의 그래프나 이미지로 PI 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확률(P) 및 영향강도(I)는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조건에 의해 발생 가능한 건설현장 내 건설사고 발생의 가능성(P)과 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 강도(I)를 의미하며, 일 예로 강풍으로 인한 건축 중인 일부 구조물의 낙하나 타워크레인 상부 붕괴 등으로 인한 건설 공종, 공정별 중대재해(인명 사고 등) 등 재해사고 발생확률과 공종별/공정별/작업장소별 재해사고 발생에 따른 손실액을 수치적, 금전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및 도 3B를 참조해서 환경 PI 산출단계(S5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공종에 따른 환경 PI값, 즉 세부 공정별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리스크 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PI 산출단계(S430)는 각 공종별 개별 세부 공정에 대한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요인에 의한 과거 재해사고의 발생확률(P) 및 재해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 금전적 수치로 표시 가능)을 각각 도출(도 3A(a))한 이후, 각 공종 및/또는 공정별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세부 환경 PI값을 종합적으로 산출(도 3A(b))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해당 건설현장별 전체 공종을 통합하여 환경 PI가 산출될 수도 있다(일 예로 공종별로 도시되는 도 3A(b)와 같은 그래프가 공종별로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개의 공종별 그래프가 겹쳐지거나 합쳐져 나타나도록 하여 해당 건설현장의 전체 공종에 따른 환경 PI가 산출되는 형태 등).
또한 이와 달리(또한 함께) 전술한, 환경 PI결과값의 데이터는 1~10 스코어 스케일 등으로 수치화 된 값으로도 생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530에서는 선택된 공정에 특수환경요인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환경요인은 공정이 진행되는 선택된 지역/구역/영역/범위 내(리스크를 평가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건설현장 등이 될 수 있다) 실시간(As-Is) 환경 정보(현장에 구축된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측정되는 기온, 강수량 및/또는 풍속 등의 기상기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및/또는 설정된 지역/구역/영역/범위를 대상으로 전체 건설공사 기간 또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미래(To-Be) 기상기후 정보 예측 등과 같은 외부 환경조건을 예측하고, 이를 해당 건설현장의 공종/공정에 따른 세부 수행작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530에서의 툭수환경요인(As-Is 및/또는 To-Be 정보 반영)은, 과거의 기상기후 정보 등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환경요인과 달리, 센서 및/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측정 및/또는 전달받을 수 있는 현재의 기상기후 정보(외부 환경조건) 및 과거와 현재의 기상기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설현장 등 설정된 구역의 미래의 기간(설정된 기간 범위 내, 일 예로 건설공사의 총 기간 등) 동안의 예상되는 기상기후 정보 등의 외부 환경조건을 예측하고, 이를 세부 공종/공정 등에 반영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이때, 전술한 특수환경요인에 적용되는 환경 변수는 세부 건설작업이 진행되는 공구나 구역, 지역의 고도, 위치, 광협 등이 세부적으로 차별화되어 반영될 수 있으며(고도별 풍속, 풍향이나 기온, 습도 등, 전술한 설명 참조),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생활기상지수, 보건기상지수 및/또는 산업기상지수가 연동되거나 전부 또는 일부가 반영될 수도 있다.
또한 미래의 기상기후 예측 등 외부 환경조건의 설정된 기간 범위 내 예측은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이나 랜덤 포레스트 방식, 또는 기상청의 기상기후 정보 예측 및 진단모델인 CALMAT 진단모델, UM LSAPS, CWW3, GDAPS 등을 활용하거나 연계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540에서는 현장 관리자 등이 해당 건설공사 현장에 대한 과거 기상기후 정보(일반환경요인) 및 현재(및/또는 미래) 기상기후 정보(특수환경요인) 등 외부 환경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개별 공종/공정별로 주관적인 환경체감도(S, Sensory Level, significance)를 평가/입력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즉, 단계 S540에서는 관리자로부터 건설현장 자체의 환경 리스크에 대한 환경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540는 기상기후 정보 등 해당 건설현장(하나 또는 복수개의 현장이 대상이 될 수 있다)의 과거(통계 데이터 기반), 현재(센서 측정 데이터 기반) 및/또는 미래(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 알고리즘 예측 데이터 기반) 기후기상 정보를 상호/상대 비교하여 잠정적 리스크를 도출하고 평가할 수 있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공종/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일정별로 대응되는 기간(월, 일, 시간대 등으로 기간 설정 가능)에 맞춰 과거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정보 통계 데이터, 현재의 실시간 센싱 데이터(건설현장 내외부에 설치된 풍속, 풍향, 온도 센서 등 기반) 및 미래의 예측 기후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공종/공정 및 이에 따른 세부 상세 작업(및 작업 위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들에 대한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정보에 따른 환경 리스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체감도(S)는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 등급이 구분될 수 있다. 다만, 객관적으로 수치화 되어 도출될 수 있는 과거 통계 데이터(PI 값, S520 단계를 통해 도출)와 달리 현장 관리자 등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한계점을 고려하여, S(체감도, Significance/Sensory Level) 입력 단계에서는 단계 S520에서의 평가 지표보다는 보다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오류를 줄이기 위해 평가 지표를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단계 S520에서의 평가 지표는 1~10과 같은 스케일로 평가 범위가 넓은 반면, 단계 S540에서는 상/중/하와 같이 평가 범위(간격)를 좁게 하여 평가자 별로 부여할 수 있는 선택 범위를 좁게 함으로써 평가자 별 관점 등에 따른 오차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경체감도(S)는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만 등급이 구분될 수 있으며, 현장 관리자 등은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 환경체감도(S)를 평가할 수 있으며, 환경PI 산출단계(S520)에서 도출된 PI결과값에 가감되어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환경체감도(S)는 회피과업의 실행 용이성, 실행자산 보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PI결과값에 가감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또는 별도로) PI값과 S값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S540단계에서는 이러한 환경체감도(S) 평가에 있어, 일반환경요인 단계(S510)에서 함께 도출, 제시되는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이 리스크 평가에 있어 실제 평가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에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 역시 반영되어 현장 평가자 등의 환경체감도(S) 평가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즉, 일 예로 실내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대기가 정체되어 실내 이산화탄소나 유해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한 경우, 별도의 안전마스크 제공이나 환풍기 등의 추가 투입 등이 환경 리스크에 대한 회피설계 및 회피과업이 해당 공정 및 작업에 반영되어 있는지 여부를 반영하여 환경체감도(s)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체감도(S)는 환경PI 산출단계(S520)에서 도출된 PI결과값에 가감되어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장체감도(S)는 회피과업의 실행 용이성, 실행자산 보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PI결과값에 가감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550은 환경축 생성단계로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는 발생확률(P), 영향강도(I), 및 환경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에서는 벡터값을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도 3B 참조).
정리하면, 단계 S500에서는 건설공사 현장의 위치 정보 기반, 과거 기후 이력 데이터 토대로, 건설공사 현장의 현재 기후 데이터를 센싱하여 실시간 환경정보를 반영하고, 건설공사 기간(미래)동안의 기후를 예측(시뮬레이션 기반)하여, 공정별 리스크 발생 확률(작업 지연일 포함) 분석 및 가능성을 수치화한 환경축(Y축)을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500 이후에는, 일반환경요인에서 계절(구간별) 기후 대표값을 설정하고, 실제 공정/수행과업 단계에서 해당 대표값을 벗어나는 경우, 추가적으로 환경체감도(S) 및/또는 환경 리스크를 가감할 수 있다.
아울러, 건설현장별 공종이나 하나의 특정 건설현장별 개별 공정에 대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는 공종 단위 또는 건설현장(Site) 단위로 그룹화하여 3차원의 리스크 매트릭스로 도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3차원 매트릭스의 예시는 도 3B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500 이후에는, 리스크 등급(또는 벡터값, 도 3B 참조)이 높은 개별 공정(또는 건설 현장(site) 등)에 대해서는 환경적인 리스크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회피과업 및 회피과업 실행을 위한 자원을 추천 및/또는 재배치하도록 하고, 이를 실시한 회피과업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거나 성과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시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는 개별 공종 중 하나인 “토공”에 대한 환경(Environment)요인에 대한 리스크 값을 산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확률(P)은 10점 기준으로 3점, 영향강도(I)는 10점 기준으로 4.5점, 체감도(S)는 상/중/하 중 “하”등급을 받았으며, 이러한 개별 값을 기준으로 3차원 벡터값(평균, 가중평균 또는 가감합산 등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산출되는 리스크 값)을 형성을 생성(도 3B에서는 3.7)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축 생성 단계(S550)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외부 환경 관련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Pop Up)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Icon) 등이 함께 생성되는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여, 현장 관리자 등이 보다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는 팝업(Pop Up)이나 아이콘(Icon)은 3차원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의 3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3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눈에 띄는 색깔 등으로 관리자 등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리스크가 존재할 경우, 발생확률(P)이 높거나, 영향강도(I)가 큰 순서 등 미리 설정된 리스크의 위험순위에 따라 팝업창/아이콘의 크기나 점멸 횟수/강도, 표시 위치 등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관리자 등의 클릭(Click) 등에 따라 반응하여 크게 확대하거나 세부 리스크 내용을 열람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500)는 하나 또는 복수개 지역에서 진행되는 공종 및/또는 공정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지역을 설정된 패턴(일 예로 건설 공구, Construction Area/Zone 등으로 지역을 구획할 수 있다)으로 분할한 뒤, 각각 구획된 지역별로 각각의 환경 리스크를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산출하고, 각 구획된 지역별로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500)는 단계 S100에 앞서,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등이 이상 기상기후 등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지반 침하 등 재해 사항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500)에서 언급된 PI(발생확률과 영향강도) 및/또는 S(체감도)의 산출 방식이나 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매트릭스(Matrix)나 축(Y-Axis)과 관련된 대한 기본적인 프레임 및 전술한 내용은 이하 인력축(또는 매트릭스) 생성이나 공정축(또는 매트릭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600은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일반인력요인 매칭단계(S610), 인력PI 산출단계(S620), 인력역량 평가단계(S630), 특수인력요인 매칭단계(S640),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S650), 및 인력축 생성단계(S6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4를 더 참조하여 단계 S6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610에서는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일반인력요인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인력요인은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어지는 작업장소에 따라 선택된 공종 및 공정(및/또는 선택된 작업장소)의 유형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현장 작업)에 투입되는 통계적인 작업인력(근로자)의 속성 및 수행과업별 필요 인력 수, 작업 필요 공간, 장비 연계 작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력요인은 직급별, 역량 수준별 직무기술에 따른 표준 성과 지표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인력요인에는 사전에 건설작업 현장에서 발생되었던 인력의 부주의나 과실, 고의에 의해 발생한 재해사고 등의 원인을 보다 세분화한 “작업자 비정상 행동” 및/또는 “작업장 정상 행동”을 사전에 그룹화 및 세분화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인력요인에는 이하 후술할 개인인력평가(S632) 및/또는 조직역량평가(S634)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즉 각 공종/공정에 대응되는 과거의 동일/유사한 공종/공정별 현장 건설현장 세부 과업(작업)에 참여하는 통상적인 작업자의 자격, 경력, 교육 이수, 언어 소통 능력이나 나이, 성별 등의 신체 특성 등과 같은 개별 작업인력(개인역량)들의 통계 데이터 및/또는 각 공종/공정에 대응되는 과거의 동일/유사한 공종/공정별 세부 과업(작업)에 참여하는 조직(Unit) 단위의 평균적인 업무 역량, 조직의 경험 등을 포함하는 조직역량에 대한 평균적인 통계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인력요인(S610)은 과거의 통계자료 이외 추가적으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국내외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였던, 건설작업에 참여한 인력에 의해 기인한 실시간의 건설사고 발생 및 사고 원인과 피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반영하여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인력요인 단계(S6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현장 작업자 및/또는 작업조직(Unit)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해당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단계 및 과정(“인력 리스크 회피설계단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 관리자가 현재 또는 가까운 시일 내 진행해야 할 건설현장 작업에 대한 인력 관점의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620은 인력PI 산출단계로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PI 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 및 수행과업에 투입되는 작업인력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 등의 다차원의 축으로 인력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력PI결과값의 데이터는 약 1~10 스코어 스케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620은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인력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해당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과거 통계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구간별(단위 공종별/공정별, 계절별 등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산출 가능하다) 이하 후술한 개인인력별/단위 공정(또는 작업별) 참여 조직(Unit)별 수치화 되는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인력(개인 및/또는 조직) 정보의 평균값(교육수준, 경력, 경험, 신체상태 등)에 따른 리스크에 과거 유형별 인력정보 데이터와 연계된 사고 및/또는 작업 위험 기준 등과 관련된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 등의 그래프나 이미지로 PI 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확률(P) 및 영향강도(I)는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현재 평가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의 공종/공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공종/공정별 개별/조직인력에 의한 재해사고 발생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화 할 수 있다. 즉 “작업자 비정상 행동” 및/또는 “작업자 정상 행동”에 대해 설정된 기준을 기초로 개인/조직인력의 과실, 고의 등에 따른 괴리(Gap) 발생 그리고 이로 인한 재해발생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공종/공정별에 반영하여 매트릭스나 차트, 설정된 범위 내 수치(작업자 비정상 행동 등으로 따른 재해사고 발생확률 및 이에 따른 손실액 등 영향강도)로 나타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및 도 4B를 참조해서 인력 PI 산출단계(S6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 터널 공종에 따른 인력 PI값, 즉 수로 터널 공정의 세부 공정별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력 리스크 값을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 PI 산출단계(S620)는 각 공종별 개별 세부 공정에 대한 개인 및/또는 조직인력에 관한 통계 데이터에 기반한, 즉 세부 과업(작업)에 참여하는 개별인력 및/또는 이러한 개별인력들이 단위 조직으로 구성되어 참여한 세부 공정에서 인재(人災)에 의한 과거 재해사고의 발생확률(P) 및 재해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 금전적 수치로 표시 가능)을 각각 도출(도 4A(a))한 이후, 각 공종 및/또는 공정별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세부 인력 PI값을 종합적으로 산출(도 4A(b))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해당 건설현장별 전체 공종을 통합하여 인력 PI가 산출될 수도 있다(일 예로 공종별로 도시되는 도 4A(b)와 같은 그래프가 공종별로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개의 공종별 그래프가 겹쳐지거나 합쳐져 나타나도록 하여 해당 건설현장의 전체 공종에 따른 환경 PI가 산출되는 형태 등).
또한 이와 달리(또한 함께) 전술한, 인력 PI결과값의 데이터는 1~10 스코어 스케일 등으로 수치화 된 값으로도 생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630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로서, 개인역량을 평가하여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하는 개인역량 평가단계(S632) 및 조직역량을 평가하여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조직역량 평가단계(S6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630은 이하 후술하는 “표 1”의 내용과 같은 유형에 따라 과거 동일 또는 유사한 공종/공정별 세부 과업(작업)에 참여했던 개인/조직 인력에 대한 과거 통계 데이터를 분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630은 평가 대상이 되는 개별 건설현장의 공종/공정별로 실질적으로 투입(As-Is)되가나 투입될(To-Be) 현장 건설인력(개인) 및 이들 건설인력들이 집합되어 투입되는 조직단위(Unit)의 집합에 대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32에서는 신체역량지수(A축) 및 업무역량지수(B축)를 이용하여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632에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의학적 생체나이, 스트레스 민감도 등 작업자 개인의 일반적인 인적사항뿐만 아니라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수 인적사항까지 반영한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해 작업자 각 개개인에 대한 역량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A축 체크 항목 B축 체크 항목
성별 학력사항
건강검진 신체나이(의학 생체 나이) 경력사항
스트레스 민감도 소통능력
외향적/내향적 성향 파악 관련 자격증 유무
신장/체중/시력 등 커뮤니케이션 및 언어 소통 능력(외국인 여부 등)
혈압/혈당/색맹 등 직급 구분(가중치 반영)
흡연 유무 최근 근속 연수
특이 질병 유무 -
단계 S634에서는 공정별 조직(Unit)역량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으로, 해당 공정에 투입된 인력 수가 적정한지, 팀별 작업으로 진행되야 하는지, 공정과 관련된 특수자격요건이 필요한지 여부 등 공정에 참여하는 개별 인력별에 대한 지수를 상관관계 분석 관점에서 반영하여 보다 실질적인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S6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인력을 입력 및/또는 산정하는 단계(S634-1), 투입 인력에 대한 역량지수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S634-3), 공정 자체 인력에 대한 이슈를 반영시키기 위하여 공정 환경 요인을 반영하는 단계(S634-5), 및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63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634-3에서는 개인역량지수의 평균값을 구하고, 단계 S634-5에서는 투입 인력 수 적정 여부(예컨대, 과소/과다 등), 팀별 작업 여부(예컨대, 2인1조), 공정관련 특수 자격요건 여부 등의 공정 자체 인력에 대한 이슈를 반영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40에서는 선택된 공정에 특수인력요인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인력요인은 개별 인력 및 조직에 대한 역량평가 결과를 기초로, 개별 인력 및/또는 조직이 배치된 건설 공정 내 작업 환경이나 작업 부하, 노동 시간, 신체 상태, 환경에 따른 상태 위험 발생 가능성 등 단위 공정에 참여하는 개별 인력에 대한 개별적 고려가 필요한 항목, 즉 통계화 되는 조직역량평가에서 무시될 수 있는 개별 요인을 추가적으로 검토하거나 고려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인력요인은 추가적으로 덤프트럭 등 건설장비의 동선, 작업 구역과 겹치는 영역(일 예로 장비의 이동, 작업 동선과 현장 작업자의 실시간 작업) 등에 대한 리스크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 내 투입되어 작업이나 이동을 수행하거나 수행하게 될 건설장비에는 개별적으로 작동여부나 이동방향, 작업장 내 동선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에서의 특수인력요인은 선택된 공종 및 공정에 따라 실제 투입되는(또는 될 예정인) 현장 작업자(개인별)에 대한 정보 및 세부 공정(작업)별 함께 작업할 조직(Unit)별 인력들의 조건을 지칭하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표 1”과 같은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유형화, 그룹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는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As-Is)되는(또는 향후 설정된 공정 순서 등에 따라 투입될(쌔To-be)) 현장 개인 근로자 및/또는 단위 조직별 역량 평가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는 실제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각종 건설장비들의 개별 이력과 설정된 작업 진행을 위해 사전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는 설치 등과 관련된 사전요소들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현장 관리자 등에 의해 입력 받거나, 개별 장비에 설치된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전송받아 입력, 관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특수인력요인(As-Is 정보 반영)은,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종/공정에 따라 투입되어 왔던 인력(개인/조직)의 고의, 과실, 부주의 등에 따라 발생되었던 재해발생 정보를 기반으로 인력에 의한 리스크를 생성하는 일반공정요인과 달리,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건설인력들의 신체 상태 및 경험(상세 분류 기준은 “표 1”참조) 등과 같은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반영, 수치화할 수 있는 차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는, 개별인력요인 단계(S632)를 통해 확인된 공종/공정/작업장소에 따라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개별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나이 등 신체 상태 등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 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나이 등 신체 상태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별도의 “인력 비교 지표”를 생성하고 상대 비교 등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력 비교 지표”는 이하에서 설명할 S(체감도) 입력 단계(S650)에서 수치 등으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 등이 실제로 투입되는 작업인력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 등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통상적으로 투입되는 현장 작업자 대비 실제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된(또는 향후에 될) 현장 작업자의 신체나 교육 수준(세부 지표는 “표 1”참조)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해당 건설현장에 투입된 작업자의 신체적 역량(나이나 근력 조건 등)이나 경험, 자격 수준 등이 더 우수할 경우,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에서 생성되는 “인력 비교 지표” 상에는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평점을 부여하고, 이렇게 부여된 평점이 S(체감도) 입력 단계(S650)에서 제시되도록 하여 현장 관리자 등이 체감도 입력 단계에서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더 완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인력 비교 지표”는 1~10과 같은 스케일 단위로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기존 통상적으로 동일/유사 공종/공정에 투입되는 현장 작업자 대비 신체적, 교육적, 심리적 측면 등에서의 역량이 우수한 건설 작업자가 투입되는 경우, 단계 S610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회피과업(Mitigating Activities)의 실행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수인력요인 단계(S640)는 설정된 지역/구역/영역/범위 내 인력의 리스크(해당 공정에 투입되는 현장 작업자의 신체상태 등)와 외부 환경 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반영한 공정 내 특정 지역/구역/영역/범위 별 리스크를 산출하도록 하되, 현재 및/또는 미래의 외부 환경 조건 정보를 반영하여 인력별 실시간 및/또는 예측 리스크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직역량평가 단계(S634)에서 평가된 통상적으로 공종/공정별 투입되는 개별/조직별 인력의 평가 결과(등급, 숫자 등)에 따른 사고 발생 평균값(과거 데이터 기반)과 실제 평가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에 투입된 현장 작업자들 간의 평가 결과에 따른 발생 가능성(현재 현장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헬멧 등 보호장구에 부착되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입력 받는 데이터 기반)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인력 비교 지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 비교 지표”는 건설현장 내 설치된 가상센서 등과 연동되어, 외부 기상환경(풍속, 풍향, 외기 온도, 습도, 강우 등)에 따른 개별/조직별 현장 근로자의 위험 가능성 판단이나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개별/조직별 현장 작업자의 배치 및 이동, 이상 고온, 강풍 등 외부 환경조건 등에 따른 외부 작업 제약이나 현장 내 건설장비 등의 동선이나 이동 범위 등을 고려하여 건설장비와 작업인력 간의 접촉 등의 사고 발생성에 대한 예측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비교(과거-현재-미래)하는 지표로 생성되고, 이러한 지표가 S(체감도) 입력 단계(S650)에 고려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650에서는 인력 자체의 리스크를 관리자 등이 현 시점에서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단계 S650에서는 관리자로부터 투입 입력의 인력 리스크에 대한 인력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력체감도(S)는 상중하의 3 스코어 스케일로 등급이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인력체감도(S)는 인력PI 산출단계(S620)에서 도출된 PI결과값에 가감되어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력체감도(S)는 회피과업의 실행 용이성, 실행자산 보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PI결과값에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650은 각 공정이 진행되는 단위 구역이나 지역, 영역, 공구나 현장 등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지역 등에 대한 영상감시(CCTV 등), 동작센서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건설장비 및/또는 건설현장에 투입된 현장 작업자 등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단계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작업자 비정상 행동” 즉,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들, 예를 들어 작업자(객체)가 영상 상의 소정 좌표(설비 상단 영역 의 좌표)를 이탈하는 경우, 크레인(객체)이 영상 상의 소정 좌표(가상 Pence 영역의 좌표)로 진입하는 경우, 2인 1조 작업을 단독으로 작업하는 행위, 사전 허가 없이 작업자가 위험구역에 진입하는 행위, 복수 작업자가 참여하는 세부 작업 등에 있어 동료 작업자들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행위 등이 발생하는 등의 이상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관리자 등에게 알리는 단계(“이상 상황 알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60은 인력축 생성단계로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는 발생확률(P), 영향강도(I), 및 인력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에서는 벡터값을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도 4B 참조).
즉 예시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는 “수로 터널” 공종에 대한 인력(Worker)요인 리스크 값을 산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확률(P)은 10점 기준으로 2.5점, 영향강도(I)는 10점 기준으로 8점, 체감도(S)는 상/중/하 중 “상”등급을 받았으며, 이러한 개별 값을 기준으로 3차원 벡터값(평균, 가중평균 또는 가감합산 등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산출되는 리스크 값)을 형성을 생성(도 4B에서는 7.5)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단계 S600에서는 개별 단위 공정 또는 수행과업 단위에 투입되어 왔던 일반적인 인력 및 조직의 통계정보(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투입되는 작업 인력의 적정성 및 개별 인력들의 조직 단위 역량 및 작업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현재 투입되는 개별 인력들의 평가 결과를 통해 현재 또는 미래의 리스크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는 인력축(Z축)을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개별 공정에 대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는 공종 단위 또는 건설현장(Site) 단위로 그룹화하여 3차원의 리스크 매트릭스로 도시할 수 있다.
아울러, 건설현장별 공종이나 하나의 특정 건설현장별 개별 공정에 대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는 공종 단위 또는 건설현장(Site) 단위로 그룹화하여 3차원의 리스크 매트릭스로 도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3차원 매트릭스의 예시는 도 4B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600 이후에는, 리스크 등급(또는 벡터값, 도 4B 참조)이 높은 개별 공정(또는 건설 현장(site) 등)에 대해서는 인력적인 리스크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회피과업 및 회피과업 실행을 위한 자원을 추천 및/또는 재배치하도록 하고, 이를 실시한 회피과업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거나 성과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력축 생성 단계(S660)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인력 관련 리스크(“표 1”의 세부 지표 등을 참조)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Pop Up)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Icon) 등이 함께 생성되는 “인력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여, 현장 관리자 등이 보다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인력 리스크 알림 단계”는 팝업(Pop Up)이나 아이콘(Icon)은 3차원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의 3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3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눈에 띄는 색깔 등으로 관리자 등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리스크가 존재할 경우, 발생확률(P)이 높거나, 영향강도(I)가 큰 순서 등 미리 설정된 리스크의 위험순위에 따라 팝업창/아이콘의 크기나 점멸 횟수/강도, 표시 위치 등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관리자 등의 클릭(Click) 등에 따라 반응하여 크게 확대하거나 세부 리스크 내용을 열람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600)는 하나 또는 복수개 지역에서 진행되는 공종 및/또는 공정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지역을 설정된 패턴(일 예로 건설 공구, Construction Area/Zone 등으로 지역을 구획할 수 있다)으로 분할한 뒤, 각각 구획된 지역별로 각각의 인력 리스크를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산출하고, 각 구획된 지역별로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600)에서 언급된 PI(발생확률과 영향강도) 및/또는 S(체감도)의 산출 방식이나 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매트릭스(Matrix)나 축(Y-Axis)과 관련된 대한 기본적인 프레임 및 전술한 내용은 공정축(또는 매트릭스) 생성이나 환경축(또는 매트릭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S600 이후에는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의 산출을 통해 수행과업에 참여하는 개별 인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사고 발생시 구호 등 사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S1000) 및 이에 따른 매트릭스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는 전술한 공정(X축), 환경(Y축) 및/또는 인력(Z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합(일 예로 X축 및 Y축 값의 합산 또는 평균값 산출 등)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각각의 공정, 환경 및/또는 인력 리스크(또는 축(Axis)상의 수치, 벡터값)를 모두 산출한 이후, 이를 3차원의 매트릭스로 다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 단계인 단계 S1000는 전술한 S450, S540 및/또는 S650 이후 별도의 S460, S550 및/또는 S660 단계없이, 바로 공정, 환경 및/또는 인력별 리스크 값을 수치화하여 3차원 매트릭스나 다차원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공정-인력”, “공정-환경”, “인력-환경” 연계 리스크 매트릭스나 리스크 값을 수치화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Activity), 인력(Worker) 및 환경(Environment)로 구분된 축(Axis)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 축(Axis)에 해당되는 값은 개별 공종, 개별 공정, 개별 현장(Site) 또는 복수개의 집합 현장(Sites)를 선택에 따라 개별적 또는 종합적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로 형성,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축(Axis)에 대응되는 수치 값의 경우, 전술한 각 공정, 인력 및/또는 환경별 리스크 값 생성 단계에 의해 도출되고, 각각 도출된 리스크 값이 다시 반영(미리 설정된 각 리스크 값이 평균, 가중평균, 합산되는 등의 방식)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산재된 여러 건설현장(또는 공구)에 대한 종합적이고 상대적인 리스크 비교 판단을 위해, 하나의 매트릭스에는 2개 이상의 건설현장(Site A 내지 Site D)에 대한 리스크 분석 결과가 한꺼번에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일 예로 하나의 건설회사가 현재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복수개의 건설현장 사이트에 대한 상대적인 리스크 평가 등에 활용 가능).
또한 복수개의 건설현장의 리스크 결과 값을 평균 또는 사업비나 사업의 중요성 등을 감안한 설정된 가중치를 분여하여 종합적으로 리스크를 평가하도록 지원(일 예로 중앙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복수개의 건설회사가 수행하는 복수개의 건설현장에 대한 전체 또는 개별 리스크를 실시간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은 과거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환경, 인력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리스크 판단, 평가 및 후속지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은 건설 공사에 주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공정, 환경, 인력에 대한 리스크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산정하여 해당 공정의 실질적인 리스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은 관리자의 체감 평가를 반영하여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은 통계화되는 일반요인에서 무시될 수 있는 개별 요인을 추가적으로 검토하도록 특수요인을 반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서는 단계 S400, S500, S600를 설명 순서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단계 S100 ~ S3001을 수행한 후 단계 S400, S500, S600 중 어느 한 단계를 수행하여 공정, 환경, 및 인력 중 하나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을 통해 생성된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건설공정, 외부환경 및 공정참여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에 있어서,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설비요인이 평가되는 설비요인 평가단계, 상기 설비요인과 기 수집된 일반공정요인을 반영하여 공정 단계별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가 산출되는 공정PI산출단계, 및 상기 공정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공정요인이 반영된 공정체감도(S)가 추가로 반영되는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가 산출되는 단계;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환경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가 산출되는 환경PI산출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기 수집된 특수환경요인이 반영된 환경체감도(S)가 추가로 반영되는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가 산출되는 단계; 및
    상기 공종, 공정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장소의 선택에 따라 기 수집된 일반인력요인을 반영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확률(P)과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강도(I)가 산출되는 인력PI산출단계,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여 역량지수가 산출되는 인력역량 평가단계, 및 상기 환경PI산출단계의 PI결과값에 상기 역량지수와 기 수집된 특수인력요인이 반영된 인력체감도(S)가 추가로 반영되는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를 통해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가 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요인 평가단계는,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개별 설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개별설비요인이 평가되는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 및
    복수의 설비로 이루어진 집합 설비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집합설비요인이 평가되는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설비요인 평가단계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설장비 사고 발생 유형, 빈도, 설정된 기간별 장비 사고 발생 건수 및 누적 건수, 표준적인 사용연한, 주요 구성 부품별 내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에서 개별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사고 정보와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가 자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개별설비용인의 평가에 반영되고,
    상기 집합설비요인 평가단계는,
    과거 각종 건설장비 운용에 따른 건설 현장 사고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장 내 건설장비 간 접촉이나 충돌, 전도 사고 등으로 발생한 사고 발생 이슈를 사건사고 정보별로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리스크 정보가 자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집합설비요인의 평가에 반영되며,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 및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가 3차원으로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공정요인은,
    상기 공종, 상기 공정,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된 상기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의 자체적인 속성 정보, 과거 사고 이력, 공종 및 공정별 사고 통계정보를 포함하며, 개별 공종 및 공정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특수공정요인은,
    선택된 공종 및 공정에 외부 환경조건 및 상기 설비요인을 반영하여 산출된 해당 공종 및 공정의 설비 리스크를 포함하되, 설정된 영역 내의 공정 리스크와 상기 외부 환경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도록 건설장비의 상태 및 유지보수 상태, 현재 건설현장의 지반 상태, 지표 상태, 현장의 경사도, 주변지 상태를 포함하는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 및 외부 환경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개별 공정 자체의 리스크에 대한 공정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공정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공정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현장 작업자 및/또는 작업조직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해당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공정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개별설비요인 반영을 통해 확인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 건설장비들의 평균 사용 연수, 안전검사 주기, 안전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설비 비교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비교 지표는 상기 공정체감도(S) 반영단계에서 수치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가 실제로 투입되는 건설장비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데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수반되는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정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공종 선택 이전에,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환경에 의해 재해 사항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환경요인은,
    상기 공종, 상기 공정, 및 상기 작업장소에 따라 수집된 건설현장의 지리적 정보, 계절, 기온, 강수량,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된 공종 및 공정별 환경 변수와의 상관관계, 및 작업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위험도가 높은 환경 변수가 과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특수환경요인은,
    공정이 진행되는 선택된 지역의 실시간 환경 정보가 현재 수행과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변수는 수행과업이 진행되는 지역의 고도, 위치, 광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세부적으로 차별화되어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구간별 환경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환경 정보의 평균값에 따른 리스크에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건설현장 자체의 환경 리스크에 대한 환경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환경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공종 및 공정별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리스크 정보와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기상기후 조건에 따른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환경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외부 환경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공종 선택 이전에, 구획된 각 지역별로 토양의 상태나 지반 상태, 기존 구조물의 존재 여부, 지하 매장물 유무, 주변 경사지 여부, 주변 건축 환경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환경에 의해 재해 사항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획된 지역 위험 지수를 별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역 위험 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획된 지역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강풍, 폭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평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험 요소 및 상기 설정된 사고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피해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피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된 지역에 대한 지역 위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인력요인은,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어지는 작업장소에 따라 선택된 공종 및 공정의 유형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개별 공정별 수행과업에 투입되는 통계적인 작업인력의 속성, 수행과업별 필요 인력 수, 작업 필요 공간, 및 장비 연계 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직급별, 역량 수준별 직무기술에 따른 표준 성과 지표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정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특수인력요인은,
    상기 인력역량 평가단계의 평가결과를 기초로, 개별 인력 및/또는 조직이 배치된 건설 공정 내 작업 환경이나 작업 부하, 노동 시간, 신체 상태, 환경에 따른 상태 위험 발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단위 공정에 참여하는 개별 인력에 대한 개별적 고려가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PI산출단계에서는,
    과거 통계정보 및 수행과업에 투입되는 작업인력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공정별 과거 사고 통계정보를 반영하여 2차원의 축으로 상기 PI결과값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인력 자체의 리스크에 대한 인력체감도(S)를 기 설정된 등급내에서 평가받고, 상기 PI결과값과 상기 인력체감도(S)를 3차원으로 도시하여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 리스크 매트릭스의 벡터값을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역량 평가단계는,
    개인역량을 평가하여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하는 개인역량 평가단계; 및 조직역량을 평가하여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조직역량 평가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역량 평가단계에서는, 신체역량지수 및 업무역량지수를 이용하여 개인의 일반 인적사항 및 특수 인적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상기 개인역량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조직역량 평가단계는,
    투입 입력을 입력 및/또는 산정하는 단계;
    투입 인력에 대한 역량지수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공정 자체 인력에 대한 이슈를 반영시키기 위하여 공정 환경 요인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조직역량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력PI산출단계 이전에,
    개별 현장 작업자 및/또는 작업조직별로 내포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해당 리스크 회피 및/또는 완화를 위한 회피과업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제시되는 인력 리스크 회피설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개별인력요인 반영을 통해 확인된 공종, 공정 및 작업장소에 따라 투입되는 개별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와,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개별인력들의 평균 경험과 경력, 사고 이력, 신체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인력 비교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인력 비교 지표는 상기 인력체감도(S) 반영단계에서 수치로 제시되어 현장 관리자가 실제로 투입되는 작업인력에 대한 사고 위험 가능성이나 전체 공종, 공정에 대한 리스크를 가감하는데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리스크 평가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특정 공종 및/또는 세부 공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인력 관련 리스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될 경우, 특정한 리스크 사항에 대한 공지용 팝업이나 별도의 추가 아이콘이 함께 생성되는 환경 리스크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력 리스크 알림 단계에서는,
    팝업이나 아이콘이 다차원 매트릭스의 다차원 내부 공간 내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다차원 매트릭스 축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점멸 및 설정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20. 삭제
KR1020190085683A 2019-07-16 2019-07-16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KR10211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83A KR102111566B1 (ko) 2019-07-16 2019-07-16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KR1020200049068A KR102252017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1020200049067A KR102252007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1020200049069A KR102268294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US16/909,386 US20210019673A1 (en) 2019-07-16 2020-06-23 Multi-dimensional risk matrix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83A KR102111566B1 (ko) 2019-07-16 2019-07-16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68A Division KR102252017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1020200049067A Division KR102252007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1020200049069A Division KR102268294B1 (ko) 2019-07-16 2020-04-23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566B1 true KR102111566B1 (ko) 2020-05-18

Family

ID=7091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83A KR102111566B1 (ko) 2019-07-16 2019-07-16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019673A1 (ko)
KR (1) KR10211156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138A (zh) * 2020-07-02 2020-11-10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措施优先级的配电网的合环决策方法及装置
KR102312738B1 (ko)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16815B1 (ko) *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N113627714A (zh) * 2021-06-28 2021-11-09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面向西南低涡的配电线路风险评估方法及系统
KR20210145962A (ko) * 2020-05-26 2021-12-03 이정우 화재감지용 스티커 장치
CN114154817A (zh) * 2021-11-18 2022-03-08 南京大学 自动化的企业环境风险评估方法和装置
KR20220069468A (ko) * 2020-11-20 2022-05-2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인 노동자 산업안전 교육관리 플랫폼
CN114707852A (zh) * 2022-03-31 2022-07-05 长江水利委员会综合管理中心 一种基于风险矩阵的水工程安全生产风险分级评价方法
KR102467350B1 (ko) * 2022-05-02 2022-11-16 한국환경공단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CN116449117A (zh) * 2023-06-16 2023-07-18 云南电力试验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复杂地形的三维闪电定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9497A1 (en) * 2018-01-29 2021-04-15 indus.ai Inc. Identifying and monitoring productivity, health, and safety risks in industrial sites
CN112508443B (zh) * 2020-12-19 2023-08-2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电力行业现场作业风险管控系统
CN113487128A (zh) * 2021-05-21 2021-10-08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施工预警方法
CN113505957A (zh) * 2021-05-21 2021-10-15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考虑风险因素耦合的施工预警方法
CN113487144B (zh) * 2021-06-16 2024-04-0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铁路群体上道作业安全风险预警方法和系统
CN113554323A (zh) * 2021-07-28 2021-10-26 河北工业大学 面向路网关键节点的应急保障优化设计方法
CN113807724B (zh) * 2021-09-24 2022-07-29 上海交通大学 一种基于综合风险评价的弃碴场选址方法
CN113642088B (zh) * 2021-10-13 2022-01-07 北京天辰信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进度信息反馈及bim模型实时展示偏差的方法
CN114066199B (zh) * 2021-11-10 2022-11-22 南京大学 一种模拟企业环境风险画像的方法和装置
WO2023105581A1 (ja) * 2021-12-06 2023-06-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作業者割当装置、作業者割当方法、および作業者割当プログラム
CN114841660B (zh) * 2022-04-17 2023-05-26 河南鑫安利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现场信息的企业智慧安全管控云平台
SE2230153A1 (en) * 2022-05-19 2023-11-20 Volvo Lastvagnar Ab Planning of a mission by geographical position and equipment allocation
CN115187152B (zh) * 2022-09-14 2023-01-24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露天煤矿生产系统的安全生产评估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5775092B (zh) * 2022-11-11 2023-12-22 中电建铁路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基于数字孪生技术的施工过程安全风险管控系统
CN116664084B (zh) * 2023-07-31 2024-02-02 广东省科技基础条件平台中心 一种基于物联网的项目评估管理方法及系统
CN117084683B (zh) * 2023-08-07 2024-04-19 中国人民解放军32302部队 一种技术人员心理状态监测评估方法及系统
CN117872938A (zh) * 2024-03-12 2024-04-12 贵州省公路建设养护集团有限公司 基于物联网实现桥梁施工下的设备安全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2B1 (ko) 2006-03-29 2007-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및 장치
KR20100079844A (ko) * 2008-12-31 2010-07-0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KR101075063B1 (ko) 2009-11-02 2011-10-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지 규칙을 이용한 화재 불꽃 감지 방법
KR20130083054A (ko) * 2011-12-28 2013-07-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능력을 고려한 건설 프로젝트 공사비 평가 시스템
KR20130088452A (ko) * 2012-01-3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KR101379407B1 (ko) 2012-02-14 2014-03-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후요인의 연직변화량을 고려한 초고층 빌딩 건설 프로젝트 공사기간 예측 시스템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634B2 (en) * 2006-06-29 2010-10-26 Mccall Danny Work role yield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144095A1 (en) * 2007-02-28 2009-06-04 Shahi Gurinder S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nd managing biosafety and biosecurity risks
US20080262895A1 (en) * 2007-04-18 2008-10-23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Business resilience systems and methods
US20090138306A1 (en) * 2007-09-28 2009-05-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acility risk assessment systems and methods
US8036764B2 (en) * 2007-11-02 2011-10-11 Caterpillar Inc. Virtual sensor network (VSN) system and method
US20100042451A1 (en) * 2008-08-12 2010-02-18 Howell Gary L Risk management decision facilitator
US20160148132A1 (en) * 2014-11-21 2016-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rgonomic risk assessment
US9613523B2 (en) * 2014-12-09 2017-04-04 Unilectric, Llc Integrated hazard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system
US10453015B2 (en) * 2015-07-29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jury risk factor identification, prediction, and mitigation
WO2017064493A1 (en) * 2015-10-13 2017-04-20 Certa 360 Limited System for electronically managing and assessing competency of skilled workers
US10997534B2 (en) * 2015-11-20 2021-05-04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operator with worksite operations
US20170147952A1 (en) * 2015-11-24 2017-05-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aborative workplace accident avoidance
US20180268342A1 (en) * 2017-03-15 2018-09-20 Malcolm Edward Duncan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US10565844B2 (en) * 2017-09-27 2020-02-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risk analysis system with global risk dashboard
CN111971658B (zh) * 2018-01-31 2021-08-10 怡安风险顾问股份有限公司 用于高效风险抑制的脆弱性评估和提供相关服务和产品的系统和方法
US11188859B2 (en) * 2018-08-21 2021-11-30 Agile Business Intelligence, Inc. Integrated business operations efficiency risk manage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2B1 (ko) 2006-03-29 2007-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및 장치
KR20100079844A (ko) * 2008-12-31 2010-07-0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KR101075063B1 (ko) 2009-11-02 2011-10-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지 규칙을 이용한 화재 불꽃 감지 방법
KR20130083054A (ko) * 2011-12-28 2013-07-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능력을 고려한 건설 프로젝트 공사비 평가 시스템
KR20130088452A (ko) * 2012-01-3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KR101379407B1 (ko) 2012-02-14 2014-03-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후요인의 연직변화량을 고려한 초고층 빌딩 건설 프로젝트 공사기간 예측 시스템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62A (ko) * 2020-05-26 2021-12-03 이정우 화재감지용 스티커 장치
KR102386117B1 (ko) * 2020-05-26 2022-04-13 이정우 화재감지용 스티커 장치
CN111915138A (zh) * 2020-07-02 2020-11-10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措施优先级的配电网的合环决策方法及装置
CN111915138B (zh) * 2020-07-02 2023-05-30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措施优先级的配电网的合环决策方法及装置
KR102528768B1 (ko) * 2020-11-20 2023-05-0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인 노동자 산업안전 교육관리 플랫폼
KR20220069468A (ko) * 2020-11-20 2022-05-2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인 노동자 산업안전 교육관리 플랫폼
KR102312738B1 (ko)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16815B1 (ko) *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N113627714A (zh) * 2021-06-28 2021-11-09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面向西南低涡的配电线路风险评估方法及系统
CN114154817A (zh) * 2021-11-18 2022-03-08 南京大学 自动化的企业环境风险评估方法和装置
CN114707852B (zh) * 2022-03-31 2023-01-31 长江水利委员会综合管理中心 一种基于风险矩阵的水工程安全生产风险分级评价方法
CN114707852A (zh) * 2022-03-31 2022-07-05 长江水利委员会综合管理中心 一种基于风险矩阵的水工程安全生产风险分级评价方法
KR102467350B1 (ko) * 2022-05-02 2022-11-16 한국환경공단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CN116449117A (zh) * 2023-06-16 2023-07-18 云南电力试验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复杂地形的三维闪电定位方法
CN116449117B (zh) * 2023-06-16 2023-08-15 云南电力试验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复杂地形的三维闪电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19673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566B1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Zhou et al. Tower crane safety on construction sites: A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 perspective
KR102268294B1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Gheisari et al. Applications and requirements of unmanned aerial systems (UASs) for construction safety
Mohandes et al. Developing a Holistic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model: An application to a case of sustainable construction project
JP6770125B2 (ja) 建築物改装に伴う損害防止の推定
KR102252007B1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Fung et al. Towards a better reliability of risk assessment: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 quantitative risk evaluation model (Q2REM) for different trades of construction works in Hong Kong
CN110555617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建筑火灾风险实时动态定量评估方法
CN108510146A (zh) 煤矿安全生产风险预警方法和系统
Lindell et a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for hurricane emergencies
CN108490889B (zh) 基于te模型的智能工厂安全大数据数据源发生方法及装置
Chen et al. Emergency rescue capability evaluation on urban fire stations in China
Guo et al. Time-statistical laws of workers’ unsafe behavi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ase study
KR20100078993A (ko) 안전사고 위험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Deligne et al. Evaluating life-safety risk for fieldwork on active volcanoes: the volcano life risk estimator (VoLREst), a volcano observatory’s decision-support tool
KR102312738B1 (ko)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osta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safety inspection
Mohandes et 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projects: The case of crane operations
Guo et al. A real-time control approach based o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for violations by construction workers
Szóstak et al. Identification of accident scenarios involving scaffolding
Lunde et al. Rescue performance in Norwegian road related avalanche incidents
Sadeghi et al. Developing an ensemble risk analysis framework for improving the safety of tower crane operations under coupled Fuzzy-based environment
KR102252017B1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Junjia et 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hoisting safety risk factors for IBS construction based on the AcciMap and cases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