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42B1 -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42B1
KR102576642B1 KR1020210061531A KR20210061531A KR102576642B1 KR 102576642 B1 KR102576642 B1 KR 102576642B1 KR 1020210061531 A KR1020210061531 A KR 1020210061531A KR 20210061531 A KR20210061531 A KR 20210061531A KR 102576642 B1 KR102576642 B1 KR 10257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data
pressure
lift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311A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윤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석 filed Critical 윤현석
Priority to KR102021006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 B66B5/14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2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는 유압식 승강기용 리프트(lift)에서, 기존 설치된 유압 센서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해주고, 과부하 시 과부하 제어 및 경고를 하여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고,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며,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고,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여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를 경고해주어,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에서 과부하시 안전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Overloa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hydraulic lift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는 유압식 승강기용 리프트(lift)에서, 기존 설치된 유압 센서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해주고, 과부하 시 과부하 제어 및 경고를 하여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이나 작업현장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외부에서 승강로의 각층 마다 외부 출입문이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승강 프레임 내의 승강로에서 와이어에 의해 작동하는 권동식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식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운행하는 운반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는 건물의 각 층에서 운반구가 멈추면 운반구의 문이 있는 경우 상기 문과 함께 승강로의 외부출입문(승강장)을 개방하거나, 운반구의 문이 없는 경우 승강 프레임 내의 승강로의 외부출입문만을 개방하여 상기 운반구에 화물을 싣거나 사람이 탑승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기용 리프트에서, 와이어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기용 권동식 리프트는 전류 측정을 통해 부하를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전류를 이용하여 과부하를 판단하고, 과부하 시 경보를 하고 리프트의 동작을 제한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반면,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에서는 유압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은 있으나, 부하를 검출하고 과부하 시 경보를 하거나 과부하에 따라 리프트의 동작을 제한하는 기술은 마련되지 않아,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에서는 과부하에 의해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한편, 호이스트를 이용한 리프트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6084호(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기존 리프트에 장착 가능하도록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구현하고,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리프트 카의 상부의 리프트 후크와 연결부위에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리프트에 안전조건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를 별도의 장치로 구현하고, 이를 기존 리프트의 일부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의 구현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 리프트의 일부 장치를 교체해야하는 복잡함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6084(2012.06.01. 공개)(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에서 발생하는 제만 문제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는 유압식 승강기용 리프트(lift)에서, 기존 설치된 유압 센서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해주고, 과부하 시 과부하 제어 및 경고를 하여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거리에 있는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리프트의 과부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는,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반;
상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 발생부;
상기 압력 발생부에서 발생한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압력 회로부;
상기 압력 회로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며,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의 경고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표시 제어에 따라 압력(MPa) 및 중량(ton)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과부하 시 상기 제어반에 압력 차단을 발생하여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열림-닫힘 출력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과부하 상태의 경고에 따라 과부하 상태를 시청각으로 경보해주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보부는,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해주는 전원 표시기;
과부하 시 시각적으로 과부하 상태를 표시해주는 과부하 표시기; 및
상기 과부하 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과부하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버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방법"은,
(a)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
(c) 상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과부하 유무를 판별한 결과, 정상 상태이면 전동기의 동작을 유지하고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를 경고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방법"은,
(g)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는 유압식 승강기용 리프트(lift)에서, 기존 설치된 유압 센서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해주고, 과부하 시 과부하 제어 및 경고를 하여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거리에 있는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리프트의 과부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의 설정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경보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압력과 중량과 힘의 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의 회로도로서, 데이터 설정부(107), 제어반(111), 전동기(101), 압력 발생부(102), 압력 감지부(103), 압력 회로부(104), 마이크로 컨트롤러(105), 디스플레이부(106), 경보부(108), 전원부(109), 열림-닫힘 출력부(110) 및 통신 모듈(112)을 포함한다.
전원부(109)는 입력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전원이 필요한 부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설정부(107)는 리프트의 기능 선택(상승, 하강, 확인, 기능, 리셋)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 설정부(107)는 리프트 상승 기능을 위한 상승 버튼, 리프트 하강 기능을 위한 하강 버튼, 확인을 위한 확인 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선택 버튼,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리셋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양한 기능 선택 버튼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설정 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에 전달해준다.
제어반(111)은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101)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력 발생부(102)는 상기 전동기(101)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감지부(103)는 상기 압력 발생부(102)에서 발생한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력 감지부(103)는 유압 센서(PS)로 구현될 수 있다.
압력 회로부(104)는 상기 압력 감지부(103)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 회로부(104)는 상기 압력 감지부(103)에서 발생한 압력 감지 값을 수신하는 압력 수신부(104a), 상기 압력 수신부(104a)에서 수신한 감지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상기 압력 회로부(104)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며,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10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의 경고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압력, 중량, 과부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2)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 대신에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등의 제어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의 표시 제어에 따라 압력(MPa) 및 중량(ton)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열림-닫힘 출력부(11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의 제어에 따라 정상동작 시 제어반(111)에 전동기 동작을 위한 압력 발생 신호를 전달하고, 과부하 시 상기 제어반(111)에 압력 차단을 발생하여 전동기(101)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보부(108)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의 과부하 상태의 경고에 따라 과부하 상태를 시청각으로 경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보부(108)는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해주는 전원 표시기, 과부하 시 시각적으로 과부하 상태를 표시해주는 과부하 표시기 및 상기 과부하 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과부하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버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표시기와 과부하 표시기는 LED를 이용할 수 있으며, LED의 점등 컬러를 이용하여 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표시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면 정상적인 전원 공급 상태를 의미하고, 적색으로 점등되면 전원 차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과부하 표시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면 정상 상태의 부하라고 표시를 하고, 적색으로 점등되면 과부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에서 출력되는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112)은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RS-485와 같은 유선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S101 - S102), (b)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S103), (c) 상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04 - S105), (d) 상기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S106 - S107), (e)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08), (f) 상기 (e)단계의 과부하 유무를 판별한 결과, 정상 상태이면 전동기의 동작을 유지하고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를 경고해주는 단계(S109 - S111) 및 (g)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12 - S1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부(109)는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AC 220V 또는 AC 110V)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기, 정전압기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이 필요한 부분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105), 경보부(108), 디스플레이부(106) 등에 공급한다. 이외에 전원을 필요한 부분에도 구동 전원을 공급해준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전원부(109)에 의해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를 수행하고, 데이터 설정부(107)에 의해 설정되는 기능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설정한 후, 해당 기능에 맞게 전동기(101)를 기동시킨다.
즉, 리프트 사용자는 리프트의 기능 선택을 위해, 데이터 설정부(107)에 마련된 리프트 상승 기능을 위한 상승 버튼, 리프트 하강 기능을 위한 하강 버튼, 확인을 위한 확인 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선택 버튼 및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리셋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여 기능을 선택한다(S101).
여기서 데이터 설정부(107)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이 물리적으로 구현된 입력 장치로 구현하거나, 기능이 터치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해당 아이콘만 터치하면 해당 기능이 선택되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설정부(107)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이를 인지하고, 내부 메모리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 데이터로 설정한다(S102). 여기서 내부 메모리에는 리프트 상승을 위한 설정 데이터, 리프트 하강을 위한 설정 데이터, 확인을 위한 설정 데이터,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설정 데이터 및 리셋을 위한 리셋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조작한 기능이 리프트 상승이라고 가정을 하면, 리프트 상승에 상응하는 설정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이어, 추출한 리프트 상승 설정 데이터에 따라 비교 출력 포트 1을 통해 열림-닫힘 출력부(110)에 전동기 동작 명령(압력 발생 신호)을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전동기 동작 명령은 열림-닫힘 출력부(110)를 통해 제어반(111)에 전달되고, 제어반(111)에서 전동기(101)를 리프트 상승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프트의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3).
상기 전동기(101)의 동작에 의해 리프트의 상승 동작 시 압력 발생부(102)에 의해 구동 유압에 따른 압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압력을 압력 감지부(103)에서 유압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S104).
이어, 상기 압력 감지부(103)를 통해 감지되는 아날로그 압력 감지 값은 압력 회로부(104)의 압력 수신부(104a)를 통해 수신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4b)를 통해 감지한 아날로그 압력 값에 대응하는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105)에 전달된다(S105).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상기 감지한 압력 데이터(MPa)를 중량(ton)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감지한 압력 데이터(MPa)를 중량(kgf = ton)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힘(N/㎡)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중량과 압력과 힘의 관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중량-압력-힘의 관계는 미리 정확하게 계산된 관계이다.
국제적인 힘의 단위는 N이며, 이는 질량 1kg의 물체를 1㎨의 속도로 움직이는 힘(= 1/9.8kgf)이 된다.
Pa는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 즉, 압력의 단위로 1N/㎡으로 표시된다.
1kgf/㎠ = 9.8N/0.0001㎡ = 98000N/㎡이다.
따라서 98000N/㎡ = 98000Pa = 0.098MPa가 된다.
0.098MPa = 약 0.1MPa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1kgf/㎠ = 9.8N/0.0001㎡ = 98000N/㎡ = 98000Pa = 0.98MPa = 약 0.1MPa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240kgf/㎠의 압축 강도는 약 24MPa가 된다.
이러한 관계식을 따라 중량-압력-힘을 상호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중량 데이터 및 압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동기(101)의 동작 시 실시간으로 압력 및 중량을 인지하도록 한다(S107).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6)는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표시장치를 이용하거나, 터치 패널과 같은 표시 및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감지한 압력 값을 이용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한다. 기존 승강기의 유압식 리프트에서는 유압 센서를 이용하여 유압 측정은 가능하였으나, 이를 이용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를 판단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한다(S108).
즉, 상기 감지한 압력 값이 상기 기준 압력 값보다 작으면 정상적인 부하상태라고 판별을 하고, 제어반(111)을 통해 전동기(101)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킨다(S109).
이와는 달리, 상기 감지한 압력 값이 상기 기준 압력 값보다 크면, 과부하로 판단을 하고, 과부하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즉시 열림-닫힘 출력부(110)를 통해 전동기 정지 명령을 제어반(111)에 전달한다. 제어반(111)은 전동기 정지 명령에 따라 전동기(101)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켜, 과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S110).
다음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과부하 상태에 따른 경고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경보부(108)에 전달한다. 상기 경보부(108)는 전원 표시기를 통해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해준다. 아울러 과부하에 따른 경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과부하 상태를 표시해주는 과부하 표시기인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과부하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과부하에 따른 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버저를 동작시켜 과부하에 따른 경고음을 발생하여 청각적으로 사용자가 과부하임을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과부하에 대해 경고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시청각으로 과부하를 실시간 인지하도록 한다(S111).
다음으로, 과부하가 검출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5)는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과부하 데이터를 통신 모듈(112)에 전달한다(S112). 여기서 과부하 데이터는 중량 데이터, 압력 데이터, 과부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12)은 수신한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한다(S113). 이렇게 전송된 과부하 데이터는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에서 수신되어, 관리자가 리프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리프트의 과부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과부하 데이터의 전송은 근거리 무선 통신, 원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는 유압식 승강기용 리프트(lift)에서, 기존 설치된 유압 센서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해주고, 과부하 시 과부하 제어 및 경고를 하여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거리에 있는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리프트의 과부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해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1: 전동기
102: 압력 발생부
103: 압력 감지부
104: 압력 회로부
105: 마이크로 컨트롤러
106: 디스플레이부
107: 데이터 설정부
108: 경보부
109: 전원부
110 열림-닫힘 출력부
111: 제어반
112: 통신 모듈

Claims (5)

  1.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로서,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반;
    상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 발생부;
    상기 압력 발생부에서 발생한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압력 회로부;
    상기 압력 회로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을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며,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의 경고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표시 제어에 따라 압력(MPa) 및 중량(ton)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과부하 시 상기 제어반에 압력 차단을 발생하여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열림-닫힘 출력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과부하 상태의 경고에 따라 과부하 상태를 시청각으로 경보해주는 경보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과부하 데이터는 중량 데이터, 압력 데이터, 과부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수신한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에서 수신 및 표시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리프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리프트의 과부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경보부는,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해주는 전원 표시기;
    과부하 시 시각적으로 과부하 상태를 표시해주는 과부하 표시기; 및
    상기 과부하 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과부하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버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른 동작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리프트의 기능 선택에 따라 전동기를 동작시켜 리프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
    (c) 상기 전동기의 동작 시 유압에 따른 압력을 부하 압력 값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 값을 디지털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력 데이터 및 중량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감지한 압력 값과 과부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비교하여 과부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과부하 유무를 판별한 결과, 정상 상태이면 전동기의 동작을 유지하고, 과부하 시 자동으로 전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과부하 상태를 경고해주는 단계; 및
    (g)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과부하 시 과부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과부하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방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부하 데이터는 중량 데이터, 압력 데이터, 과부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방법.
  5. 삭제
KR1020210061531A 2021-05-12 2021-05-12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KR10257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31A KR102576642B1 (ko) 2021-05-12 2021-05-12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31A KR102576642B1 (ko) 2021-05-12 2021-05-12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11A KR20220154311A (ko) 2022-11-22
KR102576642B1 true KR102576642B1 (ko) 2023-09-12

Family

ID=8423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531A KR102576642B1 (ko) 2021-05-12 2021-05-12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66B1 (ko) * 2012-12-31 2014-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리프트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2020508270A (ja) * 2017-01-25 2020-03-19 ジェイエルジ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Jlg Industries Inc. 圧力式荷重検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98B1 (ko) 2010-11-24 2013-02-18 주식회사 경인기술공사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66B1 (ko) * 2012-12-31 2014-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리프트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2020508270A (ja) * 2017-01-25 2020-03-19 ジェイエルジ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Jlg Industries Inc. 圧力式荷重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11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427B2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EP3357851B1 (en) Mechanism for improving safety for an elevator system
CA2414120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dernisation of a lift installation
JP2014218330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KR102576642B1 (ko) 승강기용 유압식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 및 방법
CN204847641U (zh) 施工升降机智能操作台及系统
CN105293229B (zh)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072792B (zh) 电梯控制系统
CN109850710B (zh) 电梯的厅门安全装置、电梯的厅门安全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梯
JP2016150823A (ja) エレベータ点検装置
CN105923481A (zh) 一种防止幼儿误入危险的升降电梯
US6538574B2 (en) Device for signal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in the case of passenger evacuation
CN113247717B (zh) 电梯控制系统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21054582A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KR20170028004A (ko)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 운용고지 시스템
Shete et al. Design & Control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using PLC
CN210150683U (zh) 举升机安全报警系统和举升机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CN210884780U (zh) 一种电梯故障用自动求救报警装置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8819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9110586B (zh) 电梯升降的控制方法、系统及电梯设备
CN108792852B (zh) 电梯信号传输装置
JP7265398B2 (ja) 作業状態検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