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862B1 -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862B1
KR102455862B1 KR1020220048392A KR20220048392A KR102455862B1 KR 102455862 B1 KR102455862 B1 KR 102455862B1 KR 1020220048392 A KR1020220048392 A KR 1020220048392A KR 20220048392 A KR20220048392 A KR 20220048392A KR 102455862 B1 KR102455862 B1 KR 10245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heavy equipment
management server
pane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빈
Original Assignee
(주)채움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채움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채움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22004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862B1/ko
Priority to KR1020220123924A priority patent/KR102474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고,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며, 작업자의 추락과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도록 하여 실시간 현장을 모니터링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고발생시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Construction site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serious disasters}
본 발명은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고,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며, 작업자의 추락과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도록 하여 실시간 현장을 모니터링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고발생시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건설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여러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수치적으로 보면, 전체 산업 재해자의 발생 수는 매년 감소하는 반면 건설재해는 매년 증가하여 전체 재해 발생대비 건설재해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전체 산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는 수많은 현장 근로자가 투입되어 여러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는 여러 공구에 걸쳐 다양한 분야의 현장 근로자들이 배치되어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고, 현장근로자들의 관리 감독을 위한 관리자들이 통제 및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관리자는 현장 근로자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인원으로 배치되어 관리자의 통제 및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이 발생함에 따라 작업에 몰두한 현장 근로자가 의도치않게 현장 내 위험요소로 접근하거나 부주의하게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관리자의 통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추락, 전도 및 낙하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대부분의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는 현장의 관리자 및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관리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절차로 그쳐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는 현장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함은 물론이고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107912호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고,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며, 작업자의 추락과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도록 하여 실시간 현장을 모니터링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고발생시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 작업자 추락과 자재 추락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장모니터링시스템은, 화재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며, 붕괴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고, 추락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며, 감시되는 영상정보를 현장관리서버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촬영부와, 영상촬영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현장관리자단말기와 현장전광판 측으로 제공하여 표출되도록 하며, 중앙관리서버측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현장관리서버와,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자측으로 구비되는 현장관리자단말기와,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작업 현장에 표출해주도록 현장에 설치되는 현장전광판과,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현장상황을 실시간 감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중앙관리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장모니터링시스템은, 중장비의 진입로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중장비진입로에 각각 설치되는 중장비진로감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장비진로감시부는, 중장비 진입로 지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형성되는 지면안착패널과, 중장비가 진입로를 따라 이동시 지면안착패널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기 위해 지면안착패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패널과, 지면안착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장비의 진입시 완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완충패널과, 중장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면안착패널과 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판과, 완충스프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안착패널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홈과, 완충스프링판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완충패널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판고정부재와, 진입하는 중장비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여 진로감지센서의 센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비산먼지흡입기와, 비산먼지흡입기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걸러내고 걸러진 공기만 외부로 재배출시키기 위해 비산먼지흡입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필터와, 진입하는 중장비를 감지하며, 감지정보를 진입감지램프와 진로정보송수신기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로감지센서와, 진로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의해 중장비 진입를 빛으로 표출해주기 위해 측면패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램프와, 진로감지센서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현장관리서버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측면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로정보송수신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화재를 감시하고,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고, 작업자의 추락과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사고발생시 빠른 대처로 2차 피해가 발생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중장비진로감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승하강영상촬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및충격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 작업자 추락과 자재 추락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은 영상촬영부(110), 현장관리서버(140), 현장관리자단말기, 현장전광판, 중앙관리서버(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촬영부(110)는 화재감시카메라(111)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며, 붕괴감시카메라(112)를 이용하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고, 추락감시카메라(113)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며, 감시되는 영상정보를 현장관리서버(14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10)는 화재감시카메라(111), 붕과감시카메라, 추락감시카메라(113)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관리서버(140)는 영상촬영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현장관리자단말기와 현장전광판 측으로 제공하여 표출되도록 하며, 중앙관리서버(150)측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장관리자단말기는 현장관리서버(140)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자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장전광판은 현장관리서버(140)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작업 현장에 표출해주도록 현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리서버(150)는 현장관리서버(140)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현장상황을 실시간 감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중장비진로감시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장비진로감시부(200)는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장비진로감시부(200)는 중장비의 진입로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중장비진입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장비진로감시부(200)는 지면안착패널(210), 측면패널(211), 완충패널(212), 완충스프링판(213), 스프링판고정홈(214), 스프링판고정부재(215), 비산먼지흡입기(216), 배출필터(217), 진로감지센서(218), 진입감지램프(219), 진로정보송수신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면안착패널(210)은 중장비 진입로 지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패널(211)은 중장비가 진입로를 따라 이동시 지면안착패널(210)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패널(211)은 지면안착패널(2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패널(212)은 지면안착패널(2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장비의 진입시 완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판(213)은 중장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면안착패널(210)과 완충패널(21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판고정홈(214)은 완충스프링판(21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판고정홈(214)은 지면안착패널(210)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판고정부재(215)는 완충스프링판(213)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판고정부재(215)는 완충패널(212)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먼지흡입기(216)는 진입하는 중장비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여 진로감지센서(218)의 센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비산먼지흡입기(216)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211)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패널(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필터(217)는 비산먼지흡입기(216)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걸러내고 걸러진 공기만 외부로 재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필터(217)는 비산먼지흡입기(2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로감지센서(218)는 진입하는 중장비를 감지하며, 감지정보를 진입감지램프(219)와 진로정보송수신기(220)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로감지센서(218)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211)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감지램프(219)는 진로감지센서(218)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의해 중장비 진입를 빛으로 표출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감지램프(219)는 측면패널(2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로정보송수신기(220)는 진로감지센서(218)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현장관리서버(14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로정보송수신기(220)는 측면패널(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승하강영상촬영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영상촬영부(300)는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승하강영상촬영부(300)는 화재감시카메라(111) 또는 붕괴감시카메라(112) 또는 추락감시카메라(113) 중 어느 하나의 감시카메라를 레일부재 일측에 안착시켜 승하강시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영상촬영부(300)는 승하강지지대(310), 승하강레일(311), 지지대하부고정판(312), 수평조절실린더(313), 수평고정핀(314), 수평센서(315), 레일부재(316), 레일스크류(317), 스크류고정대(318), 스크류구동모터(319), 높이조절센서(320), 높이조절감지부재(321), 승하강영상송수신기(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지지대(310)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레일(311)은 승하강되는 레일부재(316)의 흔들림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레일(311)은 승하강지지대(310)의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하부고정판(312)은 승하강지지대(310)가 지면에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하부고정판(312)은 승하강지지대(310) 하부로 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조절실린더(313)는 수평고정핀(314)을 지면 측으로 삽입시켜 승하강지지대(31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며, 승하강지지대(310)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조절실린더(313)는 지지대하부고정판(312)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고정핀(314)은 지면에 삽입고정되며, 복수개의 수평조절실린더(313)를 각각 조절작동시켜 승하강지지대(310)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고정핀(314)은 수평조절실린더(313)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센서(315)는 승하강지지대(310)의 수평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센서(315)는 승하강지지대(31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316)는 레일스크류(317)에 결합되어 레일스크류(317)의 회전시 승하강되며, 일측이 승하강레일(31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스크류(317)는 레일부재(316)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스크류(317)는 승하강지지대(310) 일측면 상부와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고정대(318)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고정대(318)는 레일스크류(317)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고정대(318)는 승하강지지대(310) 일측면 상부와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구동모터(319)는 레일스크류(317)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구동모터(319)는 상부로 형성되는 스크류고정대(318) 상측으로 안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센서(320)는 높이조절감지부재(321)를 감지하며, 감지정보를 스크류구동모터(319) 측으로 제공하며, 승하강영상송수신기(322)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센서(320)는 승하강지지대(310)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감지부재(321)는 높이조절센서(320)가 간격별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감지부재(321)는 승하강지지대(310)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영상송수신기(322)는 영상촬영부(110) 측으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영상송수신기(322)는 승하강지지대(3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및충격감지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및충격감지부(400)는 현장모니터링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진동및충격감지부(400)는 구조물과 지면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및충격감지부(400)는 구조물감지수단(410)과 지면감지수단(4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물감지수단(410)은 구조물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감지수단(410)은 뒤틀림감지대(411), 연결부고정패드(412), 뒤틀림감지센서(413), 구조물감지송신기(4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뒤틀림감지대(411)는 구조물면에 부착된 연결부고정패드(412)에 볼트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고정패드(412)는 구조물의 연결위치에 부착되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틀림감지센서(413)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구조물의 뒤틀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뒤틀림감지센서(413)는 각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감지되는 정보를 구조물감지송신기(414)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감지송신기(414)는 구조물의 뒤틀림정보를 현장관리서버(140) 측으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조물감지송신기(414)는 뒤틀림감지대(4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감지수단(420)은 지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감지수단(420)은 지면진동감지대(421), 지면진동감지센서(422), 지면감지송신기(4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면진동감지대(421)는 지면에 매립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진동감지센서(422)는 지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지면감지송신기(423)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면진동감지센서(422)는 지면진동감지대(421) 내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감지송신기(423)는 지면의 진동정보를 현장관리서버(140) 측으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면감지송신기(423)는 지면진동감지대(42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현장모니터링시스템
110 : 영상촬영부 111 : 화재감시카메라
112 : 붕괴감시카메라 113 : 추락감시카메라
120 : 현장관리서버 130 : 현장관리자단말기
140 : 현장전광판 150 : 중앙관리서버
200 : 중장비진로감시부
210 : 지면안착패널 211 : 측면패널
212 : 완충패널 213 : 완충스프링판
214 : 스프링판고정홈 215 : 스프링판고정부재
216 : 비산먼지흡입기 217 : 배출필터
218 : 진로감지센서 219 : 진입감지램프
220 : 진로정보송수신기
300 : 승하강영상촬영부
310 : 승하강지지대 311 : 승하강레일
312 : 지지대하부고정판 313 : 수평조절실린더
314 : 수평고정핀 315 : 수평센서
316 : 레일부재 317 : 레일스크류
318 : 스크류고정대 319 : 스크류구동모터
320 : 높이조절센서 321 : 높이조절감지부재
322 : 승하강영상송수신기
400 : 진동및충격감지부
410 : 구조물감지수단 411 : 뒤틀림감지대
412 : 연결부고정패드 413 : 뒤틀림감지센서
414 : 구조물감지송신기
420 : 지면감지수단 421 : 지면진동감지대
422 : 지면진동감지센서 423 : 지면감지송신기

Claims (3)

  1.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 작업자 추락과 자재 추락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은,
    화재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며, 붕괴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건물과 구조물의 붕괴를 감시하고, 추락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자재의 추락을 감시하며, 감시되는 영상정보를 현장관리서버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촬영부와,
    영상촬영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현장관리자단말기와 현장전광판 측으로 제공하여 표출되도록 하며, 중앙관리서버측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현장관리서버와,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파악하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자측으로 구비되는 현장관리자단말기와,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상황을 작업 현장에 표출해주도록 현장에 설치되는 현장전광판과,
    현장관리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현장상황을 실시간 감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중앙관리서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은,
    중장비의 진입로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중장비진입로에 각각 설치되는 중장비진로감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장비진로감시부는,
    중장비 진입로 지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형성되는 지면안착패널과,
    중장비가 진입로를 따라 이동시 지면안착패널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기 위해 지면안착패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패널과,
    지면안착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장비의 진입시 완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완충패널과,
    중장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면안착패널과 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판과,
    완충스프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안착패널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홈과,
    완충스프링판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완충패널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판고정부재와,
    진입하는 중장비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여 진로감지센서의 센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비산먼지흡입기와,
    비산먼지흡입기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걸러내고 걸러진 공기만 외부로 재배출시키기 위해 비산먼지흡입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필터와,
    진입하는 중장비를 감지하며, 감지정보를 진입감지램프와 진로정보송수신기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로감지센서와,
    진로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의해 중장비 진입를 빛으로 표출해주기 위해 측면패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램프와,
    진로감지센서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현장관리서버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측면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로정보송수신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8392A 2022-04-19 2022-04-19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KR10245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92A KR102455862B1 (ko) 2022-04-19 2022-04-19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KR1020220123924A KR102474829B1 (ko) 2022-04-19 2022-09-29 재해방지 모니터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92A KR102455862B1 (ko) 2022-04-19 2022-04-19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24A Division KR102474829B1 (ko) 2022-04-19 2022-09-29 재해방지 모니터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862B1 true KR102455862B1 (ko) 2022-10-20

Family

ID=83804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392A KR102455862B1 (ko) 2022-04-19 2022-04-19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KR1020220123924A KR102474829B1 (ko) 2022-04-19 2022-09-29 재해방지 모니터링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24A KR102474829B1 (ko) 2022-04-19 2022-09-29 재해방지 모니터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5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71B1 (ko) 2023-03-27 2023-11-29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기업용 보고서의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409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네이블텍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7912A (ko) 2020-09-09 2020-09-16 김춘상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9207B1 (ko) * 2020-09-15 2021-02-2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KR20210019872A (ko) * 2019-08-13 2021-02-23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409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네이블텍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9872A (ko) * 2019-08-13 2021-02-23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KR20200107912A (ko) 2020-09-09 2020-09-16 김춘상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9207B1 (ko) * 2020-09-15 2021-02-23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71B1 (ko) 2023-03-27 2023-11-29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기업용 보고서의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829B1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62B1 (ko)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모니터링시스템
CN104110124A (zh) 一种具有视频安全监控系统的附着式升降脚手架
WO2019164177A1 (ko) 면진 이중마루
JP5989549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494010B1 (ko) 케이블 보도교의 감시 시스템
CN109828514A (zh) 一种移动风险源监控系统
JP6986434B2 (ja) 設備機器の設置構造
DE202006003194U1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hoch belasteter Tragwerke
KR101263658B1 (ko) 시공정밀도 향상을 위한 레이져 촬영 이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직도 모니터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직도 관리방법
CN108597166B (zh) 一种采石场安全监控系统和方法
KR20210071558A (ko) IoT 기반 타워크레인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9031811A (ja) 足場工事安全監視システム
KR102221203B1 (ko) 미세진동 트리거 및 수평유지구조의 케이블 인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춘 ai 기반 진동저감 모니터링 장치
KR102382374B1 (ko) 변위 계측을 이용한 지진시 기둥의 실시간 안전성 평가 및 위험 알림 시스템
JP2008138464A (ja) 耐震天井構造、天井制震装置及び天井制震装置の取付方法
KR102272396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KR101234298B1 (ko)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20230125995A (ko)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KR20180028603A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CN112013212B (zh) 一种监火机器人及监火温度判断方法
CN210564612U (zh) 区间隧道射流风机安装检修平台
KR102258029B1 (ko) 면진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Ogasawara et al. Damage investigation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buildings with SHM system in the 2018 Osaka Earthquake
JP3222579U (ja) 吊り足場
JP2018039074A (ja) 建築物の天井裏点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