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603A -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603A
KR20180028603A KR1020160116084A KR20160116084A KR20180028603A KR 20180028603 A KR20180028603 A KR 20180028603A KR 1020160116084 A KR1020160116084 A KR 1020160116084A KR 20160116084 A KR20160116084 A KR 20160116084A KR 20180028603 A KR20180028603 A KR 2018002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ilding
unit
elevator car
abnormal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639B1 (ko
Inventor
이성진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04N5/2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에서 모션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이 현재 위치한 현재 층수와 엘리베이터 차량에서 발생한 비정상 이벤트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고층 건물에서의 사고 대처 능력과 시큐리티 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센서가 엘리베이터 차량의 현재 층수 및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하므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안전 관리에 있어서 보안요원의 개인별 능력 편차 내지 특수 상황의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높은 수준의 시큐리티를 제공할 수 잇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입주민이나 방문객이 해당 건물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CCTV camera device for elevators using motion sensor}
본 발명은 사고 대처 능력과 시큐리티 강화을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에서 모션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이 현재 위치한 현재 층수와 엘리베이터 차량에서 발생한 비정상 이벤트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고층 건물에서의 사고 대처 능력과 시큐리티 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관공서, 오피스빌딩 등과 같은 고층 건물에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층과 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정지하여 사람이 갇히는 사고가 가끔씩 발생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폭행, 강도, 성추행, 납치 등의 범죄 행위도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고 대처 능력과 시큐리티의 강화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내부를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은 경비센터로 전송되어 보안요원이 모니터로 감시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안요원의 개인적인 능력에 의존하여 일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보안요원이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비정상적인 상황을 인식하고 관련 인력에 연락을 취하여 그 일이 벌어진 장소에 출동하는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보안요원의 관제 능력은 사람마다 상이한 데다가 충분한 정도의 집중력과 관찰력을 잠시의 틈도 없이 계속 유지한다는 것도 기대하기 곤란하고 잠시 전화를 한다거나 방문객을 안내하거나 화장실을 다녀오는 동안에 문제가 발생하는 특수 상황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특징이 없거나 혹은 촬영 사각지대에서 범죄가 벌어지거나 혹은 카메라 렌즈를 무언가로 가려 비디오 촬영이 방해받는 상황이 되면 그 문제발생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도 없고 심지어는 사고나 범죄가 발생했는지 여부도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을 개선함으로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엘리베이터를 좀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에서 모션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이 현재 위치한 현재 층수와 엘리베이터 차량에서 발생한 비정상 이벤트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고층 건물에서의 사고 대처 능력과 시큐리티 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는, 엘리베이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촬영부(110);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120); 엘리베이터 차량의 가속도 변화 값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부(130);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을 집합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건물층수 판단부(140);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에서의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하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와 함께 비정상 이벤트를 알려주는 비정상 알람 리포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 변화 패턴을 누적 처리하여 엘리베이터 차량이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 및 그에 따른 건물의 전체 층수를 식별하고, 최하층과 최상층을 기준으로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전체 층수에서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특정 시점에서 관리자 설정에 의해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한 참조 층수를 입력받고 참조 층수를 기준으로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의 진동 레벨을 검출하고 진동 레벨이 미리 설정한 임계 진동을 초과하는 비정상 진동인 경우에는 비정상 이벤트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카메라 촬영부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대해 디퍼렌셜 방식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의 진동 레벨 값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카메라 촬영부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를 오버레이한 비정상 알람 이미지를 생성하여 비정상 알람 리포트에 포함시키는 리포트 이미지 생성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센서가 엘리베이터 차량의 현재 층수 및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하므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의 상황 식별 능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안전 관리에 있어서 보안요원의 개인별 능력 편차 내지 특수 상황의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높은 수준의 시큐리티를 제공할 수 잇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입주민이나 방문객이 해당 건물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의 사용 환경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건물 층수를 식별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건물 층수를 식별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차량의 진동 레벨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사용 환경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층 건물 내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승객 수송을 위해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차량(200)을 위해 감시 카메라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데,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CCTV 관리 시스템(300) 또는 관제요원 컴퓨터(400)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CCTV 관리 시스템(300)은 다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수집하여 사고 분석 및 범죄증거 분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제요원 컴퓨터(400)의 앞에는 보안요원이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에서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범죄가 발생하였는지 살펴본다.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 그리고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건물의 몇층에서 그 일이 벌어졌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식별한다. 그리고, 그 식별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CCTV 관리 시스템(300) 또는 관제요원 컴퓨터(400)로 전달하여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모션 센서(130)를 내장하고 있다. 모션 센서(130)는 9축(9-axis)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지는데,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여 감시 카메라 장치(100)로 제공한다. 감시 카메라 장치(100)가 건물내 층수 판단을 해야 하므로 상하 이동 방향의 중력가속도 성분이 주로 고려되는데, 진동 레벨의 검출을 위해 횡 방향의 가속도 성분도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갑자기 정지하여 사람이 갇히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폭행, 강도, 성추행, 납치 등의 범죄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하여 그러한 상황을 자체적으로 식별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황이 발생한 건물내 층수를 식별하여 제공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사고에 빠르게 대처하여 위험을 제거하고 범인을 효과적으로 추적하여 신속하게 검거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감시 카메라 장치(100)가 모션 센서(130)를 활용한다. 모션 센서(130)가 제공하는 가속도 정보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설치되는 CCTV 카메라 장치에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는 독립형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CCTV 카메라와 모션 센서(130)를 비롯한 하드웨어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설치되고 이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서버에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형태로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촬영부(110), 네트워크 접속부(120), 모션 센서부(130), 건물층수 판단부(140),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 리포트 이미지 생성부(160), 시스템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내부 기능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카메라 촬영부(11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네트워크 접속부(1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각종의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모션 센서부(13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가속도 변화 값을 검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9축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모션 센서부(130)를 구현할 수 있는데,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혹은 어떠한 충격에 의하여 좌우로 흔들릴 때, 그러한 기계적 움직임에 수반되는 가속도 변화 값을 검출해낸다.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을 집합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무언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층수를 식별하여 그 정보를 제공한다.
건물층수 판단부(140)가 모션 센서부(130)가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두 가지 실시예를 아래에 제시한다.
첫번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일단, 건물층수 판단부(140)가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 변화 패턴을 일정 기간동안 누적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 및 그에 따른 건물의 전체 층수를 식별한다. 그리고 나서, 최하층과 최상층을 기준으로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전체 층수에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한다.
이와 같은 첫번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두번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특정 시점에서 관리자 설정에 의해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위치한 참조 층수(예: 1층)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참조 층수를 기준으로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전체 층수에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한다.
이와 같은 두번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에서의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을 검출한다. 그 검출한 진동 레벨이 미리 설정한 임계 진동을 초과하는 비정상 진동인 경우에는 비정상 이벤트로 판단한다. 이러한 비정상 이벤트 식별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모션 센서부(130)에서 얻어지는 가속도 변화 값에 카메라 촬영부(110)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비정상 이벤트의 식별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디퍼렌셜(differential) 방식의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가속도 변화 값으로 도출한 진동 레벨을 보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정도를 좀더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리포트 이미지 생성부(160)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카메라 촬영부(110)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를 오버레이한 비정상 알람 이미지를 생성하여 비정상 알람 리포트에 포함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벌어지면 그러한 일이 벌어진 건물 층수의 표시가 엘리베이터 촬영 영상에 오버레이 표시되어 외부의 CCTV 관리 시스템(300) 및 관제요원 컴퓨터(400)로 제공된다.
시스템 제어부(170)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와 함께 비정상 이벤트를 알려주는 비정상 알람 리포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건물층수 판단부(140)가 모션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벤트 발생 지점의 건물 층수를 식별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 변화 패턴을 추출한다. 모션 센서부(130)는 다축의 가속도 센서로 구현되는데 건물 층수 판단에는 상하 방향이 중요하므로 해당 성분만 추출한다. 이때, 가속도 변화의 패턴을 추출한다.
단계 (S120) :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 변화 패턴을 일정 기간동안 누적 처리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테스트 운행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은 최상층에서 최하층까지 여러 번 이동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상하 이동하면 그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부(130)는 가속도 변화 값을 제공하게 되고, 그 가속도 변화 패턴을 통해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이동 또는 정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더이상 내려가지 않는 지점을 식별하게 되는데 이를 최하층으로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더이상 올라가지 않는 지점을 식별하게 되는데 이를 최상층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30) :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최하층과 최상층으로부터 건물의 전체 층수를 식별한다. 건물층수 판단부(140)가 해당 건물에 대한 최하층과 최상층을 식별하였고 일반적으로 1개 층에 대한 상하 이동 길이는 일정 범위 이내일 뿐만 아니라 가속도 변화 패턴을 통해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이동 또는 정지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해당 건물의 전체 층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40) : 그 후, 엘리베이터가 정식 운행하게 되면 건물 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그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부(130)는 가속도 변화 값을 제공하게 된다.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상하 운동 과정에서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정지 및 출발을 식별한다.
단계 (S150) : 앞서 해당 건물에 대한 최하층과 최상층을 식별하였기에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이들 최하층과 최상층을 기준으로 삼고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정지 및 출발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최하층과 최상층을 기준으로 전체 층수에서 현재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몇층에 있는지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건물층수 판단부(140)가 모션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벤트 발생 지점의 건물 층수를 식별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210) :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특정 시점에서, 예컨대 엘리베이터를 테스트 운행하는 도중에 관리자 설정에 의해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당시 위치한 지점에 따른 참조 층수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1층에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관리자가 엘리베이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1층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건물층수 판단부(140)로 입력해주는 것을 들 수 있다.
단계 (S220) : 그 후, 엘리베이터가 정식 운행하게 되면 건물 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그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부(130)는 가속도 변화 값을 제공하게 된다.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상하 운동 과정에서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정지 및 출발을 식별한다.
단계 (S230) : 앞서 해당 건물에 대한 특정 지점의 층수 정보를 관리자에 의해 입력받았기에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참조 층수를 기준으로 삼고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정지 및 출발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현재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몇층에 있는지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가 모션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10) :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갑자기 정지하여 사람이 갇히게 되거나 폭행, 강도, 성추행, 납치 등의 범죄로 인해 사람들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설치된 모션 센서부(130)도 그 진동에 대응하는 가속도 변화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모션 센서부(130)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을 수학적으로 연산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변화 값을 제곱하여 일정 시간 단위로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진동 레벨을 얻을 수 있다.
단계 (S320) : 그리고 나서,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대해 현재 검출한 진동 레벨이 미리 설정한 임계 진동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러한 임계 진동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미리 특정의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운행 과정에서 해당 환경에서 일어나는 평균적인 진동 수준으로 일정 시간마다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S330) : 위 비교 결과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이 임계 진동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340) : 반대로 위 비교 결과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이 임계 진동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비정상 진동으로 보고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내부에서 무언가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가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할 때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가 모션 센서부(130)가 출력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차량(200)에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운행 조건 및 부품 관리 상태에 따라서 차량 진동은 일시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적으로 모션 센서부(130)의 출력 값에만 의존하는 것은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라, 이하에서는 엘리베이터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 여부 판단을 좀더 정교하게 만드는 과정에 대해 기술한다.
단계 (S410) : 먼저,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카메라 촬영부(110)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단계 (S420) :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위 순차 배열된 영상 이미지에 대해 디퍼렌셜 방식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흔들림 레벨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일련의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각 셀 혹은 각 블록의 대표 값(예: 명도)만 남긴 후에 서로 인접하는 이미지들 간의 대표 값의 차이를 제곱후 합산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는, 일련의 이미지에 대해서 블록 단위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일련의 이미지에서 블록 단위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은 MPEG 압축기술에서 이동 벡터를 도출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사용해왔던 기술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이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가에 대응하는 값으로 흔들림 레벨이 도출된다.
단계 (S430) : 엘리베이터 차량(200)이 갑자기 정지하여 사람이 갇히게 되거나 폭행, 강도, 성추행, 납치 등의 범죄로 인해 사람들 간에 빠른 움직임이 생기게 되면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은 빠르게 움직일 것이므로 흔들림 레벨도 증가하게 된다.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흔들림 레벨을 반영하여 엘리베이터 차량(200)의 진동 레벨 값을 보정한다. 즉,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흔들림 레벨이 높을 수록 진동 레벨을 증가시켜 단계 (S330)에서 임계 진동을 초과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흔들림 레벨이 낮을 수록 진동 레벨을 감소시켜 단계 (S330)에서 임계 진동을 초과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ROM, RAM, CD-ROM, NAS, 자기테이프, 하드디스크, 웹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토리지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100 :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110 : 카메라 촬영부
120 : 네트워크 접속부
130 : 모션 센서부
140 : 건물층수 판단부
150 :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
160 : 리포트 이미지 생성부
170 : 시스템 제어부
200 : 엘리베이터 차량
300 : CCTV 관리 시스템
400 : 관제요원 컴퓨터

Claims (6)

  1. 엘리베이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촬영부(110);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120);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의 가속도 변화 값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부(130);
    상기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을 집합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건물층수 판단부(140);
    상기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에서의 비정상 이벤트를 식별하는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
    상기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상기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와 함께 상기 비정상 이벤트를 알려주는 비정상 알람 리포트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제어부(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상기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 변화 패턴을 누적 처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이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 및 그에 따른 건물의 전체 층수를 식별하고, 상기 최하층과 최상층을 기준으로 상기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층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층수 판단부(140)는 특정 시점에서 관리자 설정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한 참조 층수를 입력받고 상기 참조 층수를 기준으로 상기 상하 운동에서의 가속도의 실시간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이 위치하는 층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상기 모션 센서부가 검출하는 가속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의 진동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진동 레벨이 미리 설정한 임계 진동을 초과하는 비정상 진동인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이벤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150)는 상기 카메라 촬영부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대해 디퍼렌셜 방식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차량의 진동 레벨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이벤트 검출부에 의해 비정상 이벤트가 식별되면 상기 카메라 촬영부가 촬영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에 상기 건물층수 판단부가 식별한 건물 내 층수 정보를 오버레이한 비정상 알람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비정상 알람 리포트에 포함시키는 리포트 이미지 생성부(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0160116084A 2016-09-09 2016-09-09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87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084A KR101874639B1 (ko) 2016-09-09 2016-09-09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084A KR101874639B1 (ko) 2016-09-09 2016-09-09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03A true KR20180028603A (ko) 2018-03-19
KR101874639B1 KR101874639B1 (ko) 2018-07-04

Family

ID=6191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084A KR101874639B1 (ko) 2016-09-09 2016-09-09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97B1 (ko) * 2018-07-30 2019-11-08 이노뎁 주식회사 압축영상에 대한 신택스 기반의 히트맵 생성 방법
CN111444854A (zh) * 2020-03-27 2020-07-24 科大讯飞(苏州)科技有限公司 异常事件检测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57B1 (ko) * 2003-07-03 2005-12-08 주식회사 싸이닉스 엘리베이터용 보안카메라 장치
KR100976781B1 (ko) * 2008-05-20 2010-08-18 노아테크놀로지(주)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KR101264520B1 (ko) * 2011-04-08 2013-05-14 박주열 엘리베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25224A (ko) * 2014-08-27 2016-03-08 신현대 승강기 비정상 운행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97B1 (ko) * 2018-07-30 2019-11-08 이노뎁 주식회사 압축영상에 대한 신택스 기반의 히트맵 생성 방법
CN111444854A (zh) * 2020-03-27 2020-07-24 科大讯飞(苏州)科技有限公司 异常事件检测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444854B (zh) * 2020-03-27 2021-03-02 科大讯飞(苏州)科技有限公司 异常事件检测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39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57569B (zh) 安防视频监控分析方法
KR101036947B1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CN109052092B (zh) 一种分布式升降机安全管理系统及管理方法
JP5917327B2 (ja) エスカレータ監視システム
KR101541272B1 (ko) 사람들의 움직임 불규칙성을 이용한 폭력 행위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0640B1 (ko)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2007195130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CN109492548B (zh) 基于视频分析的区域mask图片的获得方法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74639B1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장치
JP2006109014A (ja) 不審者判定装置
KR20200075378A (ko) Cctv를 이용한 건물내 재실자 밀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9169898A (ja) 監視システム、警備装置、監視方法および警備方法
JP2013063810A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2015036333A (ja) エレベータの異常停止報知システム
JP6624522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238788B1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JP2007031018A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及び防犯運転設定変更方法
JP201106846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検索再生プログラム、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60025224A (ko) 승강기 비정상 운행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20070111741A (ko)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CN109785567B (zh) 防火门集中提示装置与防火门系统
KR20170133592A (ko) 승강장 추락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