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668A -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668A
KR20220114668A KR1020210017957A KR20210017957A KR20220114668A KR 20220114668 A KR20220114668 A KR 20220114668A KR 1020210017957 A KR1020210017957 A KR 1020210017957A KR 20210017957 A KR20210017957 A KR 20210017957A KR 20220114668 A KR20220114668 A KR 2022011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helm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후
차예진
김대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668A/ko
Publication of KR2022011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Abstract

본 발명은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제공부,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특정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smart safety helmet}
본 발명은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상당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고,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갖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의 건축 또는 건설 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 있어서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의 작업자들은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에 취약하다. 그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안전관리 시스템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해서는 산업현장의 실시간적인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현장의 작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건축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여러 작업이 이루어지는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현장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안전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현장 작업자가 다치거나 사망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현장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극소수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 상황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대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돌발적인 주변 환경 변화, 안전하지 않은 작업 환경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의 건축이나 건설 작업시 작업자는 헬멧이나 안전모 등과 같은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산업현장에서는 단순한 헬멧 또는 안전모만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를 당해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야 사고 발생을 감지하게 되고, 부상 당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 전송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즉, 종래 안전관리 시스템은 부상당한 작업자의 안전상태 정보를 외부 관리자 또는 주변 작업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최소 수분에서 최대 수십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즉각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은 구축하는 데 있어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고 비용과 제작시간 역시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70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69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3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주변 작업자 또는 외부 관리자에게 부상당한 현장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송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관리자가 현장 영상을 전달 받아 작업자에게 안전사고 조치 및 사전경고 등을 주지시킬 수 있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스템을 통하여 기존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여러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스템 구축 시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제공부,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특정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고 위치 정보가 누적 저장되는 안전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누적 저장되는 사고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다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는, 알림신호부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사고 다발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주기적으로 안전 조치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는, 작업환경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전송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 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작업자가 방치되지 않고 조속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관리자에게 작업환경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조치 및 사전경고 등을 주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스템을 통하여 기존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여러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스템 구축 시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IoT 스마트 헬멧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IoT 스마트 헬멧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IoT 스마트 헬멧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IoT 스마트 헬멧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헬멧 본체(100),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200),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제공부(300),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위치정보제공부(300)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에서 특정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500) 및 통신부(5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600)를 포함하며, 단말기(600)는,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을 포함한다.
헬멧 본체(100)는 일반적인 헬멧 또는 안전모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00)는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의 세기를 기반으로 경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센서부(200)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충격의 세기가 가해지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격 센서, 진동 센서 또는 압전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구성이 선택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헬멧 본체(100)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헬멧 본체(100)의 외측에도 장착될 수 있다.
위치정보제공부(300)는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작업자의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및 별도의 데이터 통신망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센서부(200)의 감지 신호 및 위치정보제공부(300)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수집된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센서부(200)가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0)가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400)는 수집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0)에서 생성한 상기 경보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되면, 제어부(400)는 해당 이벤트를 입력받아 위치정보제공부(300)에서 수집한 위치 정보로부터 부상당한 작업자의 사고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는 간편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개발 툴, USB 기반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저렴한 하드웨어 비용으로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도 어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특히, 아두이노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일 수 있고, 기존 스마트 기기의 운영체제와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므로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 보드는 다른 Windows를 비롯해 MacOS X, 리눅스 등과 같은 많은 OS를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아두이노 보드의 회로도가 CCL(Creative Commons License)에 따라 공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아두이노 보드를 통해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아두이노 보드로 구현된다면, 제어부(400)는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의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부(200) 및 위치정보제공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500)는 헬멧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사고 위치 정보를 단말기(600)에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500)는 외부의 단말기(600)와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LTE (Long Term Evolution), 5G(5 Gener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WLAN AP), IoT 게이트웨이(IOT GATEWAY),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말기(60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600)는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과 같은 전자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통신부(500)와 연결되어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200)가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400)는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또한, 작업자가 여러 명인 경우 통신부(500)는 특정 작업자의 제어부(400)에서 발생하는 사고 위치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기(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외부의 관리자 또는 주변의 작업자들이 소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보 신호 발생 시 부상당한 작업자의 사고 위치 정보가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600)는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은 제어부(400)에서 생성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통신부(5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음과 동시에 작업자가 부상당했다는 위험 발생 상황을 인식하여, 단말기(610)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부상당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은 버저(buzzer)와 같은 사운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고 위치 정보가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에 전달됨과 동시에 작동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은 상기 사고 위치 정보가 누적 저장되는 안전관리 서버(611)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은 안전관리 서버(611)에 누적 저장되는 사고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다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안전관리 서버(611)에 누적 저장되는 사고 위치 정보의 횟수를 기록하여 일정 횟수 이상으로 기록되는 사고 위치에 대해서는 사고 다발 지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는 알림신호부(700)가 부착되어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에서 특정한 사고 다발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주기적으로 안전 조치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알림신호부(700)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과 통신할 수 있는 별도의 통신망이 구비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과 통신할 수 있는 형태이면, 필요에 따른 적절한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알림신호부(700)는 경보음, 안내음 등을 내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안전 조치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는, 작업환경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단말기(5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촬영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800)는 작업 환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영상촬영부(8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은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단말기(600)로 전송하거나, 제어부(400)에 전송하여 단말기(6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에 센서부(200)가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순간에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촬영 조건을 설정하고, 영상촬영부(800)와 이동 단말기(600)의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610)을 연결하는 별도의 통신망이 구비되어 상기 경보 신호가 생성되는 순간에 촬영이 이루어져 단말기(600)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영상촬영부(8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은 단말기(600)의 출력부(미도시)에 나타나므로, 외부 관리자는 작업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고, 작업자에게 안전 조치 등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헬멧 본체(100),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200), 헬멧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제공부(300),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위치정보제공부(300)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에서 특정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500) 및 통신부(5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서 주변 작업자 또는 외부 관리자에게 부상당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송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환경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단말기(6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촬영부(800)가 더 구비됨으로써 외부 관리자가 작업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안전 사고 시 조치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경고 조치 등을 주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헬멧 본체 200 : 센서부
300 : 위치정보제공부 400 : 제어부
500 : 통신부 600 : 단말기
610 :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611 : 안전관리 서버
700 : 알림신호부 800 : 영상촬영부

Claims (5)

  1.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제공부;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경보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고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특정한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상기 사고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고 위치 정보가 누적 저장되는 안전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누적 저장되는 사고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다발 위치를 특정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는,
    알림신호부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사고 다발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주기적으로 안전 조치 알림이 전송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는,
    작업환경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촬영부가 구비되는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10017957A 2021-02-09 2021-02-09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114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57A KR20220114668A (ko) 2021-02-09 2021-02-09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57A KR20220114668A (ko) 2021-02-09 2021-02-09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68A true KR20220114668A (ko) 2022-08-17

Family

ID=8311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57A KR20220114668A (ko) 2021-02-09 2021-02-09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507B1 (ko) * 2022-10-18 2023-05-31 (주)하이브시스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54B1 (ko)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033376B1 (ko) 2018-05-18 2019-10-17 주식회사 휴네이트 작업자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011B1 (ko) 2019-11-18 2020-08-13 장봉조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54B1 (ko)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033376B1 (ko) 2018-05-18 2019-10-17 주식회사 휴네이트 작업자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011B1 (ko) 2019-11-18 2020-08-13 장봉조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507B1 (ko) * 2022-10-18 2023-05-31 (주)하이브시스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7434B1 (en) Condition responsive indication assembly and method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US11000088B2 (en) Condition responsive indication assembly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JP2018531443A6 (ja) 個人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プロセスの自動化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15050739A (ja) 監視システム、報知装置、監視方法
KR20210144316A (ko)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및 방법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US9659486B2 (en) Device and system for protecting a person from RF radiation
US11684811B2 (en)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JP2015005152A (ja) クレーンの吊り荷と作業員の接近警告システム
US10909831B1 (en)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KR20160096962A (ko) 산업현장 작업자 위치 추적 기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
CN105101091A (zh) 一种应用于应急救援的探测系统
JP2018142169A (ja) 作業者状態把握装置、作業者状態把握システム及び作業者状態把握方法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7902A (ko)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KR102274059B1 (ko) 사고위험을 알리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