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396B1 -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396B1
KR102272396B1 KR1020200151770A KR20200151770A KR102272396B1 KR 102272396 B1 KR102272396 B1 KR 102272396B1 KR 1020200151770 A KR1020200151770 A KR 1020200151770A KR 20200151770 A KR20200151770 A KR 20200151770A KR 102272396 B1 KR102272396 B1 KR 10227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elevator car
pair
bracket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우주공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공업사 filed Critical (주)우주공업사
Priority to KR102020015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카를 안전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크기와 관계 없이 완충기가 승강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승강카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카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한 쌍을 서로 대면하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는 양단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브래킷 한 쌍의 이격거리를 넓히고 줄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제1체결공을 구비하는 이격 조절부재; 및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중앙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승강카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하면서 승강카를 완충시켜주는 완충기;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가 달라지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한 쌍의 브래킷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완충기를 승강카 하면 정중앙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Elevator car shock absorb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카를 안전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크기와 관계 없이 완충기가 승강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다층 건물의 층과 층 사이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고층 건물의 증가와 이용 편리성으로 인해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약 2만 5천대의 엘리베이터가 신규 설치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약 200만대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베이터는 승객을 수용하여 이동하는 승강카와, 승강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승강카를 제동시키는 제동장치 및 각종 센서와 스위치로 이루어져 승객이 선택하는 층으로 승강카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승강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승강로 바닥에 완충기가 설치되어 승강카가 최저층까지 하강하게 되면 접촉하여 안전하게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완충기의 경우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승강로 바닥에서 승강카의 하부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를 시공위치로 정하고, 그 지점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대를 시공한 후 완충기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완충기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완충기를 승강카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하기 위하여 번거로운 측량작업이 선행되어야 하였고 완충기를 지지해주는 지지대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였다. 이로 인해 공정 자체가 어렵고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106090호(2019.09.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카를 안전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크기와 관계 없이 완충기가 승강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수직이동하는 승강로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카가 최저층까지 하강할 때 승강카를 접촉하여 완충시켜주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로서, 승강카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카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한 쌍을 서로 대면하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는 양단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브래킷 한 쌍의 이격거리를 넓히고 줄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제1체결공을 구비하는 이격 조절부재; 및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중앙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승강카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하면서 승강카를 완충시켜주는 완충기;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가 달라지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한 쌍의 브래킷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완충기를 승강카 하면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접합되되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측으로 절곡된 측면부로 이루어진 ㄷ 자 단면의 결합 프레임과,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접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부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레일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 조절부재는 양편에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결합 프레임 측면부에 볼트결합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완충기와의 볼트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기는,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상면 중앙부에 볼트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앙부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하단부가 인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승강카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완충용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기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수평자와 제2수평자가 설치되고,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상기 완충기의 수평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나사몸체와, 상기 나사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원판형 지지대와, 상기 나사몸체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나사몸체가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격 조절부재를 상측과 하측에서 고정하는 하부 너트 및 상부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조절부재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는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1기준점과 제2기준점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도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3기준점과 제4기준점이 표시되며, 상기 완충기의 완충용 피스톤 상면 중앙에는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원형의 중심점이 표시되어,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1기준점과 제4기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과,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2기준점과 제3기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상기 중심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충기가 승강카 완충장치의 정중앙에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제품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의 콘크리트 매립이나 추가적인 바닥 공사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엘리베이터의 크기와 관계 없이 완충기를 승강카의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의 바닥면이 완전한 수평이 아니더라도 완충기를 자체에 포함된 제1수평자 및 제2수평자와 높이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완충기가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간단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는 한 쌍의 브래킷(110)과, 한 쌍의 이격 조절부재(120)와 완충기(13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의 콘크리트 매립이나 추가적인 바닥 공사 없이도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며 엘리베이터의 크기와 관계 없이 완충기(130)를 승강카(EC)의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브래킷(110)은 서로 이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며, 승강카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카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C1)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접합되는 결합 프레임(112), 상기 결합 프레임(112)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접합되어 가이드레일(C1)의 하단부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레일 지지체(1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 프레임(112)은 가이드레일(C1)과 결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측으로 절곡된 측면부로 이루어져서 ㄷ 자 단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브래킷(110)의 결합 프레임(112) 전면부에는 T자형의 가이드레일(C1) 양측단부를 붙잡아주는 한 쌍의 결합편(114)이 설치된다. 상기 결합편(114)은 브래킷(110)의 결합 프레임(112) 전면부에 대하여 볼트체결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C1)의 양측단부를 걸어주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격 조절부재(120)는 양편에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브래킷(110) 한 쌍을 서로 대면하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준다. 상기 브래킷(110)이 결합되는 이격 조절부재(120)의 양단부에는 브래킷(110)이 결합되는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브래킷(110) 한 쌍의 이격거리를 넓히고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제1체결공(121)이 이격 조절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다. 이처럼 이격 조절부재(120)의 양단부에 다수의 제1체결공(121)이 구비되면 이 중에 선택된 어느 한 제1체결공(121)에 볼트가 관통한 상태에서 이격 조절부재(120)와 브래킷(110)의 결합 프레임(112) 측면부 간 볼트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제1체결공(121) 중 볼트가 관통하는 해당 제1체결공(121)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브래킷(11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면서 브래킷(110)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a의 (가), (나)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될 때 브래킷(110) 간 이격거리를 최대한 넓힌 상태이며, 도 6b의 (가), (나)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될 때 브래킷(110) 간 이격거리를 최대한 좁힌 상태이다.
한편, 상기 이격 조절부재(1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완충기(130)와의 체결볼트(136)의 볼트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완충기(130)가 이격 조절부재(120)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기(130)는 상기 제2체결공(122)에 의해 이격 조절부재(120)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승강카의 하면 중앙부에 정확히 접촉하면서 승강카를 안전하게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기(130)는 이격 조절부재(120)의 상면 중앙부에 볼트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13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1) 중앙부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실린더(132)와, 상기 실린더(132)에 하단부가 인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승강카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완충용 피스톤(1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상기 완충기(130)가 승강로 바닥에 단독으로 설치된 것이 아니라 승강카 가이드레일(C1) 한 쌍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설치되도록 한 브래킷(110)과 이격 조절부재(120)를 기반으로 하여 별도의 측량 없이도 승강카의 하면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한편, 상기 완충기(130)의 지지플레이트(131)에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수평자(135A)와 제2수평자(135B)가 설치된다. 상기 제1수평자(135A) 및 제2수평자(135B)는 투명관 내부에 공기방울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자(135A) 및 제2수평자(135B)와 함께 상기 이격 조절부재(120)의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완충기(130)의 수평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부재(124)가 설치된다. 그러니까 상기 높이 조절부재(124)는 모두 네 개의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124)는 이격 조절부재(120)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나사몸체(124a)와, 상기 나사몸체(124a)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원판형 지지대(124b)와, 상기 나사몸체(124a)에 나사체결되며 나사몸체(124a)가 이격 조절부재(120)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이격 조절부재(120)를 상측과 하측에서 고정하는 하부 너트(124c) 및 상부 너트(124d)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완충기(130)에 제1수평자(135A) 및 제2수평자(135B)가 설치되고 상기 이격 조절부재(120)에 높이 조절부재(124)가 설치되면, 제1수평자(135A) 및 제2수평자(135B)에 의해 완충기(130)가 수평하게 설치되었는 여부를 바로 확인하고 만일 어긋나 있다면 네 지점에 있는 높이 조절부재(124)에 의해 완충기(130)를 수평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완충용 피스톤(133)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승강카의 하면 정중앙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의 (나) 및 도 6b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다른 도면들에서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음) 이격 조절부재(120)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는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1기준점(140b)과 제2기준점(140c)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도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3기준점(140d)과 제4기준점(140e)이 표시되며, 완충기(130)의 완충용 피스톤(133) 상면 중앙에는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원형의 중심점(140a)이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1기준점(140b)과 제4기준점(140e)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h1)과,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2기준점(140c)과 제3기준점(140d)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h2)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상기 중심점(140a)과 일치하는 경우에 완충기(130)가 승강카 완충장치의 정중앙에 설치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반대로 가상의 제1라인(h1)과 가상의 제2라인(h2)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상기 중심점(140a)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완충기(130)가 승강카 완충장치의 정중앙에 설치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제품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는 승강카용 가이드레일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주로 염두에 두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웨이트(W1)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웨이트용 가이드레일(C2)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카(EC)가 아닌 웨이트(W1)를 완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가 승강카(EC)가 아닌 웨이트(W1)의 완충을 위해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성이나 설치방법이 대동소이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브래킷 120: 이격 조절부재
124: 높이 조절부재 130: 완충기
135A: 제1수평자 135B: 제2수평자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수직이동하는 승강로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카가 최저층까지 하강할 때 승강카를 접촉하여 완충시켜주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로서,
    승강카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카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한 쌍을 서로 대면하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주되,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는 양단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브래킷 한 쌍의 이격거리를 넓히고 줄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제1체결공을 구비하는 이격 조절부재; 및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중앙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승강카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하면서 승강카를 완충시켜주는 완충기;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가 달라지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한 쌍의 브래킷 간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완충기를 승강카 하면 정중앙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접합되되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측으로 절곡된 측면부로 이루어진 ㄷ 자 단면의 결합 프레임과,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접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부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레일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 조절부재는 양편에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결합 프레임 측면부에 볼트결합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완충기와의 볼트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기는,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상면 중앙부에 볼트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앙부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하단부가 인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승강카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완충용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기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수평자와 제2수평자가 설치되고,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상기 완충기의 수평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나사몸체와, 상기 나사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승강로 바닥에 지지되는 원판형 지지대와, 상기 나사몸체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나사몸체가 상기 이격 조절부재의 하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격 조절부재를 상측과 하측에서 고정하는 하부 너트 및 상부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조절부재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는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1기준점과 제2기준점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도 각각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제3기준점과 제4기준점이 표시되며,
    상기 완충기의 완충용 피스톤 상면 중앙에는 비젼이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는 원형의 중심점이 표시되어,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1기준점과 제4기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과,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제2기준점과 제3기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상기 중심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충기가 승강카 완충장치의 정중앙에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제품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KR1020200151770A 2020-11-13 2020-11-13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KR10227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70A KR102272396B1 (ko) 2020-11-13 2020-11-13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70A KR102272396B1 (ko) 2020-11-13 2020-11-13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396B1 true KR102272396B1 (ko) 2021-07-02

Family

ID=7689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770A KR102272396B1 (ko) 2020-11-13 2020-11-13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8260A (zh) * 2022-06-01 2022-09-02 巨龙电梯有限公司 一种轿厢倾斜自动调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846A (ja) * 1994-02-25 1995-09-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用油入緩衝器
JP2005112488A (ja) * 2003-10-02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緩衝器の支持装置とその設置方法
JP2006124076A (ja) * 2004-10-27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及びその装置の設置方法
KR20190106090A (ko) 2018-03-07 2019-09-18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846A (ja) * 1994-02-25 1995-09-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用油入緩衝器
JP2005112488A (ja) * 2003-10-02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緩衝器の支持装置とその設置方法
JP2006124076A (ja) * 2004-10-27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及びその装置の設置方法
KR20190106090A (ko) 2018-03-07 2019-09-18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8260A (zh) * 2022-06-01 2022-09-02 巨龙电梯有限公司 一种轿厢倾斜自动调节方法
CN114988260B (zh) * 2022-06-01 2024-02-06 巨龙电梯有限公司 一种轿厢倾斜自动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594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KR102272396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완충장치
JP200731425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バランス補正装置
KR100394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729720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171954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支持装置
KR10208242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1463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160413A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CN210393352U (zh) 一种电梯轿架
CN204454198U (zh) 一种无机房电梯曳引系统的结构
WO2021014528A1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及び据付治具
JP4425689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224468A (ja) エレベーターかご
JP2013067492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固定装置
CN217102606U (zh) 曳引机梁组件和配备有该曳引机梁组件的电梯
JPH10203748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6810894U (zh) 建筑作业平台
CN214989519U (zh) 一种稳定性好的电梯导向结构
CN215160080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附墙架
JP2507636B2 (ja) 仮設エレベ―タの機械台支持装置
JP2015000769A (ja) エレベータ用かご、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据付方法
JP2003276967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かご
KR102445090B1 (ko)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