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833B1 -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33B1
KR102163833B1 KR1020180035611A KR20180035611A KR102163833B1 KR 102163833 B1 KR102163833 B1 KR 102163833B1 KR 1020180035611 A KR1020180035611 A KR 1020180035611A KR 20180035611 A KR20180035611 A KR 20180035611A KR 102163833 B1 KR102163833 B1 KR 10216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mart phone
worker
detection uni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222A (ko
Inventor
김춘상
Original Assignee
김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상 filed Critical 김춘상
Priority to KR102018003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형장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는,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낙하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1감지 유닛;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감전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2감지 유닛;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가스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3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건물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한 각종 노무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시공 중인 건물 등에서는 작업자의 추락이나 감전, 가스 중독 사고와 같은 각종 위험 상황의 발생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 확보나, 위급 상황의 발생시 사고자에 대한 구호 조치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4885호, 명칭: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선행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1546호, 명칭: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에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서는, 기압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별도의 단말, 예를 들면, 헬멧 등을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기압 감지 센서가 감지한 기압에 따라서 작업자가 위치한 높이, 즉 층수를 판단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기압 감지 센서가 감지한 기압에 따라서 작업자가 위치한 층수를 계산한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 1에 의하면, 작업자가 위치한 층수의 계산을 위하여 별도의 기압 감지 센서가 요구된다. 물론, 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이동하는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에 의하여 감지된 가속도가 중력가속도 초과인 경우에 이를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시의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 초과인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으로 오판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더욱인, 일반적으로 자이로센서와 같은 각속도센서는 저가의 스마트폰 등에도 필수적으로 구비되지만, 가속도센서의 경우에는 주로 고가의 스마트폰에만 구비된다. 따라서, 가속도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1 및 2에서는, 작업자의 이동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의 종류에 따른 구체적인 판단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선행기술문헌 2에는, 위급 상황에 대한 예로서 질식 사고가 기재되어 있으나, 구체적을 질식 사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1 및 2에서는, 단순히 작업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한다. 물론, 선행기술문헌 2에는, 비상 상황의 발생시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위급 상황 별 구체적인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4885호(명칭: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1546호(명칭: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위치 등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추락, 감전 및 가스 중독과 같은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급 상황 발생시 보다 신속한 작업자의 구난 및 인접 작업자의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는,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낙하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1감지 유닛;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감전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2감지 유닛; 상기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가스 위험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ㅍ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3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만 전송받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1감지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고,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감지 유닛은,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의 누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감지 유닛은,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3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제3감지 유닛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감지 유닛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에 이를 전송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에 의하여 다른 스마트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가장 인접되고 다른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감전 위험 영역으로부터의 피난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전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피난을 명령하는 신호 또는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감지 유닛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에 이를 전송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다른 스마트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으로부터 가장 인접되고 다른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감전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가스 위험 영역으로부터의 피난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피난을 명령하는 신호 또는 구호 조치를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감지 유닛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에 이를 전송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감지 유닛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구호 조치 또는 피난을 명령을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알람하기 위한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방법의 일 양태는, 감지 유닛이, 스마트폰이 작업 공간 내 기설정된 낙하 위험 영역, 감전 위험 영역 및 가스 위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폰 감지 단계; 상기 감지 유닛이, 감지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낙하 위험 영역에 위치되면,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한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감전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가 누설되면,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한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판단하는 추락/감전/유해 가스 중독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작업자의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누전 또는 유해 가스의 누설이 계속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다른 작업자의 피난을 위한 신호 또는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 전송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낙하 위험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 유닛;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 유닛; 및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를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추락/감전/유해 가스 중독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되면,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만 전송받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1감지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고,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태에서,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3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된 상태에서,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제3감지 유닛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 전송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최종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감전 위험 영역으로부터의 피난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에서 누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전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가스 위험 영역으로부터의 피난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에 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리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자의 위치 및 이동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 및 감지 유닛이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한 시간을 기초로 계산된 가속도로부터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속도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서 소지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에게 발생한 위급 상황을 종류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에게 발생한 위급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에 발생한 사고가 추락, 감전 및 가스 중독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면, 각각의 위급 상황의 종류에 따라서 사고자에 대한 후속 조치나 사고자에 인접한 다른 작업자에 대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위급 상황의 종류에 따른 신속하고 효율적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이 낙하 위험 영역, 감전 위험 영역 및 가스 위험 영역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을 보인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이 낙하 위험 영역, 감전 위험 영역 및 가스 위험 영역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감지 유닛(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마트폰(100)는 각 작업자가 소유하는 것으로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또는 각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폰, 실질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고, '각속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론을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x-y-z 3축 좌표계에서의 각속도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이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00)이 각속도 센서만을 포함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감지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폰(100)이 작업 공간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감지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이를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200)이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감지 유닛(201)은,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낙하 위험 영역(S1) 내에 위치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 유닛(202)은,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감전 위험 영역(S2) 내에 위치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하고, 상기 제3감지 유닛(203)은,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가스 위험 영역(S3) 내에 위치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다.
여기서, '낙하 위험 영역(S1)'이란, 작업자의 낙하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예를 들면, 승강기 등의 설치를 위하여 각 층의 바닥면을 정의하는 슬래브 등이 절개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감전 위험 영역(S2)' 및 '가스 위험 영역(S3)'은, 각각 작업자의 감전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전기 장치나 설비가 설치된 영역, 및 작업자의 유해 가스에 중독이 발생할 수 있는 도색 등과 같이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은,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의 누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 유닛(203)은,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감지 유닛(202)(20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구호 조치 또는 피난을 위한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알람하기 위한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만 전송받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고,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누전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감전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3감지 유닛(203)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가스 중독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제3감지 유닛(203)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203)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에 중독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되면, 그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에 송신한다. 특히,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에게 발생한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에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최종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가 추락한 작업자의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에 의하여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가장 인접되고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다른 하나에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추락 사고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추락한 위치에 인접하는 다른 작업자에 대한 동일한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으므로, 추락한 작업자에 대하여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다른 작업자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 또는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 또는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누전 또는 유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 또는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으로부터의 피난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 또는 제3감지 유닛(202)(203)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 또는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 또는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누전 또는 유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 또는 제3감지 유닛(202)(203)에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사고의 경우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 다른 작업자에 대한 추가적인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되지 않은 작업자에게 피난 조치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 또는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누전 또는 유해 가스 누설의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300)가 제2 또는 제3감지 유닛(202)(203)으로 피난/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방법을 보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방법은, 스마트폰 감지 단계(S100), 데이터 전송 단계(S200), 추락/감전/유해 가스 중독 여부 판단 단계(S300) 및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 전송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감지 단계(S100)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200),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이, 상기 스마트폰(100)이 작업 공간 내 기설정된 상기 낙하 위험 영역(S1),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 및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S200)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200)이 감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S200)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200), 특히, 상기 제1감지 유닛(201)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 또는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추락/감전/유해 가스 중독 여부 판단 단계(S300)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감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 전송 단계(S40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또는 유해 가스 중독 여부에 따라서, 상기 관리 서버(300)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은, 작업자에 대한 구호 또는 다른 작업자의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다른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200: 감지 유닛
201: 제1감지 유닛 202: 제2감지 유닛
203: 제3감지 유닛 300: 관리 서버
S1: 낙하 위험 영역 S2: 감전 위험 영역
S3: 가스 위험 영역

Claims (15)

  1.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마트폰(100);
    상기 스마트폰(100)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낙하 위험 영역(S1)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1감지 유닛(201);
    상기 스마트폰(100)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감전 위험 영역(S2)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2감지 유닛(202);
    상기 스마트폰(100)이 작업 공간의 내부에 정의된 가스 위험 영역(S3) 내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제3감지 유닛(203); 및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감전 및 유해 가스 중독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 유닛(201)은,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또는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에 관한 데이터만 전송받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1감지 유닛(201)이 상기 스마트폰(100)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고,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량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감지 유닛(202)은,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의 누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감지 유닛(203)은,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3감지 유닛(203)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제3감지 유닛(203)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203) 이외의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경우 이외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의 추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100)에 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300)는, 추락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에 의하여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1감지 유닛(201)으로부터 가장 인접되고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다른 하나에 추락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으로부터의 피난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감전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누전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감전 위험 영역(S2)에서 누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전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피난을 위한 신호 또는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100)에 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감전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에 의하여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2감지 유닛(202)으로부터 가장 인접되고 다른 스마트폰(100)이 감지된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다른 하나에 감전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으로부터의 피난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203)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감지 유닛(201)(202)(203)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유해 가스 중독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상기 가스 위험 영역(S3)에서 유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에 대한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유해 가스 중독된 작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100)을 감지한 상기 제3감지 유닛(203)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피난을 위한 신호 또는 구호 조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감지 유닛(203)은, 자신이 감지한 다른 스마트폰(100)에 이를 전송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감지 유닛(202)(20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구호 조치 또는 피난을 위한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알람하기 위한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35611A 2018-03-28 2018-03-28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16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1A KR102163833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1A KR102163833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94A Division KR20200107912A (ko) 2020-09-09 2020-09-09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22A KR20190113222A (ko) 2019-10-08
KR102163833B1 true KR102163833B1 (ko) 2020-10-12

Family

ID=6820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11A KR102163833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22B1 (ko) 2019-10-16 2022-10-27 티엔에스에이아이 주식회사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45B1 (ko) * 2009-11-24 2011-12-28 주식회사 루키스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6938B1 (ko) * 2014-12-10 2015-06-11 정용호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63572B1 (ko) * 2016-03-30 2016-10-07 (주)네트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08064B1 (ko) * 2017-05-30 2017-12-14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885B1 (ko) 2014-12-31 2017-02-08 주승철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KR101721546B1 (ko) 2016-05-26 2017-03-30 김대용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45B1 (ko) * 2009-11-24 2011-12-28 주식회사 루키스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6938B1 (ko) * 2014-12-10 2015-06-11 정용호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63572B1 (ko) * 2016-03-30 2016-10-07 (주)네트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08064B1 (ko) * 2017-05-30 2017-12-14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22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219176B1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KR102077038B1 (ko) 밀폐공간 가스 감지 시스템
KR101872768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장치
KR20200107912A (ko)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95308B1 (ko)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200482611Y1 (ko)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9275097A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系统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JP2008158879A (ja) 避難経路算出装置、避難経路算出方法及び避難経路算出プログラム
EP3848915A1 (en) System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JP2009159239A (ja) 異常検知支援システム
KR102163833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20122227A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059105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37474B1 (ko) 터널 자동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3d 영상시스템
US20210241599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sonnel activity using non-motion sensors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52811A (ko) 모바일 장비에 탑재된 센서들을 이용한 작업 환경 위험 감지 방법
KR102526571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JP6585241B1 (ja) 作業員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携帯端末、作業員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8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21

Effective date: 2020081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