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829B1 -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829B1
KR100846829B1 KR1020070020450A KR20070020450A KR100846829B1 KR 100846829 B1 KR100846829 B1 KR 100846829B1 KR 1020070020450 A KR1020070020450 A KR 1020070020450A KR 20070020450 A KR20070020450 A KR 20070020450A KR 100846829 B1 KR100846829 B1 KR 10084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signal
user
emerg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김지천
김선조
박상우
박순철
이정묵
박정희
황시영
조성우
정웅섭
이동우
유낭근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울산광역시
Priority to KR102007002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829B1/ko
Priority to PCT/KR2007/003972 priority patent/WO2008105578A1/en
Priority to EP07793576A priority patent/EP211564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중인 선박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착용되고, 센서부, 진동발생부 및 응급버튼부가 구비되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비상신호를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휴대감지수단; 선박 내 공간별로 설치되고, 공간 내의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가 구비되며, 각 정보를 포함한 공간감지정보를 공간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고정감지수단; 및 휴대감지수단에서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비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제2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고정감지수단에서 무선 전송받은 공간감지정보의 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공간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공간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3긴급신호를 생성시키는 판단부 및 경보발생부가 구비된 종합관제수단을 포함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선박, 조선, 무선, 재난, 감지, 센서, 진동발생,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선박에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선박 11...작업공간
12...종합관제실 20...사용자
30...안전관리자
100...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110...휴대감지수단
111...센서부 112...진동발생부
113...응급버튼부 114...표시부
120...고정감지수단 121...고정센서부
122...적외선센서 130...종합관제수단
131...판단부 132...경보발생부
133...저장부 134...예측부
140...안전관리자 단말기 141...디스플레이부
150...현장상황알림판 160...중계수단
161...무선랜모듈 162...CDMA모듈
본 발명은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의 각종 재난 발생에 관한 실시간 감지 및 알림이 가능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대형 선박은 그 규모가 상당하여 선박 내 각 구역별 전반적인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초대형 선박의 건조 중에는, 선박 내부의 각 작업공간별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선박 내부 곳곳이나 선박 외부의 종합관제실 등에서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안전관리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선박의 규모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업공간 및 작업자의 수 또한 적지 않아 작업공간 및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행되지 못할 수 있으며 관리비용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각 작업공간의 화재, 폭발 등의 사고 발생시 작업자 간의 핸드폰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을 알리거나 경보를 울리는 것에 불과하 여 사고 발생구역, 사고의 종류, 사고 피해자 등의 구체적인 긴급상황 정보를 신속히 전달받을 수 없음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사고의 신속한 대처가 이행되지 못하여 인적 및 물적 재산의 피해가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선박 내의 각 작업공간별 또는 작업자별 발생될 수 있는 긴급상황에 관하여 작업자 또는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긴급정보의 수신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은, 건조 중인 선박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착용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신호 및 착용주변의 산소농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가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비상시 누름에 의해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응급버튼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비상신호를 상기 사용자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휴대감지수단; 상기 선박 내 소정 공간별로 설치되 고,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가 구비되며, 감지된 각 정보를 포함한 공간감지정보를 상기 공간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공간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고정감지수단; 상기 휴대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비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제2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고정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공간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공간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공간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3긴급신호를 생성시키는 판단부 및 상기 각 긴급신호 생성시 경보를 울리는 경보발생부가 구비된 종합관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여기서 본 발명은 안전관리자 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안전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감지수단은,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휴대감지수단 및 고정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공간감지정보를 기초로 한 사용자별 또는 소정 공간별 분석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의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별 또는 소정 공간별 분석데이터를 실시간 표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합관제수단의 상기 임계범위는, 주의범위 및 상기 주의범위에 비해 위험한 범위를 나타내는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제1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에 포함된 상기 각 이탈정보는, 상기 주의범위 이탈 및 위험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선박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받아 상기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 문자 또는 그래픽 형식으로 화면으로 표시 제공하는 현장상황알림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감지수단은, 상기 공간 내의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가 더 구비되고, 감지된 움직임 감지정보는 상기 공간감지정보에 통합되어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휴대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 및 고정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계수단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모듈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인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사용자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식별번호, 사용자별 인적사항 및 사용자가 배치된 작업공간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되고, 상기 공간정보로서 상기 공간식별번호, 작업공간별 작업공간명, 작업공간위치와 지도 및 각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되며, 상기 휴대감지수단에서 전송된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비상신호 및 상기 고정감지수단에서 전송된 공간감지정보의 이력이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고정감지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공간감지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예측되는 작업공간과 그와 인접한 인접 작업공간에 위치한 사용자 측의 휴대감지수단 및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 측으로 상기 분석에 의해 예측되는 위험정보를 포함한 긴급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예측부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감지수단은, 상기 예측부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선박에 배치되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100)은, 휴대감지수단(110), 고정감지수단(120) 및 종합관제수단(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중인 선박(10)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재난 등을 실시간 감시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은 건조 중인 선박(10) 내 소정 공간(11)의 사용자(20)별로 착용되는 부분으로서, 센서부(111), 진동발생부(112) 및 응급버튼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공간(11)이란 상기 사용자(20) 즉,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각각의 작업공간(11)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작업자 즉 상기 사용자(20)는 선박(10) 건조에 필요한 용접, 조립 등의 작업을 이행하는 작업자일 수 있으나 작업의 종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박 내에서 이루어지는 어떠한 작업도 작업 내용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부(111)는 사용자(20)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신호 및 착용주변의 산소농도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진동센서(미도시) 및 산소센서(미도시)로 세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소농도정보는 상기 산소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값을 의미하고,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진동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을 이용한 사용자(20)의 움직임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진동센서(미도시)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2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일정 주기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추후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서 사용자(20)의 의식불명 등으로 인한 응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부(112)는 상기 센서부(111)의 감지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가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자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며, 그 구동원리는 일반적인 핸드폰 진동원리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112)는 상기 센서부(111)의 진동신호와 산소농도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진동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또는 10% 내지 30% 범위의 산소농도를 이탈하는 경우를 상기 기준범위 이탈인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상기 기준범위는 단지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바로 한정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센서부(111)에서 감지된 진동신호의 분석 결과 일정시간 동안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20)의 졸음, 의식불명 상태 등일 수 있는데, 상기 졸음 상태인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112)를 통해 작업자의 졸음 방지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응급버튼부(113)는 비상시 누름에 의해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20)가 배치된 소정 공간인 작업공간(11) 상의 화재, 폭발 등의 재난 발생시 또는 사용자(20)의 개인적인 긴급상황 발생시, 위험환경을 탐지한 소정 사용자(20)가 상기 응급버튼부(113)의 간단한 누름에 의해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의 실시간 신속한 응급구난 요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은 상기 센서부(111)에서 감지된 상기 진동신호와 산소농도정보 및 상기 응급버튼부(113)에서 출력된 상기 비상신호를 상기 사용자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사용자별 휴대하고 있는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신호 및 비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각각 구분하여 저장부(133)를 통해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의 저장부(133)는 상기 사용자식별번호 및 이 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더 저장하고 관리 및 조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 성명, 나이 등의 인적사항, 상기 사용자가 배치된 작업공간(11) 정보, 같은 작업공간(11)에 배치된 다른 사용자 정보 등이 각각 연계되어 저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20) 또는 사용자(20)가 배치된 작업공간(11)의 긴급상황 발생시 작업공간별, 사용자별 상호 연계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은 상기 선박(10) 내 소정 공간(11), 즉 상기 사용자(20)가 배치된 작업공간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11) 내의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은 상기 고정센서부(121)에서 감지된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공간감지정보를 상기 공간(11)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공간식별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센서부(121)는 각각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감지부(미도시), 온도감지부(미도시), 습도감지부(미도시), 불꽃감지부(미도시), 조도감지부(미도시), 폭발성 가스감지부(미도시)로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폭발성 가스란 연기나 THC가스, 에틸렌가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은 상기 공간(11) 내의 사람 등의 이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12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센서(122)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감지정보는 상기 공간감지정보에 통합되어 종합관제수단(130)으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외선센서(122)의 움직임 감지정보를 이용한다면, 각 작업 공간(11) 내의 정규 작업 외 시간(예를 들어, 퇴근시간, 취침시간 등) 동안의 이동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침입자를 색출해낼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종 사고 발생시 상기 작업 공간(11) 별 이동체 감지 여부를 통해 인명 구조작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의 저장부(133)는 상기 공간(11)별 설치된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상기 공간감지정보를 상기 공간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공간별로 각각 구분하여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의 저장부(133)는 상기 공간식별번호 및 이에 대응되는 공간정보를 더 저장하고 관리 및 조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공간정보란, 작업공간명, 작업공간 위치, 지도,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 정보 등이 각각 상호 연계되어 저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20) 또는 사용자(20)가 배치된 작업공간(11)의 긴급상황 발생시 작업공간별, 사용자별 상호 연계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 및 고정감지수단(120)과 서로 이격된 장소, 예를 들면 건조중인 선박(10) 외부에 위치한 종합관제실(1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으로부터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비상신호를 무선 전송받을 수 있고,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으로부터 상기 공간감지정보를 무선 전송받는 부분으로 서, 판단부(131), 경보발생부(132), 저장부(133) 및 예측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판단부(131)는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부(131)에서 생성되는 제1긴급신호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가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관한 긴급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신호와 산소농도정보의 임계범위 이탈은,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20)의 움직임, 즉 진동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정해진 임계범위 즉, 예를 들어 10% 내지 30%범위의 산소농도를 이탈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판단부(131)는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긴급신호에 관한 임계범위는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 지정된 상기 기준범위와 동일한 범위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무선 전송된 진동신호 및 산소농도정보가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수신 및 분석되어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켜 안전관리자에 의한 긴급 구난이 수행되기 이전에 앞서, 상기 진동발생부(112)의 자체적인 진동을 통해 각 사용자(20)로 하여금 긴급상황에 관하여 사전에 신속히 인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긴급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정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감지수단(110)을 착용한 사용자(20)의 인적사항, 사용자(20)가 배치된 작업 공 간(11)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고, 상기 이탈정보는 상기 수신된 진동신호를 분석한 결과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20)의 움직임 즉,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수신된 산소농도정보를 분석한 결과 소정 임계범위(예를 들어, 10% 내지 30%범위)를 이탈한 산소농도값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131)는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으로부터 비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제2긴급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사용자(20)의 누름에 의해 휴대감지수단(110)으로부터 비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특정 사용자(20) 또는 상기 특정 사용자(20) 주변의 작업 공간(11) 등에 긴급상황이 발생 되었음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부(131)는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공간감지정보의 각 정보 즉,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공간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공간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3긴급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부(131)에서 생성되는 제3긴급신호란,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공간감지정보가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관한 긴급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긴급신호에 포함된 공간정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공간명, 작업공간 위치, 지도,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 정보 등일 수 있고, 상기 이탈정보는 상기 수신된 각 공간감지정보를 분석한 결과 소정 임계범위(예를 들어, 10% 내지 30%의 산소농도 범위, 5℃ 이하 또는 35℃ 이상의 온도범위, 30% 내지 70%의 습도 범위 등)를 이탈한 공간감지정보에 관한 각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보발생부(132)는 종합관제실(12)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 생성시 경보를 울림에 따라 종합관제실(12) 내부의 서버관리자, 안전관리자 등에게 긴급상황임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관리자(30) 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41)가 포함된 안전관리자 단말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관리자(30)는 선박(10) 외부에 위치한 종합관제실(12) 또는 선박(10)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에 따르면,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서 전송된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를 통해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정보인 사용자정보, 공간정보, 이탈정보 등을 표시함에 따라 안전관리자(30)로 하여금 긴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인지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관리자(30)가 별도의 긴급구난을 위해 현장에 신속히 투입되어 긴급구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단말기(14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핸드폰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은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표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은, 종합관제수단(130)에서 전송된 각 긴급신호를 전송받아 표시부(114)를 통해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정보인 사용자정보, 공간정보, 이탈정보 등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20)로 하여금 긴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인지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 및 고정감지수단(12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공간감지정보를 기초로 한 사용자(20)별 또는 상기 소정 공간(11)별 분석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41)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의 표시부(114)는 상기 사용자(20)별 또는 소정 공간(11)별 분석데이터를 실시간 표시 제공함에 따라, 상기 안전관리자(30) 또는 사용자(20)로 하여금 상기 각 긴급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도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공간감지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관리자(30)는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을 통해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각 작업 공간(11)에 관한 공간감지정보를 실시간 전송 받아 확인 가능하며, 각 사용자(20) 측의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를 사용자별로 실시간 확인하여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20) 또한 자신이 위치한 작업 공간(11) 또는 타 작업공간 관한 공간감지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이 휴대한 휴대감지수단(110)에서 감지되는 진동신호와 산소농도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 및 고정감지수단(120)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공간감지정보를 기초로 한 각각의 분석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저장, 관리 및 조회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구비된 판단부(131)의 판단기준인 상기 임계범위는, 주의범위 및 상기 주의범위에 비해 위험한 범위를 나타내는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에 포함된 각 이탈정보는, 상기 주의범위 이탈 및 위험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긴급신호의 경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산소농도정보의 주의범위는 18% 내지 30% 범위이고 위험범위는 0% 내지 17%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긴급신호의 경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공간감지정보 중 산소농도정보의 주의범위와 위험범위는 상술한 제1긴급신호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고, 또한 온도정보의 주의범위는 0℃ 내지 5℃ 및 35℃ 내지 50℃, 위험범위는 5℃이하 및 50℃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실내 온도는 증가되고 습도와 산소농도는 감소되고 또한 폭발성 가스 등의 유해가스는 증가되고 조도가 감소될 수 있는데 상술한 각각의 정보를 통해 화재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며, 폭발성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또한 화재, 폭발 등의 재난을 예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판단부(131)는 이상과 같은 상기 임계범위 즉, 주의범위 및 위험범위 값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구비된 저장부(133)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식별번호, 사용자별 인적사항 및 사용자가 배치된 작업공간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되고, 상기 공간정보로서 상기 공간식별번호, 작업공간별 작업공간명, 작업공간위치와 지도 및 각 작업공간(11)에 배치된 사용자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3)는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비상신호 및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공간감지정보의 이력이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저장부(133)에 저장된 정보들은 서버관리자 등에 의해 언제든지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구비된 예측부(134)는,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상기 공간감지정보 즉,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예측되는 작업공간과 그와 인접한 인접 작업공간에 위치한 사용자 측의 휴대감지수단(110) 및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 측으로 상기 분석에 의해 예측되는 위험정보를 포함한 긴급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정보에는 위험이 예측되는 작업공간에 관한 공간정보, 즉 작업공간명, 작업공간 위치 및 지도, 해당 작업공간과 인접하여 위험이 전파될 수 있는 인접작업공간 정보 및 상기 인접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정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는, 상기 예측부(134)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안전관리자(30)로 하여금 특정 구역 또는 특정 사용자의 위험 예측 및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휴대감지수단(110) 또한, 상기 예측부(134)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112)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표시부(114)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상기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20)로 하여금 어떤 구역에 어떠한 위험 인자가 존재하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측부(134)는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으로부터 전송된 공간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어느 일 작업공간에서는 폭발성 가스가 감지되고, 상기 어느 일 작업공간과 인접한 어느 다른 작업공간에서는 스파크, 즉 용접 등의 행위에 의한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폭발성 가스와 불꽃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가능성을 예측하여 상기 어느 일 작업공간의 작업자 또는 그와 인접한 상기 어느 다른 작업공간의 작업자에게 상기와 같이 예측된 폭발 위험요소를 상기 긴급알림신호로 전송함에 따라 작업공간 상의 용접을 중단하고 안전한 장소로 즉각적인 대피가 가 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안전사고의 발생 및 그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의 피해 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중인 선박(10)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으로부터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받아 상기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 문자 또는 그래픽 형식으로 화면으로 표시 제공하는 현장상황알림판(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통 선박(10) 내에는 각가지 소음으로 인해 현장 사고발생 현황에 관하여 청각적인 방법을 통해서 신속,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현장상황알림판(150)의 경우 안전관리자(30)로 하여금 상술한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긴급상황에 관한 사용자정보, 공간정보 및 이탈정보를 문자 또는 그래픽 형태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관리자(30)는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뿐만 아니라 상기 현장상황알림판(150)을 통해 긴급상황의 이중적인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는 특별한 사정이나 개인적인 착오 등으로 인하여 상기 현장상황알림판(150)과 안전관리자 단말기(140)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한 긴급상황 수신을 전달받지 못한 경우 긴급상황의 파악에 유용하게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장상황알림판(150)은 LCD(Liquid Crystal Digital) 디스플레이 또는 각기 다른 색상의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감지수단(110)에서 전송된 제1긴급신호 또는 제2긴급신호의 경우,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 외에 상기 해당 휴대감지수단(110)을 착용한 사용자(20) 및 상기 사용자(20)와 동일 작업 공간(11)에 위치한 타사용자 측 휴대감지수단(110)에만 제1긴급신호 또는 제2긴급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상기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사용자정보 중 상기 사용자(20)와 동일 작업공간(11)에 배치된 다른 타사용자 정보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에서 전송된 제3긴급신호의 경우,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은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140) 외에 상기 고정감지수단(120)이 위치한 해당 공간(11) 내에 위치한 사용자(20) 또는 상기 해당 공간(11)에 인접한 타 공간에 위치한 타사용자 측 휴대감지수단(110)에만 제3긴급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합관제수단(130)에 상기 공간식별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공간정보 중 작업공간명, 작업공간 위치, 지도, 상기 각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휴대감지수단(110)과 종합관제수단(130) 간 및 고정감지수단(120)과 종합관제수단(130)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수단(16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계수단(160)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171)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모듈(172)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 며, 이러한 중계수단(160)은 건조중인 선박(10) 외부 소정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랜 또는 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 즉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함에 따라 통신 장애에 관한 신속한 극복이 가능하다.
즉, 복수의 작업 공간(11)과 복수의 사용자(20)가 존재하는 선박(10)과 같은 대형 구조체 상에서 긴급 상황에 관한 송수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작은 사고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거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발명과 같이 무선랜 방식 및 CDMA 방식의 이중적인 통신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휴대감지수단(110)과 종합관제수단(130) 간 및 고정감지수단(120)과 종합관제수단(130) 간의 상시적인 통신 유지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대형사고,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계수단(160)은,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무선랜모듈(161)을 통해 상시적으로 통신이 수행되며, 상기 무선랜모듈(161)의 연결이 끊김 상태로 전환되어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CDMA모듈(162)을 이용한 CDMA 방식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랜모듈(161)의 연결상태는 정상상태이나 다수 회 전송 후 상기 휴대감지수단(110), 고정감지수단(120) 또는 종합관제수단(130)으로부터 회신이 없는 통신 장애 발생의 경우에는 CDMA모듈(162)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CDMA모듈(162)을 이용한 통신 수행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통신 연결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다시 무선랜모듈(161)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전 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수단(160)의 무선랜모듈(161) 및 CDMA모듈(162)은, 통신 연결을 복수 회 반복하여도 통신장애가 복구되지 않는 경우 자동 리셋(Reset)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100)은 건조중인 선박(10)의 경우에 적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산업안전재해 감시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한 선박 건조 제조업 이외의 일반적인 타 제조업 상에서 충분히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시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선박 내의 각 작업공간별 또는 작업자별 발생될 수 있는 긴급상황에 관하여 작업자 또는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긴급정보의 수신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과 같이 무선랜 방식 및 CDMA 방식의 이중적인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선박 내의 휴대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 및 고정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의 상시적인 통신 유지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형사고,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 등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건조 중인 선박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착용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신호 및 착용주변의 산소농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가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비상시 누름에 의해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응급버튼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비상신호를 상기 사용자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휴대감지수단;
    상기 선박 내 소정 공간별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조도, 폭발성 가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가 구비되며, 감지된 각 정보를 포함한 공간감지정보를 상기 공간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공간식별번호와 연계하여 무선 전송하는 고정감지수단;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중 하나 또는 전부가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1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비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식별번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제2긴급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고정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공간감지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보가 임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공간식별번호와 임계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인 공간정보와 이탈정보를 포함한 제3긴급신호를 생성시키는 판단부 및 상기 각 긴급신호 생성시 경보를 울리는 경보발생부가 구비된 종합관제수단을 포함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안전관리자 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안전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감지수단은,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및 제3긴급신호 각각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휴대감지수단 및 고정감지수단으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공간감지정보를 기초로 한 사용자별 또는 소정 공간별 분석데이터를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휴대감지수단의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별 또는 소정 공간별 분석데이터를 실시간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수단의 상기 임계범위는,
    주의범위 및 상기 주의범위에 비해 위험한 범위를 나타내는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제1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에 포함된 상기 각 이탈정보는,
    상기 주의범위 이탈 및 위험범위 이탈에 관한 정보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선박 외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긴급신호, 제2긴급신호 또는 제3긴급신호를 무선 전송받아 상기 각 긴급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 문자 또는 그래픽 형식으로 화면으로 표시 제공하는 현장상황알림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감지수단은,
    상기 공간 내의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가 더 구비되고, 감지된 움직임 감지정보는 상기 공간감지정보에 통합되어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 무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 및 고정감지수단과 종합관제수단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중계수단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모듈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인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수단은,
    상기 사용자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식별번호, 사용자별 인적사항 및 사용자가 배치된 작업공간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되고, 상기 공간정보로서 작업공간별 작업공간명, 작업공간위치와 지도, 각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정보 및 상기 공간식별번호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되며, 상기 휴대감지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비상신호 및 상기 고정감지수단에서 전송된 공간감지정보의 이력이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고정감지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공간감지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예측되는 작업공간과 그와 인접한 인접 작업공간에 위치한 사용자 측의 휴대감지수단 및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 측으로 상기 분석에 의해 예측되는 위험정보를 포함한 긴급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예측부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감지수단은,
    상기 예측부로부터 긴급알림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긴급알림신호에 포함된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20070020450A 2007-02-28 2007-02-28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084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450A KR100846829B1 (ko) 2007-02-28 2007-02-28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PCT/KR2007/003972 WO2008105578A1 (en) 2007-02-28 2007-08-20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P07793576A EP2115645A4 (en) 2007-02-28 2007-08-20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CLAI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450A KR100846829B1 (ko) 2007-02-28 2007-02-28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829B1 true KR100846829B1 (ko) 2008-07-16

Family

ID=3972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450A KR100846829B1 (ko) 2007-02-28 2007-02-28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115645A4 (ko)
KR (1) KR100846829B1 (ko)
WO (1) WO2008105578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84B1 (ko) 2010-07-07 2011-04-06 주식회사 알파통신 선박용 알람 시스템
KR101102488B1 (ko) * 2009-12-29 2012-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102921B1 (ko) 2009-12-01 2012-01-10 (주)유시스 복합센서장치 및 산업재해감지 방법
KR101117613B1 (ko)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168021B1 (ko) 2010-11-12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이상 감지 알람 방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한 선박
KR20140000930U (ko) *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KR101388984B1 (ko) 2013-10-01 2014-04-25 (주) 엔텍코아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KR101393894B1 (ko) * 2013-03-12 2014-05-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휴대형 데드맨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925B1 (ko) * 2012-12-03 2015-01-26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20160107790A (ko) *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6158B1 (ko) *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872768B1 (ko) * 2017-03-27 2018-07-02 주식회사 유타렉스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KR20200009739A (ko) 2018-07-20 2020-01-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011B1 (ko) 2019-11-18 2020-08-13 장봉조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40068B1 (ko) * 2020-07-13 2021-04-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159593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이에스피 안벽 호선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 스케줄 최적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6182A (zh) * 2010-03-05 2010-10-20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驾驶台通用线控系统
ITTO20120498A1 (it) * 2012-06-07 2013-12-08 Marco Bersano Sistema di allarme per un'area da monitorare, in particolare una zona commerciale o industriale, quale un cantiere.
KR101808064B1 (ko) * 2017-05-30 2017-12-14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9058379A1 (en) 2017-09-25 2019-03-28 New Go - Arc (2015)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WORK ACCIDENTS
JP7423210B2 (ja) 2019-07-16 2024-01-29 株式会社コア 空気中成分監視システム、空気中成分監視方法、及び空気中成分監視プログラム
US20230408476A1 (en) * 2022-05-24 2023-12-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e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ccurate explosion predicting and war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709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해감시 시스템
KR20050078396A (ko) * 2004-01-29 2005-08-05 (주)토목기술엔지니어링 사면 재해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0333A1 (fr) * 1978-03-21 1979-10-19 Raymond Grellat Ensemble assurant la securite des personnes isolees
JP2001184575A (ja) * 1999-12-24 2001-07-06 Sumitomo Denko Systems Kk 災害管理システム、災害管理方法及び災害管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40054921A1 (en) * 2001-10-02 2004-03-18 Land H. Bruce Integrated monitoring and damage assessment system
US6930608B2 (en) * 2002-05-14 2005-08-16 Motorola, Inc Apparel having multiple alternative sensors and corresponding method
US6995665B2 (en) * 2002-05-17 2006-02-07 Fireeye Development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equipment, environment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DE10347030A1 (de) * 2003-10-09 2005-05-04 Ind Elektronik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trieb haustechnischer Anlagen unter Einbeziehung von Sicherheits- und Überwachungsfunktion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709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해감시 시스템
KR20050078396A (ko) * 2004-01-29 2005-08-05 (주)토목기술엔지니어링 사면 재해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1B1 (ko) 2009-12-01 2012-01-10 (주)유시스 복합센서장치 및 산업재해감지 방법
KR101102488B1 (ko) * 2009-12-29 2012-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026884B1 (ko) 2010-07-07 2011-04-06 주식회사 알파통신 선박용 알람 시스템
KR101117613B1 (ko)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168021B1 (ko) 2010-11-12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이상 감지 알람 방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한 선박
KR20140000930U (ko) *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KR200482983Y1 (ko) * 2012-07-31 2017-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KR101485925B1 (ko) * 2012-12-03 2015-01-26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101393894B1 (ko) * 2013-03-12 2014-05-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휴대형 데드맨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101388984B1 (ko) 2013-10-01 2014-04-25 (주) 엔텍코아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KR20160107790A (ko) *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2090B1 (ko) * 2015-03-05 2017-04-11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6158B1 (ko) *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872768B1 (ko) * 2017-03-27 2018-07-02 주식회사 유타렉스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KR20200009739A (ko) 2018-07-20 2020-01-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011B1 (ko) 2019-11-18 2020-08-13 장봉조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40068B1 (ko) * 2020-07-13 2021-04-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159593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이에스피 안벽 호선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 스케줄 최적화 시스템
KR102558165B1 (ko) 2021-05-26 2023-07-21 주식회사 이에스피 안벽 호선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 스케줄 최적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5645A4 (en) 2010-06-16
EP2115645A1 (en) 2009-11-11
WO2008105578A1 (en)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829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RU2606236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надежного аварий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EP29057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agged headcount accounting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KR1021951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195174B1 (ko)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84511B1 (ko) 상황분석패턴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KR102409680B1 (ko) 위험작업공간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JP6243046B2 (ja) 誘導灯
KR20150040571A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CN111292511A (zh) 一种事故预警方法及系统
Manasa et al. Iot based coal min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US11749087B2 (en) Process, system and alarm management system for analyzing data of a mobile gas measuring device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US10957180B2 (en) Confined space failsafe access system
KR100957552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RU264879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ми процесс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Banu et al. Power Efficient Intelligent Helmet for Coal Mining Security and Alerting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