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768B1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768B1
KR101872768B1 KR1020170038198A KR20170038198A KR101872768B1 KR 101872768 B1 KR101872768 B1 KR 101872768B1 KR 1020170038198 A KR1020170038198 A KR 1020170038198A KR 20170038198 A KR20170038198 A KR 20170038198A KR 101872768 B1 KR101872768 B1 KR 10187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point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타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타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타렉스
Priority to KR102017003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는 건설 현장에 배치되고, 상기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기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알려줄 수 있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에 다수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안전사고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매우 소수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중장비 등이 많이 사용되고, 화학 물질 등이 빈번히 대형 건설 현장에서는 안전사고의 발생률이나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욱 필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한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40144호에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를 이용하여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작업자의 안전모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건설 현장에 RFID 중계기를 달아 중앙 서버에서 작업자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작업자의 근태 관리와 위치 추적에만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에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작업자 등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 등이 안전하게 건설 현장에서 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현장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건설 현장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는 건설 현장에 배치되고, 상기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기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건설 현장은 건축, 토목 관련 공사가 이루어지는 현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먼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는 먼지 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 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감지할 수 있는 VOCs 센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로서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팬(PAN:퍼옥시아세틸 나이트레이트)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대기오염 물질이며 발암성을 지닌 독성 화학물질로서 광화학산화물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 물질이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울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온습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먼지의 양,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연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확인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으로 알림 정보를 구별하여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정보, 촉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알림 정보를 발생하는 알람부; 및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구조 신호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자유낙하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부는 측정된 자유낙하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가 추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이동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위험 상황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건설 현장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작업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고, 작업자에게 안전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작업자가 자신의 위치를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구조 신호 전송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구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된 경우 단말기가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1000)는 액세스 포인트(AP, 100), 단말기(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100)는 건설 현장에 배치되고,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설 현장 전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100)가 배치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하여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00)가 배치되어 있는 주변의 위험물이 적치되어 있는지 여부, 땅이 함몰되어 있는지 여부, 위험 가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100)가 감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기울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100)의 온습도,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먼지의 양,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연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설 현장 전체 영역 내에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배치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건설 현장 상황에 맞도록 배치상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한 물질 등이 배치된 곳(위험 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지역) 주변에는 액세스 포인트(100)가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뿔형 형상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에는 건설현장에 배치되어 있는 칼라콘이 삽입될 수 있는 홈 또는 중공이 액세스 포인트(100)에 형성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00)는 건설현장에 주로 설치되는 칼라콘에 간단하게 삽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 감지를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100)는 기울기 센서(110), 온습도 센서(120), 먼지 센서(130), 불꽃감지 센서(140), VOCs 센서(150) 및 연기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10)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건설 현장의 경우 지하 공사, 토사 유출 등에 의하여 지반이 침하될 가능성이 있고, 액세스 포인트(1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100)의 주변의 땅이 꺼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 등이 기울기 센서(110)로 사용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20)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온습도 센서(120)를 통하여 측정된 온도가 약 70℃ 이상인 경우에는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 센서(120)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멘트 타설에 최적화된 온도 및 습도인지 여부 등도 확인이 가능하다.
먼지 센서(130)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먼지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먼지 또는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여 먼지 수치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가능하며, 먼지 수치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센서(130)를 통하여 작업자가 작업하는 영역에 대한 현재 먼지의 양의 파악도 가능하다.
불꽃감지 센서(140)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불꽃감지 센서(140)를 통하여 불꽃이 감지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VOCs 센서(150)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VOCs 센서(150)를 통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감지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감지된 영역 주변에서 용접 작업이나 화기 등을 사용하는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VOCs 센서(150)를 통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여 인체에 유해한 수치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기 센서(160)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기 센서(160)를 통하여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정보, 촉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의 발생은 액세스 포인트(100)에 구비될 수 있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램프를 점멸시키거나, 모터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스피커에 의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00) 주변에 위치하는 작업자 등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단말기(200)와의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200)부터 송신되는 위치 확인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으로 알림 정보를 구별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100)는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거리의 측정은 신호의 세기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신호의 세기가 강해지는 정도에 따라 거리가 좁아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단말기(2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가 약 50m 를 초과한 경우에는 주의, 약 25m 초과 50m 미만인 경우에는 경고, 약 25m 이내인 경우에는 위험으로 알림 정보를 구별하여 발생할 수 있다. 주의, 경고 및 위험의 구분은 스피커를 통하여 발생되는 경고음의 크기의 차이를 통해 구별되거나 경고음의 소리가 발생되는 간격의 조정을 통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의의 경우에는 경고음이 발생되는 간격이 위험에 비하여 좁게 되도록 하거나, 주의의 경우에는 경고음의 세기가 위험에 비하여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주의, 경고, 위험의 각 단계가 구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200)는 건설 현장에서 공사를 담당하거나 작업자,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 등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10), 판단부(220), 알람부(230) 및 구조 신호 버튼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액세스 포인트(100) 및 관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BT, Beacon, SubGiga(400㎒·800㎒·900㎒) 등의 메쉬 RF, CDMA, GSM·GPRS, 3G·4G, 저전력 광역무선통신기술(예를 들면, 로라(LoRa)) 등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위치 확인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100)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확인 신호는 비콘 신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부(220)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람부(230)는 알림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정보는 시각적 정보, 촉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의 발생은 단말기(200)에 구비될 수 있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램프를 점멸시키거나, 모터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스피커에 의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단말기(20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 등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구조 신호 버튼부(240)는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20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갑자기 위험 상황(예를 들면, 건설 현장에서 추락 등)이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스스로 구조 신호 버튼부(240)를 눌러 구조 신호가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하여 조속히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신호는 관리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고, 관리 서버(3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등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의 자유낙하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단말기(2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측정된 자유낙하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단말기(20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가 추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이동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BT, Beacon, SubGiga(400㎒·800㎒·900㎒) 등의 메쉬 RF, CDMA, GSM·GPRS, 3G·4G, 저전력 광역무선통신기술(예를 들면, 로라(LoRa)) 등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액세스 포인트(100)와 별도로 단말기(200)에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행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액세스 포인트(100)에서 수행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100)와 단말기(200)가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각각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액섹스 포인트(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더욱 정확하게 위험 상태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단말기(200)로 상태 정보가 송신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0)의 기울기가 급격히 변경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 자체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알림 정보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200)만을 통하여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여 건설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 및 단말기(200)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하고, 단말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1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하기 전 예를 들면, 작업자가 단말기(200)의 구조 신호 버튼부(240)를 누르거나, 작업자가 추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기 전까지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하여 관리서버(300)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그런, 작업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후에는 단말기(200) 또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신호에는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기(200)는 GPS 모듈(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가 건설 현장에서 매몰된 경우 경우 단말기(200)를 통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가 송신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매몰 위치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구조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자유낙하속도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구조 신호 버튼부(240)가 눌려진 경우에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구조 신호를 송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100: 액세스 포인트(AP)
200: 단말기 300: 관리 서버

Claims (8)

  1. 건설 현장에 배치되고, 상기 건설 현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알림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기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알림 정보를 발생하는 알람부;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구조 신호 버튼부; 및
    상기 단말기의 자유낙하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단부는 측정된 자유낙하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가 추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이동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기가 각각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만을 통하여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38198A 2017-03-27 2017-03-27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KR10187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198A KR101872768B1 (ko) 2017-03-27 2017-03-27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198A KR101872768B1 (ko) 2017-03-27 2017-03-27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768B1 true KR101872768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198A KR101872768B1 (ko) 2017-03-27 2017-03-27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7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08B1 (ko) * 2019-11-08 2020-05-26 삼일씨티에스(주) 근접센서를 가지는 안전벨트용 사물인터넷디바이스
KR102081543B1 (ko) * 2019-09-18 2020-05-26 박효경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기울임 경광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8548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팜소프트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01425B1 (ko) 2020-08-14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선택적 센싱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102301426B1 (ko) 2020-09-07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액션 패턴 분석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102301427B1 (ko) 2020-10-22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액션 패턴 예측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20220002079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
KR20220148969A (ko) * 2021-04-29 2022-11-08 주식회사가나이엔지 유무선 통합형 산업안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ko) *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ko) *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43B1 (ko) * 2019-09-18 2020-05-26 박효경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기울임 경광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15508B1 (ko) * 2019-11-08 2020-05-26 삼일씨티에스(주) 근접센서를 가지는 안전벨트용 사물인터넷디바이스
KR2021008548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팜소프트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59830B1 (ko) * 2019-12-30 2022-02-09 주식회사 팜소프트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2079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
KR102301425B1 (ko) 2020-08-14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선택적 센싱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102301426B1 (ko) 2020-09-07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액션 패턴 분석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102301427B1 (ko) 2020-10-22 2021-09-14 방병주 오브젝트의 액션 패턴 예측을 통한 중장비 콘트롤 시스템
KR20220148969A (ko) * 2021-04-29 2022-11-08 주식회사가나이엔지 유무선 통합형 산업안전시스템
KR102656140B1 (ko) * 2021-04-29 2024-04-12 주식회사가나이엔지 유무선 통합형 산업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68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AU2019100582A4 (en) A computerised tracking and proximit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nel, plant and equipment operating both above and below the ground or their movement therebetween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9275097A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系统
CN108027950B (zh) 基于位置的质量保证系统
KR101721546B1 (ko)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88939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CN113280814B (zh) 一种园区作业人员的安全监测方法及设备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JP2019067217A (ja) 安全度判定プログラム、安全度判定方法および安全度判定装置
JP2020000402A (ja)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KR102250667B1 (ko) 위험지역 접근시 경보발생 시스템
KR20090089142A (ko)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107912A (ko)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46245B1 (ko)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4090830A1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KR102163833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258905B1 (ko)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00722B1 (ko) 추락방지 시스템
CN111308411A (zh) 一种人员定位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