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844A -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844A
KR20100079844A KR1020080138424A KR20080138424A KR20100079844A KR 20100079844 A KR20100079844 A KR 20100079844A KR 1020080138424 A KR1020080138424 A KR 1020080138424A KR 20080138424 A KR20080138424 A KR 20080138424A KR 20100079844 A KR20100079844 A KR 2010007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risk
site
risk
risk management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욱
장명훈
윤유상
Original Assignee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844A/ko
Publication of KR2010007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 현장별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와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웹 상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현장별로 발생된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공정리스크 발생 시 대응방안에 따라 해당 공정리스크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켜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정리스크, SRI, 블로그, AHP

Description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Schedule Risk}
본 발명은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 프로젝트 현장별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와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웹 상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현장별로 발생된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공정리스크 발생 시 대응방안에 따라 해당 공정리스크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켜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Schedule Risk)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공기를 지연시키거나 착공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해당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공사비용 이외의 추가적인 공사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상술한 공정리스크에 대한 관리수준과 관리체계가 갖추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정리스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의 공기 지연이나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키고,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은 공정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 프로젝트 현장별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와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웹 상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현장별로 발생된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공정리스크 발생 시 대응방안에 따라 해당 공정리스크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켜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의 공종별 액티비티,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정보, 해당 액티비티의 공정리스크 요인,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 해당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담당자별 공정리스크 대응방안을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공정리스크의 중요도, 공정리스크의 현장별 등급, 공정리스크 가중치,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분석정보, 해당 공정에 대한 공정율, 수행시점, 공사일정이 저장된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액티비티별 공정리스 크 요인 및 대응방안을 현장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건설 프로젝트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로 발생된 공정리스크,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및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와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을 전송받아 전문가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진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는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가 각각 저장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될 때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이 전송되면,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내부에 저장된 신규 공정리스크 처리내용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규 공정리스크 대응방안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신규 건설 프로젝트에 사용될 때 내부에 저장된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 완료 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되는 SRI 값을 수식 1을 통해 보정하여 저장하고, 신규 현장 개설 시 수학식 1에 의해 보정된 SRI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한다.
(수식 1)
Figure 112008091067858-PAT0000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공정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을 위한 공정리스크 계층도 및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이 전송되면,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해당 열의 모든 항목을 더할 경우 1이 되는 행렬식으로 만들어 열의 합을 구한 후 그 합으로 각 열의 항목을 나누어 가중치를 구하고, 상기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 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공사와 상관없는 공정리스크는 우선관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 및 중요도가 높은 공정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사전대책 마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정리스크 계층도의 중요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별 등급, 상기 현장별 등급의 평균치인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산출한 후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의 순위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블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 현장별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와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웹 상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현장별로 발생된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공정리스크 발생 시 대응방안에 따라 해당 공정리스크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켜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산출 한 후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에 순위를 부여하여 해당 공사와 상관없는 공정리스크는 우선관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 및 중요도가 높은 공정리스크 요인에 대해 사전대책 마련함으로써 공정리스크로 인한 공기지연 및 착공지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웹서버(2),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 현장 관리자 단말기(4) 및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웹서버(2)는 인터넷을 통해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접근레벨을 부여하며, 접근레벨에 따라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는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라 함)(12)와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와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에는 건설 프로젝트의 공종별 액티비티(Activity),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정보, 해당 액티비티의 공정리스크 요인,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 해당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담당자별 공정리스크 대응방안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공정리스크의 중요도(전체 공정 및 해당 공정 단계에서의 중요도), 공정리스크의 현장별 등급, 공정리스크 가중치,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Schedule Risk Index; 이하 "SRI"라 함)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분석정보, 해당 공정에 대한 공정율, 수행시점, 공사일정(일간, 주간, 월간) 등이 각각 저장된다.
이러한,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는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저장된 정보가 해당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될 때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로 전송되고,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전송된 정보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이때,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블로그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의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이 전송되면,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을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의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로부터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이 전송되면, 내부에 저장된 신규 공정리스크 처리내용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 로부터 전송되는 신규 공정리스크 대응방안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의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가 신규 건설 프로젝트에 사용될 때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
이러한,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는 내부에 저장된 공정 프로그램으로 공정리스크에 의한 문제를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과 종속성에 따라 조직화되어 있는 틀 안에서 공정리스크를 분석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으로 가상현장에서의 공정리스크 중요도 분석 후 SRI를 통한 공정리스크 대응의 우선순위 결정을 통해 공정리스크를 분석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현장 관리자 단말기(4)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전송되는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요인 및 대응방안을 현장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건설 프로젝트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로 발생된 공정리스크,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및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 전송한다.
또한, 현장 관리자 단말기(4)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공정리스크 대응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SRI 시트를 제공받아 상기 SRI 시트에 현장별 등급에 따른 가중치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가 입력한 현장별 등급에 따른 가중치가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 전송되게 된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로부터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와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을 전송받아 전문가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진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로 전송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공정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을 위한 공정리스크 계층도 및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공정리스크 관리 방법을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공정리스크를 관리하게 된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가 웹서버(2)에 접속하면, 상기 웹서버(2)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의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다(S100).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형성하여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에 전송한다(S110).
이때, 프로젝트는 블로그 기반으로 형성되거나 일반적인 웹페이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의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프로젝트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상기 프로젝트 형성 시 상기 프로젝 트의 개요, 프로젝트 공정정보 및 업무별 프로세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프로젝트를 형성한다.
프로젝트를 형성한 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공정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을 위해 프로젝트 공정표(즉, 공정리스크 계층도)를 작성하여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에 전송한다(S120).
이에 따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는 해당 프로젝트의 공정리스크 계층도가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상기 공정리스크 계층도 작성 후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의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공정리스크 제목, 공정리스크 내용 및 기존 SRI 값과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공정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을 위한 공정리스크 계층도 및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공정리스크 중요도 분석 절차 방법에 따라 공정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게 된다(S131).
여기서, 공정리스크 계층도는 주어진 의사결정 문제를 상호 관련된 의사결정 요소들로 계층화하여 문제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계층에는 가장 포괄적인 목표, 최하위 계층에는 선택의 대상인 대안들, 중간계층에는 평가기준들이 놓이도록 구성되는데, 하위계층으로 갈수록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지되, 각 단계내의 요소들은 동질적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리스크 계층도는 대상공종(도 5에서는 철근콘크리트공사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철골공사, 커트월 공사 등으로 대체 가능함)인 제 1 계층, 착공전 단계와 현장시공단계로 분류된 제 2 계층 , 업무단계 내에서의 공정리스크 요인들로 구성된 제 3 계층, 해당 공종별 공정리스크 요인들로 구성된 제 4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공정리스크 분석 시 도 6과 같이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행렬식으로 만들어 열의 합을 구한 후 그 합으로 각 열의 항목을 나눈 정규화 행렬을 만든다.
이때, 정규화 행렬에서 해당 열의 모든 항목을 더하면 1이 된다.
또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정규화 행렬을 만든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규화 행렬의 각 행의 평균값을 구하여 가중치를 구한다.
이때, 구해진 가중치가 각 공정리스크의 중요도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공정리스크 계층도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의해 계산된 가중치에 따라 도 8과 같은 공정리스크 중요도를 나타내게 된다.
즉,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제 1 계층인 "착공전 단계"는 전체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50.00%의 중요도(중요도 1)를 갖고, 제 2 계층인 "설계도서 미흡"은 착공전 단계에서 40.19%의 중요도(중요도 1)를 갖는데 반해, 전체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는 0.500×0.4019 즉, 20.10%의 중요도(중요도 2)를 갖게 된다.
또한, "골조와 마감도면의 불일치"는 "설계도서 미흡" 단계에서 16.67%의 중요도(중요도 1)를 갖고, "착공전 단계"에서는 6.70%의 중요도(중요도 2)를 갖으며, 전체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는 3.35%의 중요도(중요도 3)를 갖게된다.
이때,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공정리스크 중요도 값에 따라 표 1과 같이 공정리스크 대응의 우선순위(즉, 관리대상)를 설정한다.
제 3 계층 영향도 및 우선순위 영향도 및 우선순위 영향도 및 우선순위
중요도 순위 중요도 순위 중요도 순위
부적절한 공법 설계 83.33 1 33.49 1 16.75 1
불량품질의 자재 반입 75.00 1 27.96 1 13.98 2
먹매김 오류로 인한
재시공
90.00 1 23.61 2 11.80 3
공정 부적격 업체 참여 53.90 1 12.31 2 6.15 4
공사범위 누락 75.00 1 12.17 3 6.09 5
.
.
.
.
.
.
.
.
.
.
.
.
.
.
이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표 2와 같은 일관성 평가방법을 통해 상기 가중치의 일관성 평가를 수행한다.
일관성
평가
내용
CR(Consistency Reliability) 수식 CR = (CI/RI)×100
CI CI(Consistency Index) : 일관성 지수
CI = (λmax - n)/(n - 1)

RI
RI(Random Index) : 확률 가중치
행렬의 크기 1 2 3 4 5 6 7 8 9 10 11
RI값 0.00 0.00 0.58 0.90 1.12 1.24 1.32 1.41 1.45 1.49 1.51
판단
기준
CR≤10%(즉, 0.1)이면 사고의 일관성에 있어 설문 값을 믿을 수 있음을 의미함
이때, 일관성 평가를 수행한 값이 10%이하 즉, 0.1이하이면, 사고의 일관성을 믿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AHP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공종별 공정리스크의 중요도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해당 공사현장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표 3과 같은 공종별 SRI 평가 척도에 따라 SRI를 설정할 수 있도록 표 4와 같은 SRI 시트를 생성하여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에 전송한다.
이때, SRI는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동안 프로젝트 전체 범위의 규명정도를 평가하는 PDRI(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의 개념을 활용하여 착공전 단계에서 공정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점수 평가 기준
0 본 프로젝트에는 해당되지 않은 사항임
1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낮고, 발생하더라도 공기지연 일수가 적음
2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높으나 발생하더라도 공기지연 일수가 작아서 쉽게 공기만회가 가능함
3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발생하면 공기지연을 만회하기 위해 소규모 추가 비용이 소요됨
4 공정리스크 발생이 어느정도 예상되고, 공기지연 일수가 많아서 공기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추가 비용이 소요됨
5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 시 공기지연 일수가 많아서 공기만회가 어려움
철근콘크리트공사 중요도 현장별등급 가중치 SRI
전체 단계 0 1 2 3 4 5 전체 단계
1.착공 전 단계 공정리스크
1-1설계도서 검토 미흡에 대한 공정리스크
.골조와 마감도면의 불일치 3.35 6.70 2 1.34 2.68
.부적절한 공법 설계 16.75 33.49 4 13.40 26.79
1-2현설계획서 작성 불합리에 대한 공정리스크
.공사범위 누락 6.09 12.17 2 2.43 4.87
.정확한 공정 미반영 2.03 4.06 1 0.40 0.81
1-3현장설명의 참여업체에 대한 공정리스크
.품질부적격 업체 참여 1.87 3.74 1 0.37 0.75
.안전부적격 업체 참여 3.39 6.78 1 0.68 1.36
.공정부적격 업체 참여 6.15 12.31 2 2.46 4.92
1-4입찰의 불합리에 대한 공정리스크
.실행예산 초과로 인한 재입찰 0.55 1.10 0 0.00 0.00
.현장내용 이해 불충분 1.35 2.70 2 0.54 1.08
.저가수주로 인한 문제 3.29 6.58 0 0.00 0.00
1-5계약의 불합리에 대한 공정리스크
.업체부도로 인한 계약불가 0.60 1.20 1 0.12 0.24
.계약 후 업체 부도 3.02 6.04 3 1.81 3.62
1-6자재공급원 선정의 불합리에 대한 공정리스크
.자재시황에 의한 수급문제 0.82 1.64 0 0.00 0.00
.레미콘 공장과 현장과의 거리 0.22 0.44 4 0.18 0.35
.현장인근 지역의 교통상황 0.52 1.04 0 0.00 0.00
이러한, SRI 시트에서 전체 중요도는 해당 공정리스크 항목이 공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고, 단계 중요도는 해당 공정리스크 항목이 해당 단계(착공전 단계, 현장시공 단계 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또한, SRI 시트에서 현장별 등급값의 평균값인 가중치는 공정리스크 요인별 평가척도의 합을 현장별 SRI 시트 작성자 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한편,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는 상기 표 4와 같은 SRI 시트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SRI 시트에 현장별 등급과 관리대상 SRI를 체크하여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S132, S133).
이때,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6)로부터 전송되는 현장별 등급을 통해 해당 공정리스크의 SRI 값(중요도×(가중치/5))을 산출하게 된다(S134).
이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높은 순위의 공정리스크부터 리스크요인에 대한 대책 마련을 통해 공정리스크로 인한 공기지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키기 위해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I 값의 크기에 따라 순위를 부여한다.
단계 순위 SRI 공정리스크 프로세스






철근콘크리트
공사 단계
1 13.40 부적절한 공법설계 설계도서 검토
2 2.46 공정 부적격 업체 참여 현장설명
3 2.43 공사범위 누락 현설계획서 작성
4 1.81 계약 후 업체의 부도 계약
5 1.34 골조와 마감도면의 불일치 설계도서 검토
6 0.68 안전 부적격 업체 참여 현장설명
7 0.54 현장내용 이해 불충분 입찰
8 0.40 정확한 공정 미반영 현설계획서 작성
9 0.37 품질 부적격 업체 참여 현장설명
10 0.18 레미콘 공장과 현장과의 거리 자재공급원 선정
11 0.12 업체부도로 인한 계약 불가 계약
12 0 실행예산 초과로 인한 재입찰 입찰
12 0 저가수주로 인한 문제 입찰
12 0 자재시황에 의한 수급문제 자재공급원 선정
12 0 현장인근 지역의 교통상황 자재공급원 선정
다시 말해, 표 5와 같이 SRI 값에 따라 순위를 부여하면, 12위인 "실행 예산 초과로 인한 재입찰", "저가수주로 인한 문제", "자재시황에 의한 수급문제", "현장인근 지역의 교통상황"은 SRI 값이 0으로 해당 공사와는 상관없는 공정리스크이므로 우선 관리대상에서 제외하고, SRI 값이 13.40으로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 및 중요도가 높은 "부적절한 공법 설계"부터 사전대책을 마련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상기 공정리스크 분석을 끝낸 이후 현장 관리자 단말기(4)가 공정리스크 확인 및 관리를 위해 상기 공정리스크를 확인창을 요청할 경우 도 9와 같은 공정리스크 확인창을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에 제공한다(S141).
이에 따라, 현장 관리자는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에 제공된 공정리스크 확인창을 통해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토하게 된다(S142, S151).
한편, 상기와 같이 공정리스크 대응방안 검토 시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에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현장 관리자는 수정사항을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에 제공하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는 상기 수정사항을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S152).
이때,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를 통해 입력된 공정리스크의 수정사항으로 내부에 저장된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을 수정하여 저장한다(S157).
한편, 상술한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 검토 단계는 공사현장 담당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공사현장 담당자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웹서버(2)를 통해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상기 공정리스크 및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을 검토하게 된다(S153).
공정리스크 대응방안 검토 시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에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현장 담당자는 상기 수정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
이때, 현장 담당자가 전송한 상기 수정사항은 상기 현장 관리자가 현장 관리자 단말기(4)를 통해 확인한 후 수정하거나 현장 담당자가 전송한 수정사항을 제거한다(S154).
상술한 상기 공정리스크 대응방안 검토 시 별도의 수정사항이 없을 경우에는 월간/주간/일일 업무 관리를 위해 상기 공정리스크와 그 대응방안을 출력한 후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운용한다(S159, S155, S156).
이와 같은 S100 단계 내지 S150 단계는 건설 프로젝트를 착공하기 전에 공정리스크와 그 대응방안을 확정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S100 단계 내지 S150 단계에서 S131 단계 내지 S134 단계를 포함하는 S130 단계는 공정리스크를 분석하는 공정리스크 분석 단계이고, S141 단계 및 S142 단계를 포함하는 S140 단계는 공정리스크 정보를 확인하는 공정리스크 확인 단계이며, S151 단계 내지 S159 단계를 포함하는 S150 단계는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설정하는 공정리스크 대응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건설 프로젝트를 착공한 이후 공사 현장에서 신규 공정리스크가 발생되면, 상기 현장 관리자는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4)를 통해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분석 내용과 그 처리내용(즉,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S160, S170).
그러나, 신규 공정리스크가 발생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는 해당 프로젝트 종료 시 내부에 저장된 공정리스크 정보 및 그 대응방안을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에 전송한다(S180).
여기서는,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의 기능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 또한 공정리스크 계층도, 공정리스크 요인 분석 및 SRI 값 산출이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14)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 완료 후 중요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로부터 전송되는 SRI 값을 수학식 1을 통해 보정하여 저장하고, 신규 현장 개설 시 보정된 SRI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12)에 전송한다.
Figure 112008091067858-PAT0000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 현장별로 발생되는 공정리스크와 해당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웹 상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현장별로 발생된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 응방안을 마련하여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공정리스크 발생 시 대응방안에 따라 해당 공정리스크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착공 지연을 최소화시켜 공사비가 추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산출 한 후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에 순위를 부여하여 해당 공사와 상관없는 공정리스크는 우선관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 및 중요도가 높은 공정리스크 요인에 대해 사전대책 마련함으로써 공정리스크로 인한 공기지연 및 착공지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공정리스크 관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서 공정리스크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서 공정리스크 중요도를 분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공정리스크 계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서 정규화행렬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서 가중치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 의해 설정된 계층별 공정리스크 중요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에서 제공하는 공정리스크 확인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웹서버 4 : 현장 관리자 단말기
6 :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10 :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
12 :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DB 14 :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DB

Claims (8)

  1. 건설 프로젝트의 공종별 액티비티,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정보, 해당 액티비티의 공정리스크 요인, 해당 공정리스크의 대응방안, 해당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담당자별 공정리스크 대응방안을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공정리스크의 중요도, 공정리스크의 현장별 등급, 공정리스크 가중치,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포함하는 공정리스크 분석정보, 해당 공정에 대한 공정율, 수행시점, 공사일정이 저장된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액티비티별 공정리스크 요인 및 대응방안을 현장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건설 프로젝트 공사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리스크 요인, 신규로 발생된 공정리스크,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 및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와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처리내용을 전송받아 전문가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진 해당 신규 공정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리스크 관리 서버는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가 각각 저장된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될 때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이 전송되면, 상기 신규 공정리스크 및 신규 공정리스크의 처리내용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내부에 저장된 신규 공정리스크 처리내용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규 공정리스크 대응방안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신규 건설 프로젝트에 사용될 때 내부에 저장된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사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건설 프로젝트 완료 후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되는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 값을 수식 1을 통해 보정하여 저장하고, 신규 현장 개설 시 수학식 1에 의해 보정된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수식 1)
    Figure 112008091067858-PAT00003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공정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을 위한 공정리스크 계층도 및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이 전송되면,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의 상대 비교 값을 해당 열의 모든 항목을 더할 경우 1이 되는 행렬식으로 만들어 열의 합을 구한 후 그 합으로 각 열의 항목을 나누어 가중치를 구하고, 상기 가중치로 상기 공정리스크 계층도의 중요도를 설정한 후 상기 공정리스크 계층도의 중요도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공사와 상관없는 공정리스크는 우선관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공정리스크 발생 가능성 및 중요도가 높은 공정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사전대책 마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정리스크 계층도의 중요도,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별 등급, 상기 현장별 등급의 평균치인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를 산출한 후 상기 공정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지수의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현장별 공정리스크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블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공정리스크 대응정보 및 공정리스크 분석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KR1020080138424A 2008-12-31 2008-12-31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KR20100079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424A KR20100079844A (ko) 2008-12-31 2008-12-31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424A KR20100079844A (ko) 2008-12-31 2008-12-31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844A true KR20100079844A (ko) 2010-07-08

Family

ID=4264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424A KR20100079844A (ko) 2008-12-31 2008-12-31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84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44B1 (ko) * 2011-12-05 2012-04-24 한국토지주택공사 입체/복합 개발사업의 리스크 관리 및 성과 관리 통합 시스템
KR20140142074A (ko) * 2013-06-03 2014-12-11 민석배 산업 현장의 위험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1566B1 (ko) * 2019-07-16 2020-05-18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KR20210009268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20210009267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20210009269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44B1 (ko) * 2011-12-05 2012-04-24 한국토지주택공사 입체/복합 개발사업의 리스크 관리 및 성과 관리 통합 시스템
KR20140142074A (ko) * 2013-06-03 2014-12-11 민석배 산업 현장의 위험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1566B1 (ko) * 2019-07-16 2020-05-18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KR20210009268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20210009267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KR20210009269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n et al. Critical organizational success factors for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s–a comparison of solicited and unsolicited proposals
AU2010204473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alytical data related to the project bid and requisition process
US7925568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alytical data related to the project bid and requisition process
JP5172354B2 (ja) プロジェクト作業の計画/範囲変更の運営情報およびビジネス情報シナジーシステムおよび方法
Han et al. Causes of bad profit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KR20100079844A (ko) 공정리스크 관리 시스템
Chileshe et al.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d or no-bid decision of the indigenous small building contractors in Tanzania
US20120253967A1 (en) Digitally based system for lease property selection and lease negotiation
Wang et al. Integration of simulation‐based cost model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model for bid price decisions
de Araujo et al. Classification model for bid/no‐bid decision in construction projects
Chan et al. Factors influencing building contractors’ pricing for time-related risks in tenders
Van Duren et al. Perceptions of success in performance-based procurement
Blomberg et al. Discovery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using military construction cost premiums
WO2017021998A1 (ja) 電子稟議書の更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113699A (ko) Ui개발 툴을 이용한 지능형 입찰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2016093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Bardhan et al. A Delphi-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pproach in the selection of an enterprise-wide integration strategy
Abunada et al. Optimization model in subcontractors assignment in Jordan
US20130262326A1 (en) Intellectual Property Annuity/Maintenance Payment and Mistaken Abandonment Prevention Systems
Habibi Identification of phase-based key performance factors and their best practices in construction projects
Pawar et al. Risk Analysis and Strategic Evaluation of Procurement Process in Construction
Sanboskani et al. CMAR Procurement in US Public Projects: Qualifications-Driven Processes and Criteria
Hien et al. Land Price Determination in Vietnam: The Situation and Recommendations
US20160078548A1 (en) Pension Transaction Platform
Stanford Competition and Price Analysis of Indefinite Delivery Indefinite Quantity Contracts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