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959A -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959A
KR20230114959A KR1020220011347A KR20220011347A KR20230114959A KR 20230114959 A KR20230114959 A KR 20230114959A KR 1020220011347 A KR1020220011347 A KR 1020220011347A KR 20220011347 A KR20220011347 A KR 20220011347A KR 20230114959 A KR20230114959 A KR 2023011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tribution facility
user
safety management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959A/ko
Publication of KR2023011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은, (a)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management of distribution facility site using sensor}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화상 카메라 센서,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회부 환경을 계측하고 안전모와 안전띠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배전설비 현장에서의 재해사고는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작업 현장에 존재하는 내·외부적 잠재적 위험 요소는 크게 작업자의 건강 상태와 온도·습도·풍속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나눌 수 있다.
배전설비 현장의 위험 요인은 현장의 날씨와 계통 연결 상태와 작업원의 건강 상태 등 다양하고 위험한 작업 환경으로 인하여 대부분 노동자의 사망 사고로 직결되어 있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망·재해사고는 매해 발생하고 있어 다른 안전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작업 위치의 고도가 높고 현장에 따라서 작업원과의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으며, 보조자가 작업 상황을 육안으로만 확인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배전 작업 도중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인을 두고 회사의 과실로 주장하는 노조 측과 노동자 개인의 건강 이상으로 주장하는 사측의 입장이 대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고 규명에 필요한 자료가 부족하다 보니 추측에 의존하여 산재 여부를 가리고 있다. 이처럼, 현재의 배전설비 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사고는 자료 부족으로 인해 원인 규명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2569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 설비의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설비 작업 시 발생하는 위험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재해사고를 예방하고 이상징후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은, (a)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사용자 위험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및 고전압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는,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위험도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및 고전압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화상 레이저와 습도 센서와 풍속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을 계측하고 위험도를 분석하여 작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모와 안전띠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 여부와 작업자의 실시간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위험 징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재해사고를 예방하고 이상징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센서(110), 제2 센서(112),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110)는,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 데이터는 열화상 카메라에 의한 배전 설비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데이터는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에 의해 산출된 배전 설비에 대한 풍속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112)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부착되어 제2 센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112)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및 고전압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112)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생체 센서, 근접 센서 및 위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센서 데이터는 제2 센서(112)를 통해 산출된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맥파 정보, 온도 정보, 뇌파 정보, 혈압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 설비의 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120)는 배전 설비의 누전 여부에 따라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제2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장비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120)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 착용 여부에 따라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환경 위험도와 사용자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폰, 데스크탑, 노트북, 태플릿 PC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환경 위험도와 사용자 위험도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환경 위험도와 사용자 위험도의 수치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운드 신호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각 단계는 도 1의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S201 단계는,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배전 설비에 부착되거나 배전 설비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203 단계는,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배전 설비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 내에서, 배전 설비의 누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열화상 이미지에서, 누전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게 위험 경고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누전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사용자의 안전 장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이 아닌 외부 위험 처리 서버(미도시)에게 위험 경고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위험 처리 서버는 소방서 서버, 경찰서 서버, 설비 보수 업체 서버 등 위험 요소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전 설비에서 위험 요소가 발생한 영역이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이 아니면서도 사용자가 안전 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위험 요소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외부 위험 처리 서버에 위험 경고 알림을 송신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처리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처리할 수 있다.
S205 단계는,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 위험도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를 통해 온도, 풍속, 습도를 측정하여, 사용자는 작업 전에 위험 요소를 미리 인지하고 해당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작업을 중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로 계측한 설비 온도를 분석하여 누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각 단계는 도 1의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S301 단계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112)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안전 장비는 안전모 및 안전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모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고전압 감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띠는 착용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한 안전모 정보와 안전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303 단계는,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S305 단계는, 산출된 사용자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위험도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장비 미착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각 단계는 도 1의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S401 단계는,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배전 설비를 인식하여 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풍속 센서와 습도 센서를 통해 배전 설비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배전 설비의 특정 부분에 대한 풍속과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S402 단계는, 환경 위험도가 제1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하여 산출된 환경 위험도 값을 분석하여 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전 설비의 온도와 풍속과 습도가 작업이 가능한 기준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03 단계는, 환경 위험도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게 환경 위험도를 포함하는 위험 경고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열화상 카메라로 인식한 화면을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 경우, 측정된 풍속과 습도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값을 이력 데이터로 서버(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위험 경고 알림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이상 징후를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환경 위험도와 누전 여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S404 단계는, 환경 위험도가 제1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에에서, 안전 장비에 부착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 장비의 착용 여부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게 위험 경고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S405 단계는, 사용자 위험도가 제2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406 단계는, 사용자 위험도가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게 사용자 위험도를 포함하는 위험 경고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 데이터를 통해 안전 장비(예: 안전모와 안전띠)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착용 여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착용하지 않은 경우, 위험 경고 알림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이상징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화면에 사용자의 고도, 심박수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측정된 모든 제2 센서 데이터와 위험 경고 알림의 이력은 이력 데이터로 서버(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한 사고의 원인을 규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하는 설비의 위치 정보(예: GPS 값)을 이용하여 위치 값을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과 비슷한 작업 환경에서 동일한 사고가 이뤄지지 않도록 안전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5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의 안전 관리 장치(500)는 도 1의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안전 관리 장치(500)는 통신부(510), 제어부(520),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510)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112)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510)는 산출된 환경 위험도 및 사용자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5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제1 및 제2 센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530)는 산출된 환경 위험도 및 사용자 위험도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5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530)는 제어부(5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안전 관리 장치(500)는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안전 관리 장치(500)는 도 5에 설명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5에 설명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안전 관리 시스템
110: 제1 센서
112: 제2 센서
120: 서버
130: 사용자 단말
500: 안전 관리 장치
510: 통신부
520: 제어부
530: 저장부

Claims (10)

  1. (a)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사용자 위험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및 고전압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6. 배전 설비에 대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환경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제2 센서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위험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열화상 카메라, 습도 센서 및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고도계, 심박수 측정기, 착용 센서 및 고전압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환경 위험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장치.
KR1020220011347A 2022-01-26 2022-01-26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14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7A KR20230114959A (ko) 2022-01-26 2022-01-26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7A KR20230114959A (ko) 2022-01-26 2022-01-26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59A true KR20230114959A (ko) 2023-08-02

Family

ID=8756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347A KR20230114959A (ko) 2022-01-26 2022-01-26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50B1 (ko) * 2023-08-04 2024-02-21 (주)그리드텍 공사 현장에 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36B1 (ko)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36B1 (ko)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50B1 (ko) * 2023-08-04 2024-02-21 (주)그리드텍 공사 현장에 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EP2325822B1 (en) Alert system with zoning using wireless portable detectors and a central station
KR101581353B1 (ko) 안전 헬멧
US20200126387A1 (en)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CN110443976A (zh) 基于安全帽的安全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20857B1 (ko) 안전 관제 시스템
KR20160042687A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US9659486B2 (en) Device and system for protecting a person from RF radiation
KR20170101385A (ko)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NO20180028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EP2720210A1 (en) Workspace-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urveillance of safety-critical workspaces
KR101622891B1 (ko) 조기경보 알림용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EP3178528A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KR20200107912A (ko)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77447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emoval of the equipment and other status conditions
KR20130119159A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30004136A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3773689U (zh) 轮机员巡检报警器
KR20210152811A (ko) 모바일 장비에 탑재된 센서들을 이용한 작업 환경 위험 감지 방법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