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298B1 -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298B1
KR101234298B1 KR1020100117608A KR20100117608A KR101234298B1 KR 101234298 B1 KR101234298 B1 KR 101234298B1 KR 1020100117608 A KR1020100117608 A KR 1020100117608A KR 20100117608 A KR20100117608 A KR 20100117608A KR 101234298 B1 KR101234298 B1 KR 10123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overload
upper plate
hook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084A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0011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 B66B5/14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리프트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 카에 제한하중 이상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는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어, 이동하는 리프트 카에 제한하중 이상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 카의 상부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는 후크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제한하중에 상응하는 길이 이하로 압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과부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연결부는,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 위로 돌출되며, 리프트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고리가 형성된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는 리프트 카의 상부의 리프트 후크와의 연결부위의 교체만으로 설치할 수 있어 적용할 수 있는 화물용 리프트의 범위가 넓다.

Description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Overload protecting apparatus for lift}
본 발명은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리프트에 장착가능하여 이를 이용하면 기존의 화물용 리프트에 개정기준에 부합한 안전조건을 간단히 구비할 수 있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용 리프트는 건설현장이나 영세 사업장 등에서 사용되는 간단한 구조의 승강 장치이다. 따라서, 화물용 리프트는 빌딩에 이용되는 승강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며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와 같은 구조의 원동기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호이스트를 이용한 화물용 리프트의 대표적인 구조로서, 리프트의 최상층의 기계실에 위치하는 호이스트(7), 호이스트(7)에 감겨있는 케이블(8) 및 케이블(8)과 후크(9)에 의해 체결되는 리프트 카(1)가 도시되어 있다.
호이스트(7)에 감기는 케이블(8) 단부에 후크(9)를 통해 리프트 카(1)와 간단히 결합되는 구조이다. 호이스트(7)가 케이블(8)을 감거나 풀어 케이블(8)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리프트 카(1)가 상하로 이동한다.
종래에는 화물용 리프트에 관한 안전장치 기준이 엄격하지 않았으나, 최근 개정된 산업안전 보건법에서는 그 기준을 강화하였다.
종래에 과부하 감지방식은 운행 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호이스트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상방향으로 이동시에만 과부하가 감지된다. 즉, 과하중이 적재된 상태에서 호이스트가 구동해야만 과부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적재할 때 또는 하강시에는 과부하 여부가 감지되지 않아 합격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종래 기준에 따라 설치 및 사용된 리프트의 안전장치는 개정된 산업안전 보건법의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리프트 수검시 불합격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불합격 판정을 받은 리프트는 사용이 금지되므로 사업장 생산활동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 규정에 따라 설치 사용되던 리프트의 상당부분이 개정 기준에 통과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과부하 방지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실정이다.
과부하 방지장치로서, 일반적인 아파트의 승강기에 이용되는 로드셀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기의 로드셀은 화물용 리프트에 장착이 어렵고 장착을 위해서는 많은 구조적 변경이 필요하다. 비용측면에서도 부담이 커 실질적으로 적용이 어렵다.
또는, 호이스트가 설치되는 기계실에 과부하 방지장치를 두고 리프트 카 상부에 도르래를 구비하여, 케이블로 호이스트, 도르래 및 과부하 방지장치 순서로 연결하여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조는 기계실에 공간이 있어야 하며, 기계실 바닥에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구멍을 뚫어야 해서, 설치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화물용 리프트를 개정 안전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선함에 있어서, 리프트의 구조적 변경, 부속품 추가제작, 전기회로 결선 작업 등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과부하 방지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합리적인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기존 리프트에 장착가능하여, 개정된 기준에 따른 안전조건을 손쉽게 충족할 수 있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는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어, 이동하는 리프트 카에 제한하중 이상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 카의 상부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는 후크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제한하중에 상응하는 길이 이하로 압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과부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연결부는,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 위로 돌출되며, 리프트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벽체형상의 웨브(web); 상기 웨브의 상부에서 상기 웨브와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 및 상기 웨브의 하부에서 상기 웨브와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결합을 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는 리프트 카의 상부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력을 가해 미리 압축하여, 상기 압력에 상응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길이 변화가 없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력에 저항하는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의 중심을 관통하며, 양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고정축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스프링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센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부 접촉단자; 상기 상부 접촉단자와 이격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하부 접촉단자;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접촉단자와 상기 하부 접촉단자가 접촉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부하 센서는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신호를 수신받아 과부하를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신호 수신시 점등되는 경고등, 상기 신호 수신시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보부저 또는 상기 신호 수신시 과부하를 문자정보로 표시하는 과부하 표시판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부하 센서의 신호를 받아 리프트 카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는 리프트 카의 상부의 리프트 후크와의 연결부위의 교체만으로 설치할 수 있어, 적용할 수 있는 화물용 리프트의 범위가 넓다.
본 발명은 장착이 쉬운 간결한 구조이므로, 안전검사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리프트를 개선할 때 비용 및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로 인한 케이블 및 호이스트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물용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가 리프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의 각 구성 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의 알림장치와 리프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가 리프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호이스트(7)와 케이블(8) 및 리프트 후크(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 카(1) 및 제한하중 이상의 화물 적재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가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 카(1)는 화물이 적재되는 상자형상의 박스로서, 리프트 카(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호이스트(7)를 사용한다.
호이스트(7)는 케이블을 감는 감기통, 감기통을 회전시키는 원동기 및 감속장치를 한 조로 하는 장치이다.
케이블(8)의 일단은 호이스트(7)와 연결되어 호이스트의 원동기가 회전 시 감기통에 감겨 길이가 짧아지며, 타단의 끝에 갈고리 형상의 리프트 후크(9)를 구비한다. 이 리프트 후크(9)를 통해 케이블(8)이 리프트 카(1)의 상부에 연결되고 리프트 카(1)는 호이스트(7)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는 본 발명은 이러한 리프트 카(1)에 적재되는 화물이 제한하중 이상이 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경고하거나 리프트 카(1)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 부분이 체결되어 리프트 카(1)에 설치된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제한하중 이하의 화물이 적재된 때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이고, 도 4는 제한하중 이상의 화물이 적재된 상태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의 각 구성 부분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부분의 위치 및 결합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개별 구성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는 크게 리프트 카(1)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고정부재(10)를 관통하고 케이블(8)과 결합하는 이동부재(20), 이동부재(20)와 고정부재(1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1) 및 과부하 센서(4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10)는 리프트 카(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리프트 카(1)의 일부를 커버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개구부(17)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11)와 그 위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6)로 구성된다.
베이스(11)는 한 쌍이 이격하여 마주보며 리프트 카(1) 상부에 결합하며, 벽체형상의 웨브(Web, 12)와 웨브(12)의 상하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14)와 하부플랜지(13)로 이루어진 ㄷ자형의 빔을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11)의 하부플렌지(13)는 리프트 카(1)에 고정하고 상부플랜지(14)는 상부플레이트(16)와 체결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하부플랜지(13)는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부플랜지(14)는 볼트(18)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볼트(18)의 체결을 위해 상부플랜지(14) 및 상부플레이트(16)에 체결 구멍(18', 18")이 형성된다(도 5 참조).
베이스(11)의 형상은 ㄷ자형 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부 플랜지(14) 및 하부플랜지(13)가 웨브(12)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형 빔이나 H형 빔을 이용할 수도 있고, 상부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도 가능하다.
상부플레이트(16)는 한 쌍의 베이스(11) 상부에 양단이 걸쳐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상부플랜지(14)와 볼트(18)로 체결된다. 상부플레이트(16)는 고정부재(10)의 상부를 구성하고, 그 아래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플레이트(16)의 중앙에는 후술할 후크연결부(26)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동부재(20)는 케이블(8) 단부의 케이블 후크(9)와 연결되며, 고정부재(10)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1)의 길이변화에 따라 고정부재(10)와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한하중 이상의 화물이 리프트 카(1)에 적재시, 이동부재(20)는 리프트 카(1) 기준으로 볼 때 상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0)는 하부플레이트(21)와 그 위에 결합하는 후크연결부(26)로 구성된다.
하부플레이트(21)는 이동부재(20)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부플레이트(16) 아래에서 상부플레이트(16)와 대면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1)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6)와 체결된다(도 3참조).
후크연결부(26)는 개구부(17)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하단은 하부플레이트(21)의 위에 결합하며,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6) 위로 돌출된다.
후크연결부(26)의 하단은 하부플레이트(21)의 위에 하부플레이트(21)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하며, 볼트로 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21)와 후크연결부(26)의 결합부분은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위치이므로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후크연결부(26)의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6) 위로 돌출해, 케이블(8) 단부에 구비된 리프트 후크(9)와 체결된다. 리프트 후크(9)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후크고리(27)를 형성한다(도 5 참조).
후크고리(27)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와 달리, 호이스트(7)의 케이블(8)과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8)을 절단하거나, 새로운 장치를 부가하는 필요가 없다. 즉, 기존 장비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부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31)는 고정부재(10)의 상부플레이트(16)와 이동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1) 사이에 개재된다. 리프트 카(1)에 실리는 화물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에 저항하여 리프트 카(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로서 스프링(31)을 이용하고, 그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부플레이트(16) 및 하부플레이트(21)와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축(35)을 이용해 스프링을 .
스프링(31)의 개수는 규정하중(1톤, 2톤, 3톤 등)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장치(5)의 평면 투시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31)을 후크연결부(26) 양옆에 4개씩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8개의 스프링(31)을 이용한다.
케이블(8)과 연결된 이동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1)는 위쪽으로 압축력을 가한다. 한편, 리프트 카(1)와 연결되는 고정부재(10)의 상부플레이트(16)는 리프트 카(1) 및 그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해당하는 압축력을 스프링(31)에 가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31)은 하부플레이트(21)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고, 상부플레이트(16)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압축력에 저항한다. 리프트 카(1)에 적재되는 짐이 많아질수록 더 큰 압축력을 받게 된다.
스프링 고정축(35)은 스프링(31)을 관통하여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와 결합하며, 스프링(31)이 압축력에 의해 옆으로 좌굴(buckling)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축(35)을 상부플레이트(16)의 위에서 너트로 고정할 때,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스프링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미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미리 가한 압력에 상응하는 하중(이하 기준하중이라 한다)에 대해서는 길이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화물을 적재할 때 리프트 카(1)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리프트 카(1)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기준하중은 과부하라고 판단하는 제한하중보다 작으며, 기준하중 이상의 하중이 되면서부터 스프링(31)이 줄어들어 과부하라고 판단하는 제한하중에 도달하면, 후술할 과부하 센서(40)가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기준하중을 제한하중의 90%에 해당하는 하중으로 설정하면, 제한하중의 90% 이하에 해당하는 화물을 싣는 때에는 리프트 카(1)는 처지지 않는다.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정격하중(안전운행이 가능한 임계하중)의 110% 이상의 하중에 대해서 리프트의 운행이 멈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하중을 정격하중에 가깝게 설정하면, 정격하중 이하의 짐을 리프트에 실을 때에는 리프트 카(1)의 처짐이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격하중 이상이 되는 경우 스프링(31)의 길이가 줄어들어 제한하중(정격하중의 약 110%)에 이를 때 과부하 센서(40)가 작동하도록 설정한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이용하면, 합격기준을 통과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축(35)은 상부플레이트(16)의 위쪽으로 너트가 체결되어 있다. 너트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 사이 거리가 제한되어 스프링(31)이 늘어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에 압축력이 가해져 스프링(31)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스프링 고정축(35)은 상부플레이트(16)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압축된 상태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도시한 것으로, 스프링(31)이 압축되어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스프링 고정축(35)의 상단이 상부플레이트(16) 위쪽으로 더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공기의 압력에 따라 신축가능한 유압잭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압스프링도 탄성부재로서 이용가능하다. 압력에 따라 압축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의 탄성부재로 이용가능하다.
다음으로, 과부하 센서(40)는 고정장치(10)의 상부플레이트(16) 및 이동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1)에 결합하여 탄성부재(31)가 설정길이 이하로 압축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접촉단자(41), 하부 접촉단자(42) 및 리미트 스위치(45)로 구성된 과부하 센서(40)를 이용한다.
상부 접촉단자(41)는 상부플레이트(16)에 결합하고, 하부 접촉단자(42)는 상부 접촉단자(41)와 이격하여 하부플레이트(21)에 결합한다. 이격거리는 스프링(31)에 제한하중이 가해졌을 때 스프링(31)이 줄어들게 되는 길이로서 리프트의 제한하중 및 스프링(31)의 탄성계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촉단자(41)는 상부플레이트(16)와 결합하는 나사가 구비되어 있어, 상부플레이트(16)의 구멍(41')에 끼워지며, 나사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어, 상부 접촉단자(41)를 회전시키면 하부 접촉단자(42)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리미트 스위치(45)는 상부 접촉단자(41)와 하부 접촉단자(42)가 접촉 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고정부재(10) 또는 이동부재(20)에 결합하며 도 3에서는 이동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1)에 결합한 리미트 스위치(45)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과부하 센서(40)가 신호를 발생할 때의 도면으로, 도 4에서 과부하 센서(40)의 상부 접촉단자(41)와 하부 접촉단자(42)가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45)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를 줄이고 정확하게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도록 과부하 센서(40)를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의 양쪽에 2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과부하 센서(40)의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55)을 더 구비하고, 이러한 배선(55)을 통해 과부하를 알리는 알람장치(50)를 구비한다. 도 7은 배선(55) 및 알림장치(50)가 도시되어 있으며, 알람장치(50)의 예로서 경고등(51)이나 경보부저(52) 및 과부하 표시판넬(53) 등이 도시되어 있다.
경고등(51)은 과부하 센서(40)로부터 신호 수신 시 점등하는 램프이며, 경보부저(52)는 신호 수신 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리프트 카(1)에 화물을 적재 시 과부하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부하 표시판넬(53)은 과부하 여부를 문자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문자 표시 방법으로 액정이나, 모니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과부하 표시판넬(53)은 눈에 띄는 위치에 설치하여, 과부하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면 리프트를 작동하는 작동장치 옆이나 리프트 도어의 옆과 같이 작업자가 자주 보게 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등(51)이나 경보부저(52)는 리프트 카(1)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과부하 표시판넬(53)과 같이 도어 옆에 리프트 작동장치와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알림장치(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한편, 과부하 센서(40)의 신호를 받아 리프트 카(1)의 이동을 담당하는 호이스트(7)를 제어하여 리프트 카(1)의 작동 자체를 중단시키거나, 리프트의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부에 전달하는 신호도 과부하 센서(40)와 연결된 배선(55)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리프트 카(1)의 작동을 멈추고 고정시킨다. 그리고, 기존의 리프트 카(1) 상판 위의 케이블(8)과 체결되는 구조체를 해체한다. 다음으로, 리프트 카(1) 상부에 베이스(11)의 하부플랜지(13)를 용접결합한 후 후크고리(27)에 리프트 후크(9)를 걸면 설치가 완료된다.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 장착 공사는 리프트 카(1)를 고정하고 기존의 케이블(8)과의 체결구조를 해체한 후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를 용접하여 장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수행가능하다. 최소의 장착시간이 소요되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리프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사업장의 업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8)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프트 카(1) 상부의 구조에 관계없이, 리프트 카(1)의 상부 연결구조만 변경하므로, 장착 시 리프트 카(1)에 따라 설계 변경이나 작업 방법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어서, 범용성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와 구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11)와 결합된 리프트 카(1)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으면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6)와 하부플레이트(21)가 지지된다.
리프트 카(1)에 화물이 적재됨에 따라 베이스(11) 및 상부플레이트(16)가 하중을 받게 되어 스프링(31)을 압축하게 된다. 스프링(31)이 압축된 만큼 상부 접촉단자(41)와 하부 접촉단자(42)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되고 제한하중에 이르게 되면 상부 접촉단자(41)와 하부 접촉단자(42)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45)가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배선(55)을 따라 경고등(51), 경보부저(52) 및 과부하 표시판넬(53)과 같은 알림장치(50)로 전송되어 리프트 카(1)에 제한하중 이상의 화물이 적재되었음을 경고한다.
또한, 컨트롤부에 이어진 배선(55)을 따라 신호가 전달되며, 컨트롤부는 호이스트(7)의 작동을 멈춰 제한하중 이상의 화물이 리프트 카(1)에 적재시 리프트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5)는 리프트 카(1)의 상부의 리프트 후크(9)와 연결부위의 교체만으로 설치할 수 있어 적용할 수 있는 화물용 리프트의 범위가 넓다.
본 발명은 장착이 쉬운 간결한 구조이므로, 안전검사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리프트를 개선할 때 비용 및 설치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로 인한 케이블 및 호이스트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리프트 카 5: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7: 호이스트
8: 케이블 9: 리프트 후크
10: 고정부재 11: 베이스
12: 웨브(web) 13: 하부플랜지
14: 상부플랜지 16: 상부플레이트
17: 개구부 18: 볼트
20: 이동부재 21: 하부플레이트
26: 후크연결부 27: 후크고리
31: 스프링/탄성부재 35: 스프링 고정축
40: 과부하 센서 41: 상부 접촉단자
42: 하부 접촉단자 45: 리미트 스위치
50: 알림장치 51: 경고등
52: 경보부저 53: 과부하 표시판넬
56: 컨트롤부

Claims (8)

  1.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어, 이동하는 리프트 카에 제한하중 이상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리프트 카의 상부에 결합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케이블 하단의 리프트 후크에 체결되는 후크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제한하중에 상응하는 길이 이하로 압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과부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연결부는,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 위로 돌출되며, 리프트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벽체형상의 웨브(web);
    상기 웨브의 상부에서 상기 웨브와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 및
    상기 웨브의 하부에서 상기 웨브와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결합을 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는 리프트 카의 상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력을 가해 미리 압축하여, 상기 압력에 상응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길이 변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력에 저항하는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의 중심을 관통하며, 양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고정축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스프링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센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부 접촉단자;
    상기 상부 접촉단자와 이격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하부 접촉단자;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접촉단자와 상기 하부 접촉단자가 접촉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센서는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신호를 수신받아 과부하를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신호 수신시 점등되는 경고등, 상기 신호 수신시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보부저 또는 상기 신호 수신시 과부하를 문자정보로 표시하는 과부하 표시판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센서의 신호를 받아 리프트 카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1020100117608A 2010-11-24 2010-11-24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10123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608A KR101234298B1 (ko) 2010-11-24 2010-11-24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608A KR101234298B1 (ko) 2010-11-24 2010-11-24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84A KR20120056084A (ko) 2012-06-01
KR101234298B1 true KR101234298B1 (ko) 2013-02-18

Family

ID=4660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608A KR101234298B1 (ko) 2010-11-24 2010-11-24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3190B (zh) * 2018-03-29 2023-11-2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铝合金模板传料装置及其操作方法
SE544386C2 (en) * 2018-12-07 2022-05-03 Alimak Group Man Ab A system and methods for changing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workers at a work site
KR102576642B1 (ko) 2021-05-12 2023-09-12 윤현석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177U (ko) * 1994-05-13 1995-12-16 화물용 승강기의 과부하 방지용 안전장치
JPH09227081A (ja) * 1996-02-26 1997-09-02 Zojirushi Chain Block Kk 電動式巻上機
KR19990041536A (ko) * 1997-11-22 1999-06-15 이강태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
KR100418946B1 (ko) 2000-11-01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주식 리프트의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177U (ko) * 1994-05-13 1995-12-16 화물용 승강기의 과부하 방지용 안전장치
JPH09227081A (ja) * 1996-02-26 1997-09-02 Zojirushi Chain Block Kk 電動式巻上機
KR19990041536A (ko) * 1997-11-22 1999-06-15 이강태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
KR100418946B1 (ko) 2000-11-01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주식 리프트의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84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itzel et al. A review of cran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P407100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KR101234298B1 (ko)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20150091786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180057326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및 비상정지장치 연동 시험장치
CN101580208A (zh) 缆索起重设备的安全装置
KR20180104412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107753B1 (ko)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CN208761918U (zh) 一种家用电梯井道机械阻止装置
KR101352610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EP3854743B1 (en) Elevator cars with camera mount
KR102523904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파단 검출에 의한 이중 안전운행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운행 방법
KR20230082005A (ko) 제진용 독립 기초의 모니터링 시스템
CN204138075U (zh) 施工升降机导轨架安全预警和控制装置
EP3693313B1 (en)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KR20170135756A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KR101660253B1 (ko) 과부하와 하중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는 바튼 시스템.
CN207090802U (zh) 起重设备用吊钩及具有其的起重设备
CN112875515A (zh) 用于液压提升机抬吊过程中钢丝绳状态监测的系统
KR200407488Y1 (ko) 타워 크레인 작업용 감시 카메라 설치구조
EP4328165A1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P41698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levator rope elongation and elevator
KR102145583B1 (ko) 건설용 리프트 브레이크 체크 시스템 및 그 체크 방법
KR102130848B1 (ko)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