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207B1 -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207B1
KR102219207B1 KR1020200118163A KR20200118163A KR102219207B1 KR 102219207 B1 KR102219207 B1 KR 102219207B1 KR 1020200118163 A KR1020200118163 A KR 1020200118163A KR 20200118163 A KR20200118163 A KR 20200118163A KR 102219207 B1 KR102219207 B1 KR 10221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sensor
warn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1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박스 형태의 본체를 건설현장에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음성, 텍스트,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의 수평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도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중 조립식 틀비계가 기울어지는 경우 자체적으로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조립식 틀비계가 설치된 바닥이 조립식 틀비계의 자체 수평유지 범위를 벗어나서 기울어지는 경우 작업자 및 안전관리자들에게 경고함으로써 조립식 틀비계가 전도되기 전에 작업자가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관리자들이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Construction site risk factor elimin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 기술 중에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 가능한 박스 형태의 본체를 건설현장에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음성, 텍스트,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며, 러버콘 상부에 보조 단말 유닛을 삽입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상황을 전송하여 본체에서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고,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의 수평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도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 중 조립식 틀비계가 기울어지는 경우 자체적으로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식 틀비계가 설치된 바닥이 조립식 틀비계의 자체 수평유지 범위를 벗어나서 기울어지는 경우 작업자 및 안전관리자들에게 경고함으로써 조립식 틀비계가 전도되기 전에 작업자가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관리자들이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은 일정 공간에서 주요 작업이 이루어지는 다른 작업 현장과는 달리 광활한 외부 공간과, 고소에서 작업하는 위치 조건과, 맨홀과 같은 폐쇄 공간 등 다양한 공간과 환경 조건으로 인하여 안전 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건설현장은 다수의 근로자와 건설기계가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복합적으로 진행하며, 소음과 진동과 매연과 수분, 그리고 분진 등 극한의 작업 환경에 작업자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원활한 안전 관리에 방해가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200여만 명에 가까운 건설업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고령화되었고, 다수의 일용직과 외국인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는 현실에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예방 노력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아울러, 건설현장은 구조물이나 기계장치 또는 건설장비 등과 같은 작업 시설이 고정적이지 않으며, 가시설 사용과 건설 단계별로 작업 환경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중에서 대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건 속에서 불가피하게 근로자 개인의 안전하지 않은 행동이 유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므로, 위험 경고 장치를 통한 불안전한 행동 유발을 예방하게 된다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율도 저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016호(2012.07.24. 공고) "건설현장용 안전펜스"(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8538호(2018.05.17. 공고)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이하, '선행기술 2'라 함)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2017.01.17. 공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119호(2019.02.21. 공고) "건설현장 위험 알림 장치"(이하, '선행기술 4'라 함)를 들 수 있다.
선행기술 1, 2는 펜스 본체에 각종 센서 및 통신부 등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 주변에서 비관계자의 접근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공사 현장을 외부와 차단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중앙 관리실에서 주야간 모두 실시간으로 공사 현장에 대한 보안 및 출입 관리를 더욱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고, 펜스 본체에 작업자 인식 센서 및 장비 반출 가스센서 등을 장착함으로써, 공사 현장으로 출입하는 작업자에 대한 출입 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장비의 외부 반출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보안 관리를 더욱 강화할 수 있고, 안전펜스에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스피커로 음성안내방송을 출력하고, 경고메시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이 위험지역인 건설현장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 3, 4는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현장 근로자가 작업 현장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숙지할 수 있게 하고, 작업 도중에 위험 지역에 접근하게 되면 경고를 출력하여, 위험 지역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고, 건설현장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작업자의 안전장구와 안전모 및 의복에 장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 2는 설치 위치가 한정되어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서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3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험 지역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고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들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선, 선행기술3은 스마트폰 미사용자가 많거나 실제 작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할 여력이나 사용에 제한을 받는 근로자들에게 무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스마트폰이나 PDA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개인별로 지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기술3은 여러 가지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항시 휴대해야하는 개인용 단말 장치,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이나 PDA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장치의 경우 실제 건설현장에서는 휴대가 불편한 크기일 수밖에 없으며, 건설현장에서 외부로부터 물리 또는 화학적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3은 근로자가 가진 스마트폰이 위험 신호만 수신할 뿐 근로자 자신이나 주위의 근로자 또는 건설현장의 위험 상황을 개별로 인지할 경우 이러한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전파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 선행기술 4는 위험경고 유닛과 개인단말 유닛의 배터리 용량에 한계가 있어 사용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사용 후 일일이 충전해야만 재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개인단말 유닛의 경우 작업자가 모두 착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개인별로 지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5765호(2019.12.13. 공고)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이하, '선행기술 5'라 함)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 5는 이동 가능한 박스 형태의 본체를 건설 현장에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음성, 텍스트,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고, 또한, 러버콘 상부에 보조 단말유닛을 삽입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상황을 전송하여 본체에서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5는 본체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 배치되는 유닛본체에 초음파센서, 가스센서, 자이로센서를 설치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작업자 등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일 뿐,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에 올라가서 고소작업을 하는 과정에서의 추락사고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설현장에서는 철근콘크리트 타설 또는 PC 조립에 의해서 벽체와 슬래브를 시공한 후 추가적인 설비를 시공하는 경우, 작업 부위가 고소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를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종래의 조립식 틀비계는 복수개의 수직틀, 수평틀, 가새틀, 안전발판, 난간대 및, 사다리로 구성되며,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서 수직틀의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고, 조립식 틀비계의 전도(轉倒)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직틀의 하단에 전도방지 지지대가 설치된다.
또한 작업자가 올라가는 안전발판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전도방지 지지대에는 수평조절나사가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립식 틀비계는 건설현장에서 종종 전도사고를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많은 통상적으로 높이가 5미터 이상인 조립식 틀비계에서 작업자가 바닥으로 추락하여 부상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난간 부근에서 작업하는 경우는 바닥에서 다시 지상으로 추락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전도방지 지지대와 수평조절나사가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하며, 특히 작업자가 올라가기 전에 수평조절작업을 망각하거나 소홀히 한 데에서 기인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016호(2012.07.24. 공고) "건설현장용 안전펜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8538호(2018.05.17. 공고)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2017.01.17. 공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119호(2019.02.21. 공고) "건설현장 위험 알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5765호(2019.12.13. 공고)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음성, 텍스트,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상황을 전송하여 본체에서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의 수평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도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중 조립식 틀비계가 기울어지는 경우 자체적으로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틀비계가 설치된 바닥이 조립식 틀비계의 자체 수평유지 범위를 벗어나서 기울어지는 경우 작업자 및 안전관리자들에게 경고함으로써 조립식 틀비계가 전도되기 전에 작업자가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관리자들이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휠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배터리,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원거리 무선통신부, 데이터저장부 및 본체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360ㅀ방향으로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LED패널과, 상기 LED패널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본체경광등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본체스피커와,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현장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러버콘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의 센싱값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LED패널, 경광등,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복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센서유닛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콘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저면에 원기둥 형상의 유닛배터리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실장되는 유닛본체와,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유닛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복 여부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유닛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닛경광등을 포함하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틀비계와; 상기 틀비계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틀비계는 4개의 수직틀, 수평틀, 가새틀, 안전발판, 난간대, 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는 틀비계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스터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승강모터축을 가지는 승강모터와, 상기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승강나사봉과, 상기 승강나사봉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지판과, 수평조절모드와 수평조절해제모드가 입력되는 수평조절모드입력부와, 상기 착지판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안전발판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와, 상기 틀비계의 전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계경광등과 비계스피커 및,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수평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3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평조절모드입력부에 입력된 입력모드신호와 로드셀의 중량증가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와 수평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터와 비계경광등 및 비계스피커를 제어하는 수평조절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박스 형태의 본체를 건설현장에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음성, 텍스트,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러버콘 상부에 보조 단말 유닛을 삽입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상황을 전송하여 본체에서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자가 조립식 틀비계의 수평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도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 중 조립식 틀비계가 기울어지는 경우 자체적으로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조립식 틀비계가 설치된 바닥이 조립식 틀비계의 자체 수평유지 범위를 벗어나서 기울어지는 경우 작업자 및 안전관리자들에게 경고함으로써 조립식 틀비계가 전도되기 전에 작업자가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관리자들이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본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센서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센서유닛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센서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본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조립식 틀비계의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조립식 틀비계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중 조립식 틀비계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상술한 선행기술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선행기술 5의 공보에 기재된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되, 명칭과 용어 등에 있어서는 다소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LED패널(20),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마이크(50), 카메라(60) 및 센서유닛(7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금속 재질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휠(W)이 구비되며, 공간부에 본체배터리(B1),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 원거리무선통신부(12), 데이터저장부(M) 및 본체제어부(C)가 구비된다.
본체(10)의 공간부는 러버콘(A)과 센서유닛(70)이 보관되도록 도어(D)가 구비되고,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는 저전력 블루투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배터리(B1) 외에도 상용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10)는 측면에 구비되는 접이식 손잡이(13)와,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 손잡이(14)와, 현장 작업자가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긴급상황버튼(15)과,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버튼(16) 및 본체배터리(B1)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17)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센서유닛(70)의 적재시 USB단자(U)를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내부에 충전케이블(도시생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는 일측에 LCD(도시생략)를 구비하여, 본체제어부(C)를 통해 센서유닛(70)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고, 센서유닛(70)이 원거리에 위치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릴 수도 있다.
본체(10)의 본체제어부(C)는 현장상황실에 구비되는 관리 웹사이트(3)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 무선통신부(12)를 통해 관리 웹사이트(3)로 센싱데이터,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 웹사이트(3)에서 전송되는 경고 텍스트 데이터, 경고 방송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M)에 저장한다. 이때 관리 웹사이트(3)는 모바일 앱과 연동되고, 안전관리자가 경고 텍스트 변경하기, 경고 방송 음성 설정하기, 경고 방송 규칙 설정하기, 센서유닛(70)의 센서 작동 여부 확인, 센서유닛(70)의 작동값 수신 및 통계치 확인, 카메라(60)의 영상 확인, 카메라(60)의 사진 촬영, 실시간 방송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의 본체제어부(C)는 센서유닛(70)으로부터 감지되는 센싱값 또는 긴급상황버튼(15)의 조작에 따라 경고레벨, 애무위험레벨, 긴급상황레벨로 분류하여 경고기능을 수행하는데, 경고레벨 시에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켜 본체경광등(30)을 통해 빛을 발생시키고, LED패널(20)을 통해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며, 매우위험레벨 시에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켜 경광등(30)을 통해 빛을 발생시키고, 본체스피커(40)를 통해 매우위험단계의 경고방송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LED패널(20)을 통해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긴급상황레벨 시에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리고, 관리 웹사이트(3)에서 경보음이 송출되도록 하며, 카메라(6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과 마이크(50)를 통해 수집되는 현장음을 관리 웹사이트(3)로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안전관리자들이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본체스피커(40)를 통해 안전관리자들의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10)의 본체제어부(C)는 센서유닛(70)의 자이로센서(74)를 통해 러버콘(A)의 전도가 확인되면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도 여부를 알린다.
이어서, LED패널(20)은 본체(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360도 방향으로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본체경광등(30)은 LED패널(2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경고방송을 송출한다.
마이크(50)는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본체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현장 소리를 수집한다.
카메라(60)는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본체제어부(C)의 제어에 다라 현장을 촬영하여 관리 웹사이트(3)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60)는 관리 웹사이트(3)의 제어에 따라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관리 웹사이트(3)에는 카메라(6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을 감지하는 인공 지능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유닛(7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본체(10)의 주변에 각각 러버콘(A)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인체나 가스가 감지되면 본체(10)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며, LED패널(20),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로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유닛본체(71), 초음파센서(72), 가스센서(73), 자이로센서(74), 유닛경광등(75) 및 래치형 고정모듈(76)로 구성된다.
유닛본체(71)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러버콘(A)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저면에 원기둥 형상의 유닛배터리(B2)가 결합되며, 내부에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와 통신을 수행하여 초음파센서(72), 가스센서(73)의 센싱값을 전송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77)가 실장된다. 이때,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77)는 저전력 블루투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센서(72)는 유닛본체(7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한다. 이때, 초음파센서(72)는 레이저 센서로 대체할 수도 있다.
가스센서(73)는 유닛본체(7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가스를 감지한다. 이때, 가스센서(73)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작업 공간에 따라 특정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이로센서(74)는 유닛본체(7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도 여부를 감지한다.
유닛경광등(75)은 유닛본체(71)의 상면에 설치되어 초음파센서(72), 가스센서(73)를 통해 센싱값이 입력되면 빛을 발생한다.
래치형 고정모듈(76)은 러버콘(A)의 상단에 유닛배터리를 삽입시 고정시키도록 유닛본체(71)의 하단 양측면에 설치되고, 유닛본체(71)의 가압 여부에 따라 기계적으로 동작되어 걸림대(76a)를 벌리거나 오므린다.
센서유닛(70)은 유닛본체(710의 외측에 유닛배터리(B2)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표시등(L), 유닛배터리(B2)를 충전할 수 있는 USB단자(U),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유닛전원버튼(79)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전관리자는 본체(10)를 접이식 손잡이(13) 또는 고정 손잡이(14)를 이용하여 위험 구간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도어(D)를 열고 본체(10)의 공간부에 보관된 러버콘(A)과 센서유닛(70)을 꺼내어 본체(10)의 주변 일정 영역에 1개 이상 설치한다. 이때, 센서유닛(70)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러버콘(A)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유닛배터리(B2)를 삽입한 다음 래치형 고정모듈(76)을 동작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체(10)의 전원을 온시킨다.
이 상태에서 센서유닛(70)의 초음파센서(72) 또는 가스센서(73)에서 인체 도는 가스가 감지되면, 유닛경광등(75)이 동작하여 1차로 경고한다.
이와 동시에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77)에서 초음파센서(72) 또는 가스센서(73)의 센싱값을 본체(10)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로 전송한다.
본체(10)의 본체제어부(C)는 센서유닛(70)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경고 레벨, 매우위험레벨, 긴급상황레벨로 분류하여 경고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고레벨 시에 본체제어부(C)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본체경광등(30)이 빛을 발생시키고, 본체스피커(40)가 데이터저장부(M)에 기 저장되어 설정된 주의단계의 경고방송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LED패널(20)이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접근하는 사람 및 작업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매우위험레벨 시에 본체제어부(C)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본체경광등(30)이 빛을 발생시키고, 본체스피커(40)가 매우위험단계의 경고방송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LED패널(20)이 경고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접근하는 사람 및 작업자에게 경고한다.
마지막으로, 긴급상황레벨 시에 본체제어부(C)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이 긴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리게 되고, 관리 웹사이트(3)에서 경보음이 송출되어 실시간으로 안전관리자들이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본체스피커(40)가 관리자들의 음성을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긴급상황버튼(15)이 조작되면, 본체제어부(C)는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을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및 LED패널(20)이 긴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리게 되고, 관리 웹사이트(3)에서 경보음이 송출되어 실시간으로 안전관리자들이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본체스피커(40)가 관리자들의 음성을 송출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은 본체(10), 센서유닛(70)에 더하여 작업자가 올라가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틀비계(100)와, 상기 틀비계(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LED패널(20),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마이크(50), 카메라(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 LED패널(20),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마이크(50), 카메라(60), 센서유닛(70)의 기본적인 구성과 본체(10) 및 센서유닛(70) 간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은 본체경광등(30), 본체스피커(40), LED패널(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러버콘(A)의 전도 여부를 알림과 아울러 틀비계(100)의 전도 위험 여부를 알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틀비계(100)는 4개의 수직틀(110), 수평틀(120), 가새틀(130), 안전발판(140), 난간대(150), 사다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틀(110), 수평틀(120), 가새틀(130), 난간대(150) 및 사다리(160)는 원형이나 사각 파이프 또는 앵글, 채널 등의 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발판(140)은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틀(110), 수평틀(120), 가새틀(130), 난간대(150), 사다리(16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너트의 체결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발판(140)은 수평틀(12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너트의 체결에 의하여 수평틀(12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에는 틀비계(100)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스터(170)가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170)는 수직틀(110)의 하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회전브래킷(171)과, 상기 수평회전브래킷(1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건설현장의 바닥에 구름접촉하는 바퀴(172)로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170)는 가구, 의자 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캐스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조절장치(200)는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중공형 승강모터축(221)을 가지는 승강모터(220)와, 상기 지지대(2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모터축(221)의 암나사부(222)에 맞물리는 수나사부(231)가 형성된 승강나사봉(230)과, 상기 승강나사봉(2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지판(240)과, 수평조절모드와 수평조절해제모드가 입력되는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와, 상기 착지판(240)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252)과, 상기 안전발판(140)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253)와, 상기 틀비계(100)의 전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254)와, 상기 수직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계경광등(261)과 비계스피커(262) 및,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수평감지센서(253)의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3 근거리 무선통신부(270)와, 상기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에 입력된 입력모드신호와 로드셀(252)의 중량증가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와 수평감지센서(253)의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터(220)와 비계경광등(261) 및 비계스피커(262)를 제어하는 수평조절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부를 감싸는 고정원통(211)과, 상기 고정원통(211)의 하단에 용접되어 수평 연장되는 장착판(21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원통(211)의 외주면과 장착판(212)의 상면 사이에는 보강편(213)이 용접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10)는 고정원통(211)과 수직틀(110)의 하단부에 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직틀(110)의 하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축(221)과 승강스크루(23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스크루(230)의 외주면에는 키홈(232)을 형성하고, 승강모터(2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키홈(232)에 삽입되는 키(22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착지판(240)은 상기 승강스크루(2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원통부(241)와, 상기 연결원통부(24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착지부(24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나사봉(230)의 하단 외주면과 연결원통부(241)의 내주면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BR1)과 스러스트 베어링(BR2)을 중첩 설치하여 착지판(240)이 틀비계(100)와 작업자 및 공구 등을 포함하는 중량을 지탱하면서도 승강나사봉(230)과 착지판(240)의 상대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는 스위치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예에서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상기 사다리(160)에 장착되는 컨트롤박스(CB)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사다리(160)에 올라가기 전에 수평조절모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셀(251)은 수직틀(110)의 하단과 지지대(210)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감지센서(253)는 안전발판(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안전발판(140)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이로센서(254)는 상기 컨트롤박스(CB)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제어부(280)는 상기 컨트롤박스(CB)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CB)의 내부에는 승강모터(220), 로드셀(252), 수평감지센서(253), 자이로센서(254), 비계경광등(261), 비계스피커(262) 및 수평조절제어부(28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틀비계배터리(B3)를 내장할 수 있다.
이하, 수평조절장치(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에 수평조절해제모드가 입력되고, 로드셀(252)에 의해 감지되는 중량의 변화가 없으면,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수평감지센서(253)의 감지신호와 무관하게 승강모터(22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어 승강모터축(221)이 상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암나사부(222)와 수나사부(231)의 나사작용에 의해 승강스크루(230)와 그 하단에 결합된 착지판(240)이 상승하여 착지판(240)의 하면이 캐스터(170)의 바퀴(172)의 접지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캐스터(170)의 바퀴(172)가 지면에 접촉하여 구르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틀비계(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틀비계(100)가 작업위치에 이동완료된 후, 작업자가 사다리(160)를 이용하여 안전발판(140) 위로 올라가기 전에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에 수평조절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22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어 승강모터축(221)이 상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암나사부(222)와 수나사부(231)의 나사작용에 의해 승강스크루(230)와 그 하단에 결합된 착지판(240)이 하강하여 착지판(240)이 지면에 닿게 되고, 그 후 계속하여 승강스크루(230)와 착지판(240)이 하강하면, 틀비계(100)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캐스터(170)의 바퀴(172)의 하면이 착지판(24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틀비계(100)가 착지판(240)과 승강스크루(230)와 승강모터(220) 및 지지대(2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사다리(160)를 이용하여 안전발판(140) 위로 올라가기 전에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0)에 수평조절모드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로드셀(260)의 감지중량이 증가하게 되면,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승강모터(22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어 상술한 승강스크루(230)와 착지판(240)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에 수평조절모드를 입력하지 않고 사다리(160)에 올라갈 경우 로드셀(252)이 틀비계(100)의 중량 증가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에 따라 수평조절제어부(280)가 수평조절모터(220)를 제어하여 승강스크루(230)와 착지판(240)이 하강하여 틀비계(100)가 착지판(240)과 승강스크루(230)와 승강모터(220) 및 지지대(2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되므로 틀비계(100)가 임의로 이동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틀비계(100)의 안전발판(140)이 기울어지게 되면, 수평감지센서(253)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수평조절제어부(280)가 수평감지신호에 따라 4개의 승강모터(22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4개의 승강스크루(230)가 개별적으로 승강하면서 안전발판(14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는 안전발판(140)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틀비계(100)가 급격하게 기울어져서 수평유지수단(200)에 의한 수평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수평조절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비계경광등(261)이 빛을 발생시키고, 비계스피커(262)가 경고방송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평조절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서 제3 근거리 무선통신부(270)가 위험신호를 전송하고, 본체(10)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11)가 위험신호를 수신하며, 본체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본체경광등(30)과 본체스피커(40), LED패널(20)에 의한 경고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들이 틀비계(100)의 전도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작업을 마치고 사다리(160)를 통해 내려온 다음, 수평조절모드입력부(251)에 수평조절해제모드가 입력되면, 수평조절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22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어 승강모터축(221)이 상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암나사부(222)와 수나사부(231)의 나사작용에 의해 승강스크루(230)와 그 하단에 결합된 착지판(240)이 상승하여 착지판(240)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고, 그 후 계속하여 승강스크루(230)와 착지판(240)이 상승하면, 틀비계(100)가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캐스터(170)의 바퀴(172)의 하면이 착지판(240)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틀비계(100)가 캐스터(17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되고, 작업자가 틀비계(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바와 같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여 이러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3 : 관리 웹사이트 10 : 본체
11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12 : 원거리 무선통신부
20 : LED패널 30 : 본체경광등
40 : 본체스피커 50 : 마이크
60 : 카메라 70 : 센서유닛
72 : 초음파센서 73 : 가스센서
74 : 자이로센서 75 : 유닛경광등
77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 100 : 틀비계
110 : 수직틀 120 : 수평틀
140 : 안전발판 160 : 사다리
170 : 캐스터 200 : 수평조절장치
210 : 지지대 220 : 승강모터
221 : 승강모터축 230 : 승강스크루
240 : 착지판 251 : 수평조절모드입력부
252 : 로드셀 253 : 수평감지센서
254 : 자이로센서 261 : 비계경광등
262 : 비계스피커 270 : 제3 근거리 무선통신부
280 : 수평조절제어부

Claims (1)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휠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배터리,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원거리 무선통신부, 데이터저장부 및 본체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경고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LED패널과, 상기 LED패널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본체경광등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본체스피커와,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현장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러버콘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의 센싱값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LED패널, 경광등,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를 주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복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센서유닛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콘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저면에 원기둥 형상의 유닛배터리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실장되는 유닛본체와,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유닛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복 여부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유닛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닛경광등을 포함하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틀비계와; 상기 틀비계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틀비계는 4개의 수직틀, 수평틀, 가새틀, 안전발판, 난간대, 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는 틀비계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스터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승강모터축을 가지는 승강모터와, 상기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승강나사봉과, 상기 승강나사봉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지판과, 수평조절모드와 수평조절해제모드가 입력되는 수평조절모드입력부와, 상기 착지판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안전발판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와, 상기 틀비계의 전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계경광등과 비계스피커 및,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수평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3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평조절모드입력부에 입력된 입력모드신호와 로드셀의 중량증가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와 수평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터와 비계경광등 및 비계스피커를 제어하는 수평조절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KR1020200118163A 2020-09-15 2020-09-15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KR10221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63A KR102219207B1 (ko) 2020-09-15 2020-09-15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63A KR102219207B1 (ko) 2020-09-15 2020-09-15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207B1 true KR102219207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63A KR102219207B1 (ko) 2020-09-15 2020-09-15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2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32B1 (ko) 2021-03-17 2021-10-22 (주)엘다임 건설 현장의 위험성 평가 방법
KR102446054B1 (ko) * 2022-02-09 2022-09-23 이삼종 송전철탑의 추락과 낙하물 방지시스템 제공방법
KR102455862B1 (ko) * 2022-04-19 2022-10-20 (주)채움종합건설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CN117761703A (zh) * 2024-02-22 2024-03-26 苏州傲之途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工地现场施工安全管理监测装置
US11967155B2 (en) 2020-10-19 2024-04-23 OnsiteIQ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of identifying observations based on image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such determination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KR101167016B1 (ko) 2011-11-21 2012-07-24 이호연 건설현장용 안전펜스
KR101217598B1 (ko) * 2012-08-20 2013-01-02 대림에스엠(주) 가설 구조물의 전도 체험 장치
KR101632201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조립식 강관 비계틀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1001U (ko) * 2015-09-08 2017-03-1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조립식 비계
KR101858538B1 (ko)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KR101951119B1 (ko)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KR102055765B1 (ko) 2019-05-28 2019-12-13 (주)대우건설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KR102084686B1 (ko) * 2019-08-13 2020-03-05 송현수 이동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KR101167016B1 (ko) 2011-11-21 2012-07-24 이호연 건설현장용 안전펜스
KR101217598B1 (ko) * 2012-08-20 2013-01-02 대림에스엠(주) 가설 구조물의 전도 체험 장치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1001U (ko) * 2015-09-08 2017-03-1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조립식 비계
KR101632201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조립식 강관 비계틀
KR101858538B1 (ko)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KR101951119B1 (ko)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KR102055765B1 (ko) 2019-05-28 2019-12-13 (주)대우건설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KR102084686B1 (ko) * 2019-08-13 2020-03-05 송현수 이동식 작업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7155B2 (en) 2020-10-19 2024-04-23 OnsiteIQ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of identifying observations based on image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such determinations
KR102316632B1 (ko) 2021-03-17 2021-10-22 (주)엘다임 건설 현장의 위험성 평가 방법
KR102446054B1 (ko) * 2022-02-09 2022-09-23 이삼종 송전철탑의 추락과 낙하물 방지시스템 제공방법
KR102455862B1 (ko) * 2022-04-19 2022-10-20 (주)채움종합건설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KR102474829B1 (ko) * 2022-04-19 2022-12-07 (주)채움종합건설 재해방지 모니터링시스템
CN117761703A (zh) * 2024-02-22 2024-03-26 苏州傲之途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工地现场施工安全管理监测装置
CN117761703B (zh) * 2024-02-22 2024-04-26 苏州傲之途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工地现场施工安全管理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207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KR102055765B1 (ko) 건설 현장 위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지능형 무선 사물 인터넷 안전함
US8915023B2 (en) Safety hatch system
KR100968162B1 (ko)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CN109153554B (zh) 用于辅助评估和管理高架升降机上的危险的系统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US11014794B2 (en) Personal lift device
CN113187233A (zh) 基于bim的施工平台与机器人系统
KR20220122227A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KR102418846B1 (ko) 작업장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6989B1 (ko)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에어바운스 및 안전 확보를 위한 조절 방법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CN109911734B (zh) 灾害信息支援系统以及灾害信息支援方法
CN114202885A (zh) 一种脚手架自动报警系统及其方法
KR200303835Y1 (ko)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KR102445896B1 (ko)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WO2018052370A1 (en) Building lift
KR102278248B1 (ko) 이동식 크레인 지상 작업장 및 작업자 사고원인 분석 빅데이터를 이용한 ai기반 이동식 크레인 지상 작업장 및 작업자 위험 탐지 시스템
CN113802862A (zh) 一种具有超载报警功能的新型卸料平台
JP3548993B2 (ja) マンホール安全ガード
CN211427464U (zh) 一种可自动报警的电子消防装置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19410972U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窨井盖
JP2674975B2 (ja) 高所作業架台付きクレ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