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119B1 -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119B1
KR101951119B1 KR1020170125730A KR20170125730A KR101951119B1 KR 101951119 B1 KR101951119 B1 KR 101951119B1 KR 1020170125730 A KR1020170125730 A KR 1020170125730A KR 20170125730 A KR20170125730 A KR 20170125730A KR 101951119 B1 KR101951119 B1 KR 10195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nger
signal
warning unit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태훈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이준성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17012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작업자의 안전장구와 안전모 및 의복에 장착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 가능하도록 한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DANGER WARN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작업자의 안전장구와 안전모 및 의복에 장착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 가능하도록 한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은 일정 공간에서 주요 작업이 이루어지는 다른 작업 현장과는 달리 광활한 외부 공간과, 고소에서 작업하는 위치 조건과, 맨홀과 같은 폐쇄 공간 등 다양한 공간과 환경 조건으로 인하여 안전 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건설 현장은 다수의 근로자와 건설기계가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복합적으로 진행하며, 소음과 진동과 매연과 수분, 그리고 분진 등 극한의 작업 환경에 작업자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원활한 안전 관리에 방해가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200여만 명에 가까운 건설업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고령화되었고, 다수의 일용직과 외국인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는 현실에서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예방 노력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아울러, 건설 현장은 구조물이나 기계장치 또는 건설장비 등과 같은 작업 시설이 고정적이지 않으며, 가시설 사용과 건설 단계별로 작업 환경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중에서 대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건 속에서 불가피하게 근로자 개인의 안전하지 않은 행동이 유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므로, 위험 경고 장치를 통한 불안전한 행동 유발을 예방하게 된다면,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 사고의 발생율도 저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의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험 지역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고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들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선, 선행기술은 스마트폰 미사용자가 많거나 실제 작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할 여력이나 사용에 제한을 받는 근로자들에게 무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스마트폰이나 PDA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개인별로 지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여러가지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항시 휴대해야하는 개인용 단말 장치,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이나 PDA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장치의 경우 실제 건설 현장에서는 휴대가 불편한 크기일 수 밖에 없으며, 건설 현장에서 외부로부터 물리 또는 화학적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은 근로자가 가진 스마트폰이 위험 신호만 수신할 뿐 근로자 자신이나 주위의 근로자 또는 건설 현장의 위험 상황을 개별로 인지할 경우 이러한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전파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90494호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작업자의 안전장구와 안전모 및 의복에 장착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 가능하도록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 및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상기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와,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분석중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경고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1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표시등과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부착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을 따라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에 상기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작업자와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1 일반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 때 중계기의 역할로 스위칭하면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1 스위칭 경고부와,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가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에 직접적으로(directly) 상기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계측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상기 위험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생체신호 경고부와, 상기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한 상기 계측치와 상기 제1 생체신호 경고부에 의한 상기 바이탈 사인의 정보를 상기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분석중계 유닛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개인단말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제1 분석 경고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연결되며, 상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상기 제1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상기 위험경고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인단말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상기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통신 가능하고,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표시등과 상기 제2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의 형태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일반 경고부와,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위험 상황임을 전파할 필요가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부근의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2 스위칭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누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부근의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전파입력 조작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측정후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상기 바이탈 사인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 전송부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연결되며, 상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상기 전파입력 조작부의 조작과 함께 상기 제2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중계 유닛은, 상기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3 송수신기와, 상기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송수신기 및 상기 제3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축전지와, 상기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패널과, 상기 제3 송수신기와 상기 제3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컨트롤러는,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의 계측치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제3 일반 경고부와, 상기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후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분석중계 전송부와, 상기 개인단말 유닛에 별도로 부착된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협대역 사물 인터넷)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3 일반 경고부 및 상기 분석중계 전송부와 함께,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서버 컴퓨터와의 통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상기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와,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분석중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상기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상기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함께, 상기 분석중계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과,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와 조작이 간편하며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하거나 전파하기 용이하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와, 위험경고 유닛과 개인단말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위험경고 유닛과 개인단말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분석중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함께, 분석중계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구조물과 기계장치 등이 즐비한 다양한 규모의 건설 현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위험 상황의 인지와 함께 위험 상황의 신속 정확한 전파를 통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함으로써, 사고 예방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과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1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제1 컨트롤러는 제1 표시등과 제1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비교적 간단하며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으로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된 부품을 최소화하여 물리 화학적 충격에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위험 인자를 감지하고 경고하며 위험 상황을 적극적으로 전파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트롤러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부착된 하우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을 따라 개인단말 유닛측에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1 일반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 때 중계기의 역할로 스위칭하면서 위험 신호를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측 및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1 스위칭 경고부와,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와 연결되어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가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측에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계측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위험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생체신호 경고부와,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한 계측치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에 의한 바이탈 사인의 정보를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전달하고, 분석중계 유닛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개인단말 유닛 및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제1 분석 경고부와, 하우징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제1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위험경고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정보가 불필요하므로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전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위기 상황의 파악과 함께 후속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단말 유닛은,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구와,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센서와,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위험경고 유닛 및 분석중계 유닛과 통신 가능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와, 케이싱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케이싱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과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제2 컨트롤러는 제2 표시등과 제2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 경량화 및 컴팩트화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저렴한 구성으로 건설 현장의 작업자들 각각에게 빠짐없이 보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모나 안전 장구 등에 탈착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전원 충전이 가능하여 상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준비가 갖춰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트롤러는,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의 형태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일반 경고부와,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위험 상황임을 전파할 필요가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2 스위칭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누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 및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전파입력 조작부와,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측정후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 및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바이탈 사인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 전송부와, 케이싱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전파입력 조작부의 조작과 함께 제2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개인단말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함으로써, 단계별 상황별 적합한 위험 신호를 다양한 형태의 소리 또는 진동 등을 포함한 신호로 알림으로써 작업자들의 상황 인식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안전 사고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 위기 상황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석중계 유닛은, 박스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3 송수신기와, 박스에 구비되어 제3 송수신기 및 제3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축전지와,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패널과, 제3 송수신기와 제3 컨트롤러와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함으로써, 무선통신의 중계 장치로서의 역할은 물론 다양한 계측장치와의 연동을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량의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컨트롤러는,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의 계측치를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제3 일반 경고부와,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후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분석중계 전송부와, 개인단말 유닛에 별도로 부착된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협대역 사물 인터넷)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제3 일반 경고부 및 분석중계 전송부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서버 컴퓨터와의 통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들의 바이탈 사인이나 계측정보나 행동 특성 등의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하고 관리하며 처리는 기존의 선행기술을 초월하여 작업자들의 향후 행동이나 건강 상태 변화를 예측한다든가, 구조물의 붕괴 예측 등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제3 컨트롤러에서 인공지능은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 관리하고 처리는 단계로부터 더 나아가 예측과 판단등의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종합적인 안전 관리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컨트롤러에서 클라우드 통신부는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없더라도 서버 컴퓨터와 연계하여 위험경고 유닛과 개인단말 유닛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석중계 유닛의 박스에는 집광 패널을 구비하여 거의 영구적인 에너지원인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충당토록 함으로써,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전체적인 통신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의 정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의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의 구조물 또는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개인단말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분석중계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전체적인 통신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100)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100)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100)의 구조물 또는 장비(4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개인단말 유닛(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주요부인 분석중계 유닛(3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도면부호 200a는 후술할 해당 작업자가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을, 200b 및 200c는 후술할 다른 작업자들이 각각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구분없이 모두 개인단말 유닛의 도면 부호를 "200"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4에서 일점쇄선은 각 부품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가상선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위험경고 유닛(100)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120)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단말 유닛(200)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220)과,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함께 분석중계 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분석중계 유닛(300)은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320)를 포함하여, 위험경고 유닛(100)과 개인단말 유닛(200)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중계 유닛(300)은 위험경고 유닛(100)과 개인단말 유닛(200)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함께, 분석중계 유닛(300)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다.
즉, 단기간에 걸쳐 근거리의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소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건설 현장에서는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만으로 안전 사고 예방 및 위험 발생 감지가 충분할 것이다.
이에 비하여, 장기간에 걸쳐 원거리의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대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건설 현장에서는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만으로 안전 사고 예방 및 위험 발생 감지가 충분치 않으므로, 분석중계 유닛(300)이 협력하여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위험경고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제1 표시등(121)과 제1 송수신기(122)를 더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제1 표시등(121)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제1 송수신기(122)는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200)과 분석중계 유닛(300)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표시등(121)과 제1 송수신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위험경고 유닛(100)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제1 표시등(121)과 제1 송수신기(122) 및 제1 컨트롤러(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축전지(123)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제1 축전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 축전지(123)에 전원을 충전하는 연결 포트로 기능하는 제1 슬롯(1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슬롯(124)은 USB 포트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USB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나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제1 축전지(123)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위험경고 유닛(100)은, 하우징(120)의 외측면을 따라 평행하고 이웃하게 배치되며 각각 또는 동시에 움직여 하우징(120)을 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방향 조정편(1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의 방향 조정편(130)은 도 3과 같이, 하우징(120)을 복수의 방향 조정편(130) 각각의 형성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위치와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복수의 방향 조정편(13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일부만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20)의 각도를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조정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하우징(120)은 도 4와 같이 구조물 또는 장비(400)에 다양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우징(120)은 얇은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도 4(a)와 같이 구조물 또는 장비(4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120)의 바닥면에는 도 4(b)와 같이 결합 리브(125)가 돌출 형성되어 도 4(c)와 같이 구조물 또는 장비(400)의 일면에 함몰된 고정홈(410)에 맞물려 정, 역회전하여 위치 조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컨트롤러(110)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부착된 하우징(12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을 따라 개인단말 유닛(200)측에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1 일반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110)는,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 때 중계기의 역할로 스위칭하면서 위험 신호를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측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1 스위칭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110)는,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이하 미도시)와 연결되어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가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측에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계측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110)는,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위험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생체신호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한 계측치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에 의한 바이탈 사인의 정보를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전달하고, 분석중계 유닛(300)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개인단말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제1 분석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10)는,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121)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제1 표시등(121)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위험경고 유닛(100)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일반 경고부는,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에 따라 거리 및 방향에 접근하는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이 접근하면,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므로, GPS 등과 같이 별도의 위치 정보가 필요없는 것이다.
아울러, 제1 일반 경고부는, 신호 송신이 가능한 거리를 조정함과 동시에 신호 송신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직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선형 또는 박스(320)형 등 특정 형상의 위험 구간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일반 경고부는,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들을 포함한 모든 작업자에게 위험 사실의 전파가 필요한 상황, 즉 위험이 발생한 상황에서는 신호 전송 범위가 최대치가 되도록 신호가 송신되는 거리와 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스위칭 경고부는, 중계(송수신) 기능을 가진다.
즉, 제1 스위칭 경고부는, 평상시에는 기설정된 위험 신호를 발생하고, 해당 작업자가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네는 신호 전송 범위를 최대치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중계기의 역할을 즉각적으로 수행하여 건설 현장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계측 경고부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 및 제1 분석 경고부 또한 중계(송수신) 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제1 계측 경고부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 및 제1 분석 경고부는, 제1 계측 경고부와 연결된 계측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각종 계측값과 신호 전송 범위 내에 존재하는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에서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는 바이탈 사인을 분석중계 유닛(300)으로 송신하고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다시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에 전파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계측 경고부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 및 제1 분석 경고부는, 자체적으로 분석하고 경고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제1 계측 경고부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 및 제1 분석 경고부는, 기설정된 기준치를 활용하여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전술한 바이탈 사인을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전송하고 분석한 결과를 다시 수신하여 전파하는 중계기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컨트롤러(110)는 다양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컨트롤러(110)는 주의, 경고, 대피 등의 위험 단계별로, 또는 산소 부족, 가스 누출, 가시설 변위 발생 등의 상황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신호를 개인단말 유닛(2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개인단말 유닛(200)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속구(221)와 센서(222)와 태그(223)와 제2 표시등(224)과 제2 송수신기(225)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결속구(221)는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센서(222)는 결속구(2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것이다.
태그(223)는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과 통신 가능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것이다.
제2 표시등(224)은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200)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것이다.
제2 송수신기(225)는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과 분석중계 유닛(300)과 송수신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2 컨트롤러(210)는 제2 표시등(224)과 제2 송수신기(2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시등(224)은 전술한 제1 표시등(121)과 함께 저전력 고효율 고조도를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램프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센서(222)는 작업자의 안전모에 케이싱(2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었을 경우에 작업자의 두부(頭部)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자이로 센서는 일정 시간 이상동안 설정된 높이 범위, 즉 작업자 개개인의 신장 등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그 높이 범위를 벗어난 상태가 지속되면 열사병이나 사고 등으로 쓰러져 있는 비상 상황임을 판단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판단의 근거를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에 전송한다든가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컨트롤러(210)는,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의 형태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일반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컨트롤러(210)는,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상황임을 전파할 필요가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2 스위칭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컨트롤러(210)는, 해당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누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전파입력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컨트롤러(210)는,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221)에 구비된 센서(222)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측정후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220)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바이탈 사인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트롤러(210)는,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224)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전파입력 조작부의 조작과 함께 제2 표시등(224)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개인단말 유닛(200)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개인단말 유닛(200)은, 제2 일반 작동 알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위험 신호를 소리의 형태로 알리는 스피커(226)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단말 유닛(200)은,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제2 표시등(224)과 제2 송수신기(225) 및 제2 컨트롤러(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축전지(227)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개인단말 유닛(200)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제2 축전지(2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 축전지(227)에 전원을 충전하는 연결 포트로 기능하는 제2 슬롯(228)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슬롯(228)은 USB 포트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USB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나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제2 축전지(227)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개인단말 유닛(200)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220)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제2 일반 작동 알림부에 의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를 활용하여 사고 발생후 사고자 수습 및 인명 구조 작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파입력 조작부는 버튼(229b, 이하 도 5 참조)에 의한 누름 조작이나, 터치스크린 또는 디지털 액정 화면(229d, 이하 도 5 참조)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등을 통하여 다양한 실시간 정보를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단말 유닛(200)의 케이싱(220)은 소형으로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건설 현장에서 착용이 의무화된 안전모에도 결속구(221)를 통하여 탈착이 가능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도 탈착이 가능한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한 소형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파입력 조작부 및 제2 스위칭 경고부는, 송신과 수신의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다.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만 가진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전파입력 조작부 및 제2 스위칭 경고부를 포함하는 제2 컨트롤러(210)를 구비한 개인단말 유닛(200)은 위험경고 유닛(100)의 위험 신호 수신 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이 위험 상황을 인지했을 경우 버튼에 의한 누름 동작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위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 스위칭 경고부는, 위험 신호를 개인단말 유닛(200)이 수신하였을 경우에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위험 상황의 전파가 가능하도록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신속히 자동 전환하여 위험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단말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등(224)이나 스피커(226) 등을 통하여 경고음 뿐만 아니라 단계별 또는 상황별 경고 메시지와 함께 진동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킴으로써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의 상황 인식률을 높이는데 일조한다.
따라서, 개인단말 유닛(200)은 사용자 직관적이고 조작이 간편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했을 경우에 전파입력 조작부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즉각적인 위험 상황의 전파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설 현장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속구(221)에 구비된 센서(222)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바이탈 사인의 측정값들은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에 의한 분석 결과물로 활용되어 사고 예방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사전의 안전 조치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중계 유닛(300)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박스(3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송수신 가능한 제3 송수신기(32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석중계 유닛(300)은, 박스(320)에 구비되어 제3 송수신기(321) 및 제3 컨트롤러(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축전지(32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석중계 유닛(300)은, 박스(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3 축전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패널(3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중계 유닛(300)은, 제3 송수신기(321)와 제3 컨트롤러(310)와 제3 축전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패널(324)은 박스(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컨트롤러(110)와 연결되고,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제3 컨트롤러(310)는,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의 계측치를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제3 일반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컨트롤러(310)는,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220)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221)에 구비된 센서(222)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후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전송하는 분석중계 전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컨트롤러(310)는, 개인단말 유닛(200)에 별도로 부착된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협대역 사물 인터넷)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제3 일반 경고부 및 분석중계 전송부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서버 컴퓨터와의 통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분석중계 유닛(300)은,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광활한 건설 현장에서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 상호간의 중계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분석중계 유닛(300)은, 박스(320)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324)을 이용하거나, 박스(320)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다양한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관리자는 전술한 계측장치에 의한 계측치의 정보와 다양한 종류의 바이탈 사인 등에 대한 데이터 및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인공지능에 의하여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술한 안전 관리 자료는 전술한 제3 일반 경고부 및 분석중계 전송부의 인공지능과 함께 분석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출해낼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분석중계 유닛(300)은, 전술한 제3 일반 경고부 및 분석중계 전송부의 인공지능에 의하여, 무선 통신의 중계 장치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다양한 계측장치와의 연동으로써 다량의 데이터 및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분석중계 유닛(300)의 제3 일반 경고부와 분석중계 전송부에 의하여 분석된 제반 데이터들, 즉 전술한 바이탈 사인이나 계측치 또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행동 특성등의 데이터들은, 단순히 수집하고 관리하고 처리되는 단계를 초월하여, 인공지능에 의하여 이러한 제반 데이터들이 분석됨으로써 향후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건설 현장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의 작업 현장에서 구조물 붕괴 예측 등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도 유용할 것이다.
특히, 분석중계 유닛(300)의 인공지능(AI)은 현재에도 지속적인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단순 분석 처리에서 벗어나 예측 및 판단 등의 기술 구현을 통한 안전 관리 효과를 제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클라우드 통신부는 개인단말 장치에 NB-IoT 모듈(이하 미도시)을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가상의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나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 없이 서버 컴퓨터의 DB를 활용한 분석과 예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분석중계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광활한 건설 현장에서 활용되는 것인 만큼, 위험경보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200)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집광패널(323)을 부착하여 분석중계 유닛(300)의 가동 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에 의한 몇가지 상황별 작동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건설 현장에서 위험 지역이나 위험 장비가 있음을 경고하는 경우이다.
먼저, 위험경고 유닛(100)이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설치된 후 가동되면, 위험경고 유닛(100)은 지속적으로 위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해당 작업자가 위험경고 유닛(100)의 설정 범위내로 접근하여 전술한 위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단말 유닛(200)에서 사전에 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로써 위험을 알리게 된다.
필요에 따라, 해당 작업자는 개인단말 유닛(200)의 제2 컨트롤러(210)의 전파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에게 현 상황을 전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건설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이다.
우선,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이 위험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범위 안의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이후,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은 화재나 폭발, 붕괴 또는 가스 누출 등과 같은 돌발적인 위험 상황임을 인지하고, 해당 작업자는 제2 컨트롤러(210)의 제2 일반 경고부를 조작하여 위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부근의 위험경고 유닛(100)이 해당 작업자가 송신한 위험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컨트롤러(110)의 제1 스위칭 경고부를 가동하여 위험 신호를 주위로 전파, 즉 중계하게 된다.
계속하여, 부근에 있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개인단말 유닛(200)은, 위험경고 유닛(100)이 중계한 위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돌발적인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건설 현장에서 계측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계측치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이다.
우선,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이, 위험경고 유닛(100)의 제1 컨트롤러(110) 중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하여 계측 기준치가 초과됨으로 인한 위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위험경고 유닛(100)은 제1 계측 경고부가 계측치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전술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는데, 위험경고 유닛(100)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건설 현장의 정해진 범위 내에서 위험 신호를 송신하게 될 것이다.
이후, 분석중계 유닛(300)은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계측치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한 다음 결과를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송신하게 된다.
계속하여, 위험경고 유닛(100)은 계측 결과를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송신하고 필요에 따라 위험 상황을 전파하게 될 것이다.
이어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개인단말 유닛(200)은 계측 결과가 반영된 위험 신호를 수신하고 대피 또는 구조 협력 등 대응 행동에 돌입할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바이탈 사인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한 경우이다.
우선,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은 해당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에는 해당 작업자의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장치로 송신함과 동시에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으로부터 각종 위험 신호들을 수신하게 된다.
이후, 위험경고 유닛(100)은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받은 바이탈 사인의 데이터를 분석중계 유닛(300)으로 송신하고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건설 현장의 정해진 범위 내에서 위험 신호를 송신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중계 유닛(300)은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전달받은 바이탈 사인을 인공지능에 의하여 기설정값 및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후 결과를 도출하여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송신하게 될 것이다.
계속하여, 위험경고 유닛(100)은 바이탈 사인의 비교 분석 결과를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 또는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송신하고, 필요에 따라 위험 상황을 전파하게 될 것이다.
이때, 위험경고 장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개인단말 유닛(200)에 제각각으로 식별 가능하게 구비된 태그(223), 예를 들면 RFID 태그(223)와 같은 개인별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위험 상황 및 바이탈 사인의 분석 결과를 해당하는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송신하게 될 것이다.
이어서, 해당하는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은 분석 결과가 반영된 바이탈 사인의 정보에 따른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중단하거나 입원하는 등의 사후 대응 행동에 돌입할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120)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110)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100); 및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220)과,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210)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와 조작이 간편하며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하거나 전파하기 용이하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320)와, 위험경고 유닛(100)과 개인단말 유닛(200)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위험경고 유닛(100)과 개인단말 유닛(200)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310)를 포함하는 분석중계 유닛(300)을 더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함께, 분석중계 유닛(300)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구조물과 기계장치 등이 즐비한 다양한 규모의 건설 현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위험 상황의 인지와 함께 위험 상황의 신속 정확한 전파를 통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함으로써, 사고 예방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100)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121)과,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200)과 분석중계 유닛(300)과 송수신 가능한 제1 송수신기(122)를 더 포함하며,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표시등(121)과 제1 송수신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비교적 간단하며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으로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된 부품을 최소화하여 물리 화학적 충격에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위험 인자를 감지하고 경고하며 위험 상황을 적극적으로 전파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트롤러(110)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부착된 하우징(12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을 따라 개인단말 유닛(200)측에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1 일반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 때 중계기의 역할로 스위칭하면서 위험 신호를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측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1 스위칭 경고부와,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이하 미도시)와 연결되어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가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측에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계측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해당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위험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생체신호 경고부와,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한 계측치와 제1 생체신호 경고부에 의한 바이탈 사인의 정보를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전달하고, 분석중계 유닛(300)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개인단말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제1 분석 경고부와,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121)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제1 표시등(121)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위험경고 유닛(100)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정보가 불필요하므로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전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위기 상황의 파악과 함께 후속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단말 유닛(200)은,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구(221)와, 결속구(2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센서(222)와,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과 통신 가능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223)와,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개인단말 유닛(200)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224)과,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과 분석중계 유닛(300)과 송수신 가능한 제2 송수신기(225)를 더 포함하며, 제2 컨트롤러(210)는 제2 표시등(224)과 제2 송수신기(2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 경량화 및 컴팩트화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저렴한 구성으로 건설 현장의 작업자들 각각에게 빠짐없이 보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모나 안전 장구 등에 탈착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전원 충전이 가능하여 상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준비가 갖춰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트롤러(210)는,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의 형태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일반 경고부와, 위험경고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상황임을 전파할 필요가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2 스위칭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누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부근의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100)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전파입력 조작부와,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221)에 구비된 센서(222)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측정후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220)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100) 및 분석중계 유닛(300)측으로 바이탈 사인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 전송부와, 케이싱(220)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224)과 연결되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전파입력 조작부의 조작과 함께 제2 표시등(224)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개인단말 유닛(200)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함으로써, 단계별 상황별 적합한 위험 신호를 다양한 형태의 소리 또는 진동 등을 포함한 신호로 알림으로써 작업자들의 상황 인식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안전 사고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 위기 상황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석중계 유닛(300)은, 박스(320)에 구비되어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송수신 가능한 제3 송수신기(321)와, 박스(320)에 구비되어 제3 송수신기(321) 및 제3 컨트롤러(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축전지(322)와, 박스(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3 축전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패널(323)과, 제3 송수신기(321)와 제3 컨트롤러(310)와 제3 축전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컨트롤러(110)와 연결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박스(3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24)을 더 포함함으로써, 무선통신의 중계 장치로서의 역할은 물론 다양한 계측장치와의 연동을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량의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컨트롤러(310)는,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의 계측치를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제3 일반 경고부와,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케이싱(220)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케이싱(220)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221)에 구비된 센서(222)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개인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후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위험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측으로 전송하는 분석중계 전송부와, 개인단말 유닛(200)에 별도로 부착된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협대역 사물 인터넷)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제3 일반 경고부 및 분석중계 전송부와 함께, 위험경고 유닛(100) 및 개인단말 유닛(200)과 서버 컴퓨터와의 통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들의 바이탈 사인이나 계측정보나 행동 특성 등의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하고 관리하며 처리는 기존의 선행기술을 초월하여 작업자들의 향후 행동이나 건강 상태 변화를 예측한다든가, 구조물의 붕괴 예측 등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제3 컨트롤러(310)에서 인공지능은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 관리하고 처리는 단계로부터 더 나아가 예측과 판단등의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종합적인 안전 관리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컨트롤러(310)에서 클라우드 통신부는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없더라도 서버 컴퓨터와 연계하여 위험경고 유닛(100)과 개인단말 유닛(200)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석중계 유닛(300)의 박스(320)에는 집광 패널(323)을 구비하여 거의 영구적인 에너지원인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충당토록 함으로써,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작업자의 안전장구와 안전모 및 의복에 장착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 가능하도록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위험경고 유닛
110...제1 컨트롤러
120...하우징
121...제1 표시등
122...제1 송수신기
123...제1 축전지
124...제1 슬롯
125...결합 리브
130...방향 조정편
200...개인단말 유닛
210...제2 컨트롤러
220...케이싱
221...결속구
222...센서
223...태그
224...제2 표시등
225...제2 송수신기
226...스피커
227...제2 축전지
228...제2 슬롯
229b...버튼
229d...터치스크린 또는 디지털 액정 화면
300...분석중계 유닛
310...제3 컨트롤러
320...박스
321...제3 송수신기
322...제3 축전지
323...집광패널
324...디스플레이 패널
400...구조물 또는 장비
410...고정홈

Claims (9)

  1.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하우징과,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directly)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가 가능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 및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상기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박스와,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 송신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분석중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상기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상기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함께, 상기 분석중계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경고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1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표시등과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의 구조물 부근 또는 건설 장비에 부착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와 방향을 따라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에 상기 위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작업자와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1 일반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 때 중계기의 역할로 스위칭하면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1 스위칭 경고부와,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가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에 직접적으로(directly) 상기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계측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위험값에 대응되면 해당 작업자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상기 위험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생체신호 경고부와,
    상기 제1 계측 경고부에 의한 상기 계측치와 상기 제1 생체신호 경고부에 의한 상기 바이탈 사인의 정보를 상기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분석중계 유닛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개인단말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동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제1 분석 경고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등과 연결되며, 상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상기 제1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상기 위험경고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단말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통신 가능하고, 해당 작업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과 상기 분석중계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표시등과 상기 제2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기설정된 소리나 진동을 포함한 신호(signal)의 형태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제2 일반 경고부와,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위험 상황임을 전파할 필요가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부근의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제2 스위칭 경고부와,
    해당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할 경우 누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부근의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상기 개인단말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측으로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전파하는 전파입력 조작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측정후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분석중계 유닛측으로 상기 바이탈 사인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 전송부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동작 및 전력 상태를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등과 연결되며, 상기 위험 신호와 함께 소리나 진동을 포함하는 신호(signal) 발생 유무를 상기 전파입력 조작부의 조작과 함께 상기 제2 표시등이 발현하는 색상을 통하여 상기 개인단말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일반 작동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중계 유닛은,
    상기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송수신 가능한 제3 송수신기와,
    상기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송수신기 및 상기 제3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축전지와,
    상기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패널과,
    상기 제3 송수신기와 상기 제3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들여진 계측치와,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휴대한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컨트롤러는,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산소농도기나 가스누출기나 경사계나 침하계를 포함하는 계측장치의 계측치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제3 일반 경고부와,
    상기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개인별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결속구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체온이나 맥박 또는 혈압을 포함하는 바이탈 사인(vital sign)을 상기 개인단말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후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계측치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측으로 전송하는 분석중계 전송부와,
    상기 개인단말 유닛에 별도로 부착된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협대역 사물 인터넷)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3 일반 경고부 및 상기 분석중계 전송부와 함께,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서버 컴퓨터와의 통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9. 삭제
KR1020170125730A 2017-09-28 2017-09-28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KR10195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30A KR101951119B1 (ko) 2017-09-28 2017-09-28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30A KR101951119B1 (ko) 2017-09-28 2017-09-28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119B1 true KR101951119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730A KR101951119B1 (ko) 2017-09-28 2017-09-28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11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765B1 (ko) 2019-05-28 2019-12-13 (주)대우건설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KR102098816B1 (ko) *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136070B1 (ko)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KR102219207B1 (ko) 2020-09-15 2021-02-2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KR2021004533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터줌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수집 센서장치
KR102248119B1 (ko) * 2020-03-05 2021-05-0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KR102294269B1 (ko) * 2021-04-23 2021-08-26 주식회사 애니스마트 쓰리 이펙트형 산업현장지능식 안전모ai모듈화장치
KR102294266B1 (ko) * 2021-04-23 2021-08-27 주식회사 애니스마트 엣지 기반형 안전모 ai플랫폼모듈을 통한 산업현장지능형 안전모 사용자 안전보호·도우미장치
KR20220128166A (ko) 2021-03-12 2022-09-20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CN116246421A (zh) * 2023-05-04 2023-06-09 山东领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穿戴的安全预警方法、系统及设备
US11967155B2 (en) 2020-10-19 2024-04-23 OnsiteIQ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of identifying observations based on image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such determin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439A (ko) * 2009-11-24 2011-06-01 주식회사 루키스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494B1 (ko) 2015-04-01 2016-12-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6158B1 (ko) *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055370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이에스피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439A (ko) * 2009-11-24 2011-06-01 주식회사 루키스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494B1 (ko) 2015-04-01 2016-12-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101736158B1 (ko) *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5370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이에스피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16B1 (ko) *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055765B1 (ko) 2019-05-28 2019-12-13 (주)대우건설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KR2021004533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터줌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수집 센서장치
KR102459422B1 (ko) 2019-10-16 2022-10-27 티엔에스에이아이 주식회사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136070B1 (ko)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KR102248119B1 (ko) * 2020-03-05 2021-05-0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KR102219207B1 (ko) 2020-09-15 2021-02-2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US11967155B2 (en) 2020-10-19 2024-04-23 OnsiteIQ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of identifying observations based on image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such determinations
KR20220128166A (ko) 2021-03-12 2022-09-20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KR102294269B1 (ko) * 2021-04-23 2021-08-26 주식회사 애니스마트 쓰리 이펙트형 산업현장지능식 안전모ai모듈화장치
KR102294266B1 (ko) * 2021-04-23 2021-08-27 주식회사 애니스마트 엣지 기반형 안전모 ai플랫폼모듈을 통한 산업현장지능형 안전모 사용자 안전보호·도우미장치
CN116246421A (zh) * 2023-05-04 2023-06-09 山东领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穿戴的安全预警方法、系统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KR101575983B1 (ko)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099745B1 (ko)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7898A (ko)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60435A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22857A (zh) 为健康监测和工厂维护而提供遵从和有毒气体暴露报警的系统和方法
CN102007426A (zh) 用于人员的位置监视装置
KR20140071578A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635612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수배전 설비 감시 진단 시스템
CN107328412B (zh) 基于加速度的矿井下灾害报警系统
KR20090072430A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20130021060A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2409680B1 (ko) 위험작업공간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KR20210144389A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1385714B1 (ko) 위치 및 환경 통합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98816B1 (ko)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CN108170060A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及方法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CN112016822A (zh) 一种智慧工地管理系统
KR20230140616A (ko) 작업자의 위치 추적을 통한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